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275B1 -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275B1
KR100414275B1 KR10-2001-0069801A KR20010069801A KR100414275B1 KR 100414275 B1 KR100414275 B1 KR 100414275B1 KR 20010069801 A KR20010069801 A KR 20010069801A KR 100414275 B1 KR100414275 B1 KR 10041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opening
outlet
inlet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003A (ko
Inventor
김상배
강병규
박상호
신준철
최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6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27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부재로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의 일측 냉장실의 내부에 수용배치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과 상호 다른 냉각온도를 가지는 특선실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과 접촉되는 측벽의 상부영역에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와, 저부면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유출구를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냉동실의 냉기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통가능하게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냉기공급부와; 가요성부재로 상기 유입구를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유입구의 상부연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공기가 상기 냉동실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막과;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유출구개폐수단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출구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해동이 필요치 아니한 정도로 음식물을 냉각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며 염가로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SOFT-FREEZING ROOM}
본 발명은,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동이 필요치 아니한 정도의 냉동상태로 음식물을 냉각 및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비교적 염가로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음식물을 동결저장하는 냉동실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음식물을 냉장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을 구비한다. 냉동실은 통상 -18℃ 이하의 냉각온도를 유지하며, 냉장실은 2℃ 를 전후로 한 냉각온도 범위를 가진다.
어육류(漁肉類) 등은 통상 냉동실에 보관하게 되는데, 그럴 경우 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며, 특히 육류 등을 비교적 짧은 시간, 예를 들면 수시간 내지 십수시간 정도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절히 보관할 장소가 없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냉장실의 내부에 소위 신선실 또는 싱싱고 등으로 불리는 별도의 특선실을 마련하여 어류, 육류 등을 보관하도록 한 냉장고들이 고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곤란하고 제조비용이 상승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특선실은, 통상 -1℃를 전후로 해서 운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냉기의 공급시와 중단시의 온도편차에 기인하여 음식물의 세포속의 수분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게 되어 음식물의 특유의 풍미를 저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해동이 필요치 아니한 정도로 음식물을 냉각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며 염가로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특선실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평단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케이싱의 저면도,
도 6은 도 1의 케이싱의 흡입구영역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의 유출구영역의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 : 격벽
14 : 냉기공급부 16 : 제어부
20 : 냉동실 28 : 특선실온도설정버튼
30 : 냉장실 40 : 특선실
41 : 케이싱 42 : 유입구
43 : 역류방지막 44 : 유출구
45 : 개폐판 46 : 랙치형부
47 : 슬라이딩지지부 48 : 피니언
49 : 피니언구동모터 51 : 서랍
55 : 지지돌기 57 : 온도감지센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에 있어서, 단열부재로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수용배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과 상호 다른 냉각온도를 가지는 특선실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과 접촉되는 측벽의 상부영역에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와, 저부면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유출구를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냉동실의 냉기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통가능하게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냉기공급부와; 가요성부재로 상기 유입구를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유입구의 상부연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공기가 상기 냉동실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막과;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유출구개폐수단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출구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구개폐수단은, 상기 유출구를 상기 케이싱의 저부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구동시키는 개폐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의 저부면에는 상기 개폐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구동수단은 상기 개폐판의 일측 연부를 따라 상기 개폐판과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랙치형부와, 상기 랙치형부와 치형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피니언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유출구개폐수단은, 상기 유출구를 회동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의 연부에 배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회동구동시키는 개폐판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케이싱의 측벽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저부면 입구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서랍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랍의 저부에는 상기 서랍의 저부면이 상기 케이싱의 저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판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특선실영역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케이싱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케이싱의 흡입구영역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12)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의 전면 개구를 회동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좌우 연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냉동실도어(22) 및 냉장실도어(32)와, 냉장실(30)의 내부에 냉동실(20) 및 냉장실(30)과 상호 다른 냉각온도(예를 들면, -7℃ 내지 -1℃ 또는 그중 어느 하나)로 음식물을 냉각 및 유지시키는 특선실(4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1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개폐판의 구동수단을 포함한 구동부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16)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동실도어(22)의 전면에는 특선실(40)의 냉각온도를 설정하는 특선실온도설정버튼(28)과,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의 온도를 설정하는 복수의 조작버튼(26)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냉동실(20)의 후방영역에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순환유로(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순환유로(23)의 내부에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증발기(25)가 구비되어 있다. 증발기(25)의 상측에는 공기가 순환유로(23)를 따라 유동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도시 않은 냉각팬이 구비되며, 냉동실(20)의 전후방향을 따라 격벽(12)의 후방영역에는 냉동실(20)의 냉기가 특선실(4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냉기공급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냉장실(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33)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되어 있으며, 냉장실(30)의 하부영역에는 야채 및/또는 과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야채실(35)이 마련되어 있다. 야채실(35)의 상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 선반(33)과 선반(33)사이영역에는 후술할 케이싱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케이싱지지부(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특선실(40)은, 단열부재로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냉장실(30)의 하부영역에 수용되어 케이싱지지부(37)에 지지되는 케이싱(41)과,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케이싱(41)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서랍(51)을 구비하고 있다.
서랍(51)은 케이싱(41)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동간격을 두고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며, 전면부(52)는 케이싱(41)의 내부에 수납시 케이싱(41)의 전면개구의 연부에 접촉되어 케이싱(41)의 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있다. 전면부(52)의 중앙영역에는 케이싱(41)에 대해 용이하게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도록 손잡이(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 각 모서리영역에는케이싱(41)의 저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41)은 냉장실(30)의 양 측벽에 양 연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축소된 폭을 가지며,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는 냉장실(30)의 전면 단부로부터 소정 내측으로 이격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냉장실(30)의 전후폭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격벽(12)에 접촉되는 케이싱(41)의 측벽의 후방 상부영역에는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냉기공급부(14)와 상호 연통되는 유입구(42)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42)의 내측 상부 연부에는 유입구(4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막(43)이 부착되어 있다. 역류방지막(43)은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구(42)를 개방하고 중력에 의해 유입구(42)를 차단할 수 있도록 가요성부재로 형성되며, 유입구(42)의 대향 측벽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5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41)의 저부면의 개구영역에는 내부의 공기가 하향 유동될 수 있도록 유출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출구(44)의 하측에는 저부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유출구(44)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판(45)이 설치되어 있다. 전후방향을 따라 유출구(44)의 양 연부에는 개폐판(4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지지부(47)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45)의 저부면 중앙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치형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치형부(46)에는 피니언(48)이 회전운동가능하게 치형결합되어 있다.피니언(48)의 일측에는 피니언(48)을 정역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피니언구동모터(49)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서랍(51)의 내부에 어육류가 수용된 상태로 케이싱(41)의 내부에 수납되고 특선실온도설정버튼(28)에 의해 내부의 냉각온도가 설정되면, 제어부(16)는 설정된 냉각목표온도값과 온도감지센서(57)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피니언구동모터(49)를 제어한다.
피니언구동모터(49)가 회전을 개시하면 피니언구동모터(49)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49)이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48)과 치형결합된 랙치형부(46)는 케이싱(41)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유출구(44)를 개방하게 된다.
유출구(44)가 개방되면 케이싱(41)의 내부의 공기는 유출구(44)를 통해 하향 유동하여 케이싱(41)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거의 동시에 역류방지막(43)은 유입구(42)를 개방하게 되어 냉동실(20)의 냉기가 냉기공급부(14) 및 유입구(42)를 통해 케이싱(4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온도감지센서(57)의 감지결과 냉각온도조건(예를 들면 -7℃)이 만족되면 제어부(16)는 피니언구동모터(49)를 개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개폐판(45)은 유출구(44)를 차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유출구(44)가 차단되면 역류방지막(43)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유입구(42)를 차단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의 저면도이다.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의 저부에는 유출구(44)를 판면방향을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판(6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판(65)의 일측에는 치형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치형부(66)에는 개폐판(65)을 회동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69)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67)가 상호 맞물림되어 있으며, 유출구(44)의 일측 연부에는 개폐판(65)의 양 연부에 접촉되어 개폐판(65)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68a,6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온도감지센서(57)의 감지결과 케이싱(41)의 내부온도가 냉각목표온도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16)는 유출구(44)가 개방될 수 있게 구동기어(67)가 도 7의 반시계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69)를 제어하게 된다.
유출구(44)가 개방되면 케이싱(41)의 내부의 공기가 유출구(44)를 통해 배출되고, 이와 거의 동시에 역류방지막(43)이 유입구(42)를 개방하게 된다. 냉동실(20)로부터 유입구(42)를 통해 케이싱(41)의 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케이싱(41)의 내부를 유동하여 내부를 냉각시키고, 유출구(44)를 통해 냉장실(30)로 배출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의 유출구영역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의 저부면의 우측 영역에는 개구에 인접되게 하향 관통된 유출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출구(44)의 하측에는 케이싱(41)의 판면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동축(76)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개폐판(75)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판(75)의 회동축(76)의 일측 단부에는 개폐판(75)이 유출구(4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축(76)을 정역회전시키는 개폐판구동모터(77)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온도감지센서(57)의 감지결과 케이싱(41)의 내부온도가 냉각목표온도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16)는 유출구(44)가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판구동모터(77)를 제어하게 된다. 유출구(44)가 개방되면 케이싱(41)의 내부의 공기가 유출구(44)를 통해 배출되고, 이와 거의 동시에 역류방지막(43)이 유입구(42)를 개방하게 되어 냉기공급부(14) 및 유입구(42)를 통해 냉동실(20)로부터 냉기가 유입되어 케이싱(41)의 내부를 냉각시키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개폐판을 열팽창계수가 상호 다른 두 금속부재를 상호 대면접촉하도록 형성된 소위 바이메탈에 의해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판의 일측에 솔레노이드를 마련하여 개폐판이 유출구를 회동 또는 슬라이딩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유입구가 케이싱의 전후방향을 따라 후방에 형성되고 유출구를 전방 개구영역에 형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유입구를 전면 개구영역의 상부영역에 형성하고 유출구를 저부면의 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케이싱의 전면 개구를 서랍의 전면판의 상하폭 및 좌우폭을 확장시켜 차단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케이싱의 연부에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부재로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냉동실로부터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벽에 형성된 유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를 구비하여 냉장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싱과,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역류방지막과, 유출구를 개폐하는 유출구개폐수단과, 케이싱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유출구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마련함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과 상호 다른 냉각온도로 음식물이 별도의 해동없이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비교적 염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7)

  1.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에 있어서, 단열부재로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수용배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과 상호 다른 냉각온도를 가지는 특선실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과 접촉되는 측벽의 상부영역에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와, 저부면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유출구를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냉동실의 냉기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통가능하게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냉기공급부와; 가요성부재로 상기 유입구를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유입구의 상부연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공기가 상기 냉동실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막과;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유출구개폐수단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출구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개폐수단은, 상기 유출구를 상기 케이싱의 저부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구동시키는 개폐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의 저부면에는 상기 개폐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구동수단은 상기 개폐판의 일측 연부를 따라 상기 개폐판과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랙치형부와, 상기 랙치형부와 치형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피니언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개폐수단은, 상기 유출구를 회동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의 연부에 배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회동구동시키는 개폐판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케이싱의 측벽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저부면 입구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서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저부에는 상기 서랍의 저부면이 상기 케이싱의 저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판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2001-0069801A 2001-11-09 2001-11-09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41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801A KR100414275B1 (ko) 2001-11-09 2001-11-09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801A KR100414275B1 (ko) 2001-11-09 2001-11-09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003A KR20030039003A (ko) 2003-05-17
KR100414275B1 true KR100414275B1 (ko) 2004-01-07

Family

ID=2956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801A KR100414275B1 (ko) 2001-11-09 2001-11-09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21B1 (ko) * 2003-01-27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CN111288715A (zh) * 2018-12-07 2020-06-16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冰箱的储物装置及冰箱
CN111288716B (zh) * 2018-12-07 2024-01-05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冰箱的储物装置及冰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2178A (ja) * 1988-02-29 1989-09-05 Fujitsu General Ltd 電気冷蔵庫の運転制御方法
KR950009196A (ko) * 1993-09-10 1995-04-21 이헌조 다목적 냉장고
JPH109741A (ja) * 1996-06-20 1998-01-16 Zexel Corp ペルチェ冷温蔵庫
KR20000031578A (ko) * 1998-11-07 2000-06-05 전주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장치
KR20000041968A (ko) * 1998-12-24 2000-07-15 구자홍 김치전용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2178A (ja) * 1988-02-29 1989-09-05 Fujitsu General Ltd 電気冷蔵庫の運転制御方法
KR950009196A (ko) * 1993-09-10 1995-04-21 이헌조 다목적 냉장고
JPH109741A (ja) * 1996-06-20 1998-01-16 Zexel Corp ペルチェ冷温蔵庫
KR20000031578A (ko) * 1998-11-07 2000-06-05 전주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장치
KR20000041968A (ko) * 1998-12-24 2000-07-15 구자홍 김치전용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003A (ko) 200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821B1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US2006015675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efrigerator
KR100414272B1 (ko)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
KR20040067643A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JP2006275297A (ja) 冷蔵庫
KR100414270B1 (ko)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
KR100414275B1 (ko)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1496679B1 (ko) 냉장고
KR100430216B1 (ko)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414278B1 (ko) 한 쌍의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KR0138048B1 (ko) 냉장고
KR100414274B1 (ko) 특선냉동부를 구비한 냉장고
JP3813478B2 (ja) 冷却貯蔵庫
KR100414276B1 (ko)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414277B1 (ko) 한 쌍의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414269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100414273B1 (ko) 특선냉동부를 구비한 냉장고
KR100414281B1 (ko) 특선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541470B1 (ko) 과냉 방지를 위한 냉장실 토출구의 가로막 구조
AU2018411065A1 (en) Heater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KR100414271B1 (ko) 특선냉동부를 구비한 냉장고
JPH02126078A (ja) 冷蔵庫
KR100414279B1 (ko)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
CN1474135A (zh) 具有软冻保鲜室的电冰箱
KR0121945Y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