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630B1 -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630B1
KR100399630B1 KR10-2001-0030317A KR20010030317A KR100399630B1 KR 100399630 B1 KR100399630 B1 KR 100399630B1 KR 20010030317 A KR20010030317 A KR 20010030317A KR 100399630 B1 KR100399630 B1 KR 100399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eight
parts
fabric
synthetic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546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득금물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득금물산(주) filed Critical 득금물산(주)
Priority to KR10-2001-003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6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 D06M11/0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with free halogens or interhalogen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취화물을 포함하는 방염제를 사용하여 먼저 방염 처리한 후, 불소계 발수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우수한 방염성 및 발수성을 갖는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은 폴리우레탄 주재수지에 인취화물을 혼합한 방염제로 1차 도포하고, 기타 방염물질로 제조된 코팅액으로 2차 도포한 후 별도로 불소계 발수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방염성과 발수성이 동시에 달성된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취화물을 함유한 방염제로 코팅한 후 발수처리함으로써 방수방염성 뿐 아니라 일광에 의한 황변방지성능도 향상된 방수방염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ynthetic fiber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nd flame retardation}
본 발명은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취화물을 포함하는 방염제를 사용하여 먼저 방염 처리한 후, 불소계 발수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우수한 방염성 및 발수성을 갖는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에 방염성만 부여하거나 발수성만을 부여하는 것은 쉬우나 두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발수제와 방염제를 동시에 혼합하여 직물에 처리할 경우 두 조제간의 상쇄효과에 의해 방염성과 발수성이 단독처리시보다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즉, 방염성과 발수성을 동시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1차로 발수제를 먼저 처리한 다음 2차로 방염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1차로 처리한 발수제로 인하여 필라멘트를 사용한 합섬직물의 경우 접착력이 현저히 열악해지며 섬유 올 사이에 발수제 성분이 충분히 침투하여 방염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방염성과 발수성을 동시에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 특개평 03-287872호에는 방염제로 브롬계 폴리머와 발수제로 퍼풀루오르알킬기(perfluoralkyl group) 함유 아크릴레이트(acrylate)를 공중합하여 만든 불소 함유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발수제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그 효과에 비해 고가이어서 현실성이 부족하다.
방염성과 발수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다른 방법으로 국내특허 공개공보 제 1998-044972호에는 인계 방염제 희석액과 불소계 발수제를 혼합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용성 방염제의 영향으로 염색지 원단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인취화물을 포함하는 방염제를 사용하여 먼저 방염 처리한 후, 불소계 발수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우수한 방염성 및 발수성을 갖는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염처리와 발수처리 단계를 거쳐 방수방염성능 뿐 아니라 일광에 의한 황변방지성능도 향상된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은 주재수지인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된 브롬화합물과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를 브롬함량 50 내지 53%, 인함량을 1 내지 3%가 되도록 합성한 인취화물 25 내지 65중량부, 금속산화물 3 내지 20중량부, 기타 방염제로서 하기 일반식 [Ⅱ] 또는 [Ⅲ]으로 표시된 화합물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50중량부 및 하기 일반식 [Ⅳ]로 표시된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코팅액을 직물에 1차 도포하는 단계, 상기 1차 도포된 직물에 폴리우레탄 주재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염제로서 하기 일반식 [Ⅱ] 또는 [Ⅲ]으로 표시된 화합물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50중량부, 실리카 파우다 2 내지 6중량부, 금속산화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코팅액을 2차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도포된 직물에 불소계 발수제를 0.3 내지 2.0% 수용액으로 하여 픽업률 50 내지 100%로 조절한 후 110 내지 180℃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O-A-B-A-OH [Ⅱ]
D-O-A-B-A-O-D [Ⅲ]
A-B-A [Ⅳ]
상기 식에서, A는 1이상의 할로겐 원소가 치환된 벤젠 또는 벤젠핵의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유도체이고 B는 산소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탄화수소나 할로겐화 탄화수소이며 D는 탄소수가 2 내지 6인 히드록시알킬 또는 할로겐화 히드록시알킬 화합물이다.
상기 1, 2차 코팅액은 각각 직물에 대하여 13 내지 25중량부의 양으로 도포량을 조절하여 120 내지 150℃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직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주재수지인 폴리우레탄수지는 지방족(aliphatic) 폴리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취화물을 함유한 방염제로 1차 코팅하고, 기타 방염물질로 제조된 코팅액으로 2차 도포한 후 별도로 발수처리를 행하는 방법으로써 방염성와 발수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방염 코팅제로서 열안정성이 낮은 염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인취화물을 사용하여 방염처리하고, 지방족 폴리우레탄을 주재수지로 사용함으로써 일광에 의한 황변방지성능이 우수한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아미드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 폴리올레핀섬유 및 폴리염화비닐섬유와 같은 공지의 합성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섬유는 폴리아미드계섬유 즉 나일론 섬유에 비해 한계산소지수(Limit Oxygen Index)가 2배 정도 낮아 난연성이 낮으며 섬유의 데니아 즉 굵기나 조직의 형태에 따라 그 난연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즉, 원사의 데니아는 표면적과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SA/SB = ??dB/dA
상기 식에서 SA는 dA데니아의 표면적을 나타내며 SB는 dB데니아의 표면적을 나타낸다.
상기 관계식에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500데니아의 원사로 제직한 직물은 250데니아의 원사로 제직한 직물에 비해 표면적이 더 작으며 이것은 섬유표면에 부착된 난연제의 잔존량이 더 적어 난연성이 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태데니아로 제직한 직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는 매우 어렵고 섬유의 굵기에 따라 처방을 특수하게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폴리에스테르 태데니아로 제직한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섬유의 방염화에 효과가 있는 원소로 제5족 원소인 질소(N), 인(P), 안타몬(Sb) 등이 있고 불소(F), 염소(Cl), 취소(Br)를 포함한 할로겐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의 원소 예컨대 인과 할로겐, 인과 질소, 안티몬과 할로겐 또는 인과 질소가 서로 공존하여 그 상승작용에 의해 방염효과를 크게 증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각각의 성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인계화합물은 주로 고상액화상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로 연소시 생성된 산이 중합하여 폴리산을 생성하여 다른 분자를 양자화하며 강한 탈수제로 수산기를 갖는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등의 탄화물을 생성시킨다. 취소계 화합물은 주로 가스상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취소반응을 일으킨 다음 탈취화 수소반응을 일으켜 이중결합이 많은 고분자의 탄화물을 쉽게 생성시키게 한다. 또한 취소를 함유하는 무거운 가스를 발생하여 산소의 접근을 막고 열의 이동을 방지하여 액화상을 보호한다. 염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액화상과 가스상 둘 다에서 난연작용을 가지며 화학적으로는 가스상에서 연소로 인한 화학반응의 정지를 촉진시키고 물리적으로는 염소를 함유하는 무거운 가스가 액화상을 보호하여 산소와 열의 접근을 막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종류가 많아 이용도가 넓다. 그러나 염소함량을 증대시키면 광 및 열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져 옥외 사용시의 황변을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염소화합물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방염제로서 염소를 함유하지 않은 할로겐으로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인취화물이 사용된다. 인취화물은 상기 구조식(Ⅰ)으로 표시된 펜타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pentabromodiphenyl oxide)와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를 합성하여 브롬함량이 50 내지 53%, 인함량이 1 내지 3%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취화물을 주재수지인 폴리우레탄 수지용액(고형분 25 내지 50%) 100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65중량부를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방염상승효과를 위해 금속산화물 3 내지 10중량부와 기타 방염제로서 상기 일반식 [Ⅱ]또는 [Ⅲ]으로 표시된 화합물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50중량부 및 상기 일반식 [Ⅳ]로 표시된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를 균질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코팅액의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아세톤 또는 톨루엔 용제를 혼합하여 코팅면 외관 품질 및 작업성이 양호하도록 점도를 7,000 내지 40,000cps로 조정하여 합성섬유 기포지에 1차 도포시킨다.
상기 1차 코팅 후의 코팅면의 끈적거림을 방지하고 내수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1차 코팅에 연속하여 2차 코팅을 실시한다. 2차 코팅액은 상기 일반식 [Ⅱ] 또는 [Ⅲ]으로 표시된 화합물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50중량부, 금속산화물 5 내지 15중량부, 실리카 파우다 2 내지 6중량부, 경질탄산칼슘 10 내지 40부 및 색소 토너 1 내지 10중량부를 폴리우레탄 용액에 혼합하여 균질 분산시켜 제조된다. 이때 코팅액의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톨루엔 또는 이소부틸알콜 등의 용제를 코팅액에 대하여 40 내지 65중량부 첨가하여 점도를 7,000 내지 30,000cps로 조정하여 도포시킨다. 용제의 양이 40중량부 미만이거나 6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성과 제품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1, 2차 코팅액은 각각 직물에 대하여 13 내지 25중량부의 양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13중량부 미만이거나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방염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코팅 후 건조온도도 120 내지 150℃로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염성을 부여하기 위한 1, 2차 도포에 사용되는 주재수지인 폴리우레탄은 일광에 의한 황변을 방지하도록 지방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2차 방염제의 코팅처리에 의해 방염성을 갖는 직물에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통상의 불소계 발수제로써 발수처리를 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불소계 발수제는 0.3 내지 2.0% 수용액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수용액을 사용한다. 발수제의 농도가 0.3% 미만인 경우 발수효과가 적고, 0.8%를 초과하는 경우방염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수제 처리시에 방염제 코팅면의 반대편 원단면에 통상의 방법으로 편면 발수하거나 딥핑(dipping)/패딩(padding) 방식으로 양면에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발수액의 픽업(pick-up)율은 원단중량의 50 내지 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업율이 50% 미만인 경우 발수제가 직물에 침투하는 효과가 미흡하고, 100%를 초과하는 경우 과량의 발수제가 직물에 도포되어 오히려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어서 110 내지 180℃에서 1내지 3분간 열처리를 행하여 방염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갖는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기 구조식 [Ⅰ]의 펜타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와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를 브롬함량 52%, 인함량 2%가 되도록 합성한 인취화물 40중량부를 고형분 30% 지방족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혼합 균질분산시키고, 삼산화안티몬 10중량부, 기타 방염제로서 일본 토소(TOSOH)사의 상기 일반식 [Ⅱ]의 화합물 30중량부, 일본 토소(TOSOH)사의 상기 일반식 [Ⅲ]의 화합물 10중량부, 일본 토소(TOSOH)사의 상기 일반식 [Ⅳ]의 화합물 20중량부, 경질탄산칼슘 15중량부 및 탈크 5중량부를 배합하여 톨루엔 20중량부와 아세톤 15중량부를 가해 1차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고형분 30% 지방족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삼산화안티몬 8중량부, 소광제로서 독일 데구사(DEGUSA)의 실리카 파우다 4.0중량부와 방염제로서 일본 토소(TOSOH)사의 상기 일반식 [Ⅱ]의 화합물 30중량부 및 경질탄산칼슘 20중량부를혼합하고 이 혼합액에 색소토너 5.0중량부를 첨가하여 원단색상과 유사하게 칼라메칭하여 균일 배합하여 2차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처리될 직물은 경사 및 위사로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5.0데니어이고 총섬도가 500데니어인 폴리에스터 평직물로 염색이 끝난 상태에서 상기 제조된 1차, 2차 코팅액을 각각 30g/s.q.m(건조중량)의 도포량으로 1차 코팅에 이어서 2차 코팅을 하였다. 코팅이 끝난 직물에 통상의 불소계 발수제 0.4% 수용액을 원단 중량대비 70% 수준의 픽업으로 함침, 패딩하여 13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170℃에서 1분간 열처리하였다.
비교예 1
불소계 발수제의 농도를 3.0%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비교예 2
1차 코팅액에서 인취화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비교예 3
방염 주재수지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방향족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도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직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방염성, 방수도, 발수도 및 일광견뢰도를 측정,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 발수도 : AATCC 22-1996 (직물의 발수도 시험방법 : 스프레이법)
* 방수도 : ISO 0811 (내수압력 측정 : mmH2O)
* 방염성 : CPAI 84, Section 6, WALLTOP MATERIAL (1995)
* 일광견뢰도 : AATCC 16E-1998, 제논-아크-등(XENON-ARC-LAMP)을 사용하여 20시간 노출시켜 그래이(gray) 스케일로 판정함.
표1
구분 발수도 (점) 내수압 (mmH2O) 일광견뢰도 (급) 방염성(경사/위사)
잔염시간(초) 드립 번(초) 탄화길이(inch)
실시예 1 80 1,100 4.5 2.0/3.0 0/0 5.6/6.1
비교예 1 100 1,300 4.5 3.0/10.5 0/0 7.9/8.3
비교예 2 80 900 4.5 5.0/12.3 1.0/2.0 9.5/10.3
비교예 3 80 1,100 2.5 3.0/4.0 1/0 5.8/6.2
표1에서 먼저 발수계의 농도가 3.0%로 증가된 비교예 1에서 발수도는 증가하나 방염성은 오히려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방염제로서 인취화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 방염도와 발수도 모두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염제의 주재수지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방향족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경우 일광견뢰도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취화물을 방염 주재수지인 지방족 폴리우레탄에 특정 성분비로 합성한 방염제를 코팅한 후, 0.3 내지 0.8% 농도의 불소계 발수제 용액을 처리함으로써 발수성, 방염성 뿐 아니라 일광견뢰도도 우수한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취화물을 혼합한 방염제로 처리한 후 불소계발수제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난연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태데니아로 제직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우수한 방수방염성능 뿐 아니라 내일광성능을 부여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합성섬유 뿐 아니라 면직물,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나이론·면 혼방, 레이온 및 천연섬유에도 용이하게 사용되어 합성섬유에서와 같은 우수한 방수방염성능을 나타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은 인취화물을 함유한 방염제로 코팅한 후 발수처리함으로써 방염성과 방수성이 모두 우수할 뿐 아니라 우수한 내일광성도 갖는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방염 가공시 가공 후 원단에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유색의 염색지 원단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열안정성도 향상된 방염 코팅을 행할 수 있어 방염가공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4)

  1. 주재수지인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된 브롬화합물과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를 브롬함량 50 내지 53%, 인함량을 1 내지 3%가 되도록 혼합한 인취화물 25 내지 65중량부, 금속산화물 3 내지 20중량부, 기타 방염제로서 하기 일반식 [Ⅱ] 또는 [Ⅲ]으로 표시된 화합물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50중량부 및 하기 일반식 [Ⅳ]로 표시된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코팅액을 직물에 1차 도포하는 단계;
    HO-A-B-A-OH [Ⅱ]
    D-O-A-B-A-O-D [Ⅲ]
    A-B-A [Ⅳ]
    상기 1차 도포된 직물에 폴리우레탄 주재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염제로서 상기 일반식 [Ⅱ] 또는 [Ⅲ]으로 표시된 화합물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50중량부, 실리카 파우다 2 내지 6중량부, 금속산화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코팅액을 2차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도포된 직물에 불소계 발수제를 0.3 내지 2.0% 수용액으로 하여 픽업률 50 내지 100%로 조절한 후 110 내지 180℃로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
    상기 식에서, A는 1이상의 할로겐 원소가 치환된 벤젠 또는 벤젠핵의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유도체이고 B는 산소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탄화수소나 할로겐화 탄화수소이며 D는 탄소수가 2 내지 6인 히드록시알킬 또는 할로겐화 히드록시알킬 화합물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2차 코팅액은 각각 직물에 대하여 13 내지 25중량부의 양으로 도포량을 조절하여 120 내지 150℃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직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수지인 폴리우레탄수지는 지방족(aliphatic)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
KR10-2001-0030317A 2001-05-31 2001-05-31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KR100399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317A KR100399630B1 (ko) 2001-05-31 2001-05-31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317A KR100399630B1 (ko) 2001-05-31 2001-05-31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546A KR20020091546A (ko) 2002-12-06
KR100399630B1 true KR100399630B1 (ko) 2003-09-29

Family

ID=2770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317A KR100399630B1 (ko) 2001-05-31 2001-05-31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57B1 (ko) * 2012-12-12 2014-08-13 지엘테크텍 주식회사 방염성, 발수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차양막 및 천막지와 그의 제조방법
KR102321637B1 (ko) * 2019-12-17 2021-11-04 (주)현대식모 난연성 및 위킹 발수성이 우수한 친환경 인조 스웨이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546A (ko) 200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1233B2 (en) Flame-retardant treatments for cellulose-containing fabrics and the fabrics so treated
US4794037A (en) Flame-proof fiber product
JP2006233152A (ja) 難燃バックコーティング剤及びそれを用いた難燃布帛
JP2000063841A (ja) メッシュシ―ト用難燃剤とこれを用いた防炎メッシュシ―ト
KR100399630B1 (ko) 방수방염성 합성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JPH11117175A (ja) メッシュシート用難燃剤とこれを用いた防炎メッシュ ート
JPH08291467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99674A (ja) 染色されたポリエーテルイミド繊維及びその染色方法
JPS6215387A (ja) 風合の優れた繊維製品の防炎加工法
JPS6364544B2 (ko)
JP5323593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用難燃加工剤、それを用いた難燃性ポリエステル繊維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難燃性ポリエステル繊維製品
JPH10237760A (ja) ポリエステル繊維構造物
JP4215555B2 (ja) ポリエステル系合成繊維構造物の難燃加工方法と難燃加工ポリエステル系合成繊維構造物
JPH0428827B2 (ko)
JP3489199B2 (ja) 難燃性ファブリックの製造方法
JPH07145562A (ja) 撥水難燃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製造法
JP3308679B2 (ja) ポリエステル系合成繊維構造物の後加工用難燃剤及びポリエステル系合成繊維構造物の難燃加工法
JP2003027373A (ja) ポリエステル系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12534A (ja) パイル布帛
JPS59216984A (ja) 防炎加工方法
JP2002294554A (ja) 難燃カーテン用基布の処理方法
JP2006299472A (ja) 難燃性アラミド繊維構造物とその製造方法
JPH0841781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法
JP2879205B2 (ja) 繊維用処理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4982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