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414B1 -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 - Google Patents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414B1
KR100401414B1 KR10-2001-0054762A KR20010054762A KR100401414B1 KR 100401414 B1 KR100401414 B1 KR 100401414B1 KR 20010054762 A KR20010054762 A KR 20010054762A KR 100401414 B1 KR100401414 B1 KR 100401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olling element
preventive
lubricating oil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010A (ko
Inventor
조경연
강경식
Original Assignee
조경연
강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연, 강경식 filed Critical 조경연
Priority to KR10-2001-005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41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지구캡과 방지구몸체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프풀림방지구에 있어서, 방지구캡 내주면과 방지구몸체의 외주면에 한 조가 되는 복수열의 전동체삽입홈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볼이나 롤러 등의 전동체(轉動體)를 삽입하고 방지구몸체내에 윤활유저장부와 이와 연통되는 윤활유순환공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전동체의 배열줄수와 외형의 크기만 조정하여 제작하면 다양한 하중범위에서 사용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 견인물체의 회전에 따라 방지구몸체의 윤활유저장부에 저장된 윤활유가 순환되어 반영구적인 윤활을 가능하게 하는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단부에 고리부(5a)가 형성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방지구캡(5)과 일측단부에 고리부(8a)가 형성되고 타측은 밀폐링(11)이 삽입설치된 축부(8b)가 형성되는 방지구몸체(8)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지구캡(5)의 내부에 방지구몸체(8)를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는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방지구캡(5)의 고리부(5a)가 형성된 단부에는 주유구볼트(6b)가 체결되는 윤활유주유구(6)가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전동체삽입홈(14)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전동체삽입홈(14)과 연통되고 캡볼트(13a)로 체결되는 전동체주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방지구몸체(8)는 고리부(8a)와 축부(8b)의 사이에 플랜지부(8c)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8b)의 외주면에는 상기 방지구캡(5)의 전동체삽입홈(14)에 한 조로 대응되는 전동체삽입홈(14a)이 형성되며, 축부(8b)의 내부에는 윤활유저장부(8d)가 형성되며 축부(8b)의 외측면에는 상기 윤활유저장부(8d)의 하부와 연통되는 윤활유순환공(8e)이 형성되고, 상기 방지구몸체(8)와 방지구캡(5)사이에 한 조로 형성되는 전동체삽입홈(14)(14a)에 복수개의 전동체(轉動體)(12)가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Apparatus for preventing a rope in crane from untwisting}
본 발명은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지구캡과 방지구몸체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프풀림방지구에 있어서, 방지구캡 내주면과 방지구몸체의 외주면에 한 조가 되는 복수열의 전동체삽입홈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볼이나 롤러 등의 전동체(轉動體)를 삽입하고 방지구몸체내에 윤활유저장부와 이와 연통되는 윤활유순환공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전동체의 배열줄수와 외형의 크기만 조정하여 제작하면 다양한 하중범위에서 사용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 견인물체의 회전에 따라 방지구몸체의 윤활유저장부에 저장된 윤활유가 순환되어 반영구적인 윤활을 가능하게 하는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는 여러가닥의 가는 철사를 강한 힘으로 꼬아서 제조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중기(1)에 로프(3)를 연결하여 무거운 물체를 들리는 올리는 경우, 물체하중에 의한 인장력이 상기 로프(3)에 작용하게 되면 로프 (3)를 구성하고 있는 가는 철사가 꼬이기 전의 곧은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로 인하여 로프(3)의 꼬임상태를 풀어지게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써 로프(3)의 꼬임이 풀어지게 되고 결국 로프(3)가 감당할 수 있는 기본하중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로프(3)가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중기(1)의 로프(3)와 물체를 들어올리는 후크(4)사이에는 로프풀림방지구(2)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와같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로프풀림방지구는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 의한 로프풀림방지구는 일측에 고리부(28a)가 형성된 방지구몸체 (28)의 원통형 축부(28b)에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홈에 밀폐링(21)이 삽입된 다음, 결합너트(29)와 4개의 앵귤러 컨택트 베어링(Angular contact bearing)(27)이 삽입되고 그 위에 2개의 고정너트(20)(20a)가 체결된 후 풀림방지볼트(26a)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방지구몸체(28)는 일측에 고리부(25a)가 형성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원통형의 방지구캡(25)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너트(29)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너트(29)는 고정볼트(30)에 의해 풀리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방지구캡(25)에 형성된 주유구(26)에 설치된 주유니플(26c)을 통해서 베어링(27)을 윤활시키는 그리스가 주유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로프풀림방지구는 방지구캡(25)의 고리부 (25a)에 기중기(1)로부터 로프(3)가 연결되며 방지구몸체(28)의 하부고리(28a)에는 물체를 걸어올리는 후크(4)가 연결되어, 기중기(1)로 물체를 들어올릴 때 물체의 하중에 의한 인장력으로 인하여 로프(3)의 꼬임이 풀어지게 하려는 힘이 작용하는경우 그 힘에 의하여 상기 방지구몸체(28)가 회전하도록 하므로써 로프(3)의 꼬임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로프풀림방지구는 방지구몸체(28)에 베어링(27)을 개재하고 2개의 고정너트(20)(20a)를 체결한 후 방지구캡(25)의 내부에 삽입되게 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실제로 로프풀림방지구(2)에 걸리는 전체하중은 상기 2개의 고정너트(20)(20a)에 의존하게 되므로써 사용중 상기 고정너트(20)(20a)가 풀리거나 과부하로 인한 고정너트(20)(20a)의 파손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서 작업장의 안전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로프풀림방지구는 윤활유로서 점성이 높은 반고체상의 그리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주유니플(26c)로 주유된 그리스는 앵귤러 컨택트 베어링 (27)의 하부쪽에 배출구가 없어서 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27)내의 볼에 골고루 주유가 어렵게 되므로 고속회전시 베어링(27)의 수명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로프풀림방지구에 사용되는 앵귤러 컨택트 베어링(27)은 기능면에서 고하중을 요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를 합쳐야만 설계하중을 감당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당한 정밀도를 요하는 동시에 수시로 분해하여 조정이 필요하지만 사용여건상 안전도 점검이 어려우므로, 이 중 하나만 마모되어도 나머지 베어링(27)의 중심조절기준이 이탈되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큰 단점이 있었으며, 또 거의 수입에 의존하게 되므로 가격도 고가이며 규격별 재고를 구하기 어려움으로 인하여 저가 모방품이 범람하게 되어 건설현장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지구캡과 방지구몸체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프풀림방지구에 있어서, 방지구캡 내주면과 방지구몸체의 외주면에 한 조가 되는 복수열의 전동체삽입홈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볼이나 롤러 등의 전동체(轉動體)를 삽입하고 방지구몸체내에 윤활유저장부와 이와 연통되는 윤활유순환공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전동체의 배열줄수와 외형의 크기만 조정하여 제작하면 다양한 하중범위에서 사용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 견인물체의 회전에 따라 방지구몸체의 윤활유저장부에 저장된 윤활유가 순환되어 반영구적인 윤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방지구캡과 일측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밀폐링이 삽입설치된 축부가 형성되는 방지구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지구캡의 내부에 방지구몸체를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는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방지구캡의 고리부가 형성된 단부에는 주유구볼트가 체결되는 윤활유주유구가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전동체삽입홈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전동체삽입홈과 연통되고 캡볼트로 체결되는 전동체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방지구몸체는 고리부와 축부의 사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방지구캡의 전동체삽입홈에 한 조로 대응되는 전동체삽입홈이 형성되며, 축부의 내부에는 윤활유저장부가 형성되며 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윤활유저장부의 하부와 연통되는 윤활유순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방지구몸체와 방지구캡사이에 한 조로 형성되는 전동체삽입홈에 복수개의 전동체(轉動體)가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프풀림방지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로프풀림방지구가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프풀림방지구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프풀림방지구에 대한 일실시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프풀림방지구에 대한 이실시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중기 2 : 로프풀림방지구
3 : 로프 4 : 후크
5 : 방지구캡 5a : 고리부
6 : 윤활유주유구 6b : 주유구볼트
8 : 방지구몸체 8a : 고리부
8b : 축부 8c : 플랜지부
8d : 윤활유저장부 8e : 윤활유순환공
11 : 밀폐링 12 : 전동체(轉動體)
13 : 전동체주입구 13a : 캡볼트
14, 14a : 전동체삽입홈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로프풀림방지구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로프풀림방지구에 대한 일실시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로프풀림방지구에 대한 이실시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프풀림방지구는 일측에는 고리부(5a)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된 원통형의 방지구캡(5)과, 일측에 고리부(8a)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방지구캡(5)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의 축부(8b)로 된 방지구몸체(8)로 이루어진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2)에 있어서, 상기 방지구캡(5)의 내주면에는 복수열의 전동체삽입홈(14)을 형성하며 외측면에는 전동체삽입홈(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동체주입구(13)를 관통시켜 형성하고, 상기 전동체주입구(13)에는 상기 전동체삽입홈(14)과 연속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체삽입홈(14)과 동일한 형상으로 홈을 형성한 내주면을 가진 캡볼트(13a)를 나사결합하고, 상기 방지구캡(5)의 고리부(5a)가 형성된 단부에는 방지구캡(5)의 내부로 관통하는 윤활유주유구(6)를 형성하며 상기 윤활유주유구(6)에는 주유구볼트(6b)를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방지구몸체(8)의 축부(8b)와 고리부(8a)사이에 플랜지부(8c)가 형성되며, 상기 축부(8b)의 외주면에는 상기 방지구캡(5)의 전동체삽입홈(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동체삽입홈(14a)을 형성하고, 상기 축부(8b)의 내부에는 윤활유저장부(8d)를 형성하고, 상기 축부(8b)의 외측면에는 상기 윤활유저장부(8d)의 하부와 연통하는 윤활유순환공(8e)이 형성되며, 상기 방지구몸체(8)와 방지구캡(5)사이에 한 조로 형성되는 전동체삽입홈(14)(14a)에 복수개의 전동체(12)가 삽입되어 결합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체(12)는 통상적으로 베어링을 제조할 때 사용하게 되는 볼(ball)이나 롤러(roller)를 사용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볼(ball)을 전동체(12)로 하는 경우는 상기 전동체삽입홈(14)(14a)을 단면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형성하여 저하중용으로 사용하게 되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실시예로서 롤러(rollr)를 전동체(12)로 하는 경우는 상기 전동체삽입홈(14)(14a)을 단면형상이 다이아몬드형이 되도록 형성하여 고하중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지구몸체(8)를 축부(8b)와 플랜지부(8c)가 맞닿는 부분에 밀폐링 (11)을 끼운 상태로 방지구캡(5)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상기 전동체주입구(13)을 통하여 전동체삽입홈(14)(14a)에 복수개의 전동체(12)를 삽입한 후, 윤활유가 누유되지 않도록 상기 캡볼트(13a)에 도시되지 않은 와셔와 패킹을 삽입한 다음 상기전동체주입구(13)에 체결하고, 상기 윤활유주유구(6)을 통하여 그리스보다 유동성이 있는 윤활유를 주유한 다음, 상기 주유구볼트(6b)도 윤활유가 누유되지 않도록 도시되지 않은 와셔와 패킹을 삽입한 다음 상기 윤활유주유구(6)에 체결하므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있는 본 발명은 방지구캡(5)의 고리부(5a)에 기중기 (1)로부터 로프(3)가 연결되고, 방지구몸체(8)의 고리부(8a)에는 물체를 걸어올리는 후크(4)가 연결되어 기중기(1)로 물체를 들어올릴 때 방지구캡(5)의 내주면과 방지구몸체(8)의 외주면에 전동체(12)가 원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된 전동체삽입홈(14)(14a)에 삽입된 전동체(12)에 의해서 물체의 하중을 지탱하는 동시에 물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물체를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하고, 사용하중의 증가에 따라 전동체(12)의 배열줄수와 외형의 크기만 조정하여 제작하면 다양한 하중범위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리스보다 유동성이 큰 윤활유로서 통상적으로 일반기계의 윤활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계유(machine oil)가 방지구캡(5)에 형성된 윤활유주유구(6)로 주유되어 방지구몸체(8)의 중심부에 윤활유저장부(8d)에 저장되고, 로프풀림방지구 (2)의 방지구몸체(8)의 회전으로 인해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저장된 윤활유가 방지구몸체(8)의 상부로 흘러나와 전동체(12)와 전동체삽입홈(14)(14a)을 윤활하게 되며, 윤활을 마친 윤활유는 다시 흘러내려 복수의 윤활유순환공(8e)을 통해 윤활유저장부(8d)로 복귀되므로써 수시로 윤활유를 주유할 필요가 없이 제작시 한번의 주유로 반영구적인 윤활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는 유동성있는 윤활유를 사용하고 방지구몸체의 중심부에 윤활유저장부를 두어 한 번 주유한 윤활유가 순환되도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방지구캡의 내주면과 방지구몸체의 외주면에 전동체가 원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동체삽입홈에 삽입된 복수개의 전동체에 의해서 물체의 하중을 지탱하는 동시에 물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하중에 따라 고가의 앵귤러 컨택트 베어링을 구입할 필요없이 전동체의 배열줄수와 외형의 크기만 조정하여 제작하면 어떤 하중범위에서 사용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입에만 의존하는 고가의 베어링에 의존하는 설계를 탈피하여 로프풀림방지구에 부과되는 정격하중에 안전율을 감안한 설계에 의한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로프를 이용한 견인작업을 더욱 더 안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단부에 고리부(5a)가 형성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방지구캡(5)과 일측단부에 고리부(8a)가 형성되고 타측은 밀폐링(11)이 삽입설치된 축부(8b)가 형성되는 방지구몸체(8)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지구캡(5)의 내부에 방지구몸체(8)를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는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방지구캡(5)의 고리부(5a)가 형성된 단부에는 주유구볼트(6b)가 체결되는 윤활유주유구(6)가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전동체삽입홈(14)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전동체삽입홈(14)과 연통되고 캡볼트(13a)로 체결되는 전동체주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방지구몸체(8)는 고리부(8a)와 축부(8b)의 사이에 플랜지부(8c)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8b)의 외주면에는 상기 방지구캡(5)의 전동체삽입홈(14)에 한 조로 대응되는 전동체삽입홈(14a)이 형성되며, 축부(8b)의 내부에는 윤활유저장부 (8d)가 형성되며 축부(8b)의 외측면에는 상기 윤활유저장부(8d)의 하부와 연통되는 윤활유순환공(8e)이 형성되고,
    상기 방지구몸체(8)와 방지구캡(5)사이에 한 조로 형성되는 전동체삽입홈 (14)(14a)에 복수개의 전동체(轉動體)(12)가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
KR10-2001-0054762A 2001-09-06 2001-09-06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 KR100401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762A KR100401414B1 (ko) 2001-09-06 2001-09-06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762A KR100401414B1 (ko) 2001-09-06 2001-09-06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010A KR20010092010A (ko) 2001-10-24
KR100401414B1 true KR100401414B1 (ko) 2003-10-17

Family

ID=1971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762A KR100401414B1 (ko) 2001-09-06 2001-09-06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4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050U (ko) * 1980-07-01 1982-01-27
JPS5785574U (ko) * 1980-11-17 1982-05-26
JPS5785573U (ko) * 1980-11-17 1982-05-26
JPS62146036U (ko) * 1986-03-07 1987-09-14
JPH0337494A (ja) * 1989-06-28 1991-02-18 Wilhelm Hegler 下水管衛生処理用合成物質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050U (ko) * 1980-07-01 1982-01-27
JPS5785574U (ko) * 1980-11-17 1982-05-26
JPS5785573U (ko) * 1980-11-17 1982-05-26
JPS62146036U (ko) * 1986-03-07 1987-09-14
JPH0337494A (ja) * 1989-06-28 1991-02-18 Wilhelm Hegler 下水管衛生処理用合成物質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010A (ko) 200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6176B1 (de) Seilantriebselement zum Antreiben von Kunstfaserseilen
EP3494079B1 (de) Anschlagring mit einer zum einhängen eines anschlagmittels oder zurrmittels dienenden tragöse
CN202251313U (zh) 并紧多通道润滑销轴
DE1959585A1 (de) Schmiersystem
KR100401414B1 (ko) 기중기용 로프풀림방지구
WO1998002618A3 (en) Sealed pin joint assembly
DE20212523U1 (de) Kuppl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n
CN204661149U (zh) 一种钢丝绳防扭装置
US3353374A (en) Universal joint
DE19945089A1 (de) Planetengetriebe
CN205855884U (zh) 抓斗钢索导轮结构
DE102015220607A1 (de) Vierpunkt-Stützlager
DE634803C (de) Gelenkige Foerderkette (Baggereimerkette o. dgl.) mit Schmiervorrichtung
CN115303952A (zh) 一种可根据坠落高度调节缓冲距离的防坠器
DE19849693C2 (de) Kettenzug mit Aufhängung am Kettennussgehäuse
DE2630193A1 (de) Schublagerschmierung
CN220866912U (zh) 一种带有顶部旋转机构的起重球钩
US1523733A (en) Traveling block
CN103373665A (zh) 扭矩释放装置以及用于起重机的钢丝绳连接结构
CN206985499U (zh) 一种可变阻尼的钢丝绳扭转力释放装置
CN117125597A (zh) 一种带有顶部旋转机构的起重球钩
DE19647173C2 (de) Schraubverankerung für einen Schmierstoffanschlußteil an einem Linearführungswagen
DE3517042C2 (ko)
CN216343856U (zh) 一种农机链用接销
CN205677931U (zh) 工程机械用销轴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