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661B1 -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 - Google Patents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661B1
KR100406661B1 KR10-2000-0077168A KR20000077168A KR100406661B1 KR 100406661 B1 KR100406661 B1 KR 100406661B1 KR 20000077168 A KR20000077168 A KR 20000077168A KR 100406661 B1 KR100406661 B1 KR 10040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fluidized bed
bed incinerator
reservo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825A (ko
Inventor
이근후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6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0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for sludges or waste products from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10Dryin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80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2Sludge, slurries or mixtures of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이를 소각하는 유동층소각로가 포함하며, 또한 상기 유동층소각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제1주입구와 제2주입구를 가지며, 소각될 슬러지를 저장하는 제1저장조와, 상기 제1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 중 일부를 공급받아 스팀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일부의 슬러지를 상기 건조기로 공급시키는 제1이송장치와, 상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조와, 상기 제2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된 슬러지를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층소각로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장치 및 상기 제1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 중 나머지를 상기 제2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층소각로로 이송하는 제3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건조슬러지와 생슬러지가 혼합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슬러지 혼합기나 스프레더 등의 추가시설이 필요없으며, 이송이 쉬운 수분함량을 가지도록 슬러지를 건조하여 사용하므로 소각물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Incineration system of sludge and incineration method of sludg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슬러지를 유동층 소각로의 하부로 직접투입함으로써 생슬러지와 건조슬러지 혼합기없이 건조슬러지 및 생슬러지를 혼합소각할 수 있는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음식물쓰레기 등의 주방폐기물을 비롯한 기타의 유기성폐기물인 슬러지의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슬러지 발생량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농지환원, 건설자재, 조경, 지렁이 사육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경우는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슬러지는 육상매립되거나 해양투기되고 있는데 해양투기는 국제적으로 해양환경보호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유기성폐기물의 해역배출이 전면 재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슬러지를 소각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소각방법은 유동층소각로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소각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유동층소각로는 유동층 내에 모래 또는 층물질을 충전하고 유동층 밑부분에서 일정한 크기의 분무노즐을 여러 개 설치하여 공기를 유입시키면 유동층 내의 모래가 공기에 의하여 유동하게 되고, 이 유동층 내의 모래 또는 층물질을 유동층 내에 설치된 가스버너나 오일버너를 이용하여 슬러지가 소각될 수 있는 온도까지 예열시킨 후 유동층 소각로 내에 슬러지를 투입시켜 소각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유동층 소각로는 소각로 내의 연소온도를 다른 연소장치에 비해 낮게 유지함으로써 배가스로 인한 질소산화물의 발생이 적고, 유황성분이 다량 함유된 슬러지를 연소할 경우에도 소각로 내에서 황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SO2의 배출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그 소각을 위하여, 슬러지탈수기에 의해 탈수되고, 이어서 슬러지건조기에 의해 건조된다. 즉 슬러지는 먼저 탈수기에서 기계적탈수를 거치는데 이 때 탈수기에서 배출되는 탈수된 생슬러지는 그 수분함량이 75 ~ 85 % 이다. 그러나 이를 바로 소각하기 위해서는 보조연료가 다량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탈수기에 의해 탈수된 생슬러지를 슬러지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60 ~ 65 % 까지 감소되도록 한다. 그러면 슬러지의 중량은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고 열량이 증가하여 소각로 내에서 보조연료없이 소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슬러지탈수기에서 탈수된 생슬러지(수분함량 75 ~ 85 %)는 펌프로 이송이 가능한 정도의 점도를 가지나 슬러지건조기에서 건조된 슬러지(수분함량 60 % 내외)는 매우 점성이 증가하여 펌프로 이송이 불가능하고 부착성이 강하여 콘베어벨트나 스크루콘베어로도 이송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건조슬러지의 운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유동층소각로를 포함한 슬러지를 소각하기 위한 슬러지 소각시스템은 슬러지의 절반은 수분함량이 20 ~ 35 % 가 되도록 건조하고 나머지는 생슬러지(수분함량 75 ~ 85 %)로 공급하여 속각로 전단에서 혼합하여 투입하였다. 도 1에 이러한 종래의 유동층소각로를 포함한 슬러지 소각시스템을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소각시스템(1)을 설명하면, 소각대상 슬러지의 절반 정도만을 제1저장조(2)에서 유출시켜 이를 모터(M)와 연결된 제1펌프(3a)에 의해 건조기(4)로 보낸다. 상기 건조기(4)로 보내지는 스팀에 의해 상기 슬러지를 수분함량 20 ~ 35 % 의 분말형태가 되도록 건조하고 이를 제2저장조(5)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1저장조(2)에 저장된 나머지 슬러지는 건조하지 않은 생슬러지(수분함량 75 ~ 85 %) 상태로 모터(M)와 연결된 제2펌프(3b)를 통해 슬러지혼합기(7)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저장조(5)에 저장된 분말형태의 과건조슬러지를 건조슬러지이송콘베어(6)로 상기 슬러지혼합기(7)로 이송시켜 생슬러지(수분함량 75 ~ 85 %)와 과건조슬러지(수분함량 20 ~ 35 %)를 서로 혼합시킨다. 이렇게 두 종류의 슬러지를 혼합하면 수분함량이 60 ~ 65 % 로 되고, 보조연료없이 소각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 혼합된 슬러지를 스프레더(8)로 유동층소각로(9)로 뿌려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슬러지 소각시스템은 상기 혼합된 슬러지가 슬러지혼합기에서 막히는 등 잦은 고장이 발생하며, 소각로 온도조절을 위해 건조슬러지 투입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콘베어벨트 회전수로 건조슬러지 공급량을 조절하게 되면 건조슬러지 투입량 조절을 위한 응답속도가 늦어 소각로 온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슬러지 및 건조슬러지를 혼합한 혼합슬러지는 그 수분함량이 60 ~ 70 % 이므로 점도가 높고 부착성이 커서 혼합기 후단부에서 부착현상이 발생하여 슬러지 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했으며, 혼합슬러지를 소각로 유동층 상부에 뿌려주기 위한 스프레더 등 추가의 공급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슬러지 및 생슬러지를 별도로 유동층소각로에 공급함으로써 슬러지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건조슬러지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유동층소각로의 온도제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부품수가 적은 슬러지 소각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건조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시스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제1저장조 3a, 3b. 펌프
4. 건조기 5. 제2저장조
9. 유동층소각로 31. 제1송풍기
41. 제2송풍기 51. 밸브
61. 제1주입구 63. 제2주입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소각시스템은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이를 소각하는 유동층소각로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유동층소각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제1주입구와 제2주입구를 가지며, 소각될 슬러지를 저장하는 제1저장조;와 상기 유동층소각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 중 일부를 공급받아 스팀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일부의 슬러지를 상기 건조기로 공급시키는 제1이송장치;와 상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조;와 상기 제2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된 슬러지를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층소각로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장치; 및 상기 제1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 중 나머지를 상기 제2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층소각로로 이송하는 제3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위한 제1저장조 내의 슬러지를 유동층소각로 내로 공급하여 그 유동층소각로 내에서 슬러지를 소각하는 방법은, (a) 상기 제1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 중 일부를, 상기 유동층소각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키는 단계;와 (b) 상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압축공기에 의해 유동층소각로의 제1주입구를 통해 그 유동층소각로 내로 이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 중 나머지를 상기 제1주입구와는 다른 위치에 마련된 유동층소각로의 제2주입구를 통해 그 유동층소각로 내로 이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주입구 및 제2주입구를 통하여 유동층소각로 내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상기 유동층소각로에서 소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소각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소각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소각시스템(100)은 제1저장조(2)와, 건조기(4)와, 제2저장조(5)와, 유동층소각로(60)와, 각 장치를 이어주는 복수개의 배관들과 이송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저장조(2)와, 건조기(4)와, 제2저장조(5)는 종래의 슬러지 소각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제1저장조(2)는 소각될 슬러지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 때 저장되는 슬러지는 그 수분함량이 75 ~ 85 % 인 생슬러지이다.
상기 건조기(4)는 상기 제1저장조(2)에 저장된 슬러지 중 일부를 공급받아 스팀에 의해 그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동층소각로(6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팀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유동층소각로 배가스의 폐열을 사용하는 폐열보일러 및 보조보일러에서 생산하여 상기 건조기(4)로 보내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저장조(2)와 건조기(4)는 제1배관(10)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저장조(2)에 저장된 슬러지 중 일부, 예를 들어 제1저장조(2)에 저장된 슬러지 중 절반인 50 %는 그제1배관(10)을 통하여 제1저장조(2)에서 건조기(4)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관(10)에는 상기 슬러지를 건조기(4)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장치로서 제1펌프(3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저장조(5)는 상기 건조기(4)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제2저장조(5)는 제2배관(20)에 의해 상기 건조기(4)와 연결되어 건조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이를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저장조(5)의 출구에는 로터리밸브(51)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밸브(51)는 밸브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밸브(51)의 회전수에 의하여 상기 제2저장조(5)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된 슬러지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기본적인 구성과 기능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하부에 제1주입구(61)가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그 상부에는 제2주입구(63)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주입구(61)와 제2주입구(63)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며, 각 주입구(61,63)는 상기 유동층소각로(60) 내부와 통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저장조(5)와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1주입구(61)는 제3배관(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건조기(4)의 로터리밸브(51)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는 상기 제3배관(30)을 통하여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1주입구(61)로 유동된다. 또한 상기 제3배관(30)에는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기(31)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제1송풍기(31)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슬러지를 상기 유동층소각로(6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저장조(2)와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2주입구(63)는 제4배관(4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4배관(40)에는 상기 슬러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3이송장치로서 제2펌프(3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저장조(2)에 저장된 수분이 75 ~ 85 % 인 생슬러지는 상기 제2펌프(3b)에 의해 상기 제4배관(40)을 따라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2주입구(63)로 유동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펌프(3b)와 상기 유동층소각로(60) 사이에는 제2송풍기(4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4배관(4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송풍기(41)는 압축공기를 상기 유동층소각로(60)가 위치된 방향으로 보냄으로써, 상기 슬러지의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 유동층소각로(60)에 인접한 상기 제4배관(40)의 일부에 남아있는 슬러지가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열에 의해 코킹되어 상기 제4배관(40)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송풍기(41)는 상기 제2펌프(3b)와 더불어 상기 슬러지를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2주입구(63)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소각시스템을 사용하여 슬러지를 소각시키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저장조(2)에 저장된 수분함량 75 ∼ 85 % 인 생슬러지 중 일부, 예를 들어 절반정도를 상기 제1펌프(3a)를 사용하여 상기 제1배관(10)을 통해 상기 건조기(4)로 유입시킨다. 상기 건조기(4)에 유입된 상기 슬러지를 그 수분함량이 20 ∼ 30 % 가 되도록 스팀에 의해 과건조시켜 분말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건조된 슬러지는 상기 제2배관(20)을 따라 자유낙하로 유동되어 제2저장조(5)에 저장된다. 상기 제2저장조(5)에 저장된 슬러지는 상기 제2저장조(5)의 출구에 부착된 로터리밸브(51)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제2저장조(5)로부터 배출되는 양이 조절된다. 이어서 상기 제2저장조(5)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상태의 슬러지를 상기 제3배관(30)을 따라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1주입구(61)로 이송시킨다. 이 때 상기 제3배관(30)을 따라 이송되는 슬러지는 상기 제1송풍기(31)에 의한 압축공기의 유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유동층소각로(60)로 유입된 상기 슬러지(분말상태)는 유동층소각로(60) 내의 유동사에 의해 소각되며, 상기 슬러지가 소각될 때 열량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저장조(2)에 저장된 수분함량 75 ∼ 85 % 인 생슬러지 중 나머지 절반을 상기 제2펌프(3b)를 사용하여 제4배관(40)을 따라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2주입구(63)를 통해 유동층소각로(60)로 유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4배관(40)의 상기 제2펌프(3b)와 유동층소각로(60) 사이에 마련하여두면, 그 제2송풍기(41)가 유동층소각로(60)가 위치된 방향으로 내어뿜는 압축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슬러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유동층소각로(6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유입된 상기 수분함량이 75 ∼ 85 % 인 슬러지는 상기 제3배관(30)을 따라 상기 유동층소각로(60)로 유입된 슬러지(분말상태)가 소각되면서 발생시킨 열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이 건조되면서 그 수분함량이 60 % 내외가 된다. 이렇게 슬러지의 수분함량이 60 % 내외가 되면 상기 유동층소각로(60) 내에서 별도의 보조연료 필요없이 소각될 수 있는 수분함량이므로 상기 유동층소각로(60)에는 별도의 보조연료의 주입이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배관(30)을 따라 상기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유입되는 분말상태의 슬러지의 양이 많으면 그 슬러지가 유동층소각로(60) 내에서 소각되면서 발생하는 열량이 많아지고, 반대로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유입되는 분말상태의 슬러지의 양이 적으면 그 슬러지가 유동층소각로(60) 내에서 소각되면서 발생하는 열량이 적으진다. 따라서 상기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유입되는 분말상태의 슬러지의 양을 상기 로터리밸브(51)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4배관(40)을 따라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유입되는 수분함량 75 ∼ 85 % 인 슬러지를 보조 연료 없이 소각할 수 있으며, 수분함량이 60 % 내외인 슬러지를 소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소각시스템(100)에 의하면, 종래의 슬러지 소각시스템(1)과 달리, 상기 제3배관(30)을 따라 유동되는 분말상태의 슬러지는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1주입구(61)를 통해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주입되고, 상기 제4배관(40)을 따라 유동되는 수분함량 75 ∼ 85 % 인 슬러지는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2주입구(63)를 통해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주입된다. 즉 분말상태의 슬러지와 수분함량 75 ∼ 85 % 인 슬러지가 각기 따로 상기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분말상태의 슬러지와 수분함량 75 ∼ 85 % 인 생슬러지를 혼합시키기 위한 슬러지혼합기(7)가 필요없다. 또한 종래의 슬러지 소각시스템(1)에서 자주 발생한 현상인, 상기 슬러지혼합기(7)에서 혼합되어 그 수분함량이 60 % 내외가 되어 그 점도가 높아진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혼합기(7)에 눌러붙어 상기 슬러지혼합기(7)에서 막히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유동층소각로(60)에 부착되어, 상기 슬러지혼합기(7)로부터 유동되는 슬러지를 유동층소각로(60)로 이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도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소각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1저장조(2)로부터 슬러지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4배관(40) 중에서 유동층소각로(60)가 위치된 쪽에 가까운 제4배관(40) 내에 남아있는 슬러지는 상기 제2송풍기(41)가 발생시키는 압축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유동층소각로(60) 내로 모두 유입되므로, 슬러지가 배관 속에 남아 소각되어 배관에 달라붙는 코킹 현상도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밸브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분말상태의 슬러지의 유출량을 조절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로터리밸브 외에도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일반적인 밸브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로터리밸브를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배관(40)에 상기 제2송풍기(41)를 연결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제2송풍기(41)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때는 상기 제2펌프(3b)가 제2송풍기(41)의 역할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제1주입구(61)는 유동층소각로(6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주입구(63)는 유동층소각로(6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분말상태의 슬러지가 제3배관(3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주입구(61)를 통해 유동층소각로(60) 내로 유입되어 소각되면서 열이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뜨거운 기체는 위로 이동하는 대류현상을 보이는 성질이 있으므로 수분함량이 75 ∼ 85 % 인 슬러지가 상기 유동층소각로(60)의 상부로 유입되어야 더욱 효과적으로 건조되어 연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소각이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에 의하면, 건조슬러지 및 생슬러지를 별도로 유동층소각로에 공급함으로써 슬러지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건조슬러지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유동층소각로의 온도제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이를 소각하는 유동층소각로가 포함된 슬러지 소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소각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제1주입구와 제2주입구를 가지며;
    소각될 슬러지를 저장하는 제1저장조;
    상기 유동층소각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 중 일부를 공급받아 스팀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기;
    상기 일부의 슬러지를 상기 건조기로 공급시키는 제1이송장치;
    상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조;
    상기 제2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된 슬러지를 상기 제1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층소각로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장치; 및
    상기 제1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 중 나머지를 상기 제2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층소각로로 이송하는 제3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소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조에는
    그 제2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된 슬러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소각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장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송장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건조된 슬러지를 상기 유동층소각로로 이송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소각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송장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소각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유동층소각로 사이에는 그 유동층소각로로 이송되는 슬러지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압축공기를 유동층소각로가 위치된 방향으로 불어주는 송풍기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소각시스템.
  6. 제1저장조 내의 슬러지를 유동층소각로 내로 공급하여 그 유동층소각로 내에서 슬러지를 소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 중 일부를, 상기 유동층소각로의 외부에 배치된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압축공기에 의해 유동층소각로의 제1주입구를 통해 그 유동층소각로 내로 이송하는 단계;
    (c) 상기 제1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 중 나머지를 상기 제1주입구와는 다른 위치에 마련된 유동층소각로의 제2주입구를 통해 그 유동층소각로 내로 이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주입구 및 제2주입구를 통하여 유동층소각로 내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상기 유동층소각로에서 소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소각방법.
KR10-2000-0077168A 2000-12-15 2000-12-15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 KR100406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168A KR100406661B1 (ko) 2000-12-15 2000-12-15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168A KR100406661B1 (ko) 2000-12-15 2000-12-15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825A KR20020046825A (ko) 2002-06-21
KR100406661B1 true KR100406661B1 (ko) 2003-11-21

Family

ID=2768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168A KR100406661B1 (ko) 2000-12-15 2000-12-15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508B1 (ko) 2013-01-31 2013-11-13 (주)영진블루텍 소각 보일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2548A (zh) * 2019-07-31 2019-10-15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带有直接污泥掺烧系统的循环流化床锅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779A (en) * 1978-03-10 1979-09-17 Babcock Hitachi Kk Power plant waste incinerator
JPS6146813A (ja) * 1984-08-10 1986-03-07 Yoshinobu Matsumoto 流動層焼却設備における焼却方法
KR20000008972A (ko) * 1998-07-20 2000-02-15 김헌출 도시쓰레기 소각로에서의 하수 슬러지 소각 장치 및 소각 방법
JP2000220815A (ja) * 1999-02-01 2000-08-08 Plantec Inc 汚泥混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779A (en) * 1978-03-10 1979-09-17 Babcock Hitachi Kk Power plant waste incinerator
JPS6146813A (ja) * 1984-08-10 1986-03-07 Yoshinobu Matsumoto 流動層焼却設備における焼却方法
KR20000008972A (ko) * 1998-07-20 2000-02-15 김헌출 도시쓰레기 소각로에서의 하수 슬러지 소각 장치 및 소각 방법
JP2000220815A (ja) * 1999-02-01 2000-08-08 Plantec Inc 汚泥混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508B1 (ko) 2013-01-31 2013-11-13 (주)영진블루텍 소각 보일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825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914B1 (ko)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용 오염물질 연소 장치
AU20022311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incineration of sewage sludge
JP4819220B2 (ja) 燃焼装置内でスラッジを都市固体廃棄物又は他の燃料と同時燃焼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A2266770A1 (en) Process and device for incineration of particulate solids
CN108395072A (zh) 环保的煤粉炉直接掺烧污泥的方法
WO2018146544A1 (en) Combustor for biomass treatment
CN211688800U (zh) 火电厂烟气再循环耦合污泥干化在线掺烧系统
CN108826310A (zh) 一种分段式小型垃圾焚烧炉
KR100406661B1 (ko) 슬러지 소각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 소각방법
CN208750725U (zh) 分段式小型垃圾焚烧炉
KR200226144Y1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JP2013176738A (ja) 汚泥処理設備
KR20010103331A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199740Y1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장치
KR20000054505A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19990000052A (ko) 유동층을 이용한 슬러지 소각 방법 및 장치
CN217092970U (zh) 半干污泥调质处理系统
KR20020033957A (ko) 자가 연소 및 건조식 슬러지 처리장치
JPH0214603B2 (ko)
KR101384181B1 (ko) 배설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JPH09310830A (ja) 回転炉式乾燥燃焼装置
KR20000076315A (ko) 산업 및 가정용 쓰레기 및 슬러지의 소각 플랜트 및 방법
KR20110008910A (ko) 음식물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JP7390622B2 (ja) 焼却システムおよび焼却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131900B2 (ja) 焼却炉及び焼却炉の排ガス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