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882B1 -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882B1
KR100402882B1 KR10-2001-0031484A KR20010031484A KR100402882B1 KR 100402882 B1 KR100402882 B1 KR 100402882B1 KR 20010031484 A KR20010031484 A KR 20010031484A KR 100402882 B1 KR100402882 B1 KR 10040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racket
display device
fix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700A (ko
Inventor
오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8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 및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 기능은 향상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Grade control apparatus of display set for tapestry}
본 발명은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이나 천장에 고정한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면 특별한 조절장치가 없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완전히 분해하여 다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목적하는 곳에 간단하게 고정하고, 고정된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손 쉽게 각도 조절할 수 있는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에서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의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의 이동축 고정수단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면의 부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안내용 브라켓트 14 : 거치 브라켓트
16 : 브라켓트 고정대 18 : 각도 조절 힌지핀
20 : 각도 조절링크 22 : 각도 조절링크 고정핀
24 : 회동보스 구멍 26 :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
28 : 걸림홈 30 : 이동축 고정대
32 : 고정대 연결구 34 : 연결핀
36 : 연결구 회전축 38 : 인장스프링
40 : 회전축 손잡이 42 : 걸림걸이
44 : 걸림돌기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면이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안내용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안내용 브라켓을 연결시키는 브라켓 고정대와; 상기 안내용 브라켓의 일측과 결합되어 회동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 브라켓과; 상기 안내용 브라켓의 내측 소정 위치에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과; 상기 브라켓 고정대 내에는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의 걸림홈에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의 위치를 제어하는 이동축 고정대와; 상기 이동축 고정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축 고정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홈과 상기 이동축 고정대와 걸림이 선택적으로 조작되도록 하는 회전축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여기서, 상기 상기 이동축 고정대는 상기 브라켓트 고정대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 고정대의 타단에 외주부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하여 이동축 고정대를 밀고 당기고,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 손잡이가 삽입되는 고정대 연결구를 더 포함한다.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트 고정대의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트가 완전히 접혀졌을 때 거치 브라켓트를 유동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브라켓트 고정용 걸림걸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축 고정대의 일측에는 이동축 고정대가 회전축 손잡이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된 후 손잡이를 놓으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이동축 고정대와 브라켓트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소정거리를 두고 브라켓 고정대(16)에 의하여 연결되는 안내용 브라켓트(12)가 구비된다.
안내용 브라켓트(12)의 전면에는 안내용 브라켓트에 연결되어 안내용 브라켓트(12)에서 소정각도 펼쳐지고 접어지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거치 브라켓트(14)가 설치된다.
안내용 브라켓트(12)의 상부에는 좌우 안내용 브라켓트(12)를 연결하면서 거치 브라켓트(14)의 각도를 조절하는 브라켓트 고정대(16)가 설치된다.
안내용 브라켓트(12)와 거치 브라켓트(14)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용 브라켓트(12)의 하단에 거치 브라켓(14)의 하단이 각도 조절 힌지핀(18)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거치 브라켓(14)은 각도 조절 힌지핀(18)을 축으로 하여 전후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다.
안내용 브라켓트(12)와 거치 브라켓트(14)를 연결하고, 각도 조절 힌지핀(18)에 의하여 거치 브라켓트(14)가 펼쳐지는 것을 제한하며, 거치 브라켓트(14)가 펼쳐지고 접어지는 것을 안내하는 각도 조절링크(20)가 설치된다.
각도 조절링크(20)는 안내용 브라켓트(12)와 거치 브라켓트(14)에 각도 조절링크 고정핀(22)에 의하여 결합되고, 각도 조절링크(20)는 회동보스(2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안내용 브라켓트(12)에 설치되는 회동보스(21)는 각도 조절링크(20)가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회동보스(2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회동보스 이동구멍(24)이 형성된다. 이 회동보스 이동구멍(24)은 슬롯 형태의 상하 장홀로 형성되며 회동보스 이동구멍(24)의 장측 지름이 각도 조절링크(20)의 이동거리이며 동시에 각도 조절링크(20)는 회동보스 이동구멍(24)의 장측 지름에 의하여 각도 조절량이 결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용 브라켓트에는 각도 조절링크(20)에 의하여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이 안내용 브라켓트(12)의 길이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에는 축 방향으로 일정간격의 걸림홈(28)가 단계적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 걸림홈(28)의 하부는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상기 걸림홈(28)은 후술하는 이동축 고정대(30)에 의하여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을 고정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안내용 브라켓트(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안내용 브라켓트(12)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브라켓트 고정대(16)에는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에 형성된 걸림홈(28)에 삽입되어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을 고정시키는 이동축 고정대(30)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축 고정대(30)는 브라켓트 고정대(16)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설치되고, 브라켓트 고정대(16)의 중앙에는 각각의 이동축 고정대(30)와 연결되는 고정대 연결구(32)가 설치된다.
고정대 연결구(32)의 중심에는 연결구 회전축(36)이 형성되며, 연결구 회전축(36)의 일부는 브라켓트 고정대(16)를 관통하여 외측까지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연결구 회전축(36)에는 연결구 회전축(36)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 손잡이(40)가 형성된다.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대 연결구(32)는 소정거리를 두고 상호 대향되어 고정대 연결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고정대 연결구멍에는 연결핀(34)에 의하여 이동축 고정대(30)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이동축 고정대(30)에는 인장스프링(38)을 이용하여 브라켓트 고정대(16)에 인장된 상태로 연결한다. 즉 인장스프링(38)은 이동축 고정대(30)가 최초의 상태(이동축 고정대가 밀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에서 회전축 손잡이(40)를 돌리면 이동축 고정대(30)가 당겨지고 회전축 손잡이(40)를 놓으면 인장스프링(38)에 의하여 이동축 고정대(30)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브라켓트 고정대(16)의 상면 일측에는 거치 브라켓트(14)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거치 브라켓트(14)의 유동을 방지하고, 안전을 위해서 거치 브라켓트(14) 고정하는 걸림걸이(42)가 형성된다. 걸림걸이(42)에 대향되는 거치 브라켓트(14)의 상단에는 걸림돌기(44)가 형성된다.(미설명부호 46은 벽걸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구멍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과정을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치 브라켓트(14)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한 후 이와 같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려면 거치 브라켓트(14)가 펼쳐진 상태에서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밀면 거치 브라켓트(14)가 각도 조절 힌지핀(18)을 축으로 접혀진다.
거치 브라켓트(14)가 접혀지면 회동보스(12)가 각도 조절링크(20)에 의하여 회동보스 이동구멍(24)을 따라 상승하고, 회동보스(21)에 결합된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이 상승한다. 이때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에 형성된 걸림홈(28)의 하부는 소정의 경사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은(26)은 미끄러지면서 자연스럽게 상승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밀고 있던 손을 놓으면 각각의 이동축 고정대(30)가 양방향으로 밀리면서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의 걸림홈(28)에 걸리고,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에 의하여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이 이동축 고정대(30)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절된 각도가 유지된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아래로 내리고자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축 손잡이(40)를 돌려 잡으면 이동축 고정대(30)은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의 걸림홈(28)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하는 만큼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이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회동보스 이동구멍(24)을 따라 내려오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축 손잡이(40)이 놓아서 이동축 고정대(30)가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의 걸림홈(28)에 걸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놓으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에 의하여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26)이 이동축 고정대(30)에 의해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거치 브라켓트(14)를 완전히 접은 상태로 안전하게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거치 브라켓트(14)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걸림고리(42)를 걸림돌기(44)에 걸어서 고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걸림홈(2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이동축 고정대(30)가 걸림홈(28)에 고정되는 위치를 바꾸면서 다단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도 조절링크와 연동하고,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을 이용므로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를 단순화 시킬수 있고 단순화 구조로 인하여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Claims (4)

  1. 일면이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안내용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안내용 브라켓을 연결시키는 브라켓 고정대와;
    상기 안내용 브라켓의 일측과 결합되어 회동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 브라켓과;
    상기 안내용 브라켓의 내측 소정 위치에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과;
    상기 브라켓 고정대 내에는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의 걸림홈에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각도 조절링크 이동축의 위치를 제어하는 이동축 고정대와;
    상기 이동축 고정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축 고정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홈과 상기 이동축 고정대와 걸림이 선택적으로 조작되도록 하는 회전축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 고정대는 상기 브라켓트 고정대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 고정대의 타단에 외주부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하여 이동축 고정대를 밀고 당기고,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 손잡이가 삽입되는 고정대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용 브라켓트 고정대의 일측에는 상기 안내용 브라켓트가 완전히 접혀졌을 때 거치 브라켓트를 유동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브라켓트 고정용 걸림걸이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트에는 상기 걸림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 고정대의 일측에는 이동축 고정대가 회전축 손잡이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된 후 손잡이를 놓으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이동축 고정대의 소정 위치와 브라켓트 고정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KR10-2001-0031484A 2001-06-05 2001-06-05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KR10040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484A KR100402882B1 (ko) 2001-06-05 2001-06-05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484A KR100402882B1 (ko) 2001-06-05 2001-06-05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700A KR20020092700A (ko) 2002-12-12
KR100402882B1 true KR100402882B1 (ko) 2003-10-22

Family

ID=2770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484A KR100402882B1 (ko) 2001-06-05 2001-06-05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707B1 (ko) 2008-09-26 2014-08-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 텔레비전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5101B1 (en) 2002-06-11 2005-06-14 Chief Manufacturing Inc. Adjustable, self-balancing flat 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KR100867108B1 (ko) * 2002-09-19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설치장치용 지그
KR100826174B1 (ko) * 2004-12-30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세탁 장치
KR100747567B1 (ko) * 2004-12-30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용 벽걸이 구조
USD620943S1 (en) 2009-01-07 2010-08-03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Single arm display mount
USD627787S1 (en) 2009-01-07 2010-11-23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Display mount with single articulating arm
KR102374643B1 (ko) * 2015-01-28 2022-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14484196A (zh) * 2022-02-10 2022-05-13 湖北鹏展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信息系统集成用液晶显示屏及显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707B1 (ko) 2008-09-26 2014-08-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 텔레비전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700A (ko)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882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US5904198A (en)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US5850863A (en)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CA2222487C (en)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KR20020092699A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KR20030025988A (ko) 텔레비젼용 벽걸이 장치
MXPA03007118A (es) Engrane de manivela para controlar un ensamble de persiana para ventana.
US11982421B2 (en) Retractable spotlight
JPH1028624A (ja) 座椅子等の角度調節機構
AU1003600A (en) Window blind with motorized tilt control
KR200353528Y1 (ko) 천정 매입등의 고정장치
WO2020037954A1 (zh) 安装支架组件和窗机组件
KR10054560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구조
JPH027188Y2 (ko)
JPH1018676A (ja) 扉セット
KR200264787Y1 (ko) 다단 높이 조절장치
KR20040050828A (ko) 지주 높이조절 장치
JP3092706U (ja) 液晶モニターの昇降装置
KR200336861Y1 (ko)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369699Y1 (ko)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KR100583621B1 (ko)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JP2003175300A (ja) 物干し竿掛け及び使用方法
JP2010048079A (ja) ブラインド
JPH0345520Y2 (ko)
JP3544511B2 (ja) 吊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