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015B1 -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015B1
KR100407015B1 KR10-2001-0012002A KR20010012002A KR100407015B1 KR 100407015 B1 KR100407015 B1 KR 100407015B1 KR 20010012002 A KR20010012002 A KR 20010012002A KR 100407015 B1 KR100407015 B1 KR 10040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edal
bevel gear
rotational force
gear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042A (ko
Inventor
신영재
Original Assignee
신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재 filed Critical 신영재
Priority to KR10-2001-001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015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7/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rotary shaft,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unchangeable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체인 자전거의 페달을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일정한 방향으로 전진구동이 달성되도록 한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는 페달과 연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페달축과, 상기 페달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연동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의 회전력을 후륜까지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베벨기어 세트와,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의 회전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후륜축으로 구성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는 상기 페달축 상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2구동기어와, 상기 제1,2구동기어와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제1,2구동기어와 페달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의 정,역방향 회전력을 상기 후륜에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져 무체인식 자전거의 경우 항상 전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both wa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chainless type bicycle}
본 발명은 무체인 자전거의 페달을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일정한 방향으로 전진구동이 달성되도록 한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종래의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는 페달과 연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페달축(2)과, 상기 페달측에 설치되어 페달축(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베벨기어 세트(4)와,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4)와 연동되어 제 1베벨기어 세트(4)의 회전력을 후륜까지 전달하는 구동축(6)과, 상기 후륜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6)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베벨기어 세트(8)와,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8)의 회전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후륜축(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4)는 상기 페달축(2)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4a)와, 상기 구동기어(4a)와 기어물림되는 종동기어(4b)로 구성되어 상기 페달축(2)의 동력을 상기 구동축(6)에 전달한다.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8)는 상기 구동축(6)과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되는 구동기어(8a)와, 상기 구동기어(8a)와 기어물림되는 동시에 상기 후륜축(10)에 설치되는 종동기어(8b)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6)의 동력을 상기 후륜축(10)에 전달하게 되는데 일측에 가변장치 또는 원웨이 클러치가 설치되면 후륜축(10)의 허브(11)는 공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페달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페달축이 정회전함과 동시에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제 2베벨기어 세트에 의해 후륜축도 정회전하여 전진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페달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축이 역회전하면 역회전력은 제 1베벨기어 세트와 구동축을 통해 제 2베벨기어 세트로 전해지는데 후륜축에 설치된 가변장치 또는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역회전력은 후륜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의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는 페달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구동축이 정회전하여 자전거가 전진구동 되도록 하지만 페달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가변장치 또는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구동축이 공회전하여 자전거가 움직이지 못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구동조작이 단조롭고, 특정 근육망이 집중적으로 운동되어 쉽게 피로해지거나 무릎관절에 무리가 올 뿐만 아니라, 구동력이 낭비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체인식 자전거의 페달을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전진구동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줄 뿐만 아니라 구동력의 낭비를 줄여 동력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의 제 1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정, 역회전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의 제 2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정, 역회전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제 1구동기어 및 페달축의 조립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제 2구동기어 및 페달축의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페달축 54 : 구동축
56 : 후륜축 60 : 제 1베벨기어 세트
66 : 제 1원웨이 클러치 68 : 제 2원웨이 클러치
70 : 제 2베벨기어 세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는 페달과 연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페달축과, 상기 페달축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연동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의 회전력을 후륜까지 전달하는 구동축과, 후륜축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베벨기어 세트와,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의 회전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후륜축으로 구성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는 상기 페달축 상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2구동기어와, 상기 제1,2구동기어와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제1,2구동기어와 페달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의 정,역방향 회전력을 상기 후륜에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 자전거의 양방향 구동장치의 제 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몸체의 하측 프레임과 연결되는 페달축하우징(50)은 내측에 페달과 연결되는 페달축(52)이 설치되고, 상기 페달축(52) 상에 상기 페달축(52)의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제 1베벨기어 세트(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60)는 상기 페달축(52)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 1,2구동기어(62a,62b)와, 상기 제 1,2구동기어(62a,62b)와 기어 물림되는 종동기어(64)와, 상기 제1,2구동기어(62a,62b)와 페달축(52) 사이에 설치되어 페달의 정,역방향 회전력을 후륜 측으로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일방향 동력 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여기서, 상기 일방향 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제 1구동기어(62a)와 페달축(52) 사이에 설치되는 제 1원웨이 클러치(66)와, 상기 제 2구동기어(62b)와 페달축(52)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원웨이 클러치(68)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달축하우징(50)의 내측에는 페달축(52)이 삽입되고, 상기 페달축(52)의 일단부에 제 1원웨이 클러치(66)와 제 1구동기어(62a), 제 2원웨이 클러치(68)와 제 2구동기어(62b)가 체결되고 페달축커버(61)를 이용하여 페달축(52)의 단부가 돌출된 상태로 상기 페달축하우징(50)과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페달축의 타단에는 베어링, 풀림방지너트 및 링너트를 순서대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원웨이 클러치(66)는 제 1베벨기어 세트(60)의 제 1구동기어(62a)와 페달축(52)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되고, 제 2원웨이 클러치(68)는 제 1베벨기어 세트(60)의 제 2구동기어(62b)와 페달축(5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원웨이 클러치(66)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게 구성되어 페달축(52)의 정, 역방향 회전력을 후륜과 연결된 후륜축(56)에 정방향 회전력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페달축(52)과 후륜축(56) 사이에는 상기 페달축(52)의 동력을 상기 후륜축(56)으로 전달하는 구동축(54)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54)은 일단에 상기 제1베벨기어의 종동기어(64)가 설치됨과 아울러 타단에 상기 구동축(54)의 회전력을 상기 후륜축(56)으로 전달시키는 제2베벨기어 세트(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베벨기어 세트(70)는 상기 구동축(54)의 타단에 설치되는 구동기어(72) 및 상기 후륜축(56) 상에 설치되는 종동기어(7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후륜축(56)은 둘레에 후륜을 결합할 수 있는 후륜허브(5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축(56) 일단에는 상기 후륜축(56)에 결합된 종동기어(74)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후륜축하우징(58)의 절개면에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커버(59)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 1원웨이 클러치(6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래그 클러치(Sprag clutch)로써, 외측이 제 1베벨기어 세트(60)의 제 1구동기어(62a)에 끼워지는 외측 레이스(66a)와, 내측이 페달축(52)에 끼워지는 내측 레이스(66c)와, 상기 외측 레이스(66a)와 내측 레이스(66c) 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래그(66b)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래그(66b)가 페달축(52)이 정방향(P)으로 회전하면 페달축(52)의 회전력을 구동축(54)으로 전달하고, 페달축(52)이 역방향(Q)으로 회전하면 페달축(52)의 회전력을 구동축(54)으로 전달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2원웨이 클러치(68)도 상기 제 1원웨이 클러치와 같은 구성으로 제 2구동기어(62b) 내측에 설치되되 스프래그(68b)의 방향이 제 1원웨이 클러치(66)의 스프래그(66b)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페달축(52)이 정방향(P)으로 회전하면 페달축(52)의 회전력을 구동축(54)으로 전달하지 않고, 페달축(52)이 역방향(Q)으로 회전하면 페달축(52)의 회전력을 구동축(54)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 자전거의 양방향 구동장치의 제 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과 연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페달축(102)과, 상기 페달축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페달축(10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베벨기어 세트(110)와,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110)와 연동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110)의 회전력을 후륜까지 전달하는 구동축(104)과, 후륜축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10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베벨기어 세트(120)와,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120)의 회전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후륜축(106)으로 구성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120)는 상기 후륜축(106) 상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2종동기어(124a,124b)와, 상기 제 1,2종동기어(124a,124b)와 기어물림되도록 상기 구동축(104)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22)와, 상기 제 1,2종동기어(124a,124b)와 구동축(104) 사이에 설치되어 페달의 정, 역방향 회전력을 후륜에 일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일방향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 동력 전달수단은 제 2베벨기어 세트(120)의 제 1종동기어(124a)와 후륜축(106)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축(104)의 정회전력을 후륜축(106)에 정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 1원웨이 클러치(126)와, 제 2베벨기어 세트(120)의 제 2종동기어(124b)와 후륜축(106)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축(104)의 역회전력을 후륜축(106)에 정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 2원웨이 클러치(128)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원웨이 클러치(126)와 상기 제 2원웨이 클러치(128)의 역할은 반대가 되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후륜축(106)에 설치되는 제 1원웨이 클러치(126)와 제 2원웨이 클러치(128)도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페달축(52)에 설치되는 제 1원웨이 클러치(66)와 제 2원웨이 클러치(68)와 같은 구성을 이루어 작동된다.
즉, 상기 페달축(102)에 정회전력이 입력되면 제 2원웨이 클러치(128)는 후륜축(106)상에서 공회전 작동되어 후륜축(106)으로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는 반면 제 1원웨이 클러치(126)는 고정 작동되어 제 2종동기어(124b)와 후륜축(106)이 맞물리게 하여 후륜축(106)에 정회전력을 전달한다.
반면, 상기 페달축(102)에 역회전력이 입력되면 제 1원웨이 클러치(126)가 후륜축(106) 상에서 공회전 작동되어 후륜축(106)으로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는 반면 제 2원웨이 클러치(128)는 고정 작동되어 제 1종동기어(124a)와 후륜축(106)이 맞물리게 하여 후륜축(106)에 정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페달축에 정, 역회전력이 입력되더라도 후륜축에는 정회전력이 출력되기 때문에 무체인식 자전거에 항상 전진구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동작을 도 3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페달을 정회전(P)시키는 경우, 상기 페달축(52)에 연결된 제 1베벨기어 세트(60)의 제 2구동기어(62b)는 제 2원웨이 클러치(68)가 회전 작동되어 페달축(52)상에서 공회전하고, 제 1구동기어(62a)는 제 1원웨이 클러치(66)가 고정 작동되어 페달축(52)과 맞물리게됨과 동시에 구동축(54)과 연결된 제 1베벨기어 세트(60)의 종동기어(64)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54)에 전달된 동력은 제 2베벨기어 세트(70)의 구동기어(72)와 종동기어(74)에 의해 후륜축(56)에 정방향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반면, 상기 페달을 역회전(Q)시키는 경우, 상기 페달축(52)에 연결된 제 1베벨기어 세트(60)의 제 1구동기어(62a)는 제 1원웨이 클러치(66)가 회전 작동되어 페달축(52)상에서 공회전하고, 제 2구동기어(62b)는 제 2원웨이 클러치(68)가 고정 작동되어 페달축(52)과 맞물리게됨과 동시에 구동축(54)과 연결된 제 1베벨기어 세트(60)의 종동기어(64)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54)에 전달된 동력은 제 2베벨기어 세트(70)의 구동기어(72)와 종동기어(74)에 의해 후륜축(56)에 정방향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전달장치는 페달에 정, 역방향 회전력이 입력되더라도 후륜에는 정방향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항상 전진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페달을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전진구동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줄 뿐만 아니라 구동력의 낭비를 줄여 동력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페달과 연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페달축과, 상기 페달축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연동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의 회전력을 후륜까지 전달하는 구동축과, 후륜축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베벨기어 세트와,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의 회전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후륜축으로 구성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는 상기 페달축 상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2구동기어와, 상기 제1,2구동기어와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제1,2구동기어와 페달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의 정,역방향 회전력을 상기 후륜에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 1구동기어와 페달축 사이에 설치되어 페달축의 회전력을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제 1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 2구동기어와 페달축 사이에 설치되어 페달축의 회전력을 타방향으로 전달하는 제 2원웨이 클러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 장치.
  3. 페달과 연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페달축과, 상기 페달축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와 연동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 세트의 회전력을 후륜까지 전달하는 구동축과, 후륜축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베벨기어 세트와,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의 회전력을 후륜으로 전달하는 후륜축으로 구성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베벨기어 세트는 상기 후륜축 상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2종동기어와, 상기 제1,2종동기어와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제1,2종동기어와 후륜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페달의 정.역방향 회전력을 상기 후륜에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 1종동기어와 후륜축 사이에 설치되어 페달축의 회전력을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제 1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 2종동기어와 후륜축 사이에 설치되어 페달축의 회전력을 타방향으로 전달하는 제 2원웨이 클러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 장치.
KR10-2001-0012002A 2001-03-08 2001-03-08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KR10040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02A KR100407015B1 (ko) 2001-03-08 2001-03-08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02A KR100407015B1 (ko) 2001-03-08 2001-03-08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042A KR20020072042A (ko) 2002-09-14
KR100407015B1 true KR100407015B1 (ko) 2003-11-28

Family

ID=2769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002A KR100407015B1 (ko) 2001-03-08 2001-03-08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953B1 (ko) * 2005-12-27 2007-02-08 박의봉 헤드폰
KR101050313B1 (ko) * 2010-10-21 2011-07-19 서식원 동력전달 및 조립성이 우수한 무체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CN110621572B (zh) * 2017-05-23 2021-08-24 株式会社维他命i工厂 自行车
WO2019019455A1 (zh) * 2017-10-30 2019-01-31 无锡岚凌卓维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自行车传动装置和具有该装置的自行车及电动自行车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77A (ja) * 1989-06-08 1991-01-18 Nec Corp ページプリンタ
KR970054610U (ko) * 1996-03-28 1997-10-13 정재연 자전거 정,역 회전 구동장치
KR980000298A (ko) * 1996-06-27 1998-03-30 신창근 조리기구의 넘침방지용 뚜껑
KR19990034881U (ko) * 1999-05-07 1999-09-06 최인상 무체인식자전거의동력전달장치
KR20000010126U (ko) * 1998-11-17 2000-06-15 최강호 페달을 앞으로 밟아도 뒤로 밟아도 항상 앞으로 전진하는 자전거의 구동장치.
KR200231347Y1 (ko) * 2001-02-05 2001-07-19 김국한 무체인 자전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77A (ja) * 1989-06-08 1991-01-18 Nec Corp ページプリンタ
KR970054610U (ko) * 1996-03-28 1997-10-13 정재연 자전거 정,역 회전 구동장치
KR980000298A (ko) * 1996-06-27 1998-03-30 신창근 조리기구의 넘침방지용 뚜껑
KR20000010126U (ko) * 1998-11-17 2000-06-15 최강호 페달을 앞으로 밟아도 뒤로 밟아도 항상 앞으로 전진하는 자전거의 구동장치.
KR19990034881U (ko) * 1999-05-07 1999-09-06 최인상 무체인식자전거의동력전달장치
KR200231347Y1 (ko) * 2001-02-05 2001-07-19 김국한 무체인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042A (ko) 200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44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мощности для велосипедной втулки
EP0463651B1 (en) A driving gear for a muscle power driven vehicle, such as a wheel chair
US20120165150A1 (en) Motor having an auxiliary driven shaft
US20030221892A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bicycles
EP2644493A1 (en) Clutch type driving mechanism for hybrid powered vehicle
HK1087454A1 (en) Automobile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of regulating torque transmission
US6157149A (en) Kinetic energy regenerating device for an electric motor bicycle
KR970042078A (ko) 자전거의 변환 전진구동 주행장치
JP2003063476A (ja) 自転車の前進駆動装置
GB2312403A (en) Bicycle equipped with electrical driving device
EP1452438A3 (en) An internal hub transmission for a bicycle
KR100407015B1 (ko) 무체인식 자전거의 양방향 동력 전달장치
KR960000702A (ko) 자전거의 전진구동 주행장치
GB2349125A (en) Bicycle gearbox providing oscillating movement of pedals
CN110949597A (zh) 一种中置驱动装置和具有该装置的自行车
KR100435104B1 (ko) 페달의 전후구동을 위한 동력전달장치
US7886634B2 (en) Automatic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a motorcycle
CN111016625B (zh) 中央驱动型单侧双电机智能传动系统
CN211663398U (zh) 一种中置驱动装置和具有该装置的自行车
KR200282587Y1 (ko) 페달의 전후구동을 위한 동력전달장치
US4852420A (en) Backward driving device for tricycle
KR100956067B1 (ko) 자전거 변속장치
KR102062360B1 (ko) 전기자전거 변환용 조립 키트
CN216279256U (zh) 差速装置、电机、助力三轮车及助力四轮车
KR200298784Y1 (ko) 자전거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