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728B1 -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728B1
KR100398728B1 KR10-1999-0064894A KR19990064894A KR100398728B1 KR 100398728 B1 KR100398728 B1 KR 100398728B1 KR 19990064894 A KR19990064894 A KR 19990064894A KR 100398728 B1 KR100398728 B1 KR 10039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event
stat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080A (ko
Inventor
진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7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728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호 서비스를 위해 이동 통신망에서 연동하는 교환 시스템과 IWF간의 채널 상태 관리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호를 형성하도록 한 것으로, 독립된 각각의 시스템은 채널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면 해당 채널에 대하여 가용 및 비가용의 상태로 처리한 다음 관련 정보를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과, 처리된 관련 정보를 상대 시스템에 전송한 다음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응답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처리된 채널 관련 정보를 상대 시스템에 재전송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이 검출되면 상대 시스템 역시 동일한 채널 관리 정보를 등록하였음을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 방법{A Channel State Management Method Of A Between Mobile Switching System And Inter Working Func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의 교환 시스템과 IWF(Inter Working Function)간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시 교환 시스템과 IWF 간의 모빌 데이터 경로(Mobile Data Path)와 PSTN 경로(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ath)에서 발생되는 교환 시스템측과 IWF간의 채널 상태 관리 정보를 공유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호를 형성하도록 한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WF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망의 교환 시스템(Mobile Switching Center:이하 'MSC' 라 한다)과 연동하며, TIA 권고안 IS-99, IS-657, IS-658의 규정을 준수하여 MSC의 유선 전화 가입자 인터페이스나 각종 중계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PSTN 및 유선 전화 가입자를 정합하여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 및 G-3 팩스 서비스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PPP(Point to Point Protocol)를 제공하는 각종 장비를 정합하여 PPP를 이용한 인터넷 데이터 서비스와, X.25를 제공하는 각종 장비 및 PSPDN(예를들어 HiNET-P,DNS)를 정합하여 X.25 패킷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MSC와 IWF의 연동 구성은 첨부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가입자(PS)와 유선의 PSTN을 정합하는 MSC(10)와, PSPDN(40)과 라우터 및 게이트 웨이를 통해 LAN/INTERNET(50)를 정합하고, 프레임 릴레이망(60)을 통해 정보 제공자(70)를 정합하는 IWF(20)는 시그널링 경로(Signaling Path)와 모빌 데이터 경로(Mobile Data Path) 및 PSTN 경로(PSTN Path)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호 및 음성 호에 대하여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준다.
즉, 시그널링 경로의 경우 MSC(10)와 IWF(20)간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호 처리에 대한 제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랙(11)(21)간에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모빌 데이터 경로는 MSC(10)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F-랙(12)과 IWF(20)에 구비되어 있는 F-셀프(22)와 연결되며, PSTN 경로의 경우 MSC(10)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D-랙(13)과 IWF(20)에 구비되어 있는 D-셀프(23)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MSC(10)에 구비되어 IWF(20)측과 모빌 데이터 경로를 연결하고 있는 F-랙(11)은 이동 통신 가입자(PS)를 접속하는 M-랙과 연결되고, IWF(20)측과 PSTN 경로를 연결하고 있는 D-랙(12)은 PSTN을 접속하는 T-랙에 각각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경로, 모빌 데이터 경로 및 PSTN 경로로 연결되는 MSC(10)와 IWF(20)는 공동 메모리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은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므로 모빌 데이터 경로와 PSTN 경로에 대해 각각 다른 상태 테이블을 가지고 각 시스템에서 독립적인 형태로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즉, MSC(10)에도 모빌 데이터 경로와 PSTN 경로를 관리하는 상태 테이블이존재하며, IWF(20)측에도 모빌 데이터 경로와 PSTN 경로를 관리하는 상태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또한, PSTN 경로의 경우 이동 가입자(PS)가 PSTN(30)으로 호 설정을 시도하는 경우 IWF(20)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상태 테이블에서 해당 채널의 상태를 분석한 다음 해당 채널이 가용한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MSC(10)측에 호 설정 메시지인 셋업을 요구하고, PSTN(30)에서 이동 가입자(PS)에게 호 설정을 시도하는 경우 MSC(10)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상태 테이블에서 해당 채널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분석한 다음 해당 채널이 가용한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IWF(20)측에 호 설정 메시지인 셋업을 요구한다.
반면에, 이동 가입자(PS)로부터 호 설정의 시도가 발생되는 경우 모빌 데이터 경로는 항상 MSC(10)에서 IWF(20)측으로 호 설정 메시지인 셋업을 요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가입자 및 PSTN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MSC와 IWF의 연동장치는 만약, IWF에서 임의의 베어러 채널, 즉 모빌 데이터 경로 나 PRI 채널, 즉 PSTN 경로를 운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비가용한 상태로 블럭(Block)하는 경우 IWF는 자신의 상태 테이블에 해당 채널에 대한 정보를 비가용한 상태인 블럭으로 변경하여 관리하지만 MSC측에서는 해당 채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상태 관리 테이블에서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호 설정이 가용한 언블럭의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PSTN 또는 이동 가입자의 호 설정 요구에 따라 MSC측에서는 IWF가 블럭 상태로 관리하고 있는 해당 채널이 채널 할당이 가능한 가용한 채널인 것으로 판단하여 IWF측에 호 설정 메시지인 셋업에 채널 식별자(Channel Identification) 정보 요소를 해당 채널로 지정하여 호 설정을 요구하게 된다.
그러나, IWF측에서는 해당 채널에 대하여 블럭 상태로 관리하고 있어 MSC에서의 호 설정이 거부된다.
반대로, MSC에서 임의의 모빌 데이터 경로나 PSTN 경로에 대하여 운용자의 필요에 의해 블럭으로 관리하는 상태에서 IWF로부터 호 설정 메시지인 셋업이 요구되는 경우 역시 해당 채널이 비가용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호 설정이 거부되어 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망은 MSC와 IWF가 각각 다른 상태 관리 테이블을 독립적으로 운용하고 있어 관리되는 상태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MSC 또는 IWF에서 상태측 시스템에 호 설정을 요구하는 셋업이 거부되어 호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데이터 서비스의 호 설정에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MSC나 IWF측에서 자신의 상태 관리 테이블의 채널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상대측 시스템에 통지하여 MSC 및 IWF에서의 채널 관리 정보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채널 관리 불일치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 호 설정 실패 현상을 배제하여 서비스 제공에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이동 교환 시스템과 IWF간 연동을 도시한 일반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교환 시스템과 IWF간에서 상태 정보의 통보 및 처리 과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교환 시스템과 IWF간에서 상태 정보 수신 처리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교환 시스템과 IWF간에서 리셋 정보의 통보 및 처리 과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교환 시스템과 IWF간에서 리셋 정보 수신 처리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MSC 20 : IWF
30 : PST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채널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면 해당 채널에 대하여 가용 및 비가용의 상태로 처리한 다음 관련 정보를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된 관련 정보를 상대 시스템에 전송한 다음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응답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처리된 채널 관련 정보를 상대 시스템에 재전송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이 검출되면 상대 시스템 역시 동일한 채널 관리 정보를 등록하였음을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술한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MSC와 IWF간의 구조를 기반에서 수행되므로, 도면의 인용은 그대로 하되 구체적인 구성 관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MSC(10)와 IWF(20)간에서 각각의 시스템이 관리하는 채널 상태의 불일치는운용자의 필요에 의해 블럭되는 경우와 운용자의 필요나 각 시스템 내의 메인 프로세서 및 주변 프로세서에 의한 리셋의 발생으로 발생된다.
먼저, 운용자의 필요에 의해 가용한 상태에 있는 임의의 모빌 데이터 경로의 채널이나 PSTN 경로의 채널에 대하여 비가용한 상태로 블럭시키거나 비가용한 상태에 있는 채널을 가용한 상태로 언블럭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그널링 경로와 모빌 데이터 경로 및 PSTN 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MSC(10)와 IWF(20)내의 각 프로세서는 운용자의 필요에 의해 가용한 채널을 블럭시키거나 블럭 상태에 있는 채널을 가용한 상태로 언블럭시키고자 하는 명령어의 입력을 검출하여(S101) 현재 관리되고 있는 채널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에서 현재의 채널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신호의 입력이 없는 상태이면 현재의 채널 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하고, 현재 관리되고 있는 채널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신호가 검출되면 명령어를 검출한 해당 시스템은 자신의 채널 상태를 운용자가 요구하는 상태로 변경한다(S103).
즉 언블럭 상태에 있는 가용한 채널을 비가용한 채널로 블럭시키거나 블럭상태에 있는 비가용한 채널을 가용한 채널의 상태로 언블럭시킨다.
이후, 해당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자신의 상태 관리 테이블에 현재 변경되는 채널 정보를 등록한 다음 변경된 개별 채널에 대한 정보와 변경된 이유를 메시지로 정형화하여 상대 시스템측에 전송한 다음(S105), 카운터를 동작시켜 설정된 시간의카운터를 수행한다(S106).
상기와 같이 현재 관리되는 채널의 변경 정보를 상대 시스템측에 전송한 이후 카운터되는 설정된 소정 시간 이내에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채널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였음에 대한 응답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S107),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응답 정보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정형화된 채널 상태 변경 정보를 상대 시스템측에 재전송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대 시스템 역시 자신과 동일하게 채널 관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변경시켜 등록한 것으로 인증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종료한다(S108).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채널의 변경 정보를 수신한 상대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첨부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채널의 상태 변경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채널에 대하여 가용한 상태 또는 비가용한 상태로 처리한 다음 해당하는 정보를 자신의 상태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 후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해당 시스템측에 전송한다(S201-S203).
상기에서 현재 호 설정되어 있는 채널에 대하여 비가용의 블럭으로 변경하였음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시스템에서는 현재의 설정된 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상태로서 응답 메시지를 상대 시스템측에 전송한 다음 설정된 호가 종료되는 경우 해당 채널을 비가용한 블럭 상태로 처리한다.
또한, 다른 예로 운용자의 명령으로 시스템을 리셋시키거나 메인 프로세서 또는 주변 프로세서에 의한 리셋에 의해 가용한 상태에 있는 모빌 데이터 경로의채널이나 PSTN 경로의 채널에 대하여 비가용한 상태로 블럭시키거나 비가용한 상태에 있는 채널을 가용한 상태로 언블럭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MSC(10)나 IWF(20)의 프로세서가 운용자의 명령이나 시스템 진단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에서(S301), 운용자의 명령어 입력에 의한 리셋이나 자신 시스템 내의 메인 프로세서에 의한 리셋 또는 주변 프로세서에 의한 리셋이 발생되는 지를 판단한다(S302).
이때, 운용자의 입력이나 메인 프로세서 또는 주변 프로세서에 의한 리셋 발생이 검출되지 않으면 현재의 채널 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 관리하고, 리셋 발생이 검출되면 상대 시스템에 의해 비가용으로 블럭된 채널에 대하여 가용한 상태로 블럭시키고, 자신의 시스템이 가용 및 비가용으로 설정한 채널에 대해서는 현 상태를 유지시킨 다음(S303) 해당하는 사항을 자신의 상태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다(S304).
상기와 같이 리셋 발생에 따라 해당하는 채널 관리의 동작을 수행한 다음 리셋 발생 정보를 상대 시스템에 전송한 후(S305) 카운터수단을 통해 설정된 시간을 카운터하며(S306), 카운터되는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리셋 발생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307).
이때,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설정된 카운터 시간 이내에 리셋 발생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이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리셋 발생 정보를 재전송하고, 리셋 발생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이 검출되면 상대 시스템 역시 리셋 정보에 따라 상태 관리 정보를 변경하였음을 인증한다(S308).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리셋 발생 정보를 수신한 상대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첨부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리셋 정보에 따라 현재 유지되고 있는 모든 호와 자원을 해제한 다음 리셋 정보를 인가한 시스템에 의해 비가용한 상태로 블럭된 채널에 대해서는 가용한 상태로 언블럭시키고, 자신의 시스템이 가용 및 비가용으로 설정한 채널에 대해서는 현 상태를 유지시킨 다음 해당하는 정보를 자신의 상태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 후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해당 시스템측에 전송한다(S401-S404).
일 예를 들어 MSC(10)측에서 리셋이 발생하여 리셋 발생 신호가 IWF(20)에 수신되는 경우 IWF(20)는 현재 존재하고 있는 모든 호와 그에 대한 자원을 모두 해제하고, IWF(20)에서 리셋이 발생하여 MSC(10)측에 리셋 발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MSC(10)역시 현재 존재하고 있는 모든 호와 그에 대한 자원을 모두 해제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정보 테이블을 정리한 이후 리셋이 발생된 상대 시스템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SC와 IWF간에서 각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채널 관리 상태 정보를 공유하여 채널 상태의 불일치로 인한 호 설정 실패를 미연에 방지하여 데이터 호 서비스의 제공에 신뢰성을 제공하므로 양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Claims (6)

  1. 채널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면 해당 채널에 대하여 가용 및 비가용의 상태로 처리한 다음 관련 정보를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된 관련 정보를 상대 시스템에 전송한 다음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응답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처리된 채널 관련 정보를 상대 시스템에 재전송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이 검출되면 상대 시스템 역시 동일한 채널 관리 정보를 등록하였음을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에서 채널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 이벤트는 운용자에 의한 채널의 가용 및 비가용의 설정과 리셋 명령의 설정, 독립적인 각 시스템내의 메인 프로세서 및 주변 프로세서에 의한 리셋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변경의 이벤트가 리셋에 의한 경우 상대 시스템에 의해 비가용 처리된 채널에 대하여 가용한 상태로 복구하고, 자신이 설정한 채널에 대해서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에서 이벤트의 발생 정보를 수신한 상대 시스템은 수신되는 이벤트 정보에 따라 채널을 관리한 다음 해당 사항을 자신의 관리 상태 테이블에 등록하여 관리 상태 테이블의 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하는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에서 이벤트를 리셋 정보로 수신한 상대 시스템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호와 그에 대한 자원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에서 채널 정보 변경에 대한 이벤트를 수신한 상대 시스템 내의 해당 채널이 서비스 진행중이면 현재의 서비스를 유지시킨 다음 호 종료시에 수신된 이벤트에 따라 채널 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상태 관리 방법.
KR10-1999-0064894A 1999-12-29 1999-12-29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KR10039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894A KR100398728B1 (ko) 1999-12-29 1999-12-29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894A KR100398728B1 (ko) 1999-12-29 1999-12-29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080A KR20010065080A (ko) 2001-07-11
KR100398728B1 true KR100398728B1 (ko) 2003-09-19

Family

ID=1963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894A KR100398728B1 (ko) 1999-12-29 1999-12-29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7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0391A (en) * 1996-10-17 1998-12-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hared interworking function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00061352A (ko) * 1999-03-25 2000-10-16 김영환 이동통신교환기와 인터워킹 유니트간의 인터페이스장치
KR20000066026A (ko) * 1999-04-12 2000-11-15 김영환 Pri를 이용한 회선 모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00073595A (ko) * 1999-05-12 2000-12-05 김영환 이동통신교환기와 인터워킹 유니트간의 채널자원 제한/해제 정보 전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0391A (en) * 1996-10-17 1998-12-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hared interworking function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00061352A (ko) * 1999-03-25 2000-10-16 김영환 이동통신교환기와 인터워킹 유니트간의 인터페이스장치
KR20000066026A (ko) * 1999-04-12 2000-11-15 김영환 Pri를 이용한 회선 모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00073595A (ko) * 1999-05-12 2000-12-05 김영환 이동통신교환기와 인터워킹 유니트간의 채널자원 제한/해제 정보 전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080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173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nectivity status for the same
US200701232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ing emergency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KR20010041396A (ko) 무선 atm 라디오 통신 네트워크의 atm 이동 단말기 및 atm 액세스 노드간의 보안 통신을 위한 인증 방법 및 인증 장치
US5226073A (en) Telephone network credit card ca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telephone network operation with credit card companies
KR100398728B1 (ko) 이동 교환 시스템과 아이 더블유 에프 간 채널 상태 관리방법
CN100499500C (zh) 对多级通信设备实现管理的方法
JP2002077450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20000033183A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 캐스팅 방법
JP3037233B2 (ja) パーソナル通信システム
KR100385468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KR10025251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패킷교환을 위한 호 설정중에 비정상 응답처리방법
KR100277473B1 (ko) 아이피오에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연결 유지 방법
KR10025251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패킷교환을 위한 정상 호 설정방법
KR1002824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252515B1 (ko) 패킷교환을 위한 전전자 교환기에서 타이머 만료 처리방법
KR100252514B1 (ko) 패킷교환을 위한 전전자 교환기에서 클리어 패킷 처리방법
KR100413975B1 (ko) 다중 제어국(rnc) 수용을 위한 iu 연결관리 방법
JPH11275633A (ja) 回線共用型保守システムおよび回線共用型保守方法
KR100311516B1 (ko) 이동 통신 망에서 단말기의 인증 방법
KR100442056B1 (ko) 알에이에스에서 멀티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00039628A (ko) 이동 비동기 전달방식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보류 호 처리방법
KR100369631B1 (ko) 위치등록된 이동가입자의 국번별 홈위치 등록기 인증데이터변경방법
KR100277687B1 (ko) 지능망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의 무선 페이징 서비스 방법
KR100427762B1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에스브이씨 서비스 방법
KR0133622B1 (ko) Isdn망에서 원격시스템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