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182B1 - 세탁기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182B1
KR100407182B1 KR10-2001-0052981A KR20010052981A KR100407182B1 KR 100407182 B1 KR100407182 B1 KR 100407182B1 KR 20010052981 A KR20010052981 A KR 20010052981A KR 100407182 B1 KR100407182 B1 KR 10040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actuator
safety switch
door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711A (ko
Inventor
김승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1-005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1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도어(20)의 개방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동장치를 동작시키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압부재(15)의 상부에 계단형상의 단차부(15A)를 연속 형성하고, 모터 및 제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스위치(10)의 액츄에이터(5)를 상기 가압부재(15)의 단차부(15A)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전스위치(10)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액츄에이터(5)와 가압부재(15)간의 정확한 밀착이 가능하므로 안전스위치(10)에 대한 단속이 정확히 규제된다.

Description

세탁기용 안전장치{A safty device fo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도어 배면에 결합되어 탈수행정과 같이 세탁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할 경우 안전스위치의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는 가압부재의 접촉면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안전스위치에 대한 단속이 정확히 규제되도록 한 것으로, 특히 2조식 세탁기와 같이 세탁조와 탈수조가 분리된 구조의 세탁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세탁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도어 인접부에는 탈수시와 같이 세탁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할 경우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제동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세탁조와의 접촉에 따른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한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한편, 2조식 세탁기와 같이 세탁조 및 탈수조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진 2조식 세탁기는 탈수조에 결합된 도어가 작은 크기를 갖는 관계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한 안전장치의 설치공간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세탁기의 상부로부터 힌지결합된 도어의 배면에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2조식 세탁기에서 탈수조의 상부에 결합된 도어(120)의 배면에 설치되어 도어(120)의 개방에 따라 안전스위치(110)의 액츄에이터(105)가 작동하도록 한 세탁기용 안전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와 같은 세탁기용 안전장치(150)는 세탁기의 상판 직하부에 설치되어 액츄에이터(105)의 동작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동장치를 동작시키도록 한 안전스위치(110)와, 도어(12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120)의 개방에 따라 상기한 안전스위치(110)의 액츄에이터(105)를 동작시키는 가압부재(11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동장치(150)는 세탁기의 탈수행정에서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한 액츄에이터(105)가 모터의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된 접점을 연결시키는 한편, 제동장치와 연결된 접점은 열린 회로를 유지함으로써 탈수행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20)를 개방시키면, 도어(120)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부재(115)가 액츄에이터(105)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한 액츄에이터(105)가 탄성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모터의 전원과 연결된 접점이 이격되어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되는 반면, 제동장치와 연결된 접점이 닫혀 제동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탈수조를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용 안전장치(150)는, 가압부재(115)와 안전스위치(110)의 액츄에이터(105)간의 접촉 간격을 조절할 수 없는 관계로 도어(120)의 사출과정에서 가압부재(115)의 접촉면에 수축이 발생하거나 도어(120)와 세탁기 상판간의 결합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경우 가압부재(115)의 접촉면과 안전스위치(110)의 액츄에이터(105)가 정확히 밀착되지 않아 도어(120)의 개폐에 따른 안전스위치(110)의 접점에 대한 단속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세탁기의 도어 배면에 결합되어 탈수행정과 같이 세탁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할 경우 안전스위치의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는 가압부재의 접촉면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하여 가압부재와 액츄에이터간의 간극에 따라 상기한 접촉면을 선택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안전스위치에 대한 단속이 정확히 규제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세탁기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압부재 및 안전스위치의 접점을 단속하는 액츄에이터의 접촉에 따라 탈수조를 정지시키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에 계단형상의 단차부를 연속 형성하고, 모터 및 제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스위치의 액츄에이터를 상기 가압부재의 단차부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용 안전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조의 세탁기용 안전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용 도어의 배면도,
도 2는 발명에 의한 세탁기용 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액츄에이터 10 : 안전스위치
15 : 가압부재 15A : 단차부
20 : 도어
도 2는 발명에 의한 세탁기용 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용 안전장치(50)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동장치를 동작시키는 안전스위치(10)와, 도어(2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압부재(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과 제동장치의 동작을 단속하는 안전스위치(10)는 세탁기의 상판 직하부에 부착되며, 일측으로는 접점을 직접 단속하는 액츄에이터(5)가 수평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한 액츄에이터(5)는 내부에 구비된 탄성수단에 의해 통상의 상태에서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가지며, 상기한 액츄에이터(5)의 상향에 따라 접점이 연결되는 A접점으로는 모터의 전원공급라인을 연결시키고, 탄성에 의해 액츄에이터(5)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접점이 연결되는 B접점으로는 제동장치를 연결시킨다.
계속해서 도어(20)의 배면에 형성되어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상기한 안전스위치(10)의 액츄에이터(5)를 동작시키는 가압부재(15)는, 액츄에이터(5)가 접촉되는 접촉면에 계단형상의 단차부(15A)를 연속 형성한다.
상기한 단차부(15A)는 안전스위치(10)를 상판 직하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안전스위치(10)로부터 돌출된 액츄에이터(5)와 가압부재(15)의 접촉면이 정확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안전스위치(10)를 세탁기의 상판에 고정시키기에 앞서 상기한 안전스위치(10)를 상판 직하부와 밀착시켰을 때 상기한 안전스위치(10)로부터 돌출된 액츄에이터(5)의 연장선이 가압부재(15)의 기준면(도면중 'A'부분)보다 하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안전스위치(1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액츄에이터(5)의 선단을 단차부(15A)에서 가장 낮은 부위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안전스위치(10)를 부착시킨다.
또한, 이와 반대로 안전스위치(10)를 세탁기의 상판 직하부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액츄에이터(5)의 연장선이 기준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안전스위치(1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액츄에이터(5)의 선단을단차부(15A)에서 가장 높은 부위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안전스위치(10)를 부착시킴으로써 안전스위치(10)의 접점에 대한 단속이 정확히 규제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용 안전장치(50)는, 세탁기의 도어(20) 배면에 결합되어 탈수과정에서 도어(20)를 개방할 경우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한편, 제동장치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한다.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전스위치(10)의 접점을 단속하는 액츄에이터(5)와 가압부재(15)가 정확히 밀착됨으로써 도어(20)의 개방에 따른 안전스위치(10)의 동작이 정확히 규제되는데, 예로써 상판이 하부로 쳐지거나 도어(20)의 결합위치가 정상위치보다 상향됨에 따라 안전스위치(10)를 상판 직하부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액츄에이터(5)의 연장선이 가압부재(15)의 기준면보다 하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액츄에이터(5)의 선단을 단차부(15A)에서 가장 낮은 부위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안전스위치(10)를 상판(100)에 부착시킨다.
또한, 이와 반대로 안전스위치(10)를 세탁기의 상판(100) 직하부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액츄에이터(5)의 연장선이 기준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액츄에이터(5)의 선단을 단차부(15A)에서 가장 높은 부위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안전스위치(10)를 상판(100)에 부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100)이나 접촉면의 위치에 관계없이 액츄에이터(5)를 가압부재(15)와 선택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안전스위치(10)의 접점에 대한 단속이 정확히 규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기의 도어(20) 배면에 결합되어 탈수행정과 같이 세탁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도어(20)를 개방할 경우 안전스위치(10)의 액츄에이터(5)를 동작시키는 가압부재(15)의 접촉면에 계단형상의 단차부(15A)를 형성하여 가압부재(15)와 액츄에이터(5)간의 간극에 따라 액츄에이터(5)를 단차부(15A)와 선택적으로 조합시킴으로써 안전스위치(10)에 대한 단속이 정확히 규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탁기의 탈수행정에서 도어(20)의 개폐를 정확히 감지하여 탈수조의 신속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세탁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세탁기 도어(2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압부재(15) 및 안전스위치(10)의 접점을 단속하는 액츄에이터(5)의 접촉에 따라 탈수조를 정지시키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5)의 상부에 계단형상의 단차부(15A)를 연속 형성하고, 모터 및 제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스위치(10)의 액츄에이터(5)를 상기 가압부재(15)의 단차부(15A)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안전장치.
KR10-2001-0052981A 2001-08-30 2001-08-30 세탁기용 안전장치 KR10040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981A KR100407182B1 (ko) 2001-08-30 2001-08-30 세탁기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981A KR100407182B1 (ko) 2001-08-30 2001-08-30 세탁기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711A KR20030019711A (ko) 2003-03-07
KR100407182B1 true KR100407182B1 (ko) 2003-11-28

Family

ID=2772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981A KR100407182B1 (ko) 2001-08-30 2001-08-30 세탁기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1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98Y1 (ko) * 1988-05-17 1990-06-05 박만수 경운기에 부착되는 분무기 받침대
KR900017112U (ko) * 1989-03-15 1990-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위치의 접점단속 방지구조
JPH0663287A (ja) * 1992-08-25 1994-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スイッチ装置
KR19990011187U (ko) * 1997-08-30 1999-03-25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와 안전스위치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98Y1 (ko) * 1988-05-17 1990-06-05 박만수 경운기에 부착되는 분무기 받침대
KR900017112U (ko) * 1989-03-15 1990-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위치의 접점단속 방지구조
JPH0663287A (ja) * 1992-08-25 1994-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スイッチ装置
KR19990011187U (ko) * 1997-08-30 1999-03-25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와 안전스위치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711A (ko) 200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6278A (ko) 전기 다리미
KR100407182B1 (ko) 세탁기용 안전장치
KR100407183B1 (ko) 세탁기용 안전장치
US6291910B1 (en) Electric apparatus capable of turning off a power supply circuit automatically to inhibit resuming of operation until safety is ensured at the time of restoration from abnormal stop
KR200150983Y1 (ko) 세탁기용 안전스위치의 온/오프 장치
JP2004225734A (ja) クラッチ切換機能付排水バルブとこれを有する洗濯機
JPH10106376A (ja) 安全スイッチ
KR930007305Y1 (ko) 전자식 타자기의 안전스위치 작동장치
CN213534918U (zh) 一种把手开关总成
KR970004887Y1 (ko) 스위치장치
KR930006619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158354Y1 (ko) 세탁기용 탈수도어의 안전장치
JPS6035159B2 (ja) 脱水機の安全装置
KR011990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도어 안전장치
JPS6345278Y2 (ko)
KR200208894Y1 (ko) 세탁기용 단속스위치
KR0179733B1 (ko) 밸브 게이트 에어공급 장치
KR200299243Y1 (ko) 보일러용 제어판넬의 개폐구조
KR20020039498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래치장치
JPH10263274A (ja) 全自動洗濯機のアンバランス検出装置
JPS6140310Y2 (ko)
KR200248306Y1 (ko) 고전압자동전환부하개폐장치
KR100360435B1 (ko) 세탁기의 물공급 전환장치
KR20050099296A (ko) 이중 누름방식에 의한 반도체 제조장비의 비상작동 스위치
KR960006907B1 (ko) 세탁기의 도어 안전스위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