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618B1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618B1
KR100402618B1 KR10-2001-0058070A KR20010058070A KR100402618B1 KR 100402618 B1 KR100402618 B1 KR 100402618B1 KR 20010058070 A KR20010058070 A KR 20010058070A KR 100402618 B1 KR100402618 B1 KR 10040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outdoor
air
hook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120A (ko
Inventor
김치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5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6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내측브레이스(135)를 토출가이드(130)에 형성하고, 실외측브레이스(174)를 쉬라우드(170)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와 실외측브레이스(174)의 선단은 요철이 서로 형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의 선단중앙에는 걸이봉(136)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봉(136) 양단의 상대적으로 돌출된 연장부(137)에는 안착슬롯(138)이 실내측브레이스(135)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봉(136)과 대응되는 실외측브레이스(174)에는 걸고리(175)가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175)의 양측에 해당되는 실외측브레이스(174)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슬롯(138)에 안착되는 선단안착리브(176)와 상기 연장부(137)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7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봉(136)과 걸고리(175)의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실외측브레이스(174)가 하부로 이동하여야 하고, 상기 안착슬롯(138)과 선단안착리브(176)가 분리되기 위해서는 실외측브레이스(174)가 상부로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측브레이스(174)와 실내측브레이스(135)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되고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Brace apparatus for window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서 실외측 부품인 쉬라우드와 실내측 부품인 에어가이드를 연결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을 베이스팬(1)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전면에는 프론트패널(3)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에는 그 하측에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흡입부(3i)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그릴(3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3i)에는 흡입그릴(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과 흡입부(3i)의 사이에는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의 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5)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5)는 상기 흡입부(3i)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에어가이드(7) 내에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7)는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기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측과 실외측은 상기 에어가이드(7)에 의해 서로 차폐된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7)의 내부에는 스크롤(9)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롤(9)은 그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는 유동가이드면(9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롤(9)은 그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실내측과 실외측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롤(9)의 전면,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5)와 대응되게 오리피스(11)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1)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5)를 통과해서 유동되는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측팬(13)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1)의 상단에는 상기 토출그릴(3e)로 열교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가이드(11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롤(9)의 내부에는 실내측팬(13)이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흡입부(3i), 실내열교환기(5) 및 오리피스공(12)을 거쳐 유동되게 한다. 상기 실내측팬(13)은 상기 오리피스공(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그 원심방향으로 불어내는 것으로, 불어내어진 공기는 상기 유동가이드면(9g)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토출가이드(11e)로 유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가이드(7)의 실외측에는 상기 실내측팬(13)과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측팬(17)을 회전시키는 모터(15)가 장착된다. 상기 모터(15)는 회전축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중 일측 회전축은 상기 에어가이드(7)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롤(9)의 중심까지 연장설치되어 상기 실내측팬(13)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5)의 실외측 회전축에는 실외측팬(17)이 설치된다. 상기 실외측팬(17)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열교환기(19)를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외측팬(17)에는 그 날개 끝부분을 연결하는 링(17r)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링(17r)은 상기 베이스팬(1) 상으로 전달된 응축수를 튀겨서 실외열교환기(19)에 뿌려 열교환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외측팬(17)이 형성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쉬라우드(18)가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18)에는 상기 실외측팬(17)이 위치되도록 실외열교환기(19)측과 연통되는 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쉬라우드(18)와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팬(1)의 실외측에는 실외열교환기(19)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9)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가 열교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외측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압축기와 팽창밸브 등이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를 형성하는 각종 부품을 아웃케이스(20)가 외부와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아웃케이스(20)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실내측 부품인 에어가이드(7)와 실외측 부품인 쉬라우드(18)를 체결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에어가이드(7)의 배면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 실내측브레이스(2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내측브레이스(22)의 선단 중앙에는 체결대(2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대(23)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체결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대(23)의 양단에는 반원통상의 안착홈(2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24,24')은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내측브레이스(22)와 대응되는 쉬라우드(18) 측에는 실외측 브레이스(26)가 상기 실내측브레이스(22)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외측브레이스(26)의 선단 중앙에는 상기 체결대(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대(27)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대(27)에는 체결공(2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삽입대(27)는 상기 체결대(23)와 나사(29)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대(27)의 양단에는 각각 안착봉(28,28')이 상기 실내측브레이스(22)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봉(28,28')은 각각 상기 안착홈(24,24')에 안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내측브레이스(22)와 실외측브레이스(26)는 그 체결상태가 상대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실내측브레이스(22)와 실외측브레이스(26)는 나사(29)를 체결하여야만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대(23)와 삽입대(27)만이 체결되고 좌우의 안착봉(28,28')은 상부로 개구된 안착홈(24,24')에 얹어지는 상태여서 좌우로 유동이 발생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나사(29)의 체결상태가 풀어지면 상기 브레이스(22,26)의 체결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가이드와 쉬라우드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가이드와 쉬라우드의 용이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브레이스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브레이스장치가 채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레이스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베이스팬 60: 프론트패널
61: 흡입부 64: 토출부
69: 콘트롤패널부 70: 흡입그릴
80: 실내열교환기 82: 채널
90: 공기정화유니트 100: 오리피스
102: 오리피스공 110: 에어가이드
111: 유동안내부 112: 단열공간
130: 토출가이드 131: 토출유로
132: 콘트롤박스안착부 140: 모터
150: 실내측팬 160: 실외측팬
170: 쉬라우드 180: 실외열교환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 상단에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와, 상기 토출가이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내측브레이스와,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와 체결되도록 쉬라우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외측브레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와 실외측브레이스의 선단이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전되면서 걸어져 체결된다.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의 선단 중앙에는 걸이봉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봉의 양단에 대응되는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의 양단에는 안착슬롯을 구비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실외측브레이스에는 상기 걸이봉에 걸어지는 걸고리가 선단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의 양단에 대응되는 실외측브레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선단안착리브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슬롯은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며, 상기 걸고리는 그 상부로부터 상기 걸이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실외측브레이스에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를 상기 체결공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슬롯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쉬라우드 일체형 오리피스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부품의 관리가 간단해지고 조립공정 또한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팬(50)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50)에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안착된다. 먼저, 프론트패널(60)이 상기 베이스팬(50)의 실내측 선단에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패널(60)은 상기 베이스팬(50)의 선단과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다. 상기 프론트패널(60)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61)가 중간 하부 전체를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60)의 상단에는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통로인 토출부(6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64)에는 상기 토출부(6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토출그릴(65)이구비된다. 상기 토출부(64)의 일측 옆에 해당되는 상기 흡입부(61)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위한 콘트롤패널부(69)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60)의 흡입부(61)에는 흡입그릴(7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70)은 상기 흡입부(61)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이면서 상기 흡입부(61)를 통해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그릴(70)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부분인 그릴부(71)가 좌우로 길게 다수개가 상하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70)의 상단에는 장식을 위한 데코패널(73)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60)의 후방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팬(50),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에어가이드(110) 상에는 실내열교환기(8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80)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으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열교환기(80)의 양단에는 각각 채널(82)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전면에는 공기정화유니트(9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유니트(90)는 플라즈마집진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정화유니트(9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80)의 채널(82)에 그 일측이 장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80)의 배면에는 오리피스(100)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00)는 그 일측에 상기 실내열교환기(80)를 통과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오리피스공(102)이 천공되어 있다.
에어가이드(110)는 상기 베이스팬(5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의내부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분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10)는 그 폭이 베이스팬(5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내부에는 실내측팬(150)이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100)를 통과하여 실내측팬(150)에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동안내부(111)가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안내부(111)는 에어가이드(110)의 중앙에 형성되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쳐져 형성된다. 상기 유동안내부(111)의 일측으로는 단열공간(112)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공간(112)은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동작될 때, 유동안내부(111)를 흐르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와 공기조화기 외부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공기에 의해 이슬맺힘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선단 하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80)의 설치를 위한 열교환기안착부(1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80)가 안착된 후방에는 상기 오리피스(100)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00)는 상기 유동안내부(111)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오리피스공(102)은 상기 유동안내부(111)와 동심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안내부(111)의 중앙에 해당되는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배면에는 모터안착부(119)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공간(112)과 대응되는 에어가이드(110)의 배면에는 요입부(118)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118)는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배면에서 상기 단열공간(112)을 향해 요입되게 형성되어 실외측에 압축기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상단에는 토출가이드(13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가이드(130)는 상기 유동안내부(11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부(6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토출유로(1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 콘트롤박스안착부(1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토출가이드(13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실내측브레이스(135)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는 아래에서 설명될 쉬라우드(170)의 실외측브레이스(174)와 서로 연결되어 토출가이드(130)와 쉬라우드(17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체결하게 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10)에 형성된 모터안착부(119)에 모터(140)가 직접 장착된다. 상기 모터(140)는 그 양단으로 회전축(141,141')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 둘레에는 상기 모터안착부(119)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편(143)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모터(140)의 일측 회전축(141)에는 실내측의 공기유동을 위한 실내측팬(150)이 설치되는데, 상기 실내측팬(150)은 터보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측팬(150)은 상기 유동안착부(111)에 위치된다. 상기 모터(140)의 타측 회전축(141')에는 실외측팬(160)이 설치된다. 상기 실외측팬(160)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서의 공기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실외측팬(160)은 쉬라우드(170)의 통공(172) 내에 위치한다. 상기 쉬라우드(170)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서 상기 실외측팬(160)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쉬라우드(170)의 선단에는 실외측브레이스(174)가 구비되어, 상기 토출가이드(130)에 형성된 실내측브레이스(135)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쉬라우드(170)와 토출가이드(130)를 연결하는브레이스(135,174)의 구성을, 도 4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의 선단 중앙에는 걸이봉(1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봉(136)은 그 양단에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연장부(137)에 연결된다. 상기 걸이봉(136)과 실내측브레이스(135)의 선단 사이에는 걸이슬롯(1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봉(136) 양단에 형성되는 연장부(137)에는 각각 안착슬롯(138)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슬롯(138)은 상기 연장부(137)의 선단에서 소정 거리 후퇴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슬롯(138)과 연장부(137)의 선단 사이에는 체결공(139)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외측브레이스(174)의 선단은 그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돌출되는데, 이에는 걸고리(17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고리(17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슬롯(136')을 통해 상기 걸이봉(136)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걸고리(175)는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와 실외측브레이스(174)의 체결을 위한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의 회전을 위한 중심이 된다.
상기 걸고리(175)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실외측브레이스(174)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다. 이와같은 구성은 상기 걸이봉(136)과 상기 연장부(137)의 돌출 정도와 대응되어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와 실외측브레이스(174)의 선단이 서로 요철형상으로 형합되면서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외측브레이스(174)의 양단 하면에는 상기 안착슬롯(138)에 안착되는 선단안착리브(176)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선단안착리브(176)와대응되게 상기 실외측브레이스(174)의 하면에는 지지리브(17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17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의 연장부(137) 선단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측브레이스(174)에는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의 체결공(139)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슬롯(178)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슬롯(178)을 통해서는 나사(s)가 상기 체결공(139)에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팬(50)의 실외측 최외각에는 실외열교환기(180)가 설치되는데, 상기 쉬라우드(170)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를 덮어싸고 상기 통공(17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가이드(130)의 일측에 형성된 콘트롤박스안착부(132)에는 콘트롤박스(190)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 상기 실내측팬(150)이 회전하면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입그릴(70)과 흡입부(61)를 통해 흡입된다.
상기 흡입부(6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정화유니트(90)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80)를 통과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80)를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는 열교환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되고, 상기 오리피스(100)의 오리피스공(102)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측팬(150)으로 흡입된다. 상기 실내측팬(150)에흡입된 공기는 실내측팬(150)의 원심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실내측팬(150)에서 토출된 공기는 유동안내부(111)에서 안내되어 상기 토출유로(131)로 전달된다. 상기 토출유로(131)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토출부(64)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6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상기 토출그릴(65)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상기 실외측에서는 상기 실내열교환기(80)에서 열교환한 작동유체가 압축기로 전달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고온고압으로 된 작동유체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팬(160)이 상기 모터(140)에 의해 회전되어 외부의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17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통공(172)을 통해 실외측팬(160)으로 전달되고, 상기 실외측팬(160)에서 불어내어진 공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공간(112) 쪽으로 요입되게 에어가이드(110)에 형성된 요입부(118)는 실외측 공간을 보다 넓게 만들어준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110)와 쉬라우드(170) 사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요입부(118)를 이용하여, 압축기와 같은 부품을 설치하면, 상기 요입부(118)와 대응되는 위치를 제외한 상기 에어가이드(110)와 쉬라우드(17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쉬라우드(170)와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상부를 연결하는 브레이스(135,174)를 쉬라우드(170)와 토출가이드(130)에 나누어 형성하여 연결할 수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브레이스(135,174)는 상대적으로 그 길이가 짧게 되면서 서로 연결되어 체결되므로 상대적으로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와 실외측브레이스(174)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쉬라우드(170)가 베이스팬(50)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고리(175)에 상기 걸이봉(136)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걸이봉(136)을 중심으로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가 구비된 토출가이드(130)를 회전시켜, 상기 토출가이드(130)가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상단에 안착되어 체결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토출가이드(130)가 회전되면 상기 실내측브레이스(135)의 연장부(137)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슬롯(138)아 상기 실외측브레이스(174)의 하면으로 접근하고, 상기 선단안착리브(176)가 상기 안착슬롯(138)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177)가 상기 연장부(137)의 선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장부(137)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이봉(136)과 걸고리(175)의 분리를 위한 방향과 상기 안착슬롯(138)과 선단안착리브(176) 및 지지리브(177)의 분리를 위한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브레이스(135,174)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토출가이드(130)와 쉬라우드(170)의 크기 등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나사(s)를 상기 나사슬롯(178)과 체결공(139)에 체결하여 실내측브레이스(135)와 실외측브레이스(174)의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깝게 형성된 토출가이드와 쉬라우드에 각각 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선단의 요철구조가 형합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때, 걸이봉과 걸고리의 분리방향과 안착슬롯과 선단안착리브의 분리방향이 서로 반대이어서 실내측브레이스와 실외측브레이스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어 그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그리고, 별도의 체결을 위한 구성없이도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와 실외측브레이스를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체결작업의 작업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에어가이드 상단에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와,
    상기 토출가이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내측브레이스와,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와 체결되도록 쉬라우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외측브레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와 실외측브레이스의 선단이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전되면서 걸어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의 선단 중앙에는 걸이봉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봉의 양단에 대응되는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의 양단에는 안착슬롯을 구비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실외측브레이스에는 상기 걸이봉에 걸어지는 걸고리가 선단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의 양단에 대응되는 실외측브레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선단안착리브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슬롯은 상기 실내측브레이스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며, 상기 걸고리는 그 상부로부터 상기 걸이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실외측브레이스에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를 상기 체결공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슬롯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KR10-2001-0058070A 2001-09-19 2001-09-19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KR100402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070A KR100402618B1 (ko) 2001-09-19 2001-09-19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070A KR100402618B1 (ko) 2001-09-19 2001-09-19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120A KR20030025120A (ko) 2003-03-28
KR100402618B1 true KR100402618B1 (ko) 2003-10-17

Family

ID=2772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070A KR100402618B1 (ko) 2001-09-19 2001-09-19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6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328A (ja) * 1989-09-26 1991-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一体形空気調和機
US5638693A (en) * 1995-03-20 1997-06-17 Lg Electronics Inc. Room air conditioner
KR19990021438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잠금장치가 설치된 냉장고의 도어
US6412298B2 (en) * 2000-04-29 2002-07-02 Lg Electronics Inc. Window type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328A (ja) * 1989-09-26 1991-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一体形空気調和機
US5638693A (en) * 1995-03-20 1997-06-17 Lg Electronics Inc. Room air conditioner
KR19990021438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잠금장치가 설치된 냉장고의 도어
US6412298B2 (en) * 2000-04-29 2002-07-02 Lg Electronics Inc.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120A (ko) 200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467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KR10040261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장치
KR100437393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20200114497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42034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84301B1 (ko) 공기조화기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10036651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장착구조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KR200232367Y1 (ko) 패키지에어콘의흡입구조
KR100758907B1 (ko) 공기조화기
KR10045237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10036651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열교환기 장착구조
JPH0985032A (ja) 空気調和機
KR100564457B1 (ko) 공기조화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10197320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245705Y1 (ko) 분리형에어콘의실내기
KR100509044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산소배출관 설치구조
KR20080071968A (ko)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KR2007007764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실내기
KR20060114201A (ko) 공기 청정 기능이 겸비된 일체형 공기 조화기
KR20020006941A (ko)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일체형 오리피스
KR20030025410A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클리너 장착구조
KR20070055926A (ko) 패키지 에어컨의 마그네트 브래킷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