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034B1 - 차량용 셀룰라 폰 - Google Patents

차량용 셀룰라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034B1
KR100408034B1 KR1019960061771A KR19960061771A KR100408034B1 KR 100408034 B1 KR100408034 B1 KR 100408034B1 KR 1019960061771 A KR1019960061771 A KR 1019960061771A KR 19960061771 A KR19960061771 A KR 19960061771A KR 100408034 B1 KR100408034 B1 KR 100408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andset
frequency
connec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793A (ko
Inventor
신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0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셀룰라 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량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셀룰라 폰에서 커넥터가 10개 이상의 핀으로 연결되어 있어 크기가 커지며 전기적인 연결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파수다중 방식을 이용하여 핸드셋과 차량 옵션과 통신하도록 하여 신호 전달의 안정성을 피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핸드셋 크기를 작게할 수 있고 이에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셀룰라 폰
본 발명은 차량용 셀룰라 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다중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주파수에 실어 커넥터상의 연결핀을 통해 핸드셋과 차량 옵션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는 작게 만들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셀룰라 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셀룰라 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판과,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핀과, 기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핀들을 갖는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In car connector)를 통해통신가능하도록 하는 핸드셋(10)과; 상기 핸드셋과 같은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를 통해 상기 핸드셋과 통신하도록 하는 차량용 옵션(20)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In car connector)의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적게는 10개 많게는 20여개의 전기적 연결을 필요로 한다.
이중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핸드셋(10)과 차량옵션(20)과의 음성신호 송수신을 위한 핀 2개와, 전원 공급을 위한 핀 2개와, 기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핀 2개로 아무리 적게 잡아도 6개 이상은 필요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6개 이상의 핀을 갖는 차량용 옵션(20)에서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면 핸드셋(10)의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10)에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렇게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핸드셋(16)을 통해 사용자가 말을 하게 되면, 그에 대한 음성신호와 데이터는 핸드셋(10)과 차량용 옵션(20)의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를 각각 통해 차량용 옵션(20)측으로 전송된다.
전송된 음성신호와 데이터에 대한 응답 또한 차량용 옵션(20)과 핸드셋(10)의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를 통해 핸드셋(10)으로 전송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상의 연결핀을 통해 핸드셋(10)과 차량용 옵션(20)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핸드셋과 차량용 옵션이 통신할 경우적어도 6개 이상의 핀을 갖는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를 필요로 함에 따라 핸드셋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고, 사이즈가 커지게 되면 핸드셋 디자인에 많은 제약을 가져오게 되고 비용도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핸드셋의 사이즈가 제한되기 때문에 전기적 연결을 하는 핀들은 작아지게 되고 이에따라 전기적 접촉이 불안하게 되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구적인 고려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다중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주파수에 실어 커넥터상의 연결핀을 통해 핸드셋과 차량용 옵션과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셀룰라 폰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셀룰라 폰의 회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셀룰라 폰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핸드셋 101,204 : 변조부
102,205 : 다중화부 103,203 :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
104,201 : 역다중화부 105,202 : 복조부
200 : 차량용 옵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셀룰라 폰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신호및 데이타신호를 각각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조부(101)와, 상기 주파수 변조부(101)를 통해 변조된 신호와 전원신호에 대해 다중화하는 다중화부(102)와, 상기 다중화부(102)의 출력을 다른 장치와 연결하는 커넥터(103)와, 상기 다른 장치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104)와, 상기 역다중화부(104)를 통한 신호에 대하여 복조하는 복조부(105)로 이루어진 핸드셋(100)과; 상기 핸드셋(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통신하도록 하는 차량용 옵션(200)으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드셋(100)에서 차량용 옵션(200)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과정에대하여 살펴보면,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신호와 데이타신호를 변조부(101)에서 입력받아 적당한 주파수에 실는 변조를 행하여 다중화부(10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중화부(102)는 변조부(101)를 통해 변조된 신호와 전원신호를 합하여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103)를 통해 차량용 옵션으로 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신호를 받는 차량용 옵션(200)은 먼저 차량 연결옵션용 커넥터(203)를 통해 역다중화부(201)에서 받아 복조를 행하여 합해진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전원신호와 변조신호를 분리해낸다.
이렇게 분리된 신호중 변조신호를 복조부(202)에서 입력받아 복조를 행하여 원래의 음성신호와 데이타신호로 복원한다.
그리고, 차량용 옵선(200)에서 핸드셋(100)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은,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신호와 데이타신호를 변조부(204)에서 입력받아 적당한 주파수에 실는 변조를 행하여 다중화부(20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중화부(205)는 변조부(204)를 통해 변조된 신호와 전원신호를 합하여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203)를 통해 핸드셋(100)으로 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신호를 받는 핸드셋(100)은 그의 차량 연결옵션용 커넥터 (103)가 다중화부(104)로 신호를 전달하여 준다.
이에 상기 다중화부(104)는 합해진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전원신호와 변조신호로 분리해낸다.
이렇게 분리된 신호중 변조신호를 복조부(105)에서 받아 복조를 행하여 원래의 음성신호와 데이타신호로 복원한다.
걸국, 주파수 다중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주파수에 실어 커넥터상의 연결핀을 통해 핸드셋과 차량용 옵션과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핸드셋(100)과 차량용 옵션(2000는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셋과 차량용 옵션을 연결하는 차량 옵션연결용 커넥터는 오직 2개의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핀만 가져도 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해지고, 크기도 작아져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전기적 접촉이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송신시 음성신호 및 데이타신호에 대하여 변조및 다중화하여 출력하고 수신시 역다중화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받아들이는 주파수 다중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핸드셋과; 상기 핸드셋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고 핸드셋과 통신하도록 하는 차량용 옵션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셀룰라 폰.
  2. 제1항에 있어서, 핸드셋은 음성신호및 데이타신호를 각각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조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조수단을 통해 변조된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수단과, 상기 다중화수단의 출력을 다른 장치와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다른 장치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수단과, 상기 역다중화수단을 통한 신호에 대하여 복조하는 복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셀룰라 폰.
KR1019960061771A 1996-12-05 1996-12-05 차량용 셀룰라 폰 KR100408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771A KR100408034B1 (ko) 1996-12-05 1996-12-05 차량용 셀룰라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771A KR100408034B1 (ko) 1996-12-05 1996-12-05 차량용 셀룰라 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793A KR19980043793A (ko) 1998-09-05
KR100408034B1 true KR100408034B1 (ko) 2004-03-18

Family

ID=3742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771A KR100408034B1 (ko) 1996-12-05 1996-12-05 차량용 셀룰라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0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793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1674B (fi) Käyttäjäliityntä
JP4063419B2 (ja) 光伝送システム
US5228074A (en) Dual mode cellular telephone apparatus
JPH07264650A (ja) 小型基地局を備えた移動通信システム
US5898920A (en) Data communication using a dual mode radiotelephone
EP0771082B1 (en) Mobile station without a transmission/reception duplexer
US4661970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US6392770B1 (en) Multi-point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U656998B2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KR100408034B1 (ko) 차량용 셀룰라 폰
EP1192725B1 (en) MULTIPLE MODE RADIOTELEPHONES INCLUDING i GLUE /i CIRCUITS AND RELATED METHODS AND CIRCUITS
ES8502591A1 (es)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tegrado
CN209949086U (zh) 多卡终端的音频设备复用装置以及多卡终端
JP3718432B2 (ja) 通信デバイスにおいて信号を転送する方法
JP2000232412A (ja) 光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9205464A (ja) ディジタル無線機
JP3324088B2 (ja) 光通信方式
KR100189247B1 (ko) 전원선을 통한 음성 통화장치
KR100222798B1 (ko)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
JPH09200276A (ja) 無線機
KR910005318B1 (ko) 집적 음성/데이타 통신카드
KR20030030187A (ko) 요금자동징수시스템의 무선송수신장치
JPH0124391B2 (ko)
KR19990056919A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채널모뎀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JPH0199340A (ja) 周波数ホッピング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