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504B1 - 레이저영상투사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영상투사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504B1
KR100408504B1 KR1019960039135A KR19960039135A KR100408504B1 KR 100408504 B1 KR100408504 B1 KR 100408504B1 KR 1019960039135 A KR1019960039135 A KR 1019960039135A KR 19960039135 A KR19960039135 A KR 19960039135A KR 100408504 B1 KR100408504 B1 KR 10040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monochromatic
beams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616A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5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으로 레이저를 사용하고, 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영상 신호에 따라 광음향 변조기(acousto-optic modulator; AOM)로 변조시켜 이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색광의 빔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백색광의 빔을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들로 분리하여 주는 광 분리 수단; 상기 단색광의 빔들을 각각 색 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주는 광 변조 수단; 상기 광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단색광들을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 합성 수단; 및 상기 변조된 단색광들의 합성된 빔이 영상을 형성하도록 주사하여 주는 광 주사 수단;을 구비한다. 더욱이, 이와 같은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에 빛의 파장에 따른 눈의 시감도를 고려하여 백색광 레이저로부터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분리된 청,녹,적색광의 출력이 광음향 변조기로 입사되기 전에 적,녹,청색의 단색광 속에 일부 포함된 다른 파장의 광을 차단하여 주는 뉴터럴 덴시티 필터를 사용하여 광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스크린에 맺히는 상의 색상을 자연색에 가깝도록 조절하여 주어 고선명도, 고 해상도의 고화질 화면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Laser image proj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원으로 레이저를 사용하고, 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영상 신호에 따라 광음향 변조기(acousto-optic modulator; AOM)로 변조시켜 이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표적 영상 표시 수단은 텔리비젼 수상기의 음극선관이나 액정 표시소자와 같은 평판 표시 소자이다. 그러나 음극선관이나 액정 표시 소자는 대형 화면일수록 제작이 어렵고, 해상도가 저하하여 실용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형 화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음극선관이나 액정 표시기에 나타나는 영상을렌즈로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영상 투사 방식에는 칼라 영상을 위하여 3개의 음극선관과 3개의 렌즈를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적,녹,청 단색의 영상들을 스크린에 중첩되게 투사하는 방법(USP 4,942,525)과 3개의 음극선관으로부터 각각의 단색 영상들을 합성한 후, 이를 한 개의 렌즈로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법(USP 4,842,394)이 있다.
이와 같이, 대형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음극선관이나 액정 표시 소자에서의 영상 표시 방법은 표시되는 영상을 단지 렌즈로 확대하여 투사함으로써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질이 선명하지 못하며, 영상 표시 수단 특히 광학계의 온도 특성상 손상을 입을 우려 때문에 광원의 출력이 제한되어 휘도가 낮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빛은 파장에 따라 사람의 눈으로 느껴지는 감도 즉 시감도가 각각 다르다. 즉, 동일한 출력의 광에서 녹색광이 적색광이나 청색광 보다 훨씬 밝게 보인다. 그러므로, 고휘도 및 고해상도의 대형 화면을 꾸밀 수 있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에서 이와 같은 눈의 시감도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스크린에 맺히는 화상은 명도가 맑지 못하고 탁한 색상을 보여주게 되어, 고휘도, 고해상도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대형 화면에 화질이 선명하고 휘도가 높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빛의 파장에 따른 눈의 시감도를 고려하여 화면에 맺히는 상의 색상이 자연색에 가까운 레이저 영상투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의 광학계의 개략적 배치도이며,
그리고 도 3은 각 빛의 파장에 따른 눈의 시감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는, 백색광의 빔을 출력하는 광원;상기 백색광의 빔을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들로 분리하여 주는 광 분리 수단;상기 단색광의 빔들을 각각 색 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주는 광 변조 수단; 상기 광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단색광들을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 합성 수단; 및 상기 변조된 단색광들의 합성된 빔이 영상을 형성하도록 주사하여 주는 광 주사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 분리 수단은,상기 백색광의 빔에서 하나의 단색광은 반사시키고 나머지 두 색광은 통과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 상기 나머지 두 색광의 빔에서 하나의 단색광은 반사시키고 나머지 한 색광은 통과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 및 상기 두 다이크로익 미러를 모두 통과한 단색광을 반사시키는 고반사 미러;를 구비하고, 상기 광 변조 수단은 상기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들을 각각 변조하도록 3개의 광 음향 변조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합성 수단은, 상기 3개의 단색광의 빔들 중 하나의 단색광의 빔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두 단색광의 빔은 반사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 상기 나머지 두 색광의 빔에서 하나의 단색광의 빔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한 색광의 빔은 반사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 및 상기 두 다이크로익 미러들 중 하나의 미러에서는 반사하고 나머지 하나의 미러에서는 통과하는 상기 한 단색광을 반사시키는 고반사 미러를 구비하며, 상기 광 분리 수단 및 상기광 변조 수단 사이에 상기 적,녹,청색의 단색광들의 투과율을 각각 조절하여 주는 뉴터럴 덴시티 필터들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영상 투사 방법은, 광원, 광 분리 수단, 광 변조 수단, 광 합성 수단 및 광 주사 수단을 구비하여 된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의 영상 투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백색광의 빔을 적,녹,청색의 단색광들로 분리하는 광 분리 단계; 상기 단색광들을 각각 변조하는 광 변조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단색광들을 다시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 분리 단계 및 상기 광 변조 단계의 사이에 상기 분리된 단색광들에 포함된 타색광의 빛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는 영상을 일차적인 영상 표시 수단에 의해 형성시키지 않고, 변조된 광을 스크린에 주사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화질을 표현할 수 있게 하며, 또한 고출력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휘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음극선관이나 액정 표시 소자와 같은 영상 표시 수단이 필요없고, 하나의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는 백색광을 방출하는광원(100), 광원(1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백색광을 빔 형태로 집속시키는 광학계(200), 광학계(200)에서 입사되는 백색광의 레이저 빔을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으로 각각 분리하는 광 분리부(250), 소정의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신호 발생부(300), 영상 신호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서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 신호 분리부(350), 상기 영상 신호 발생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색신호를 분리하는 색 신호 분리 디코더(400), 색 신호 분리 디코더(400)에서 분리된 색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신호 증폭기(500), 상기 광학계(200)로부터 입사되는 빔을 상기 고주파 증폭기(5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색 신호)를 이용하여 변조하기 위한 광변조부(600), 변조된 적,녹,청색의 단색광 빔을 합성하는 광 합성부(650), 상기 동기 신호 분리부(350)에서 제공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광 합성부(650)로부터의 합성된 레이저 빔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주사하는 수직 주사부(700) 및 수평 주사부(800), 그리고 스크린(9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의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광원(100)은 백색광을 발생하는 백색광 레이저로 이루어진다. 이 광원(100)의 광 경로 상에는 광원(10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빔의 경로를 바꿔주는 고반사 미러(21),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만들어 주는 콜리메이팅 렌즈(22)와 평행빔의 크기를 줄여주기 위한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로 이루어진 광학계(200)가 배치된다.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는 앞단에 초점 거리가 긴 것이, 뒷단에 초점 거리가 짧은 것이 놓이게 된다. 일정한 발산각을 가진 레이저 빔은 광학계(200)의 콜리메이팅 렌즈(22)를 통과하면서 평행빔이 되고, 텔리스코핑 렌즈계를 통과하면서 텔리스코핑 렌즈를 구성하는 두 렌즈의 배율비 만큼 축소된 빔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빔의 크기를 줄여주는 것은 한정된 공간 내에 광음향 변조기를 설치하면서도 최대 효율로 광변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광 분리부(250)는 광학계(200)의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로부터 입사된 백색광의 레이저 빔을 적,녹,청색의 단색광으로 분리하여 준다. 광 분리부(250)는 두 개의 다이크로익 미러(67a, 68a)와 하나의 고반사 미러(69a)를 구비한다.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 67a, 68a)는 백색광을 적,녹,청색광으로 분리시겨 주며, 고반사 미러(69a)는 광 경로를 변경시켜 준다.
광 분리부(250)를 거쳐 광변조기(61,62,63)로 입사되는 빔 웨이스트 직경은 200 ??m가 되어야 하며, 이 것은 포커싱 렌즈(64a, 65a, 66a)들을 각각 일정한 거리 만큼 광변조기(61,62,63)들 앞단에 설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포커싱 렌즈(64a, 65a, 66a)로 입사되는 빔 크기에 따라서 포커싱 렌즈(64a, 65a, 66a)들과 광변조기(61, 62, 63)들 사이의 거리가 각각 결정되게 된다. 빔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광변조기(61, 62, 63)들에서 200um 빔 웨이스트 직경을 얻기 위한 포커싱 렌즈(64a, 65a, 66a)와 광변조기(61, 62, 63)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빔 크기를 너무 작게 줄이게되면 단위 면적당 광출력이 증가하게 되어 렌즈나 미러들이 손상을 입게되므로 곤란하다. 따라서, 적당한 빔 직경의 크기를 결정하여야만 한다.
광 변조부(600)는 영상 신호 발생부(300)에서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서 색분리 디코더(400)에 의해 분리된 색신호(고주파 증폭기(500)에 의해 증폭된)에 따라서 광원(100)에서 제공되는 백색광의 빔이 광학계(200)와 광 분리부(250)를 거쳐 분리된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을 각각 단색광의 광 신호로 변조하는 3개의 광음향 변조기(AOM; 61,62,6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광 합성부(650)는 광음향 변조기(61, 62, 63)에서 광 신호로 변조된 단색광의 빔들을 하나로 모아서 다양한 색상의 빔 형태의 영상 신호를 형성한다. 광 합성부(650)은 단색광의 빔들을 스크린(900)에 투사하기 위한 상기 빔 형태의 영상 신호로 합성하기 위하여 설치된 다이크로익 미러(67b, 68b) 및 분리된 단색광의 경로를 바꾸어 주기 위한 고반사 미러(69b)로 구성된다.
수직 주사부(700)는 갈바노미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수평 주사부(800)는 폴리고날 미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광원(100)으로부터 방출된 백색광은 고반사 미러(21)에 반사되어 콜리메이팅 렌즈(22)에서 평행광 형태의 레이저 빔으로 된다. 이 레이저 빔은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를 통과한 다음, 다이크로익 미러(67a, 68a)를 통과하면서 차례로 청색, 녹색, 적색광으로 분리되어 광음향변조기(61,62,63)로 입사된다. 즉, 청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67a)에서 광음향 변조기(61)로 반사되고 나머지 파장의 광은 투과된다. 마찬가지로,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68a)에서 광음향 변조기(62)로 반사되고 적색광은 투과된다. 투과된 적색광은 고반사 미러(69a)에 의하여 반사되어 광음향변조기(63)로 입사된다.
또한, 영상 신호 발생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는 색신호 분리 디코더(400)에 의해 청,녹,적색광의 색신호가 각각 분리된다. 여기서, 광 변조기 앞단에 배치된 적정 초점거리를 가진 포커싱 렌즈(64a, 65a, 66a)는 광음향변조기(61,62,63)의 광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한 것이고, 광음향변조기(61,62,63)들의 뒷단에 위치한, 포커싱 렌즈와 동일한 초점 거리를 가진 렌즈(64b,65b,66b)들은 광변조된 단색광의 레이저 빔들이 각각 다시 포커싱 렌즈로 입사되기 전 상태인 평행광 형태의 레이저 빔 크기로 복구시키기 위한 것이다. 광변조된 청,녹,적색의 단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67b,68b)와 고반사 미러(69b)에 의해 다시 하나의 빔으로 합쳐지게 된다.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68b)에서 반사되고 적색광은 투과되며, 청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67b)에서 투과되고 적색 및 녹색광은 반사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다이크로익 미러의 설계는 바뀔 수 있으며, 청,녹,적색광의 분리 순서도 바뀔 수 있다.
광 합성부(650)에서 합성된 광은 수직 주사부(700)에 의해 수직 주사되며, 수평 주사부(800)에 의해 수평 주사되어 스크린 상에 화상을 구성하게 된다. 수직 주사부(700)의 갈바노미터와 수평 주사부(800)의 폴리고날 미러 사이에는 릴레이 렌즈계(31,32)가 구비된다. 수직 주사부(700)의 갈바노미터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 분리부(350)로부터 분리된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된 속도로 상하 진동하게 되며, 수평 주사부(800)의 폴리고날 미러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 분리부(350)로부터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된 속도로 고속 회전하게 된다. 즉, 광변조된 빔은 갈바노미터(700)에 의해 주사 경로가 세로 방향으로 변화하게 되고, 폴리고날미러(800)에 의해 주사 경로가 가로 방향으로 변화하게 되어, 스크린(900)의 전면에 주사된다. 갈바노미터(700)와 폴리고날 미러(800) 사이의 릴레이 렌즈계(31,32)는 수직 주사된 레이저 빔이 수평 주사면인 폴리고날 미러면의 유효 면적 내로 입사되도록 광을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릴레이 렌즈계(31,32)는 동일한 초점 거리를 가지는 렌즈 두 개로 구성되며, 초점 거리의 합 만큼의 간격을 두어 배치된다.
또한, 폴리고날 미러(800)의 스크린(900) 쪽의 앞단에는 f?? 렌즈계(34)가 설치된다. f?? 렌즈계(34)는 스크린 상에 맺히는 빔의 모양과 크기가 스크린의 전면적에 대해 동일하도록 보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크린으로 주사되는 빔의 발산각을 조정해 주어 스크린 상에서 요구되는 빔의 크기를 조정해 주는 역할도 한다. 즉 스크린을 앞뒤로 움직여도 스크린의 화상이 항상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빛은 파장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시감도가 각각 다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출력의 광에 대하여 녹색광이 적색광이나 청색광 보다 훨씬 밝게 보인다. 그러므로, 시감도를 고려하여 청,녹,적색광의 출력을 조정해 주어야만 고명도의 밝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눈의 시감도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스크린에 맺히는 화상은 명도가 맑지 못하고 탁한 색상을 보여주게 되어 고휘도, 고해상도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청,녹,적색광에 대한 사람의 눈의 시감도를 고려한 구조가 첨가되어 있다. 즉, 다이크로익 미러(67a,68a)와 고반사 미러(69a) 및 포커싱 렌즈(64a,65a,66a)들 사이에는 각각 뉴터럴 덴시티 필터(35,36,37)가 삽입되어 있다. 단일 광원을 사용하여적,녹,청의 3색을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에 각 파장의 광출력을 단독적으로 조정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분리된 단색광이 광변조기로 입사하기 전단에 뉴터럴 덴시티 필터를 삽입하는 구조로 시스템을 디자인하여 레이저의 출력을 조정하여 줌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즉. 상기 뉴터럴 덴시티 필터(35,36,37)들은 각각 사용되는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파장에 맞게 디자인된 것으로, 단색광의 투과율을 조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이 동일한 빛의 세기를 가질 경우 560nm 부근의 빛이 가장 밝게 보인다. 청색광의 경우는 녹색광에 비하여 거의 20% 미만의 시감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선명도의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시감도를 고려하여 적정 비율로 각 파장의 광출력을 조정해 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은 단일 광원을 사용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에서 청,녹,적색광을 분리 사용할 경우 뉴터럴 덴시티 필터(35,36,37)를 사용하는 것이 상기와 같은 시감도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효율적이며 색상비의 조정이 가장 용이하다. 또한, 청,녹,적색광을 분리하는 경우 다이크로익 미러를 사용하여 100%의 완벽한 색분리는 어려우며, 단색광에 다른 파장의 광이 일부 섞여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뉴터럴 덴시티 필터(35,36,37)를 사용할 경우 이와 같이 원치 않는 파장의 빛은 차단하여 주므로 색분리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므로, 원형 뉴터럴 덴시티 필터의 경우 투과시키고자 하는 파장에 대해서는 필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투과율이 변화하도록 하면서, 제거하고자 하는 파장의 빛은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뉴터럴 덴시티 필터를 설계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는, 투과시키고자 하는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각각 90%, 80%, 70%, 60%, 50% 등의 투과율을 가지면서, 다른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100% 반사되도록 필터를 설계하여, 스크린 상에 구성된 화상의 색상을 관찰하면서 필터를 교체 사용함으로서 색상비 조정을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는 빛의 파장에 따른 눈의 시감도를 고려하여 백색광 레이저로부터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분리된 청,녹,적색광의 출력이 광음향 변조기로 입사되기 전에 적,녹,청색의 광출력을 조절하면서, 적,녹,청색의 단색광 속에 일부 포함된 다른 파장의 광을 차단하여 주는 뉴터럴 덴시티 필터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광량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스크린에 맺히는 상의 색상을 자연색에 가깝도록 조절하여 주므로 고선명도, 고 해상도의 고화질 화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영상 투사 장치로는 구현하기가 곤란하였던, 고휘도, 고 해상도의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옥외 광고용이나 대형 화면의 레이저 텔리비젼으로 응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백색광의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백색광의 레이저 빔을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들로 분리하여 주는 광 분리 수단;
    상기 광 분리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적,녹,청색의 단색광들의 투과율을 각각 조절하여 주는 뉴터럴 덴시티 필터들;
    상기 뉴터럴 덴시티 필터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들을 소정의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색신호를 이용하여 광신호로 각각 변조하기 위한 광 변조 수단;
    상기 광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단색광들을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 합성 수단; 및
    상기 변조된 단색광들의 합성된 빔이 영상을 형성하도록 주사하여 주는 광 주사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리 수단은,
    상기 백색광의 빔에서 하나의 단색광은 반사시키고 나머지 두 색광은 통과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 및
    상기 나머지 두 색광의 빔에서 하나의 단색광은 반사시키고 나머지 한 색광은 통과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리 수단은 상기 두 다이크로익 미러를 모두 통과한 단색광을 반사시키는 고반사 미러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조 수단은 상기 제1,2 및 3파장의 단색광의 빔들을 각각 변조하도록 3개의 광 음향 변조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합성 수단은,
    상기 3개의 단색광의 빔들 중 하나의 단색광의 빔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두 단색광의 빔은 반사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및
    상기 나머지 두 색광의 빔에서 하나의 단색광의 빔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한 색광의 빔은 반사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합성 수단은 상기 두 다이크로익 미러들 중 하나의 미러에서는 반사하고 나머지 하나의 미러에서는 통과하는 상기 한 단색광을 반사시키는 고반사 미러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주사 수단은,
    상기 광 합성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합성 빔을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여 주는 수직 주사 수단;
    상기 수직 주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합성 빔을 수평 방향으로 주사하여 주는 수평 주사 수단; 및
    상기 수직 및 수평 주사되는 합성 빔을 받아 화상을 형성하는 스크린;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주사 수단은 갈바노미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주사 수단은 폴리고널 미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주사 수단 및 상기 수평 주사 수단 사이의 광 경로 상에 상기 수직 주사된 합성 빔이 상기 수평 주사 수단의 유효 면적에 입사되도록 조정하는 릴레이 렌즈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주사 수단 및 상기 스크린 사이의 광 경로 상에 상기 스크린으로 주사되는 합성 빔을 보정하는 f│H 렌즈계를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상기 광 분리 수단 사이의 광 경로 상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백색광의 레이저 빔을 평행빔으로 만들고, 상기 평행빔의 굵기를 조절해주는 광학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백색광의 레이저 빔을 평행광으로 바꿔주는 콜리메이팅 렌즈; 및
    상기 평행광의 굵기를 조절해 주는 텔리스코핑 렌즈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14. 광원, 광 분리 수단, 광 변조 수단, 광 합성 수단 및 광 주사 수단을 구비하여 된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의 영상 투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백색광의 빔을 적,녹,청색의 단색광들로 분리하는 광 분리 단계;
    뉴터럴 덴서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분리 단계에서 상기 분리된 적,녹,청색의 단색광들에 포함된 타색광의 빛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 단계에서 필터링된 상기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들을 소정의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색신호를 이용하여 광신호로 각각 변조하는 광 변조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단색광들을 다시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영상 투사방법.
KR1019960039135A 1996-09-10 1996-09-10 레이저영상투사장치및방법 KR10040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135A KR100408504B1 (ko) 1996-09-10 1996-09-10 레이저영상투사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135A KR100408504B1 (ko) 1996-09-10 1996-09-10 레이저영상투사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616A KR19980020616A (ko) 1998-06-25
KR100408504B1 true KR100408504B1 (ko) 2004-01-24

Family

ID=3742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135A KR100408504B1 (ko) 1996-09-10 1996-09-10 레이저영상투사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53B1 (ko) * 2003-09-03 2010-03-18 신용진 평면조사방식의 레이저 투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54190B1 (ko) * 2005-11-03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0884A1 (de) * 1991-07-13 1993-01-21 Hungerbach-Chemotechnik Gmbh Durch silberkolloid stabilisiertes wasserstoffperoxidenthaltendes mundhygienemittel
JPH05289051A (ja) * 1992-04-13 1993-11-05 Sharp Corp 投写型液晶表示装置
KR950009616U (ko) * 1993-09-13 1995-04-21 화상 투사 장치
JPH07128651A (ja) * 1993-11-08 199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JPH07294924A (ja) * 1994-04-27 1995-11-10 Canon Inc 投影装置
JPH07325283A (ja) * 1994-05-31 1995-12-12 Sony Corp プロジエクタ装置
KR960020546A (ko) * 1994-11-14 1996-06-17 배순훈 화상표시시스템의 컬러표시소자
JPH08194272A (ja) * 1995-01-19 1996-07-30 Fuji Photo Optical Co Ltd 液晶ビデオプロジェク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0884A1 (de) * 1991-07-13 1993-01-21 Hungerbach-Chemotechnik Gmbh Durch silberkolloid stabilisiertes wasserstoffperoxidenthaltendes mundhygienemittel
JPH05289051A (ja) * 1992-04-13 1993-11-05 Sharp Corp 投写型液晶表示装置
KR950009616U (ko) * 1993-09-13 1995-04-21 화상 투사 장치
JPH07128651A (ja) * 1993-11-08 199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JPH07294924A (ja) * 1994-04-27 1995-11-10 Canon Inc 投影装置
JPH07325283A (ja) * 1994-05-31 1995-12-12 Sony Corp プロジエクタ装置
KR960020546A (ko) * 1994-11-14 1996-06-17 배순훈 화상표시시스템의 컬러표시소자
JPH08194272A (ja) * 1995-01-19 1996-07-30 Fuji Photo Optical Co Ltd 液晶ビデオ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616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953B1 (en) Laser video projector for projecting image to a plurality of screens
US6426781B1 (en) Laser video projector
JP4597298B2 (ja) 複数の画像を投射するためのビデオ投射システム
JP5524309B2 (ja) 光投影システム
EP0993203A3 (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ment thereof
CN102759847A (zh) 扫描型图像显示装置
US5687020A (en) Image projector using acousto-optic tunable filter
KR100392858B1 (ko) 펜타-프리즘을이용한lcd프로젝터용빔결합기
KR20010001337A (ko) 칼라 프로젝트장치
US6530663B2 (en) Projecting device for displaying electrical images
JP2000180759A (ja) 投射装置
JPH04100088A (ja) 直視型画像表示装置
KR100215298B1 (ko) 소형의 집속 광학계를 구비한 대화면 레이저투사영상장치와 빔경로 확대장치 및 방법
KR100408504B1 (ko) 레이저영상투사장치및방법
US20070076172A1 (en) Projection assembly
KR100408505B1 (ko) 레이저영상투사장치
KR19980020617A (ko) 레이저 영상 투사 장치
KR100425336B1 (ko) 다면투사용레이저영상투사장치
JP2599309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1094905A (ja) マルチ投射表示装置
KR100510673B1 (ko) 레이저 표시 장치
JPS63220681A (ja) 液晶表示装置プロジエクタ−システム
JP2006251357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KR100300951B1 (ko) 영상투사방법및그장치
KR20050085649A (ko) 프로젝션 타입 비디오 이미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컬러 조정 디바이스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