KR100414446B1 - 부유물농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농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446B1
KR100414446B1 KR10-2001-0062824A KR20010062824A KR100414446B1 KR 100414446 B1 KR100414446 B1 KR 100414446B1 KR 20010062824 A KR20010062824 A KR 20010062824A KR 100414446 B1 KR100414446 B1 KR 10041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ter
body member
suspended solids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610A (ko
Inventor
강대일
Original Assignee
십자성마을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십자성마을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십자성마을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44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01N21/532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with measurement of scattering and trans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1Special mounting in general
    • G01N2201/0218Submersible, submar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장 혹은 하수종말처리장 그리고 하천등과 같은 장소에서 물에 함유된 부유물농도(SS)를 측정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공간부 및 수통로가 형성되며 90도 각도로 제1,2,3,4광통로와 제1,2,3,4수납통로 그리고 제1,2,3,4케이블통로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축공이 형성된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가 물에 잠수되어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빛을 발광하며 상기 바디부재의 제1수납통로에 설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지루코늄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광통로의 단부에 설치된 산란판과, 상기 산란판에 의해 산란되어서 상기 측정공간부를 통과한 빛이 투과되며 상기 제2,3,4광통로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3,4광통로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을 통과한 빛을 수광하도록 상기 제2,3,4수납통로에 설치된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의 전면에 설치된 상기 투명판 및 상기 산란판에 부착된 이물질등을 제거하도록 단면이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단부사이의 거리가 상기 측정공간부의 직경(R)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 크린부재와, 상기 크린부재에 의해 상기 투명판 및 상기 산란판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크린부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된 상기 바디부재와 조립되어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며 상부에는 케이블관이 접속된 밀폐케이스로 이루어진 부유물농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콤팩트한 구조로 1개의 발광소자와 3개의 수광소자를 구비하여 부유물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크린부재에 의해서 부유물농도를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저해받음이 없이 측정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부유물농도를 측정하며, 3개의 수광소자가 구비되어 수광소자의 일부가 불량일 경우에도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물농도측정장치 {SS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수장 혹은 하수종말처리장 그리고 하천등과 같은 장소에서 물에 함유된 부유물농도(SS)를 측정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유물농도를 콤팩트한 구조에 의해 오차가 발생됨이 없이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측정도중 수광소자가 불량이 발생될 경우에도 부유물의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장 혹은 하수종말처리장 그리고 하천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물의 부유물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산란시킨 후 수광부가 수광하여서 수광부로 수광된 빛의 세기로서 부유물농도를 측정하는 산란광방식의측정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계측기의 일예로서는 일본국에서 실용신안공고된 일본국 실공평 5-15085호가 있다.
일본국 실공평 5-15085호는 도 1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검출부선단면의 검출면을 세정하는 브러시식 세정부착의 침투식탁도계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선단부분의 경사면이 형성된 검수용기를 취부하고, 상기 용기의 측면상부에 유입구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측면하부에 유출구를 형성하며, 또 상기 세정기의 검출면용브러시에 연동하도록 상기 검수용기의 저판의 양면을 세정하는 저판브러시를 저판내면에 접해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본국 실공평 5-15085호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2')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32')로 유입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33')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경사진 저판(31')이 형성된 검수용기(30')와, 상기 검수용기(30')의 유입구(32')로 유입된 물의 탁도를 검출하도록 상기 검수용기(30')의 상부에 설치된 검출부(1')와, 상기 검출부(1')에서 물의 탁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검출부(1')의 하측을 세척하는 검출면용브러시(14')와, 상기 검출면용브러시(14')와 연동하여 작동되어서 상기 검수용기(30')의 저판(31')을 세척하도록 상기 저판(31')에 설치된 저판용브러시(18')와, 상기 저판용브러시(18')와 상기 검출면용브러시(14')가 작동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검출부(1)와 고정구(17')를 매개로 상기 검수용기(30')의 상측에 설치된 구동부(1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검출부(1')와 구동부(11')가 횡으로 설치되어 그구조가 대형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그 구조가 복잡한 것은 물론이고, 2개의 브러시가 구동부(11')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고장이 빈번하여 물의 탁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조로 1개의 발광소자와 3개의 수광소자를 구비하여 부유물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부유물농도를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저해받음이 없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밀도의 부유물농도를 측정하며, 3개의 수광소자가 구비되어 수광소자의 일부가 불량일 경우에도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일본국 실공평 5-15085호에 대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의 주요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바디부재 11...수나사부
12...측정공간부 13...수통로
14...축공 15...산란판
16...투명판 17...막음부재
21...제1광통로 22...제2광통로
23...제3광통로 24...제4광통로
31...제1수납통로 32...제2수납통로
33...제3수납통로 34...제4수납통로
41...제1케이블통로 42...제2케이블통로
43...제3케이블통로 44...제4케이블통로
50...모터 51...축
52...크린부재 53...리미트스위치
60...밀폐케이스 61...케이블관
62...암나사부 63...밀폐공간
71...발광소자 72...수광소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유물농도측정장치는, 측정공간부 및 수통로가 형성되며 90도 각도로 제1,2,3,4광통로와 제1,2,3,4수납통로 그리고 제1,2,3,4케이블통로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축공이 형성된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가 물에 잠수되어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빛을 발광하며 상기 바디부재의 제1수납통로에 설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지루코늄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광통로의 단부에 설치된 산란판과, 상기 산란판에 의해 산란되어서 상기 측정공간부를 통과한 빛이 투과되며 상기 제2,3,4광통로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3,4광통로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을 통과한 빛을 수광하도록 상기 제2,3,4수납통로에 설치된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의 전면에 설치된 상기 투명판 및 상기 산란판에 부착된 이물질등을 제거하도록 고무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단부사이의 거리가 상기 측정공간부의 직경(R)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 크린부재와, 상기 크린부재에 의해 상기 투명판 및 상기 산란판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크린부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된 상기 바디부재와 조립되어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며 상부에는 케이블관이 접속된 밀폐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부유물농도측정장치에 의하면, 콤팩트한 구조로 1개의 발광소자와 3개의 수광소자를 구비하여 부유물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크린부재에 의해서 부유물농도를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저해받음이 없이 측정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부유물농도를 측정하며, 3개의 수광소자가 구비되어 수광소자의 일부가 불량일 경우에도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의 주요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부호 10은 물의 오니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물에 잠수되는 바디부재로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의 외주연에는 수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디부재(10)는 중심에 물의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물이 수용되는 측정공간부(12)가 R의 직경을 갖고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기 측정공간부(12)로 물이 유통되도록 수통로(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통로(13)는 상기 측정공간부(12)에 수용되는 물이 정체됨이 없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상기 바디부재(1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재(10)의 중심으로부터 θ의 각도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수통로(13)를 형성시키는 각도 θ는 후술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간섭되지 않도록 90도 이하의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재(10)에는, 상기 측정공간부(12)를 향해서 90도의 각도로 제1,2,3,4광통로(21)(22)(23)(24)가 형성되고, 이 제1,2,3,4광통로(21)(22)(23)(24)는 관통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2,3,4수납통로(31)(32)(33)(34)와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제1,2,3,4수납통로(31)(32)(33)(34)는 후술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용이하게 인출 혹은 수납시킬 수 있도록 발광소자 혹은 수광소자의 크기보다도 큰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2,3,4수납통로(31)(32)(33)(34)는 상부방향으로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제1,2,3,4케이블통로(41)(42)(43)(44)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재(10)의 중심에는 후술하는 모터의 축이 삽입되는 축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광통로(21)의 단부에는 물이 상기 제1광통로(21)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이 산란되도록 지루코늄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산란판(15)이 설치되고, 제2,3,4광통로(22)(23)(24)의 단부에는 빛이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물이 상기 제2,3,4광통로(22)(23)(24)로 유입되지 않도록 투명판(16)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2,3,4수납통로(31)(32)(33)(34)에는 상기 제1,2,3,4수납통로(31)(32)(33)(34)로 물이 유입됨이 없도록 막음부재(17)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막음부재(17)의 머리부에는 드라이버등과 같은 도구로서 용이하게 상기 막음부재(17)를 분리조립할 수 있도록 일자 혹은 십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디부재(10)의 중심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0)가 설치되고, 이 모터(50)의 축(51)은 상기 바디부재(10)의 축공(14)을 통과한다.
또, 상기 모터(50)의 축(51)에는 상기 산란판(15) 및 상기 투명판(16)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축(51)과 연동하여서 회전되는 크린부재(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린부재(52)는 상기 모터(50)의 축(51)과 원활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54)를 매개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크린부재(52)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50)가 작동될 경우 회전되어서 상기 산란판(15)과 상기 투명판(16)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 상기 크린부재(52)는 상기 산란판(15)과 상기 투명판(16)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고무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면이 대체로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와 단부사이의 거리(l)가 상기 측정공간부(12)의 직경(R)보다 다소 큰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크린부재(52)는 고무등의 부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바디부재(10)에는 상기 크린부재(52)가 정지될 경우 상기 수통로(13)를 통해 유통되는 물의 유통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크린부재(52)의 정지위치를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5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크린부재(52)가 상기 모터(5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서 상기 산란판(15)과 상기 투명판(16)의 세척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53)의 작동에 의해 상기 크린부재(5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재(10)의 수통로(13)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한편, 부호 60은 상기 바디부재(10)와 결합되어서 상기 모터(50)등으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그 내부에 밀폐공간(63)을 형성시키는 밀폐케이스이다.
또, 상기 밀폐케이스(60)의 상부에는 도시되지 제어부와 연결되는 케이블등이 통과되도록 케이블관(61)이 접속되고, 상기 밀폐케이스(60)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바디부재(10)의 수나사부(11)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71은 상기 바디부재(10)의 제1수납통로(31)에 설치되어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이고, 72는 상기 제2수납통로(32)와 상기 제3수납통로(33) 및 제4수납통로(34)에 설치되어서 상기 발광소자(71)에서 발사되는 빛의 세기를 수광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수광소자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부유물농도측정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바디부재(10)의 제1수납통로(31)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빛을 발광하는 상기 발광소자(7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바디부재(10)의 제2수납통로(32)와 제3수납통로(33) 및 제4수납통로(34)에는 상기 발광소자(71)에서 발광되는 빛의 세기를 수광하는 상기 수광소자(7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바디부재(10)의 제1,2,3,4수납통로(31)(32)(33)(34)는 상기 막음부재(17)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그 내부를 밀폐시키므로서 상기 바디부재(10)가 물에 잠수될 경우 상기 제1,2,3,4수납통로(31)(32)(33)(34)의 내부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71) 혹은 상기 수광소자(72)의 불량으로 상기 발광소자(71) 혹은 상기 수광소자(72)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막음부재(17)를 상기 제1,2,3,4수납통로(31)(32)(33)(34)로부터 분리시키고 교체하고자하는 상기 발광소자(71) 혹은 상기 수광소자(72)를 인출하면 용이하게 상기 발광소자(71) 혹은 상기 수광소자(72)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물의 부유물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밀폐케이스(60)와 상기 바디부재(10)를 조립한 후 상기 밀폐케이스(60)와 상기 바디부재(10)를 물속에 잠수시킨다.
또, 상기 밀폐케이스(60)와 상기 바디부재(10)를 물속에 잠수시키면 물이 상기 수통로(13)를 통해 유통되게 되고, 상기 바디부재(10)의 측정공간부(12)에는 물이 수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수납통로(31)에 설치된 상기 발광소자(71)로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상기 발광소자(71)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발광소자(71)는 빛을 발광하게 되며, 상기 발광소자(71)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제1광통로(21)의 단부에 설치된 산란판(15)을 통과하며 산란되게 된다.
또, 상기 산란판(15)에 의해 산란된 빛은 상기 측정공간부(12)로 투사되게 되며, 상기 측정공간부(12)로 투사된 빛은 상기 제2,3,4광통로(22)(23)(24)에 설치된 상기 수광소자(72)로 수광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광소자(72)로 빛이 수광되면 그 빛의 세기의 신호를 도시되지않은 제어부로 송신하므로서 제어부에서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부유물농도측정장치는 1개의 발광소자(71)에서 발광되어 산란된 빛이 3개의 수광소자(72)로 투사되어서 부유물농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부유물농도를 검출하므로서 보다 정밀한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50)로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모터(50)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50)의 축(51)이 회전되며, 상기 모터(50)의 축(51)이 회전되면 상기 축(51)에 설치된 상기 크린부재(52)가 회전되게 된다.
또, 상기 크린부재(52)가 회전되면 상기 산란판(15) 및 상기 투명판(16)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므로서 상기 발광소자(71)로부터 발사되는 빛은 이물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수광소자(72)로 투사되게 되어서 보다 정밀한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크린부재(52)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고무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부와 단부의 폭(l)이 상기 측정공간부(12)의 직경(R)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크린부재(52)가 회전되면 상기 크린부재(52)의 양측면이 상기 산란판(15) 및 상기 투명판(16)의 표면과 면접촉되어서 상기 산란판(15) 및 상기 투명판(16)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서 상기 발광소자(71)에서 발생되는 빛은 이물질에 영향받음이 없이 상기 수광소자(72)로 투사되어 더욱 정밀한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바디부재(10)에는 상기 크린부재(52)의 멈춤위치를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53)가 부착되므로서 상기 크린부재(52)는 멈춤될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통로(13)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재(10)의 측정공간부(12)로는 보다 원활하게 물이 유통될 수 있게 된다.
즉, 1개의 발광소자와 3개의 수광소자에 의해 부유물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산란판과 투명판을 크린부재에 의해 정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영향받음 없이 보다 정밀한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유물농도측정장치에 의하면 콤팩트한 구조로 1개의 발광소자와 3개의 수광소자를 구비하여 부유물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크린부재에 의해서 부유물농도를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저해받음이 없이 측정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부유물농도를 측정하며, 3개의 수광소자가 구비되어 수광소자의 일부가 불량일 경우에도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측정공간부(12) 및 수통로(13)가 형성되며 90도 각도로 제1,2,3,4광통로(21)(22)(23)(24)와 제1,2,3,4수납통로(31)(32)(33)(34) 그리고 제1,2,3,4케이블통로(41)(42)(43)(44)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축공(14)이 형성된 바디부재(10)와,
    상기 바디부재(10)가 물에 잠수되어 부유물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빛을 발광하며 상기 바디부재(10)의 제1수납통로(31)에 설치된 발광소자(71)와,
    상기 발광소자(71)에서 발광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지루코늄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광통로(21)의 단부에 설치된 산란판(15)과,
    상기 산란판(15)에 의해 산란되어서 상기 측정공간부(12)를 통과한 빛이 투과되며 상기 제2,3,4광통로(22)(23)(24)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3,4광통로(22)(23)(24)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투명판(16)과,
    상기 투명판(16)을 통과한 빛을 수광하도록 상기 제2,3,4수납통로(32)(33)(34)에 설치된 수광소자(72)와,
    상기 수광소자(72)의 전면에 설치된 상기 투명판(16) 및 상기 산란판(15)에 부착된 이물질등을 제거하도록 단면이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단부사이의 거리가 상기 측정공간부(12)의 직경(R)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 크린부재(52)와,
    상기 크린부재(52)에 의해 상기 투명판(16) 및 상기 산란판(15)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크린부재(52)를 회전시키며 상기 바디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50)와,
    상기 모터(50)가 설치된 상기 바디부재(10)와 조립되어서 내부에 밀폐공간(63)을 형성시키며 상부에는 케이블관(61)이 접속된 밀폐케이스(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수납통로(31)(32)(33)(34)는,
    상기 발광소자(71) 및 상기 수광소자(72)를 용이하게 인출 혹은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71) 혹은 상기 수광소자(72)의 크기보다도 큰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린부재(52)는,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54)를 매개로 상기 모터(50)의 축(51)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농도측정장치.
KR10-2001-0062824A 2001-10-12 2001-10-12 부유물농도측정장치 KR10041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24A KR100414446B1 (ko) 2001-10-12 2001-10-12 부유물농도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24A KR100414446B1 (ko) 2001-10-12 2001-10-12 부유물농도측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792U Division KR200263024Y1 (ko) 2001-10-18 2001-10-18 부유물농도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10A KR20030030610A (ko) 2003-04-18
KR100414446B1 true KR100414446B1 (ko) 2004-01-13

Family

ID=2956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824A KR100414446B1 (ko) 2001-10-12 2001-10-12 부유물농도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02B1 (ko) 2006-11-14 2007-05-15 곽정필 오폐수 처리조의 침전 슬러지 농도 측정장치
WO2010090391A2 (ko) * 2009-02-03 2010-08-12 (주)동양화학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고분자막을 갖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2324A4 (en) * 2006-11-14 2013-08-21 Environmental Man Corp APPARATUS FOR DETECTING SLURRY PRECIPITATION DENSITY IN WASTEWATER TREATMENT TANKS AND CORRESPOND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477A (en) * 1978-01-16 1980-05-06 Fmc Corporation Suspended solids meter
US4940902A (en) * 1988-10-24 1990-07-10 Emmanuel Mechala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suspended solids in a liquid medium with wiping means
KR100327125B1 (ko) * 1999-09-14 2002-03-13 조기환 부유고형물 자동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477A (en) * 1978-01-16 1980-05-06 Fmc Corporation Suspended solids meter
US4940902A (en) * 1988-10-24 1990-07-10 Emmanuel Mechala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suspended solids in a liquid medium with wiping means
KR100327125B1 (ko) * 1999-09-14 2002-03-13 조기환 부유고형물 자동측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02B1 (ko) 2006-11-14 2007-05-15 곽정필 오폐수 처리조의 침전 슬러지 농도 측정장치
WO2010090391A2 (ko) * 2009-02-03 2010-08-12 (주)동양화학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고분자막을 갖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WO2010090391A3 (ko) * 2009-02-03 2010-09-30 (주)동양화학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고분자막을 갖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KR101004450B1 (ko) 2009-02-03 2010-12-27 (주)동양화학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고분자막을 갖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10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8923B1 (en) Turbidity measurement
JP6275440B2 (ja) 濁度計
KR20050002822A (ko) 액체 분석 방법 및 분석 장치
US6324900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optically measuring the transparency of a liquid
KR20150143863A (ko) 전류측정식 센서 시스템
US20080252879A1 (en) Optical sample measurement device, optical cell and water quality measurement device
SE455134B (sv) Sett och anordning vid optisk analys i genomstromningskuvett
KR100414446B1 (ko) 부유물농도측정장치
KR200263024Y1 (ko) 부유물농도측정장치
WO2023004423A1 (en) Fluorescence and scatter and absorption spectroscopic apparatus with a sapphire tube and method for analyzing inline low level hydrocarbon in a flow medium
JP2002174596A (ja) 水質汚染度測定装置
KR200263025Y1 (ko) 오니농도측정장치
KR100414447B1 (ko) 오니농도측정장치
JP2015031525A (ja) 光学測定用検出器
KR100944941B1 (ko) 온라인 부유물질 측정기
WO2007038120A2 (en) Light returning target for a photometer
CN211292593U (zh) 叶绿素检测仪
KR101005084B1 (ko) 부유물질 농도계
JP2013160663A (ja) 濁度測定装置
JPS5920662Y2 (ja) 水質測定装置
WO2022264532A1 (ja) 濁度測定装置
JP4671485B2 (ja) フローセル装置
CN112444486B (zh) 一种监测管道中水浊度的系统和方法
JP2561971Y2 (ja) 水質チェッカー
US202303818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Cleaning a Spectrometer Pr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