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144B1 -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02144B1 KR100402144B1 KR10-2000-0074037A KR20000074037A KR100402144B1 KR 100402144 B1 KR100402144 B1 KR 100402144B1 KR 20000074037 A KR20000074037 A KR 20000074037A KR 100402144 B1 KR100402144 B1 KR 100402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wind
- magnet
- generator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체 내에 발전기가 설치되며 발전기의 축이 함체 상부로 돌출되어 축 상단에 바람받이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함체의 상부에 하부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자석의 상부에 동일극성의 상부자석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자석은 지지대에 의해 상기 축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바람받이부재는 상기 축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형상의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축에 고정되어 바람의 저항력을 받는 가변기로 이루어지며; 가변기는 상기 축에 일단이 고정된 다수의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이 축설된 다수의 바람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람컵의 내측단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도록 스프링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편하며, 자석의 반발력에 의한 초기 기동력을 증대시켜 아주 약한 미풍에서도 발전기 축을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발전기 축의 회전수가 증가되면 바람컵의 외측으로 밀려나가 더 큰 회전력의 발생으로 회전이 가속되어 자연풍에서도 발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적인 자연풍을 이용 회전력을 높여 발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력공급이 안돼는 벽지나 야외에서의 전기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발전소로부터 전력을 연결하는 시설비가 과다하게 투자되는 문제로 이를 실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간이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가솔린 및 등유 등의 연료로 작동되는 엔진을 가동시켜 엔진에 의한 회전력으로 발전기를 운전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화하여 전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간이 발전설비의 가동을 위하여 과다한 연료가 소비되는 문제 때문에 소비전력이 적은 지역에서는 전원을 제공하는데 연료비가 통상의 전기료보다 과중하게 지출되는 불합리하다. 이에 일반 축전지를 사용하기도 하나 축전지는 큰 전력을 얻을 수 없으며, 장시간 사용이 어렵고, 사용 후에는 반듯이 재충전을 하여만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설비가 저렴하고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며 별도의 에너지가 불필요한 풍력을 이용하는 발전장치가 연구되어 왔으며, 상당히 고 전력을 얻을 수 있는 단계에 도달되어 있는 현실이다. 상기 풍력을 이용하는 발전장치들의 주목적은, 미풍에도 발전기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팔랑개비 역할을 하는 날개(임펠러)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왔으며, 날개는 원통형 또는 프로펠러 형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자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풍력을 이용하는 원통형 또는 프로펠러 형상의 발전장치는 바람에 저항을 받는 각도에 대하여 연구하여 왔기에 바람의 세기가 아주 약한 미풍인 경우에는 회전력을 얻지 못하여 발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풍력을 이용하는 발전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주 약한 미풍에서도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초기 기동력의 증대에 의해 발전기 축을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발전기 축의 회전수가 증가되면 바람컵이 외측으로 밀려나가 더 큰 회전력의 발생으로 회전이 가속되어 자연풍에서도 발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도 3은 본 발명의 가변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전기 2 : 바람받이부재
3 : 함체 4 : 하부자석
4' : 상부자석 5 : 지지대
6 : 송풍기 7 : 가변기
11 : 축 71 : 실린더
72 : 바람컵 75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는, 함체 내에 발전기가 설치되며 발전기의 축이 함체 상부로 돌출되어 축 상단에 바람받이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부에 하부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자석의 상부에 동일 극성의 상부자석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자석은 지지대에 의해 상기 축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바람받이부재는 상기 축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형상의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축에 고정되어 바람의 저항력을 받는 가변기로 이루어지며; 가변기는 상기 축에 일단이 고정된 다수의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이 축설된 다수의 바람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람컵의 내측단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도록 스프링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에 대한 단면도로서, 부호 1은 발전기, 2는 바람받이부재, 3은 함체를 나타낸다.
발전기(1)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통상의 것이며,발전기(1)의 축(11)을 길게 연장하여 형성한다.
상기 발전기(1)는 철골조 및 철판 등으로 만들어지는 함체(3)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기(1)의 축(11)은 함체(3) 상부 중앙으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함체(3)의 상부에는 상기 축(11)으로부터 소정거리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링 형상의 하부자석(4)이 부착되며, 상기 하부자석(4)의 상부로는 서로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근접시켜 링 형상의 상부자석(4')을 배치하되 상부자석(4')은 상기 축(11)에 고정된 지지대(5)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하부자석(4) 및 상부자석(4')은 동일 극성의 것을 사용하여 항상 반발력이 작용되도록 하며, 반발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하부자석(4) 및 상부자석(4')의 단면 형상을 호형의 돌기 및 홈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하부자석(4) 및 상부자석(4')의 단면 형상은 호형의 돌기 및 홈에 한정하지 않고 가공비 및 성형비를 줄이기 위하여 서로 근접하는 부위가 평면 또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도넛 형상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지지대(5)는 축(11)에 중심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축(11)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자석(4')을 감싼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자석(4')을 부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
바람받이부재(2)는 상기 발전기(1) 축(11)의 상단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날개가 모여 구 형상을 이루는 송풍기(6)와, 상기 송풍기(6)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축(11)에 고정되어 바람의 저항력을 받는 가변기(7)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기(7)는 상기 발전기(1) 축(11)에 일단이 모여 고정되는 3~6개의 실린더(71)와, 상기 실린더(71)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72')이 연장되어 축설된 3~6개의 바람컵(7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람컵(72)의 내측단(73)의 고리(731)에는 스프링(75)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71)의 내벽(74) 쪽에는 스프링(75)의 타단이 실린더(71)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편(741)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스프링(75)이 바람컵(72)을 축(11) 방향으로 당기고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축(11)은 발전기(1)의 내부에 있는 미도시된 코일, 자석 등의 전기 발생용 부품과 연결되어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8은 축(1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이며, 9는 발전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발전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함체(3)를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면, 하부자석(4)과 상부자석(4')의 반발력이 작용하면서 발전기(1)의 축(11)이 회전하기에 바람직한 부하가 감소된 상태를 만듦으로서 아주 약한 미풍의 바람이 송풍기(6) 및 가변기(7)의 바람컵(72)에 전달되어도 곧 축(11)이 회전하게 되며, 회전하기 시작하는 축(11)은 하부자석(4)과 상부자석(4')의 반발력 작용에 의하여 더욱 가속 회전하여 발전기(1)를 통해 소망하는 전기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축(11)이 초기 회전되면 가변기(7)의 바람컵(72)은 스프링(75)에 의하여 축(11) 방향으로 밀려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점차 하부자석(4)과 상부자석(4')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이 가속되면 상기 바람컵(72)은 외측으로 밀려나가 회전반경이 커지면서 더 큰 가속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미풍에서도 정격의 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회전을 얻게 된다.
상기 미풍에서 하부자석(4)과 상부자석(4')의 반발력에 의해 기동력이 발생되어 어어서 바람컵(72)이 외측으로 밀려나와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상태에서 통상의 자연풍의 바람이 공급되면 정격의 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최상의 회전력을 얻게 된다.
상기 발전기(1)는 하부자석(4)과 상부자석(4')의 반발력과 축(11)의 회전수의 증대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가변기(7)의 바람컵(72)이 축(1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밀려나가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이므로, 미풍 및 자연풍 등이 발생될 때 사용하게 되며, 강풍이 발생되는 짧은 기간 동안에는 발전기(1)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통상의 체결용 끈 등으로 묶어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사용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는, 그 구조가 간편하며,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아주 약한 미풍에서도 발전기 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초기 기동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발전기 축의 회전수가 증가되면 바람컵이 외측으로 밀려나가 더 큰 회전력을 발생으로 회전이 가속되어 자연풍에서도 발전 효과를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 함체(3) 내에 발전기(1)가 설치되며 발전기(1)의 축(11)이 함체(3) 상부로 돌출되어 축(11) 상단에 바람받이부재(2)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발전장치에 있어서,상기 함체(3)의 상부에 하부자석(4)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자석(4)의 상부에 동일 극성의 상부자석(4')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자석(4')은 지지대(5)에 의해 상기 축(11)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하며;상기 바람받이부재(2)는 상기 축(11)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형상의 송풍기(6)와, 상기 송풍기(6)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축(11)에 고정되어 바람의 저항력을 받는 가변기(7)로 이루어지며;가변기(7)는 상기 축(11)에 일단이 고정된 다수의 실린더(71)와, 실린더(71)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장된 일단(72')이 축설된 다수의 바람컵(7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람컵(72)의 내측단(73)과 상기 실린더(71)의 내벽(74) 쪽에 양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4037A KR100402144B1 (ko) | 2000-12-06 | 2000-12-06 |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4037A KR100402144B1 (ko) | 2000-12-06 | 2000-12-06 |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4372U Division KR200226433Y1 (ko) | 2000-12-07 | 2000-12-07 |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44829A KR20020044829A (ko) | 2002-06-19 |
KR100402144B1 true KR100402144B1 (ko) | 2003-10-22 |
Family
ID=2768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4037A KR100402144B1 (ko) | 2000-12-06 | 2000-12-06 |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021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5653A (ko) * | 2001-09-21 | 2003-03-29 | 김응필 | 풍력 발전장치 |
KR100682411B1 (ko) * | 2002-07-20 | 2007-02-15 | 김응정 | 풍력 발전장치 |
-
2000
- 2000-12-06 KR KR10-2000-0074037A patent/KR10040214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44829A (ko) | 2002-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708566C2 (ru) |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размещенная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 |
US10724502B2 (en) | Vertical axis wind turbine apparatus and system | |
JP2008106622A (ja) | 風力発電用羽根回転装置及び該回転装置を備えた風力発電装置 | |
KR102549234B1 (ko) | 불규칙적이고 넓은 범위의 에너지 수확능력을 갖는 적응형 마찰대전 나노발전기 및 그 작동방법 | |
US8536726B2 (en) | Electrical machines, wind turbine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electrical machine | |
KR20160049617A (ko) | 풍력발전용 듀얼 발전기 | |
US9759195B2 (en) | Wind turbine | |
TW202227715A (zh) | 多軸波浪發電裝置 | |
KR100402144B1 (ko) |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 |
JP2009138735A (ja) | 遠心推動省エネ発電システム | |
KR200226433Y1 (ko) | 자석식 풍력 발전장치 | |
EP3303826B1 (en) | Power generator assembly | |
JP4324294B2 (ja) | 小型風力発電装置 | |
JP4009888B2 (ja) | 高速縦軸回転体 | |
KR100982643B1 (ko) | 압전세라믹 및 자석을 이용한 에너지 하비스팅 장치 | |
WO2009082186A1 (en) | Wind power plant | |
KR20080086001A (ko) | 풍력 발전기 | |
US20080277937A1 (en) | Torque Motor Type Wind Generator | |
KR20230114528A (ko) | 오뚝이의 원리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 |
KR20030025653A (ko) | 풍력 발전장치 | |
KR200491127Y1 (ko) | 전기연결장치를 구비한 풍향 추적 풍력발전기 | |
KR20080077536A (ko) | 발전기 | |
CN113300508B (zh) | 一种变速转轴稳定发电装置 | |
EP1764503A2 (en) | Wind turbine rotor | |
CN2336513Y (zh) | 甚低速微小型永磁交流发电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0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