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269B1 -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 Google Patents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269B1
KR100409269B1 KR10-2001-0075470A KR20010075470A KR100409269B1 KR 100409269 B1 KR100409269 B1 KR 100409269B1 KR 20010075470 A KR20010075470 A KR 20010075470A KR 100409269 B1 KR100409269 B1 KR 100409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fluid
pneumatic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642A (ko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2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2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4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floats or liquids as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유체를 수송하는 수송배관 내에서 특정 두지점의 미소압력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대상이 되는 상기 유체압에 대해 상응하는 공압을 발생시켜 대접하는 경계지점의 눈금으로 상기 수송배관의 두지점에 대한 상기 유체압과 공압차에 따른 상대적인 위치수두차이를 식별하기 위해 눈금자 및 투명액주관으로 이루어진 압력차 측정부와, 상기 투명액주관에 대해 측정의 대상이 되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측정압력원부와, 상기 유체에 대해 공압으로 상응하도록 상기 투명액주관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압력원부 및 상기 투명액주관 내의 액주높이를 조절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기포가 혼재된 유체의 일부를 배수하여 보다 정확한 압력차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압력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A Manometer Device For Precision Measurement Of Pressure Differnce}
본 발명은 압력 측정을 위한 마노미터(Manome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송배관의 두 지점에 각각 관을 연결하여 상승하는 측정대상 유체에 대해 외부에서 공급되어 밸브에 의해 이동을 제한받는 유체를 접하도록 함으로써, 그 경계지점에서의 압력차를 계산할 수 있도록 경계지점의 위치수두가 표시되는 눈금자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노미터는 압력에 의해 밀려 올라간 액체 기둥의 높이를 측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보통 그 종류로는 U자관 마노미터와, 웰형(Well Type) 마노미터 및 경사 마노미터 등이 있다.
이러한 상기 여러종류의 마노미터는 압력수두와 속도수두와 위치수두의 합이 일정(Constant)하다는 베르누이 방정식에 기초하여 압력(또는 압력차)을 측정할 수 있는데, 상기 베르누이 방정식에서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유체 내의 기포 혼재로 인한 오차발생은 고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베르누이 방정식에 기초한 압력계산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기구적인 측면에 기포혼재로 인한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개량 및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마노미터에서는 기포 혼재로 인한 측정오차를 고려한 구조나 수단이 포함되어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 기계적인 측면에 머물렀던 마노미터와 같은 유체역학 분야의 측정기구가 컴퓨터와 같은 전산처리장치에 접목되어 보다 정확한 압력(또는 압력차)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전산처리장치의 계산력에 의존할 뿐 실제 유체가 액주화 되는 마노미터에서의 개발노력은 아직 현저히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기구적인 측면 즉, 압력측정의 실체적인 측면에서의 개발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고압의 유체를 수송하는 수송배관 내에서 일정한 거리를 갖는 두 지점의 미소 압력차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차압정밀 측정용 마노미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마노미터의 액주관 내에서 수송배관의 유체로 이루어진 액주의 높이가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설치된 보조압공급파이프를 통한 유압 및 상기 유체압에 상응하는 공압으로 조절하고, 액주관의 유체에 혼재되어 있는 기포에 의한 압력 측정에서의 미세오차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배수파이프를 통해 기포가 혼재된 유체를 배수하여 제거할 수 있는 차압정밀 측정용 마노미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눈금이 높이방향을 따라 표시되는 눈금자(11) 및
상기 눈금자(11)에 기초하여 육안으로 액주(12a)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눈금자(11)의 양측에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투명액주관(12)으로 이루어지는 압력측정부(10);
상기 각 투명액주관(12)에 유체수송배관(200)의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수송배관(200) 내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각 두 지점에 일단이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각 투명액주관(12)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유압파이프(21) 및
상기 유체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파이프(21)에 설치되는 제 1밸브유닛(22)으로 이루어지는 측정압력원부(20);
상기 각 투명액주관(12)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대해 공압으로 상응하여 각 경계면의 위치수두차이를 상기 눈금자(11)로 식별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상기 각 투명액주관(12)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공압펌프(32)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파이프(31) 및
상기 공압파이프(31)에 유입된 압축공기의 이동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제 2밸브유닛(33)으로 이루어지는 기준압력원부(30); 및
상기 유압파이프(21)에 상기 유체수송배관(200)의 유체와 동일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투명액주관(12) 내에서 상기 공압에 대해 상응하는 유체압력의 경계지점 높이가 조절되도록 일측에 보조압밸브(42)가 설치되어 상기 각 유압파이프(21)를 가로지르는 중앙파이프(23)로 상기 유압파이프(21)에 연결되는 보조압 공급파이프(41) 및
기포가 혼재된 상기 투명액주관(12) 내의 유체의 일부를 배수하기 위해 일측에 배수밸브(44)가 설치되어 상기 중앙파이프(23)로 유압파이프(21)에 연결되는 배수파이프(43)로 이루어지는 미세압력조절부(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정밀 측정용 마노미터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밸브유닛(22)은 상기 수송배관(20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각 유압파이프(21)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 1유압밸브(22a)와, 상기 중앙파이프(23)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압 공급파이프(41)의 유입유체 및 배수파이프(43)의 배수유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중앙밸브(22c)와, 상기 제 1유압밸브(22a) 및 상기 중앙밸브(22c)에 각각 상응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중앙파이프(23)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제 2유압밸브(22b) 및 한쌍의 제 3유압밸브(22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밸브유닛(33)은 상기 분기되기 이전의 공압파이프(31)에 설치되는 제 1공압밸브(33a) 및 제 2공압밸브(33b)와, 상기 분기된 이후의 상기 각 공압파이프(31)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 3공압밸브(33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노미터 장치의 작동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압력측정부 11: 눈금자
12: 투명액주관 12a: 액주
20: 측정압력원부 21: 유압파이프
22: 제 1밸브유닛 22a: 제 1유압밸브
22b: 제 2유압밸브 22c: 중앙밸브
22d: 제 3유압밸브 23: 중앙파이프
30: 기준압력원부 31: 공압파이프
32: 공압펌프 33: 제 2밸브유닛
33a: 제 1공압밸브 33b: 제 2공압밸브
33c: 제 3공압밸브 40: 미세압력조절부
41: 보조압공급파이프 42: 보조압밸브
43: 배수파이프 44: 배수밸브
100: 마노미터 장치 200: 유체수송배관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차압정밀 측정용 마노미터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정밀 측정용 마노미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노미터 장치(100)는 유체를 고압으로 수송하는 수송배관(200)에서 특정 두 지점의 유압차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노미터 장치(100)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유체를 투명액주관(12)에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유체압에 대응하도록 압축공기를 상기 액주관(12)에 제공하는 부분과, 상기 압축공기에 대응하여 유체가 이루는 액주(12a)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유체에 혼재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압에 상응하도록 압축공기가 기준 압력원으로 설정되어 수송배관(200) 내의 두 지점의 상대적인 위치 수두차이를 유발시키는데 있어서, 외부에서 별도로 보조압을 공급하고, 액주(12a)를 이루는 유체의 일부를 배수하여 상기 유체의 액주(12a) 높이를 육안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유체에 혼재된 기포로 인한 압력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마노미터 장치(100)는 수송배관(200)의 두 지점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수두의 높이차이를 식별하기 위한 압력측정부(10)와, 상기 압력측정부(10)에 측정의 대상이 되는 수송배관(200)의 유체를 제공하기 위한 측정압력원부(20)와, 상기 압력측정부(10)에 상기 유체에 대한 기준압력원으로서 공압을 제공하는 기준압력원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측정압력원부(20)에는 상기 압력측정부(10)의 액주(12a)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유체에 혼재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세압력조절부(4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측정부(10)는 높이방향으로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눈금자(11)와, 상기 눈금자(11)의 양측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측정압력원부(20) 및 기준압력원부(30)로부터 각각 측정대상이 되는 유체와, 기준압력원이 되는 압축공기를 제공받는 한쌍의 투명액주관(12)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한쌍의 투명액주관(12)은 상기 측정압력원부(20)과 기준압력원부 (30)에 연결되어 유체수송배관(200) 내의 두 지점에 대한 유압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로 이루어진 액주(12a)가 수송배관(200) 내의 압력에 따라 내부에서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압력원부(20)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수송배관(200)의 유체를 상기 투명액주관(12)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수송배관(200)의 두 지점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투명액주관(12)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유압파이프(21)와, 상기 유압파이프(21)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 1밸브유닛(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파이프(21)는 상기 수송배관(200)의 두 지점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향연장되다가 직각으로 절곡하여 다시 상향연장된 뒤 재차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투명액주관(12)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액주관(12)에 연결되기 위해 절곡 및 상향연장되더라도 유체가 동일하면 동일한 액주(12a) 높이에서의 유압은 동일하며, 액주높이가 상승되더라도 위치수두의 차이를 베르누이 방정식에 대입하여 원래지점에서의 압력은 계산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밸브유닛(22)은 상기 수송배관(200)으로부터 상기 유압파이프(21) 내로의 유체이동 및 상기 액주관(12)내로의 유체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유압파이프(21)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 1유압밸브(22a)와, 상기 각 유압파이프(21)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중앙파이프(23)에 설치되어 중간에서 유체이동을 조절하는 중앙밸브(2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유압밸브(22a) 및 상기 중앙밸브(22c)에 각각 상응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중앙파이프(23)를 사이에 두고 한쌍의 제 2유압밸브(22b) 및 한쌍의 제 3유압밸브(22d)가 전후에 각각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중앙밸브(22c)는 상기 중앙파이프(23)를 통해 상기 미세압력조절부(4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압력조절부(4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또는 상기 투명액주관(12)으로부터 상기 중앙파이프(23)를 통해 배수되는 유체의 이동을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미세압력조절부(40)는 상기 유압파이프(21)에 상기 중앙파이프 (23)를 통해 연결되며, 일측에 보조압밸브(42)가 설치되어 상기 수송배관(200)의 유체와 동일한 유체를 공급하는 보조압공급파이프(41)와, 일측에 배수밸브(44)가 설치되어 역시 상기 중앙파이프(23)로 유압파이프(21)에 연결되는 배수파이프(4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압공급파이프(41) 및 보조압밸브(42)는 상기 액주관(12)내에서 액주(12a)의 높이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수송배관(200)의 유체와 동일한 유체를 외부에서 일정압력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파이프(43) 및 배수밸브(44)는 기포가 혼재된 상기 투명액주관(12) 내의 유체를 일부 배수하여 기포로 인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압력원부(30)는 상기 수송배관(200) 내의 유체에 상응하여 상기 각 투명액주관(12) 내에서 경계를 이루는 압축공기를 상기 각 투명액주관(12) 내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기준압력원부(30)는 각 투명액주관(12)의 상단에 분기하여 연결되는 공압파이프(31)와, 상기 공압파이프(31)의 분기이전 지점에 설치되어 공압펌프(32)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상기 공압파이프(31)에 설치되는 제 2밸브유닛(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2밸브유닛(33)은 상기 공압파이프(31)에 최초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 1공압밸브(33a)와, 상기 제 1공압밸브(33a)에 이어 설치되는 제 2공압밸브(33b)와, 상기 공압파이프(33c)의 분기된 이후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제 3공압밸브(33c)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공압펌프(32)가 압축공기를 공압파이프(31)를 통해 주입하면서 상기 제 1공압밸브(33a) 및 제 2공압밸브(33b)를 개봉한 뒤 연이어 상기 제 3공압밸브(33c)를 개봉하면, 압축공기는 공압파이프(31)를 통해 이동하다가 분기점에서 반분되어 각 투명액주관(12)에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투명액주관(12)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수송배관(200)의 유체와 대면하게 되고, 결국 각 액주관(12)의 소정높이에서 경계를 이루게 되며, 상기 각 경계지점에서의 높이차를 눈금자(11)의 눈금에 기초하여 식별함으로써, 수송배관(200)에서 지정된 두 지점에서의 해당 유체간의 압력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체압력차는 위치수두와 압력수두와 속도수두의 합이 일정하다는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계산되어지는데, 여기서 상기 속도수두는 '0'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상기 각 액주관(12) 내의 경계면에서 상기 유체로 이루어진 액주(12a)의 높이가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용이하지 못할 정도로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압공급파이프(41)에서 보조압밸브를 개봉하여 상기 유체와 동일한 유체를 소정압력 이상으로 공급함으로써, 해당 액주(12a)의 높이를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조절한다.
이러한 육안식별 위치의 액주(12a) 높이조절은 상기 기준압력원부(30)의 공압 제공으로도 가능한데, 상기 공압은 상기 유체압에 대한 상대적인 기준압력원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액주(12a)가 육안식별 위치에서 벗어나 너무 높은 위치를 점할 경우 그 높이를 낮추는 기능을 겸비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압공급파이프(41)에서 보조압의 공급은 상기 액주(12a)가 육안식별 위치에서 벗어나 너무 낮은 위치를 점할 경우 주로 사용한다.
비록 상기 각 액주(12a)의 높이가 식별이 용이하도록 조절되더라도 각 액주관(12)에서 액주(12a) 상호간의 상대적인 위치수두의 차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액주(12a)에서 기포가 혼재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배수파이프 (43)의 배수밸브(44)를 개봉함으로써, 상기 중앙파이프(23)를 통해 상기 배수파이프(43)로 각 액주관(12)의 기포혼재 유체를 배수함으로써, 기포혼재로 인한 미세압력계산에 있어서의 오차를 극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노미터 장치의 작동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노미터 장치(100)의 작동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수송배관(200)의 특정 두 지점에 수직으로 연결된 유압파이프(21)의 제 1유압밸브(22a)를 개봉하여 유압파이프(21)내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유압밸브(22a)에 뒤이어 설치된 제 2유압밸브(22b) 및 제 3유압밸브(22d)를 재차 개봉하여 상기 유체가 각 투명액주관(12)에 유입되어 액주(12a)로 상승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공압파이프(31)에 설치된 제 1공압밸브(33a) 및 제 2공압밸브 (33b)를 개봉하고, 뒤이어 제 3공압밸브(33c)를 개봉하여 압축공기가 상기 각 액주관(12)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액주(12a)를 이루는 유체에 대해 압축공기가 대응하여 기준압력원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액주(12a)의 높이가 육안식별 위치에서 벗어나 너무 높지 않도록 상기 압축공기로 가압하여 조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액주(12a)가 육안식별 위치에서 벗어나 너무 낮은 경우에는 상기 보조압공급파이프(41)의 보조압밸브(42)를 개봉하여 유체수송배관(200)의 유체와 동일한 유체를 유입시킨 뒤, 중앙파이프(23)의 중앙밸브(22c)를 개봉하여 액주관(12)에 주입함으로써, 액주(12a)의 높이가 육안식별위치에 있도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액주(12a)의 유체에 기포가 혼재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배수파이프 (43)의 배수밸브(44)를 개봉하여 기포가 혼재된 유체를 배수하여 제거함으로써, 기포혼재로 인한 미소압력측정시의 오차를 극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이어 상기 눈금자(11)에 대비하여 각 액주관(12)의 액주(12a) 높이차를 식별한 뒤, 베르누이 방정식에 속도수두를 '0'으로 놓고, 대입함으로써, 미세압력차이를 계산한다.
이 때 상기 유체수송배관(200) 내의 마찰수두를 상기 유체가 가지는 특정 마찰계수 및 수송배관(200) 내에서의 유체에 대한 속도수두와 연계하여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상기 미세압력차이의 계산시 반영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미세압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100)에서, 상기 압축공기 이외에, 비교적 압축성이 큰 기체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에 따르면,유체를 고압으로 수송하는 수송배관에서 일정거리를 갖는 두 지점에서의 내부압력을 측정할 경우 액주관 내에 유체와 더불어 혼재하는 기포를 제거하고,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미세압력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높이로 액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미소압력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3)

  1.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눈금이 높이방향을 따라 표시되는 눈금자(11)와,
    상기 눈금자(11)에 기초하여 육안으로 액주(12a)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눈금자(11)의 양측에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투명액주관(12)으로 이루어지는 압력측정부(10);
    상기 각 투명액주관(12)에 유체수송배관(200)의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수송배관(200) 내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각 두 지점에 일단이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각 투명액주관(12)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유압파이프(21)와,
    상기 유체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파이프(21)에 설치되는 제 1밸브유닛(22)으로 이루어지는 측정압력원부(20);
    상기 각 투명액주관(12)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대해 공압으로 상응하여 각 경계면의 위치수두차이를 상기 눈금자(11)로 식별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상기 각 투명액주관(12)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공압펌프(32)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파이프(31)와,
    상기 공압파이프(31)에 유입된 압축공기의 이동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제 2밸브유닛(33)으로 이루어지는 기준압력원부(30);
    상기 유압파이프(21)에 상기 유체수송배관(200)의 유체와 동일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투명액주관(12) 내에서 상기 공압에 대해 상응하는 유체압력의 경계지점 높이가 조절되도록 일측에 보조압밸브(42)가 설치되어 상기 각 유압파이프(21)를 가로지르는 중앙파이프(23)로 상기 유압파이프(21)에 연결되는 보조압 공급파이프(41)와,
    기포가 혼재된 상기 투명액주관(12) 내의 유체의 일부를 배수하기 위해 일측에 배수밸브(44)가 설치되어 상기 중앙파이프(23)로 유압파이프(21)에 연결되는 배수파이프(43)로 이루어지는 미세압력조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정밀 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밸브유닛(22)은 상기 수송배관(20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각 유압파이프(21)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 1유압밸브(22a)와,
    상기 중앙파이프(23)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압 공급파이프(41)의 유입유체 및 배수파이프(43)의 배수유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중앙밸브(22c)와,
    상기 제 1유압밸브(22a) 및 상기 중앙밸브(22c)에 각각 상응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중앙파이프(23)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제 2유압밸브 (22b) 및 한쌍의 제 3유압밸브(22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정밀 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밸브유닛(33)은 상기 분기되기 이전의 공압파이프(31)에 설치되는 제 1공압밸브(33a) 및 제 2공압밸브(33b)와, 상기 분기된 이후의 상기 각 공압파이프(31)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 3공압밸브(33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정밀 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KR10-2001-0075470A 2001-11-30 2001-11-30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0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470A KR100409269B1 (ko) 2001-11-30 2001-11-30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470A KR100409269B1 (ko) 2001-11-30 2001-11-30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642A KR20030044642A (ko) 2003-06-09
KR100409269B1 true KR100409269B1 (ko) 2003-12-12

Family

ID=2957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4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9269B1 (ko) 2001-11-30 2001-11-30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2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162B1 (ko) 2007-04-17 2008-10-16 현대건설주식회사 준설 배송관의 차압 측정 장치
KR100959483B1 (ko) 2007-12-24 2010-05-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마노미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058B1 (ko) * 2003-07-15 2010-11-11 주식회사 포스코 오리피스식 스팀 유량 검출장치
JP6667412B2 (ja) 2016-09-30 2020-03-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CN113865779B (zh) * 2021-09-27 2025-01-28 沪东重机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压差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6350A1 (en) * 1988-01-06 1989-07-13 Valtion Teknillinen Tutkimuskeskus Differential pressure meter
JPH0933373A (ja) * 1995-07-14 1997-02-07 Taikisha Ltd 差圧測定装置
JPH11183283A (ja) * 1997-12-16 1999-07-09 Masaji Haraguchi U字管差圧計
JP2001318016A (ja) * 2000-05-11 2001-11-16 Yokogawa Electric Corp ダイアフラムシール型差圧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6350A1 (en) * 1988-01-06 1989-07-13 Valtion Teknillinen Tutkimuskeskus Differential pressure meter
JPH0933373A (ja) * 1995-07-14 1997-02-07 Taikisha Ltd 差圧測定装置
JPH11183283A (ja) * 1997-12-16 1999-07-09 Masaji Haraguchi U字管差圧計
JP2001318016A (ja) * 2000-05-11 2001-11-16 Yokogawa Electric Corp ダイアフラムシール型差圧測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162B1 (ko) 2007-04-17 2008-10-16 현대건설주식회사 준설 배송관의 차압 측정 장치
WO2008127073A1 (en) * 2007-04-17 2008-10-23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tial pressure of dredging transportation pipe line
KR100959483B1 (ko) 2007-12-24 2010-05-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마노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642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45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etering fluid flow
US2778223A (en) Flowmeter
CA1040884A (en) Flow meter
US3678754A (en) Flow measuring device
CN107976223A (zh) 一种高精度泄漏量检测装置
KR100409269B1 (ko) 차압 정밀측정용 마노미터 장치
JPH09145454A (ja) 流量計試験装置
KR100350777B1 (ko) 분사노즐의 압력측정장치 및 그 방법
US20040154383A1 (en) Multiple indicator flow meter system
CN108627437B (zh) 实验用储层条件下气体微流量测定装置及方法
US2412413A (en) Gauging device
Taylor et al. Elbow meter performance [with discussion]
RU2232344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течи жидкости или газа на участке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27114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ерепада уровней и расхода воды на открытом водотоке с призматическим руслом по методу уклон-площадь
US11815524B2 (en) Volume fraction meter for multiphase fluid flow
US3142988A (en) Pressure sensing apparatus
RU32267U1 (ru) Ротаметр
US970965A (en) Method of measuring the flow of fluids.
RU2360257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еличины и на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и теплоносителя
CN215065030U (zh) 差压变送器静压特性测试装置
CN214667158U (zh) 一种小流量标定系统
RU2006015C1 (ru) Жидкостный манометр
CN222336456U (zh) 一种可调误差的质量流量计
CN219122848U (zh) 一种流体力学小型综合实验装置
KR100959483B1 (ko) 마노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