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090B1 -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090B1
KR100407090B1 KR10-2001-0047786A KR20010047786A KR100407090B1 KR 100407090 B1 KR100407090 B1 KR 100407090B1 KR 20010047786 A KR20010047786 A KR 20010047786A KR 100407090 B1 KR100407090 B1 KR 10040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blocking film
barri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665A (ko
Inventor
이규용
Original Assignee
이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용 filed Critical 이규용
Priority to KR10-2001-004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0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6Hose or pipe bri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진압시 사용하는 소방장비 중의 하나인 소방용 관창(管槍)에 사용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 관창과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사이에 수압조절 및 잔화(殘火)정리 작업을 하기 위한 분사구가 천공된 차단막과, 차단막의 개폐를 조절하며 진화시 수압에 의한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안전손잡이가 형성된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안전한 진화작업을 도모하고 잔화(殘火)정리 작업시에 물의 분사로 인한 효율성을 높이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The security apparatus for fire-fighting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재 진압시 사용하는 소방장비 중의 하나인 소방용 관창(管槍)에 사용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 관창과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사이에 수압조절 및 잔화(殘火)정리 작업을 하기 위한 분사구가 천공된 차단막과, 차단막의 개폐를 조절하며 진화시 수압에 의한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안전손잡이가 형성된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안전한 진화작업을 도모하고 잔화(殘火)정리 작업시에 물의 분사로 인한 효율성을 높이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소방용 관창은 물이 분사되는 관창의 구조가 나사식이나 밸브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나사식의 경우에는 관창을 나사식으로 회전시켜 물을 분사시키거나 물의 방출을 막음으로써 수량과 수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사식으로 돌려서 조절하기가 불편하며, 잔화(殘火)작업시 높은 수압으로 인해 물이 직사(直射)되어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밸브식의 경우 관창에 밸브를 설치하여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수압과 수량을 조절하는 것인데 이 경우 복잡한 화재현장에서 긴 소방호스를 끌거나 당길 때 밸브가 벽면이나 모서리에 부딪쳐 부러지거나 임의적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관창에 손잡이가 없어 용이한 진화작업이 어려웠고, 또한 소방용 관창이 무거운 청동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긴 소방호스와 연결하여 고압의 용수를 화점에 분사하여 화재진압시 사용하는데, 이러한 소방용 관창은 소방호스의 끝단과 바로 연설되어 있어 높은 수압(대략 7kgf/㎠ ~ 12kgf/㎠ 정도)으로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소방호스가 흔들리면서 소방관들이 관창을 놓치게 되고 물은 계속해서 고압으로 관창을 통해 분사되면서 관창이 불규칙하게 요동하여 소방관들을 타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심한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장치를 소방용 관창과 소방호스 사이에 설치하여 소방용 관창을 떨어뜨렸을 때 자동적으로 안전장치내에서 물을 차단하여 물이 관창외부로 분출되지 아니하여 소방용 관창이 요동하지 않고, 또 잔화정리시 안전장치내의 소형의 분사구를 통해 1차적으로 물이 분사되고 다시 관창내에 부딪쳐 2차적으로 분사되어 물이 직사(直射)되지 않고 완전히 퍼져 나가게 되어 물을 절약하면서 효과적인 잔화(殘火)정리 작업이 이루어도록 하며, 진화시 수압에 의한 진동을 견딜수 있어 안전한 진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의 차단 및 잔화(殘火)정리 작업을 하기위한 분사구가 천공된 차단막과, 차단막의 개폐를 조절하며 진화시 수압에 의한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안전손잡이가 형성된 안전장치를 소방용 관창과 소방호스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에 소방호스와 관창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안전장치의 차단막이 닫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안전장치의 차단막이 열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안전장치의 정면도
도 5 A는 도 2의 A-A'선의 단면도
B는 도 4의 A에서 중앙케이스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방출부의 차단막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조절부의 중심축의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조절부의 차단막작동스위치의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조절부의 중심축고정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안전장치 2. 소방호스
3. 관창 4. 방출부
5. 호스연결커플링 6. 입수관
7. 중앙케이스 8. 차단막
9. 출수관 10. 방수구
11. 연결홈 12. 호스결합암나사
13. 소방호스연결구 14. 윤활유주입구
15. 삽입부 16. 삽입부암나사
17. 중심축연결구 18. 차단막고정홈
19. 분사구 20. 고무막
21. 고정볼트 22. 고무패킹
23. 출수구 24. 관창결합숫나사
25. 관창연결커플링 26. 조절부
27. 안전손잡이 28. 차단막작동스위치
29. 차단막조절판 30. 중심축
31. 중심축고정부 32. 탄성편
33. 손잡이홈 34. 축
35, 35'. 코일형스프링 36, 36'. 스프링지지편
37. 선단부 38. 중단부
39. 종단부 40. 돌출공
41, 41'. 조절판고정볼트 42, 42'. 안착홈
43, 43'. 중심축고정돌기 44. 중앙홈
45, 45'. 패킹 46, 46'. 틈새
47. 외부고정나사 48. 내부고정나사
49. 외부고정숫나사 50. 외부고정암나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1)는 도 1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호스(2)와 관창(3)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방출부(4)와 조절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방출부(4)는 호스연결커플링(5)과 입수관(6)과 중앙케이스(7)와 차단막(8)과 출수관(9)이 차례로 연설된 것이며, 소방호스(2)를 통해 유입된 물이 차례로 연설된 방출부(4)를 거쳐 관창(3)의 방수구(10)을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호스연결커플링(5)은 입수관(6)의 끝단에 구비된 연결홈(11)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호스결합암나사(12)가 형성되어 있어 소방호스(2)의 소방호스연결구(13)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입수관(6)은 중앙케이스(7)로 물이 유입되는 통로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케이스(7)는 도 1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6)과 출수관(9) 사이에 위치하며 입수관(6) 및 출수관(9)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차단막(8)이 중앙케이스(7) 내부에서 중심축(30)을 중심으로 상하로 충분히 움직이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케이스(7) 우측 하부의 중심축(30)이 관통된부분에는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는 윤활유주입구(14)가 아래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 윤활유를 주입하여 중심축(30)이 원활히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중심축(30)이 위치한 중앙케이스(7) 우측 하부에는 중심축고정부(3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부(15) 내주면에 형성된 삽입부암나사(16)와 중심축고정부(31)의 외부고정나사(47)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고정숫나사(49)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단막(8)은 도 2, 3,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케이스(7)와 출수관(9)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며 중심축연결구(17)와 차단막고정홈(18)과 분사구(19)와 고무막(20)으로 구비되어 있고, 원통형의 출수관(9)를 개폐하기 위해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심축연결구(17)는 차단막(8) 하부에 위치하며 중심축(30)이 끼워지도록 관통되어 있다.
차단막고정홈(18)은 고무막(20)이 형성된 뒷쪽의 중심축연결구(17)가 형성된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며, 고정볼트(21)가 차단막고정홈(18)과 중심축(30)의 중앙홈(44)에 끼워져 있어 차단막(8)이 중심축(30)에 고정되어 일체로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분사구(19)는 차단막(8)의 중앙에 위치한 구멍으로서 차단막(8)이 출수관(9)을 막게 될 경우 분사구(19)를 통해 관창(3)내의 수압과 중앙케이스(7)내의 수압을 동일하게 조절해주어 쉽게 차단막(8)이 열리도록하거나, 또는 잔화(殘火)정리 작업시 분사구(19)를 통해 물이 1차분사되어 퍼지면서 방출되도록 한다.
고무막(20)은 출수관(9)과 접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출수관(9)주위의 고무패킹(22)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강한 수압에 의해 차단막(8)이 출수관(9)에 부딪칠 때 충격을 흡수하거나 겨울철에 차단막(8)과 출수관(9)이 서로 얼어 붙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출수관(9)은 원통형의 관으로서 차단막(8)에 의해 개폐되고, 차단막(8)과 접하는 부분에는 고무패킹(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출수구(23)가 형성되어 있고 출수구(23)가 형성된 부분의 출수관(9) 외주면에는 관창결합숫나사(24)가 형성되어 있어 관창(3)에 구비된 관창연결커플링(25)과 나사결합되어 안전장치(1)와 관창(3)이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절부(26)는 도 2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케이스(7)의 하부에 위치하며 안전손잡이(27)와 차단막작동스위치(28)와 차단막조절판(29)과 중심축(30)과 중심축고정부(31)와 탄성편(32)으로 구성된다.
안전손잡이(27)는 중앙케이스(7) 하단면에 일체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안정된 진화작업을 하기 위한 손잡이홈(33)과, 축(34)과, 코일형스프링(35)(35')과, 스프링지지편(36)(36')으로 구비되어 있다.
축(34)은 손잡이홈(33) 윗부분에 위치하며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중단부(38)와 안전손잡이(27)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으며 축(34)을 중심으로 차단막작동스위치(28)가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일형스프링(35)(35')은 축(34)과 안전손잡이(27)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중단부(38)와, 안전손잡이(27) 윗부분에 형성된 스프링지지편(36)(36')에 각각 지지되어 있어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종단부(39)가 아래로 향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여 안전장치(1)를 떨어뜨렸을 때 자동적으로 차단막(8)이 출수관(9)을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지지편(36)(36')은 손잡이홈(33) 상부에 위치하며 코일형스프링(35)(35')의 한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단막작동스위치(28)는 측면에서 볼 때 ""형으로 꺽여져 있으며 선단부(37)와 중단부(38)와 종단부(39)로 구비된다.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선단부(37)는 손으로 눌려지는 부분이며,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중단부(38)는 안전손잡이(27)에 끼워져 있고 안전손잡이(27)의 축(34)이 관통하고 있어 이 축(34)을 중심으로 차단막작동스위치(28)가 시소식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종단부(39)는 차단막조절판(29)과 접하면서 차단막조절판(29)을 상하로 움직이는 부분으로서, 겨울철에 안전장치(1)와 관창(3)의 연결부위의 틈새로 물이 누수되어 차단막작동스위치(28)와 차단막조절판(29) 사이가 얼어붙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단에 돌출공(40)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막조절판(29)은 정면에서 볼 때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단막조절판(29) 상단부의 양 끝단이 조절판고정볼트(41)(41')로 중심축(30)에 고정부착되어 있어 차단막조절판(29)의 하단부가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돌출공(40)과 접하면서 차단막작동스위치(28) 종단부(39)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차단막조절판(29)도 상하로 움직여 중심축(30)이 회전하게 되고, 중심축(30)에 고정된 차단막(8)을 차단막조절판(29)과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출수관(9)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중심축(30)은 안착홈(42)(42')과 중심축고정돌기(43)(43')와 중앙홈(44)으로 구비되어 있고, 중앙케이스(7) 우측 하단부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으며 중앙케이스(7)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천공된 윤활유주입구(14)와 연결되어 있다.
중앙홈(44)은 중심축(3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차단막(8)의 차단막고정홈(18)과 중앙홈(44)에 고정볼트(21)가 끼워져 차단막(8)이 중심축(30)에 고정되어 차단막조절판(29)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차단막(8)은 중심축(30)을 중심으로 차단막조절판(29)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42)(42')은 패킹(44)(44')이 각각 삽입되는 곳으로 중심축(30)이 관통된 중앙케이스(7) 하단부의 틈새(46)(46')사이로 물이 누수되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케이스(7) 하단부의 틈새(46)(46')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중심축고정돌기(43)(43')는 중심축(30)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중심축(30)이 강한 수압에 의해 흔들려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축고정부(36)의 외부고정나사(38)와 내부고정나사(39)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중심축고정부(31)는 중앙케이스(7) 하부의 삽입부(15)에 중심축(30)과 함께삽입되어 중심축(30)을 고정하게 되며, 외부고정나사(47)와 내부고정나사(48)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고정나사(47)는 외주면에는 외부고정숫나사(49)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부(15) 내주면의 삽입부암나사(16)와 나사결합하고, 내주면에는 외부고정암나사(50)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고정나사(48)와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내부고정나사(48)는 외부고정나사(47) 내부에 나사결합으로 끼워지며 가운데 부분에는 중심축(30)이 통과하도록 천공되어 있다.
탄성편(32)은 출수관(9) 하단면과 차단막조절판(29) 상단면 사이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탄성편(32)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막조절판(29)을 아래로 밀어내어 차단막(8)이 출수관(9)을 쉽게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1)는 소방호스(2)와 관창(3)사이에 차례로 연결되어 물이 소방호스(2)를 따라 안전장치(1)의 입수관(6), 중앙케이스(7), 출수관(9)을 차례로 이동하여 관창(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안전장치(1)의 조절부(26)에 의해 급수가 조절되는데, 조절부(26)의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선단부(37)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종단부(39)에 형성된 돌출공(40)이 차단막조절판(29)을 위로 밀어올리게 되고, 차단막조절판(29)과 고정 연결되어 있는 중심축(30)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중심축(30)에 끼워져 있는 차단막(8)이 중심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출수관(9)을 개방하게 되고 물이 관창(3)으로 공급되어 관창(3) 끝부분의 방수구(10)를 통해 진화작업이 이루어 진다.
진화작업시 안전장치(1)를 실수로 떨어뜨린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단막작동스위치(28)를 놓치게 되며, 이 때 차단막작동스위치(28)와 안전손잡이(27)에 형성된 스프링지지편(36)(36')에 각각 지지되어 있는 코일형스프링(35)(35')의 탄성력과, 차단막조절판(29)과 출수관(9) 하단면 사이에 고정 부착된 탄성편(32)의 탄성력과 소방호스(2)로 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차단막조절판(29)이 저절로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이에 따라 중심축(30)도 회전하여 차단막(8)이 위로 올라가 출수관(9)을 막게 되어 무거운 청동재질로 된 소방장비가 강한 수압에 의해 요동하지 아니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진화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차단막(8)에 형성된 소형의 분사구(19)를 통해 적은 양의 물은 퍼져서 나가도록 되어 있어 잔화(殘火)정리시 1차적으로 물이 퍼져나가고 관창(3)에서 다시 2차적으로 물이 퍼져나가 물을 절약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잔화(殘火)정리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소방용 관창과 소방호스 사이에 설치하여 진화작압시 소방용 관창을 떨어뜨렸을 때 자동적으로 차단막이 물을 차단함으로써 물이 관창외부로 분출되지 아니하여 소방장비가 수압에 의해 요동하지 않아 안전한 진화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잔화(殘火)정리시 차단막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1차적으로 물이 퍼져나가고 다시 관창내에 부딪쳐 2차적으로 퍼져나가게 되어 물이 직사(直射)되지않고 완전히 퍼져 나가감으로써 물을 절약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잔화(殘火)정리 작업이 이루어도록 하며, 안전손잡이의 손잡이홈을 잡고 진화작업을 함으로써 진화시 강한 수압에 의한 진동을 견딜 수 있어 안전한 진화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방호스와 소방용 관창이 설치된 소방장비에 있어서, 안전장치(1)는 소방호스(2)와 관창(3)사이에 설치되며 방출부(4)와 조절부(26)로 구성되는데, 방출부(4)는 소방호스(2)와 결합되는 호스연결커플링(5)과 입수관(6)과 중앙케이스(7)와 차단막(8)과 출수관(9)이 차례로 연설되어 있으며, 조절부(26)는 중앙케이스(7) 하부에 위치하며 안전손잡이(27)와 차단막작동스위치(28)와 차단막조절판(29)과 중심축(30)과 중심축고정부(31)와 탄성편(3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방출부(4)의 차단막(8)은 중앙케이스(7)와 출수관(9)의 연결부위에 위치하고 원통형의 출수관(9)를 개폐하기 위하여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축연결구(17)와 차단막고정홈(18)과 분사구(19)와 고무막(20)으로 구비되어 있고, 중심축연결구(17)는 차단막(8) 하부에 위치하며 중심축(30)이 끼워지도록 관통되어 있고, 차단막고정홈(18)은 고무막(20)이 형성된 뒷쪽의 중심축연결구(17)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여 고정볼트(21)가 차단막고정홈(18)과 중심축(30)의 중앙홈(44)에 끼워져 있어 차단막(8)이 중심축(30)에 고정되어 일체로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분사구(19)는 차단막(8)의 중앙에 위치한 구멍으로서 차단막(8)이 출수관(9)을 막게 될 경우 분사구(19)를 통해 관창(3)내의 수압과 중앙케이스(7)내의 수압을 동일하게 조절해주어 쉽게 차단막(8)이 열리도록 하거나, 잔화(殘火)정리 작업시 분사구(19)를 통해 물이 1차분사되어 퍼지면서 방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막(20)은 강한 수압에 의해 차단막(8)이 출수관(9)에 부딪칠 때 충격을 흡수하거나 겨울철에 차단막(8)과 출수관(9)이 서로 얼어 붙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수관(9) 주위의 고무패킹(22)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부(26)의 차단막작동스위치(28)은 측면에서 볼 때 ""형으로 꺽여져 있고 선단부(37)와 중단부(38)와 종단부(39)로 구비되는데, 선단부(27)는 손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이며, 중단부(28)는 안전손잡이(27)에 끼워져 있고 안전손잡이(27)의 축(34)이 관통하고 있어 축(34)을 중심으로 차단막작동스위치(28)가 시소식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고, 종단부(39)는 차단막조절판(29)과 접하면서 차단막조절판(29)을 상하로 움직이는 부분으로서, 끝단에 돌출공(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부(26)의 차단막조절판(29)은 정면에서 볼 때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단막조절판(29) 상단부의 양 끝단이조절판고정볼트(41)(41')로 중심축(30)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차단막조절판(29)의 하단부가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돌출공(40)과 접하면서 차단막작동스위치(28) 종단부(39)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차단막조절판(29)도 상하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중심축(30)도 회전하여 차단막(8)이 차단막조절판(29)과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출수관(9)을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부(26)의 중심축(30)은 안착홈(42)(42')과 중심축고정돌기(43)(43')와 중앙홈(44)으로 구비되어 있고, 중앙케이스(7) 우측 하단부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으며 중심축(30)의 가운데 부분에는 차단막(8)이 고정볼트(21)에 의해 중심축(3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중앙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42)(42')은 패킹(44)(44')이 각각 삽입되는 곳으로 중심축(30)이 관통된 중앙케이스(7) 하단부의 틈새(46)(46')사이로 물이 누수되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케이스(7) 하단부의 틈새(46)(46')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축고정돌기(43)(43')는 중심축(30)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중심축고정부(36)의 외부고정나사(38)와 내부고정나사(39)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장치.
  6. 안전장치(1)는 물이 소방호스(2)를 따라 안전장치(1)의 입수관(6), 중앙케이스(7), 출수관(9)을 차례로 이동하여 관창(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안전장치(1)의 조절부(26)에 의해 급수가 조절되는데, 조절부(26)의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선단부(37)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차단막작동스위치(28)의 종단부(39)에 형성된 돌출공(40)이 차단막조절판(29)을 위로 밀어올리게 되고, 차단막조절판(29)과 중심축(30)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차단막(8)이 중심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출수관(9)을 개방하게 되고 물이 관창(3)으로 공급되어 관창(3) 끝부분의 방수구(10)를 통해 진화작업이 이루어 지며, 진화작업시 안전장치(1)를 실수로 떨어뜨린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단막작동스위치(28)를 놓치게 되어, 차단막작동스위치(28)와 안전손잡이(27)에 형성된 스프링지지편(36)(36')에 각각 지지되어 있는 코일형스프링(35)(35')의 탄성력과, 차단막조절판(29)과 출수관(9) 하단면 사이에 고정 부착된 탄성편(30)의 탄성력과 소방호스(2)로 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차단막조절판(29)이 저절로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이에 따라 중심축(30)도 회전하여 차단막(8)이 위로 올라가 출수관(9)을 막게 되며, 이 경우 차단막(8)에 형성된 소형의 분사구(19)를 통해 적은 양의 물은 퍼져서 나가도록 되어 있어 잔화(殘火)정리시 1차적으로 물이 퍼져나가고 관창(3)에서 다시 2차적으로 물이 퍼져나가도록 형성된 소방용 안전장치의 사용방법.
KR10-2001-0047786A 2001-08-08 2001-08-08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040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786A KR100407090B1 (ko) 2001-08-08 2001-08-08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786A KR100407090B1 (ko) 2001-08-08 2001-08-08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080U Division KR200256302Y1 (ko) 2001-08-08 2001-08-08 소방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665A KR20030013665A (ko) 2003-02-15
KR100407090B1 true KR100407090B1 (ko) 2003-12-01

Family

ID=2771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786A KR100407090B1 (ko) 2001-08-08 2001-08-08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62B1 (ko) * 2012-08-27 2013-09-12 고동우 소방용 관창
KR101234541B1 (ko) * 2012-11-22 2013-02-19 서울특별시 요동방지 호스 지지체
KR101276383B1 (ko) * 2012-12-13 2013-06-19 김재수 소방용 안전 관창
KR102518375B1 (ko) * 2021-03-25 2023-04-05 (주)설화엔지니어링 수압 조절이 가능한 노즐을 구비한 빗물을 재활용한 터널의 소방수 공급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1961A (ja) * 1982-06-16 1983-12-23 株式会社富永製作所 放水ノズル
JPH01314580A (ja) * 1988-06-15 1989-12-19 Izumi Eng:Kk 消火栓用ノズルの構造
KR19980059456U (ko) * 1998-07-01 1998-10-26 최선웅 소방용 물분사 건
JP2000051383A (ja) * 1998-08-06 2000-02-22 Sakura Gomme Kk インパルス消火銃
KR200173512Y1 (ko) * 1999-09-18 2000-03-15 신영옥 소방호-스용 개폐밸브
JP2000284543A (ja) * 1999-03-31 2000-10-13 Canon Inc トナ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1961A (ja) * 1982-06-16 1983-12-23 株式会社富永製作所 放水ノズル
JPH01314580A (ja) * 1988-06-15 1989-12-19 Izumi Eng:Kk 消火栓用ノズルの構造
KR19980059456U (ko) * 1998-07-01 1998-10-26 최선웅 소방용 물분사 건
JP2000051383A (ja) * 1998-08-06 2000-02-22 Sakura Gomme Kk インパルス消火銃
JP2000284543A (ja) * 1999-03-31 2000-10-13 Canon Inc トナー
KR200173512Y1 (ko) * 1999-09-18 2000-03-15 신영옥 소방호-스용 개폐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665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211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0407090B1 (ko) 소방용 안전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20080114460A (ko) 패널형 소화장치
KR200256302Y1 (ko) 소방용 안전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2171978B1 (ko) 소화용 오실레이팅 모니터
CN219398159U (zh) 一种洗眼器
KR101356018B1 (ko) 샌드위치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CN113769308B (zh) 一种室内安全防火系统
CN210114766U (zh) 一种火灾喷淋装置
CN112891804B (zh) 一种智慧消防用磁力预警式消防喷头
KR20230064743A (ko) 다수의 소방호스 연결이 가능한 피스톨 소방관창
KR102528644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200296539Y1 (ko) 소화전
CN112221039A (zh) 一种林地用的隐式灌溉灭火设备
KR20210031082A (ko) 소방용 안전 관창
KR200487794Y1 (ko) 수동소화기 작동장치
CN215608942U (zh) 一种多用途灭火器及其系统
KR200329461Y1 (ko) 타이머식 가스 자동 차단장치
CN220588797U (zh) 一种可带水拆装的消防喷头
CN220551031U (zh) 一种可阻隔火势蔓延的人防工程用防火门
CN219516153U (zh) 一种拖把桶
CN218853367U (zh) 一种自动开启灭火装置
CN211659127U (zh) 混合微喷雾消防水枪枪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