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244B1 -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 Google Patents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244B1
KR100397244B1 KR1019930013425A KR19930013425A KR100397244B1 KR 100397244 B1 KR100397244 B1 KR 100397244B1 KR 1019930013425 A KR1019930013425 A KR 1019930013425A KR 19930013425 A KR19930013425 A KR 19930013425A KR 100397244 B1 KR100397244 B1 KR 10039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tion factor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seq
megakaryocyte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쓰지모토마사후미
이와사후유키
쓰루오카노부오
나카자토히로시
미우라겐주
이시다노부히로
구리하라다쓰야
야마이치고조
야마구치노조미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산토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산토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찌 산토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24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are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gene coding for the factor and a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useful as a hematopoietic stimulating factor for megakaryocyte-platelet linease. CONSTITUTION: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has the following properties; (1) stimulating differentiation of megakaryocytes; (2) exhibiting a molecular weight of 55 to 57 kD as determined by gel filtration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d having no intermolecular disulfide linkage; (3) exhibiting an isoelectric point of 6.5+-0.5; and (4) having at least one of the amino acid sequences shown in SEQ ID NO: 1 to 9.

Description

거핵구 분화 인자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본 발명은 거핵구 분화 인자, 이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핵구 분화 인자는 거핵구 혈소판 계통에 있어서의 조혈성 자극 인자로서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 gene encoding the fact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useful as a hematopoietic stimulating factor in megakaryocyte platelet lineage.

혈액 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유도하는 다양한 조혈성 인자가 조혈성 간세포를 혈액 세포로 성숙시키는 과정에 관여한다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It is well known that various hematopoietic factors that induce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blood cell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maturing hematopoietic stem cells into blood cells.

혈소판의 생주기가 9 내지 10일로 짧다하더라도, 혈액에서 혈소판의 농도는 정체기 동안 오히려 일정하게 유지된다. 더우기, 실험동물에서 다양하게 유용한 방법중 하나에 의해 혈소판의 수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킨다해도, 혈액중 혈소판의 수는 수일내에 회복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혈소판의 형성을 자극하는 인자가 존재한다고 추측되며 이 인자를 동정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Although the life cycle of platelets is short, from 9 to 10 days, the concentration of platelets in the blood remains rather constant during the resting period. Moreover, even if the number of platelets is artificially reduced by one of a variety of useful methods in laboratory animals, the number of platelets in the blood recovers within a few days. From these facts, it is speculated that there is a factor that stimulates platelet formation and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identify this factor.

2개 이상의 조절 인자가 거핵구 혈소판 조혈성 계통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되어진다. 제1인자는 스스로 거핵구 콜로니의 형성을 자극하므로 거핵구 콜로니자극 인자라고 일컬어진다.It is contemplated that two or more regulatory factors will be included in the megakaryocyte platelet hematopoietic lineage. The first factor is called a megakary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because it stimulates the formation of megakaryocyte colonies by itself.

제2인자는 스스로는 거핵구 콜로니의 형성을 자극하는 활성을 지니고 있지않지만, 제1인자와 결합하여 거핵구 콜로니의 수를 증가시키고 이의 분화를 자극하므로, 거핵구 포텐시에이터 (potentiator)라고 일컬어진다.The second factor is not itself active to stimulate the formation of megakaryocyte colonies, but is called a megakaryocyte potentiator because it binds to the first factor to increase the number and stimulate differentiation of the megakaryocyte colonies.

상기의 거핵구 콜로니 자극 인자에는 인터루킨 3, 및 과립구/대식서포 콜로니 자극 인자가 포함되며, 거핵구 포텐시에이터에는 에리트로포이에틴, 대식세포콜로니 자극 인자, 인터루킨 6,7 및 11, LIF 등이 포함된다. 이들 인자의 일부는 생체내에서 혈소판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혈소판의 수를 회복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참조; Hideaki Mizoguchi : Tanpakushitsu kakusan Koso 36, 1195, 1991, 일본국)The megakary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cludes interleukin 3, and granulocyte /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and the megakaryocyte potentiator includes erythropoietin,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terleukin 6,7 and 11, LIF, and the like. Some of these factors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latelets in vivo or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to recover the number of platelets (see Hideaki Mizoguchi: Tanpakushitsu kakusan Koso 36, 1195, 1991, Japan).

그러나, 이들 인자의 대부분은 거핵구-혈소판 계통에서의 분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혈성 계통에서 혈액 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것외에도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IL-6 및 IL-11이 생체내에서 실제적으로 전구 형성 작용을 나타낸다해도, 이들은 급성 상 단백질의 생성을 자극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악액질을 유발시킨다. 더우기, IL-6은 다양한 임상적인 문제와 관련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IL-6이 신장에서의 맥관막 세포의 성장을 자극하여 신부전증을 초래할 수 있다(참조; Tadashi Matsuda et al,, Tanpakushitsu Kakusan Koso, 36, 1184, 1991, 일본국), 더우기, IL-6은 혈소판 감소기 동안 높은 혈액 농도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생리학적 인자로서 고려되지는 않는다.However, most of these factors exhibit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besides being involved in the differentiation of blood cells in various hematopoietic lineages, including differentiation in megakaryocyte-platelet lineages. For example, although IL-6 and IL-11 actually exhibit progenitor action in vivo, they stimulate the production of acute phase proteins and, in severe cases, cachexia. Moreover, IL-6 is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clinical problems; For example, IL-6 can stimulate the growth of vasculature cells in the kidney, resulting in renal failure (see Tadashi Matsuda et al ,, Tanpakushitsu Kakusan Koso, 36, 1184, 1991, Japan), moreover, IL -6 is not considered as a physiological factor because it does not exhibit high blood concentrations during the platelet reduction phase.

혈소판은 지혈 메카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혈소판의 감소와 관련된 질병(판코니 증후군, 거핵구성 혈소판 감소증, 무형성성 빈혈등)은 임상적으로 위험하며, 특히 출혈은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혈소판의 생성을 자극하는 인자의분리 및 동정은 상술한 위험을 방지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고려되어 진다.Platele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emostatic mechanism. Diseases associated with thrombocytopenia (Fancony syndrome, megakaryocytic thrombocytopenia, aplastic anemia, etc.) are clinically dangerous and, in particular, bleeding cannot be controlled. Thus,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actors that stimulate the production of platelets is considered to be useful in preventing the aforementioned risks.

현재, 골수 이식이 백혈병등을 치료하기 위한 강력한 치료 수단이 되고 있으며, 에리트로포이에틴(EPO),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CSF) 등과 같은 사이토킨을 사용함으로써 성공률이 증가되고 있다. 현재 골수 이식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혈소판 수의 감소이며, 전구 형성 인자가 유용할 경우, 성공률이 증가되고 입원 기간이 단축될 것이 기대된다. 종양에 대한 화학요법 및 방사선 동위원소 치료요법에서 조혈성 질병외에 혈소판감소증도 트롬보포이에틴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Currently, bone marrow transplantation has become a powerful treatment for treating leukemia, and the success rate has been increased by using cytokines such as erythropoietin (EPO) and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The current problem with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s the reduction in platelet count, and if the progenitor factor is available, it is expected that the success rate will be increased and the hospitalization period will be shortened. In addition to hematopoietic diseases in chemotherapeutic and radioisotope therapies for tumors, thrombocytopenia can also be treated with thrombopoietin.

상술한 다양한 난제와 공지된 인자를 고려한 본 발명자들은, 혈소판의 생산을 자극함으로써 혈소판감소증 환자 또는 혈소판 형성이 불충분한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인 인자를 찾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거핵구의 분화를 자극하는 신규한 인자를 발견하고, 이들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발현벡터를 작제하고, 유전자를 발현시켜 상기 인자를 제조하였다.Considering the various difficulties and known factor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various studies to find effective factors for the treatment of thrombocytopenia patients or patients with insufficient platelet formation by stimulating the production of platelets, thereby stimulating the differentiation of megakaryocytes. A novel factor was found, a gene encoding these factors was cloned to construct an expression vector, and the gene was expressed to prepare the factor.

따라서, 본 발명은 (1)거핵구의 분화를 자극하고; (2)겔 여과 및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에 의해서 측정하는 경우 분자량이 55 내지 57KD이며, 분자간 디설파이드 결합이 없고; (3)등전점이 6.5 ± 0.5이며, (4)서열 리스트중 서열 1 내지 9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특성이 있는 거핵구 분화 인자를 제공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1) stimulating differentiation of megakaryocytes; (2) molecular weight of 55-57 KD and no intermolecular disulfide bond as measured by gel filtration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3)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having an isoelectric point of 6.5 ± 0.5 and (4) having at least one of the amino acid sequences shown in SEQ ID NOs: 1 to 9 in the sequence list.

본 발명은 또한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gene encod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추가로 본 발명은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a gene encod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더우기 본 발명은 발현벡터로 형질전환시킨 숙주를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st transformed with an expression vec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주를 사용하여 거핵구 분화 인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using the host.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를 분리하기 위한 출발물질로서, 사람 암 세포, 바람직하게는 사람 유표피암 세포 A431,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백질-비함유 배지중에서 성장시킨 사람 유표피암 A431이 언급될 수 있다.As starting material for separating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uman cancer cells, preferably human epidermal cancer cell A431, particularly preferably human epidermal cancer A431 grown in protein-free medium may be mentioned.

상기-정의한 거핵구 분화인자외에, 본 발명은 유전자 기술에 의해 작제된 세포 또는 동물과 같은 형질전환체로부터 수득가능하며 상기-정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 상기-정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의 일부가 결실된 아미노산 서열, 상기-정의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일부가 다른 아미노산 또는 다른 아미노산 서열로 교체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상기-정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에 가해진 아미노산 서열을 지니거나, 상기 변형의 조합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지니는 거핵구 분화 인자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defin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s,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able from a transformant, such as a cell or animal constructed by genetic technology, wherein the amino acid sequence identical to the above-defin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nd a part of the above-defin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re deleted. Amino acid sequence, a portion of the above-defin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replaced by another amino acid or another amino acid sequence, or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added to the above-defin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r a combination of the above modifications It relates to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comprising a.

더우기, 본 발명은 서열 30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지니는 거핵구 분화 인자, 서열 30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분이 결실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 30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분이 다른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교체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 30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가해진 아미노산 서열을 지니거나, 상기 변형의 조합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지니는 거핵구 분화 인자에 관한 것이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an amino acid sequence in which a portion of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is deleted, and an amino acid sequence in which a portion of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is replaced with another amino acid or amino acid sequence. Or to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in which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have been added to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or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comprising a combination of the above modifications.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유전자를 사용하는 거핵구 분화 인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천연 거핵구 분화 인자의 아미노산 서열, 천연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가 결실된 아미노산 서열, 천연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가 다른 아미노산 또는 다른 아미노산 서열로 교체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천연 아미노산 서열에 가해진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변형의 조합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합성 또는 천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gene encoding the aforemention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using a gene by genetic recombination techniques. Genetic recombination techniques include the amino acid sequence of a natural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n amino acid sequence from which a portion of a natural amino acid sequence is deleted, an amino acid sequence in which a portion of a natural amino acid sequence is replaced with another amino acid sequence, or one or more amino acids in a natural amino acid sequence. Perform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using, but not limited to, synthetic or natural polynucleotides encoding amino acid sequences comprising amino acid sequences added or combinations of such modifications.

상술한 다양한 변형은 부위-특이적 돌연변이 유발과 같은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The various modifications described above can be carried out by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site-specific mutagenesis.

부가, 결실 또는 교체와 같은 변형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부가에 있어 아미노산 수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와 하이브리드 단백질에 사용된 기능적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수 또는 본 발명의 인자에 가해진 시그날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수에 의존하며, 즉, 변형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며 결실의 경우, 아미노산 수는 거핵구 분화 활성을 유지하도록 고안되거나 결정될 수 있으며, 이 수는 예를 들면,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이거나, 본 발명의 인자의 활성 영역 이외의 영역의 아미노산 수일 수 있으며, 교체의 경우 아미노산의 수는 또한 거핵구 분화 활성을 유지하도록 고안되거나 결정될 수 있으며, 이 수는, 예를 들면,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일 수 있다.The number of amino acids included in modifications such as addition, deletion or replacement is not limited, but the amino acid number in addition is, for example,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mino acid number of the functional peptide used in the hybrid protein or the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epends on the number of amino acids of the signal peptide added to it, ie it depends on the purpose to be modified and in the case of deletion, the number of amino acids can be designed or determined to maintai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activity, for example, 1 to 30, Preferably 1 to 20, or the number of amino acids in a region other than the active region of the factor of the invention, in the case of replacement the number of amino acids may also be designed or determined to maintai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activity,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be 1 to 10, preferably 1 to 5.

시그날 서열의 부가 또는 개선, 숙주-벡터 시스템의 선택, 및 발현 조절 영역의 개선은 효율적인 발현이 이루어지게 한다. 더우기, 숙주는 글리코실화된 생성물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서열 1 내지 9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중 하나 이상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한 DNA 프로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Addition or improvement of signal sequences, selection of host-vector systems, and improvement of expression control regions allow for efficient expression. Moreover, the host can be selected to provide glycosylated products. In addition, polynucleotides encoding one or more of the amino acid sequences shown in SEQ ID NOs: 1-9 can be used as DNA probes for cloning genes.

추가로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거핵구 분화 인자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혈소판감소증의 약제로서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s an active ingredien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eferably used as a medicament for thrombocytopenia.

또한,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특이 항체를 수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obtain specific antibodies according to known methods.

이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N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 출발물질(1) Starting material

본 발명의 신규한 단백질을 수득하기 위한 출발물질로서는 야마구치 등의 방법(참조; Yamaguchi N. et al., Cancer Res. 50, 7008, 1991)에 따라 단백질-비함유 배지중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람 유표피암 세포 A431(ATCC CRL 1555)로부터 유도된 세포의 배양 상층액이 언급될 수 있다. 이 세포주는 사람 유표피암 SBM 330으로서 지정되어 1992년 7월 1일자로 기탁기관[참조;Fermeiltation Research Institute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소재지 : 일본국 이바라키켄 쓰쿠바시 1초메 히가시 1-3 (307)]에 FERM BP-3911로 기탁되었다.Starting materials for obtaining the novel protei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ose capable of growing in protein-free medium according to the method of Yamaguchi et al. (See Yamaguchi N. et al., Cancer Res. 50, 7008, 1991). Culture supernatants of cells derived from epidermal cancer cell A431 (ATCC CRL 1555) can be mentioned. This cell line has been designated as human epidermal cancer SBM 330 and is dated July 1, 1992 by Fermeiltation Research Institute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Location: 1-3 (307, Higashi 1-chome, Tsukuba City, Ibarakiken), was deposited as FERM BP-3911.

(2) 거핵구 분화 인자의 검정 방법(2) Test method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거핵구 분화 인자를 검정하기 위해, 거핵구-계열 세포주(예; CMK 서포 또는이로부터 유도된 세포), 또는 마우스 골수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쥐 거핵구에서 특이하게 검출되는 것으로 공지된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의 활성은 이시바시 등의 방법(참조; Ishibashi, T.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6, 5953, 1989)에 따라 마우스 골수 세포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더우기, 거핵구의 조화학적 검출은 배양한 골수 세포를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염색 및 메이-그륀벨트-검사 염색시키고 염색된 세포의 형상을 관측하여 수행한다.To assay for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megakaryocyte-based cell lines (eg, CMK follicles or cells derived therefrom), or mouse bone marrow cells, can be used. For example,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 esterase known to be specifically detected in murine megakaryocytes can be determined by Ishibashi et al. (See Ishibashi, T.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6, 5953, 1989) using mouse bone marrow cells. Furthermore, harmonious detection of megakaryocytes is performed by acetylcholine esterase staining and May-Göbelt-test staining of cultured bone marrow cells and observing the shape of the stained cells.

(3) 거핵구 분화 인자의 정제(3) purification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거핵구 분화 인자는, 예를 들면 단백질-비함유 배지중에서 배양시킨 A431 세포의 배양 상층액으로부터 출발하여, 한외여과로 농축시키고, 예를 들어, 매트렉스 블루 A(아미콘 제조원), Q-세파로즈(파마시아 제조원), 페닐-세파로즈(파마시아 제조원), S-세파로즈(파마시아 제조원) 및 힐로드 26/60 슈퍼덱스 75(파마시아 제조원)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for example, starting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A431 cells cultured in protein-free medium and concentrated by ultrafiltration, for example, Matrex Blue A (Amicon Co.), Q-Sepharose (Pharmacia), phenyl-sepharose (Pharmacia), S-sepharose (Pharmacia) and Hillroad 26/60 Superdex 75 (Pharmacia) can be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using alone or in combination. .

단백질은 A280nm에서 측정함으로써 조사된다.Protein is examined by measuring at A280nm.

(4) 거핵구 분화 인자의 부분적인 아미노산 서열의 측정(4) Determination of partial amino acid sequence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아미노산 서열을 측정하기 위해서, 섹션 (3)에서 정제한 거핵구 분화 인자를 37℃에서 2시간 동안 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프로테아제 I(API)와 같은 프로테아제를 사용하여 단편으로 분해한다. 수득되는 펩타이드 단편을 분리하고 YMC-팩 AM-303 컬럼을 사용하는 역상 HPLC(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중 아세토니트릴 농도구배)에 의해 회수한다. 이렇게 수득된 펩타이드 단편을 예를 들면,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Applied Biosystem)으로부터 수득된 겔-상 서열분석기와 같은 분석기에 적용시킨다. 거핵구 분화 인자의 정확한 정제 방법 및 상세한 특성은 실시예 1에서 기술한다.To determine the amino acid sequence,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purified in section (3) is digested into fragments using proteases such as Achromobacter protease I (API) at 37 ° C. for 2 hours. The resulting peptide fragments are separated and recovered by reverse phase HPLC (acetonitrile concentration gradient in 0.1% trifluoroacetic acid) using a YMC-pack AM-303 column. The peptide fragments thus obtained are subjected to an analyzer such as, for example, a gel-phase sequencer obtained from Applied Biosystem. The exact purification method and detailed properties of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re described in Example 1.

본 발명은 또한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 유전자는 mRNA로부터 제조된 cDNA, 게놈성 DNA, 및 합성 DHA일수 있다. 예를 들어, cDNA는 사람 유표피암 세포, 즉 A431 세포와 같이 상기 언급된 사람 세포로부터 정제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실시예 1에 나타낸 부분적인 아미노산 서열을 기본으로 설계된 DNA(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를 사용한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PCR)에 의해 클로닝될수 있다. 이 클로닝법은 실시예 1 및 2에서 상세히 기술한다.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gene encod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The gene can be cDNA prepared from mRNA, genomic DNA, and synthetic DHA. For example, cDNA is a polymerase using DNA (nucleotide) primers designed based on the partial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Example 1 of human epidermal cancer cells, i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purified from the aforementioned human cells, such as A431 cells. Can be cloned by chain reaction (PCR). This cloning method is described in detail in Examples 1 and 2.

추가로 본 발명의 유전자는 거핵구 분화 활성을 지니며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 하이브리드화하는 단백질 또는 당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를 포함한다. 실시예 2에서 클로닝된 DNA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및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부터 예상된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30에 나타낸다.In addition, the ge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NA encoding a protein or glycoprotein hav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activity and hybridizing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0. The amino acid sequence expect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an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cloned DNA in Example 2 is shown in SEQ ID NO: 30.

이렇게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측정한 후, 다양하게 돌연변이된 거핵구 분화 인자,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천연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30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가해진 거핵구 분화 인자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폴리펩타이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천연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30에 나타나 있는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결실되어 있고 거핵구 분화 인자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폴리펩타이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천연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30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중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아미노산과 치환되고, 거핵구 분화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콜리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의 부가, 결실 및/또는 치환과 같은 상술한 변형의 조합을 포함하여 거핵구 분화 인자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폴리펩타이드를 설계하여 생산할 수 있다.After determining the amino acid sequence in this way, a polypeptide, one or more amino acids of which variously mutat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s, e.g., one or more amino acids, retain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tivity added to the natural amino acid sequence or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A polypeptide deleted from this amino acid sequence or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and retain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tivity, at least one amino acid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other amino acids in the natural amino acid sequence or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Colipeptides that retai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activity or polypeptides that retai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tivity can be designed and produced, including combinations of the foregoing modifications such as addition, deletion and / or substitution of amino acids.

본 발명에 따라서, 서열 30에 나타낸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기술했다해도,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천연 거핵구 분화 인자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돌연변이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아미노산 서열이 일단 측정되면, 유전자 코드의 축퇴성에 의해서, 동일한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다양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설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선택된 숙주내에서 고도의 빈도를 나타내는 코돈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is described, the gene encoding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nce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natural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mutat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measured, the degeneracy of the genetic code allows the design and preparation of various 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the same amino acid. In this case, codons with a high frequency in the selected host are preferably used.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실시예 2에 따라 cDNA로서 수득할 수 있으나, 이 유전자가 cDNA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단 천연의 거핵구 분화 인자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 측정되면, 천연의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본원에서 정확하게 기술된 전략과는 상이한 전략에 따라서 cDNA로서 클로닝될 수 있으며, 더우기 바람직한 유전자는 거핵구 분화 인자를 생산하는 세포의 게놈으로부터 클로닝될 수 있다.The gene encoding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as cDNA according to Example 2, but this gene is not limited to cDNA. That is, once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a native megakaryote differentiation factor is determined, the gene encoding the native megakaryote differentiation factor can be cloned as a cDNA according to a strategy different from the strategy exactly described herein, and moreover. Preferred genes can be cloned from the genome of the cell produc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목적한 유전자가 게놈으로부터 클론된 경우, 실시예 2에서 사용된 다양한 프라이머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프로브 뉴클레오타이드를 게놈성 DNA 단편을 선별하기 위한 프로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서열 30에 기술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기본으로 하여 설계된 다른 프로브도 사용할 수 있다. 게놈으로부터 목적한 DNA를 클로닝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당해 분야(참조: Current Protocols In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Chapters 5 및 6)에 공지되어 있다.If the gene of interest has been cloned from the genome, the various primer nucleotides or probe nucleotides used in Example 2 can be used as probes for selecting genomic DNA fragments. Moreover, other probes designed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 30 can also be used. General methods for cloning the desired DNA from the genome are known in the art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Chapters 5 and 6).

본 발명의 천연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화학적 합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자동화된 DNA 합성기, 예를 들면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 396 DNA/RNA 합성기를 사용하여 DN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는 용이한 일이다. 따라서,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서열 30에 나타낸 뉴클레모타이드 서열을 지니는 DNA를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The gene encoding the natural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chemical synthesis. Chemically synthesizing DNA using an automated DNA synthesizer, such as the Applied Biosystems 396 DNA / RNA synthesizer, is easy in the art. Thus, on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synthesize DNA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천연의 코돈과 상이한 코돈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천연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돌연변이된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합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달리는 이들을 돌연변이 유발성 프라이머와 함께 서열 30에 나타낸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지닌 DNA 또는 RNA를 주형으로 사용하는 부위-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참조문헌;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Chapter 8).The gene encoding the natural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codon different from the natural codon, and the gene encoding the mutat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an be prepared by chemical synthesis as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se can be obtained by site-specific mutagenesis using DNA or RNA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as a template with mutagenic primers (see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 Chapter 8).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일단 수득되면, 비 유전자는 통상적인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따라서 재조합 거핵구 분화 인자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DNA를 적절한 발현벡터내로 삽입하고, 이 벡터를 적절한 숙주 세포내로 도입한 다음,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목적한 거핵구 분화 인자를 배양물(세포 또는 배지)로부터 회수한다.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는 생화학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변형, 즉, N-말단 아실화될 수 있다.Once the gene encoding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the non-gene can be used to prepare recombinant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cording to conventional genetic recombination techniques. That is, the DNA encoding the megakaryotic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n appropriate expression vector, the vector is introduced into an appropriate host cell, and then the transformed host cell is cultured and the desir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cultured (cell or Medium).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iochemically or chemically modified, ie, N-terminal acylated.

더우기, 서열 30에 나타낸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기본으로 하여, 단백질 데이타 베이스를 파스타 프로그램(fasta program, GCG 패키지)으로 조사한다. 그 결과, 거핵구 분화 인자는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슈퍼 패밀리(super family)에 속함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 예상되는 입체 구조 및 소수성 및 친수성 아미노산의 분포에 있어서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와 유사한, 사람 백혈구 엘라스타제 억제제, 닭 오브알부민 Y 유전자 생성물, 사람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억제제 2 및 사람 편평세포 암 항원에 있어서, N-말단 부위는 절단되지 않고 시그날 펩타이드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에 있어서, N-말단 부위는 시그날 펩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거핵구 분화 인자는 시그날 펩타이드의 절단없이 분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는 첫번째 메티오닌이 결실되고 두번째 알라닌이 아세틸화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Furthermore,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the protein database is searched with a fasta program (GCG packag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belongs to the super family of serine protease inhibitors. On the other hand, human leukocyte elastase inhibitors, chicken ovalbumin Y gene product, huma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2 and human squamous, similar to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pected con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hydrophobic and hydrophilic amino acids. For cell cancer antigens, the N-terminal site is not cleaved and forms a signal peptide. Thus, in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terminal site can act as a signal peptide and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an be secreted without cleavage of the signal peptide.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invention can also be modified such that the first methionine is deleted and the second alanine is acetylated.

숙주로서는, 원핵 및 진핵세포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원핵세포로서는, 에스케리차 콜라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같은 바실러스 속과 같은 세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진핵세포로서는, 사카로마이세스 속과 같은 효모[예;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Seccharomyces cerevisiae)], 스포도프테라 프루지페르다(Spodoptera frugiperda)세포, 카바지 루퍼(Cabbage looper) 세포, 봄빅스 모리(Bombyx mori) 세포와 같은 곤충세포, 사람세포, 원숭이세포, 마우스세포등과 같은 동물세포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우기, 봄빅스 모리와 같은 곤충세포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host, both prokaryotic and eukaryotic cells can be used. As prokaryotic cells, bacteria such as Bacillus genus such as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can be used. As eukaryotic cells, yeasts such as Saccharomyces spp. Seccharomyces cerevisiae], Spodoptera frugiperda cells, Cabbage looper cells, insect cells such as Bombyx mori cells, human cells Animal cells such as monkey cells, mouse cells and the like can be used. Furthermore, insect cells such as Bombyx mori can be used.

.발현 벡터로서는, 플라스미드, 파아지, 파아지미드, 바큐로바이러스, 바시니아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발현벡터에 있어서의 프로모터는 사용된 숙주에 따라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lac 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등이 세균 프로모터로서 사용될 수 있고, adhl 프로모터, pqk 프로모터등이 효모 프로모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바큐로 바이러스 폴리헤드린 프로모터는 곤충 프로모터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시미안 바이러스 40 초기 또는 말기 프로모터는 동물 세포에 대한 프로모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As the expression vector, plasmids, phages, phagemids, baculoviruses, viruses such as Basinia virus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promoter in the expression vecto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host used. For example, lac promoter, trp promoter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bacterial promoter, adhl promoter, pqk promoter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yeast promoter. On the other hand, the baculo virus polyhedrin promoter can be used as an insect promoter and the Simian virus 40 early or late promoter can be used as a promoter for animal cells.

발현벡터를 사용한 숙주의 형질전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문헌(참조;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에 기술되어 있다. 형질전환체의 배양은 또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Transformation of a host using an expression vector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which methods are described in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Cultivation of the transformants is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배양물 또는 곤충체로부터의 거핵구 분화 인자의 정제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한외여과, Q-세파로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Purification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from culture or insect bodies is carried out using conventional methods used fo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proteins, for example, ultrafiltration, column chromatography in various forms such as Q-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like. Can be done.

실시예Example

이제,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거핵구 분화 인자의 정제Purification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1) A431 세포의 배양(1) Culture of A431 Cells

A431 세포로부터의 단백질-비함유 배지중에서 조절한 동결된 SBM 330 세포를 해동하여, 1차 배지(10% 태송아지 혈청을 함유하는 Ham's F12 배지)중에서 배양한다. 즉, 이 세포를 배양 면적이 150cm2인 10T폴라스크내에 도말하고, 5% CO2존재하 37℃에서 군집이 되도록 배양한다. 다음, 세포를 0.25% 트립신 용액(Chiba Kessei; 제조원)으로 흩뜨려서 배양 면적이 850cm2인 10개 롤러병내에서 37℃ 및 0.5rpm으로 약 3일 동안 아배양하여 1 8 × 199세포를 회수한다. 배양된 세포를 옵티-셀 인큐베이터(Opti-cell incubator; Charles River Inc. 제조원 Wilmington, MA 소재)의 세라믹 코어(S-451)에 부착시키고 1차 배지 10L를 사용하여 관류 배양한다.Frozen SBM 330 cells conditioned in protein-free medium from A431 cells were thawed and cultured in primary medium (Ham's F12 medium containing 10% calf serum). That is, the cells are plated in a 10T polar flask having a culture area of 150 cm 2 and cultured so as to be colonized at 37 ° C. in the presence of 5% CO 2 . Next, the cells are scattered with 0.25% trypsin solution (Chiba Kessei; manufacturer) and subcultured at 37 ° C. and 0.5 rpm for about 3 days in 10 roller bottles having a culture area of 850 cm 2 to recover 1 8 × 19 9 cells. . The cultured cells are attached to a ceramic core (S-451) of an Opti-cell incubator (Wilmington, Mass., Charles River Inc.) and perfusion culture using 10 L of primary medium.

관류 배양은 150mmHg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37° 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1차 배지를 단백질-비함유 배지로 교체한다. 1차 배지에서 7일 동안 배양한 후, 단백질-비함유 배지를 배양액에 20L/일의 비율로 공급하고, 동시에 동일한 비율로 배양물로부터 배양 상층액을 회수한다. 결과적으로 혈청을 함유하는 1차 배지는 단백질-비함유 배지 약 100L를 공급함으로써 단백질-비함유 배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교체된다. 이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계속 회수하여 세포 배양 상층액 1000L를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세포 배양 상층액 일부(약 300L)를 한외여과 막(참조; Milipore, Bedford, MA; MW 10,000절단)을 사용하여 2L로 농축시키고 농축물을 20mM 트리스/HCl 완충액(pH 7.4)에 대해 투석한다.Perfusion cultures are performed at 37 ° with oxygen at 150 mmHg. The primary medium is then replaced with protein-free medium. After 7 days of incubation in primary medium, the protein-free medium is fed to the culture at a rate of 20 L / day and at the same time the culture supernatant is recovered from the culture at the same rate. As a result, the serum-containing primary medium is substantially completely replaced with the protein-free medium by feeding about 100 L of protein-free medium. Thereafter,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is continuously collected to obtain 1000 L of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A portion of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thus obtained (about 300 L) was concentrated to 2 L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see Milipore, Bedford, MA; 10,000 cuts in MW) and the concentrate was concentrated to 20 mM Tris / HCl buffer (pH 7.4). Dialysis

(2) 마우스 골수 세포를 사용한 거핵구 분화 인자의 검정(2) Assay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using mouse bone marrow cells

골수 세포를 BDFI, 암컷 마우스의 대퇴부로부터 추출하여 α -MEM 배지(Flow Laboratories, Inc 제조원, McLean, VA, USA 소재)중에 현탁시킨다. 밀도가 상이한퍼콜층(Percoll layer ; Pharmacia LKB Biotechnology 제조원, Tokyo 소재)를 도포하고, 골수세포 현탁액을 여기에 놓은 다음, 400g에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한다. 밀도가 1.07g/ml인 층의 표면에서 단핵 세포를 수집 하고 밀도가 1.08g/ml인 층을 수집하여 10% FBS를 함유하는 α -MEM으로 1회 세척하고, 0.5mM 디이소프로필 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동일한 배지중에 재현탁한다. 다음 현탁액을 플라스틱 세포 배양디쉬(Corning 제조원, NY, USA 소재)에 놓고 5% CO2 및 95% 공기중 37° C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양 동안, 배양한지 1시간 만에, 세포배양 디쉬를 새것으로 교체한다. 배양 후, 세포를 10% FBS/α -MEM으로 3회 세척한다.Bone marrow cells are extracted from the thighs of BDF I , female mice and suspended in α-MEM medium (McLean, VA, USA, Flow Laboratories, Inc.). Percoll layers of different densities (Pharmacia LKB Biotechnology, Tokyo, Japan) are applied, and bone marrow cell suspensions are placed there and centrifuged at 400 g for 20 minutes. Collect mononuclear cells from the surface of the layer with a density of 1.07 g / ml, collect the layer with a density of 1.08 g / ml, wash once with α-MEM containing 10% FBS, and 0.5 mM diisopropyl fluorophosphate. Resuspend in the same medium containing. The suspension is then placed in a plastic cell culture dish (Corning, NY, USA) and incubated for 2 hours at 37 ° C. in 5% CO 2 and 95% air. During the incubation, one hour after incubation, the cell culture dish is replaced with a new one. After incubation, cells are washed three times with 10% FBS / α-MEM.

이렇게 수득한 비-부착성 골수 단핵세포를 10% FBS/1% BSA/0.1mM 2-머캅토에탄올/α -MEM 중에 현탁시키고, 96-웰 미세평판(Corning 제조원)중에 5 × 104세포/웰의 양으로 도말한다. 필요할 경우, 시험 샘플에 25U/ml 마우스 재조합체 IL-3(Genzyme Corporatcon 제조원, Cambridge, MA, USA 제조원) 및 1 내지 2㎍/ml의 항-IL-6 항체(Boehringer Mannheim, Mannheim, FRG)를 가한다. 항-IL-6 항체가 가해진 경우, 시험 샘플 및 항체는 세포를 접종하기 전 1시간 동안 37℃에서 예비배양 한다.The non-adherent myeloid mononuclear cells thus obtained were suspended in 10% FBS / 1% BSA / 0.1 mM 2-mercaptoethanol / α-MEM and 5 × 10 4 cells / in 96-well microplates (Corning). Smear in the amount of well. If necessary, test samples were treated with 25 U / ml mouse recombinant IL-3 (Genzyme Corporatcon, Cambridge, MA, USA) and 1-2 μg / ml anti-IL-6 antibody (Boehringer Mannheim, Mannheim, FRG). Add. If an anti-IL-6 antibody is added, the test sample and antibody are preincubated at 37 ° C. for 1 hour before inoculating the cells.

5% CO2-5% O2-90% N2중 37° 에서 4 내지 5일 동안 배양을 수행한다. 미세평판의 각 웰에서 세포를 배양한 후, 이들을 PBS로 2회 세척하고, 0.2%(w/v) 트리톤 X-100 180μ 1, 1mM EDTA, 0.12M NaCl , 50mM HEPES(ph 7.5) , 및 기질 20μ 1, 5.6mM 아세티티올클로린 요오다이드를 가한다. 실온에서 진탕하면서 1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이 용액 20μ 1를 형광 분석하기 위해 미세평판으로 이동시킨다(참조: Dynatech Micro FLUOR "B" plate).Incubation is carried out for 4-5 days at 37 ° in 5% CO2-5% O2-90% N2. After culturing the cells in each well of the microplates, they were washed twice with PBS, 0.2% (w / v) Triton X-100 180μ1, 1mM EDTA, 0.12M NaCl, 50mM HEPES (ph 7.5), and substrate Add 20μ 1, 5.6mM acetithiolchlor iodide. After incubation for 1 hour with shaking at room temperature, 20 μl of this solution is transferred to microplates for fluorescence analysis (Dynatech Micro FLUOR "B" plate).

이 미세평판에 아세토니트릴중 0.4mM 7-디에틸아미노-3-(4'-말레이미딜페닐)-4-메틸쿠마린 20μ 1, 0.2%(w/v) 트리톤 X-100 160μ 1, 1mM EDTA, 50mM 나트륨 아세트(PH 5.0)을 가하여, 형광계로 형광 방출을 측정한다(여기 365nm, 방출 450nm).0.4 micron 7-diethylamino-3- (4'-maleimidylphenyl) -4-methylcoumarin 20μ 1, 0.2% (w / v) Triton X-100 160μ 1, 1mM EDTA in acetonitrile , 50 mM sodium acetic acid (PH 5.0) was added and fluorescence emission was measured with a fluorometer (excitation 365 nm, emission 450 nm).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염색을 위해, 세포를 시토스핀(Cytospin)으로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슬라이드 글라스상에 부착시키고, 15분 동안 5% 글루타르알데하이드, 10mM 인산염 완충액(pH 6.7)로 고정시키고, 기질 아세틸티오콜린으로서 미조구찌(Mizoguchi)법에 따라 사용한다(참조: Method for Culturing Hemopoietic Stem Cells, Chugai Igaku, 1986, ed. Y. Miura, pp 82-88). 즉, 세포를 고정시킨 후, 슬라이드글라스를 0.1M 인산염 완충액(pH 6.0)으로 세척하고, 각 슬라이드글라스에 0.67mg/ml 아세틸티오콜린 요오다이드 1.5ml, 0.1M 인산염 완충액(pH 6.0), 30mM CUSO4 0.2ml, 5mM 칼륨 페로시안나이드 0.2ml 및 0.1M 나트륨 시트레이트 0.1ml를 적층한다. 슬라이드글라스를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고, 물로 세척한다. 메이-그루엔왈드-기엠사 염색법은 혈액학에 잘 공지되어 있고 이. 머크(E, Merck, Darmstaclt, FRC)로부터 시판되는 시약을 사용하여 수행하는데, 이때 메이-그루엔 왈드 염색법은 4분 동안 수행하고 기엠사 염색법은 10분 동안 수행한다.For acetylcholine esterase staining, the cells are centrifuged with Cytospin to attach the cells on a slide glass, fixed with 5% glutaraldehyde, 10 mM phosphate buffer (pH 6.7) for 15 minutes, and the substrate Acetylthiocholine is used according to the Mizoguchi method (Method for Culturing Hemopoietic Stem Cells, Chugai Igaku, 1986, ed. Y. Miura, pp 82-88). That is, after the cells were fixed, the slide glass was washed with 0.1 M phosphate buffer (pH 6.0), and each slide glass was 0.67 mg / ml acetylthiocholine iodide 1.5 ml, 0.1 M phosphate buffer (pH 6.0), 30 mM 0.2 ml of CUSO4, 0.2 ml of 5 mM potassium ferrocyanide and 0.1 ml of 0.1 M sodium citrate are stacked. The slide glass is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and washed with water. The May-Grouenwald-Gimesa staining method is well known in hematology. It is performed using reagents commercially available from Merck (E, Merck, Darmstaclt, FRC), with May-Grouen Wald staining for 4 minutes and Gimsa staining for 10 minutes.

(3) 거핵구 분화 인자의 정제(3) purification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431 세포의 배양 상층 농축액을 투석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여,20mM 트리스/HCl 완충액(pH 7.4)로 평형화된 매트렉스 블루 에이 컬럼(Matrex Bluc A Column)에 적용시키고, 동일 완충액으로 컬럼을 세척한 후, 결합 분획을 2M NaCl 함유한 동일 완충액으로 용출시킨다. 상술된 방법으로 검출한 거핵구 분화 활성이 결합 분획에 나타난다. 따라서, 결합 분획을 20mM 트리스/HCl 완충액(pH 7.4)으로 투석하고 동일한 완충액으로 평형화된 Q-세파로즈 컬럼에 적용한다. 컬럼을 완전히 세척하고 거핵구 분화 인자를 NaCl 구배(참조: 제1도)로 용출시킨다. 이 인자는 거의 0.3 내지 0.5M NaCl 농도 근처에서 용출된다.The supernatant of the cultured A431 cells was dialyzed and centrifuged to obtain supernatant, which was applied to a Matrex Bluc A Column equilibrated with 20 mM Tris / HCl buffer (pH 7.4) and the column was buffered with the same buffer. After washing, the bound fractions are eluted with the same buffer containing 2M NaCl.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activity detect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appears in the binding fraction. Thus, the binding fraction is applied to a Q-Sepharose column which is dialyzed with 20 mM Tris / HCl buffer (pH 7.4) and equilibrated with the same buffer. The column is washed thoroughly and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eluted with a NaCl gradient (see FIG. 1). This factor elutes near about 0.3-0.5 M NaCl concentration.

Q-세파로즈로부터 수득된 활성 분획을 암모늄 설페이트 30% 포화액으로 만들어서, 30% 포화 암모늄 설페이트를 함유한 20mM 트리스/HCl 완충액(pH 7.4)으로 평형화된 페닐 세파로즈 컬럼에 적용시킨다.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모늄 설페이트(30% 내지 0%)와 에틸렌글리콜(0 내지 50%)을 동시에 농도구배 형성시켜 응출시킨다(제2도). 항-IL-6 항체 존재하에 측정된 거핵구 분화 인자는 농도구배 형성 초기에 수개의 분획상에서 관찰된다.The active fraction obtained from Q-Sepharose is made into 30% saturated ammonium sulfate and applied to a phenyl Sepharose column equilibrated with 20 mM Tris / HCl buffer (pH 7.4) containing 30% saturated ammonium sulfate.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coagulated by simultaneously forming a concentration gradient of ammonium sulfate (30% to 0%) and ethylene glycol (0 to 50%) (FIG. 2).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measured in the presence of anti-IL-6 antibody is observed on several fractions early in the gradient formation.

이렇게 수득된 분획을 혼합하여, 50mM MES/NaOH 완충액(pH 6.0)으로 완전히 투석시키고 동일 완충액으로 평형화된 S-세파로즈 컬럼에 적용시킨다. 결합 분획을 0 내지 0.5M NaCl 농도구배에 의해 용출시킨다(참조: 제3도), 활성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농도구배 형성의 초기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이 나타난다. S-세파로즈로부터 수득된 분획을 겔 여과시키기 위해 힐로드 26/60 슈퍼덱스 75(파마시아)에 적용한다. 사용되는 컬럼은 미리 동일 완충액으로 평형시키고, 동일 완충액으로 용출시킨다(참조: 제4도), 분자량 55 내지 57KDa에 상응하는 위치 근처에서거핵구 분화 활성이 용출된다.The fractions thus obtained are mixed and completely dialyzed with 50 mM MES / NaOH buffer (pH 6.0) and applied to an S-Sepharose column equilibrated with the same buffer. The binding fraction is eluted by a 0 to 0.5 M NaCl gradient (see FIG. 3). The activity is widely distributed, but relatively high activity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concentration gradient formation. Fractions obtained from S-Sepharose are applied to Hill Road 26/60 Superdex 75 (Pharmacia) for gel filtration. The column used is previously equilibrated with the same buffer, eluted with the same buffer (see Figure 4), and the eukaryotic differentiation activity is eluted near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a molecular weight of 55 to 57 KDa.

상술한 단계에 따라서 SDS-PAGE에 의해 분석된 55 내지 57KDa 근처에 2개의 밴드를 나타내는 분획 약 80μ g을 A431 유도된 세포의 배양 상층액 300L로부터 수득한다(참조: 제5도). 2개의 밴드는 활성과 관련된다(제1도). 따라서, 상기 분획에서 관찰되는 2개 밴드는 목적하는 거핵구 분화 인자에 상응하는 분획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Approximately 80 μg of a fraction showing two bands near 55-57 KDa analyzed by SDS-PAGE is obtained from 300 L of culture supernatant of A431 induced cells according to the steps described above (FIG. 5). Two bands are associated with activity (Figure 1).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wo bands observed in this fraction are observed in the frac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4) 거핵구 분화 인자의 특성(4) Characteristics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본 거핵구 분화 인자는 하기 특성을 갖는다.This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분자량: 약 55KDa(겔 여과 및 SDS-PAGE)(제4도 및 제5도)1) Molecular weight: about 55KDa (gel filtration and SDS-PAGE) (FIGS. 4 and 5)

본 인자는 SDS-PAGE에서 2개 밴드를 나타내고, 환원 조건 내지 비-환원 조건에서 이동에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이 인자는 분자간 디설파이드 결합을 갖지 않는다.This factor shows two bands in SDS-PAGE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migration under reducing or non-reducing conditions. Therefore, this factor does not have intermolecular disulfide bonds.

2) 등전점 : 6.5 ± 0.5(제6도)2) Isoelectric point: 6.5 ± 0.5 (figure 6)

상술한 범위에서 수개의 밴드가 관찰된다.Several bands are observed in the above-described range.

3) 본 인자의 상술한 이질성은 당단백질의 당 쇄 구조에서 이질성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즉, 아스파라긴 결합된 당 제거 효소인 엔도글리코시다제 F로 처리된 인자인 경우, 본 인자의 분자량은 분자량 약 40KDa까지 감소되며, 또한 이질성도 SDS-PAGE에서 감소된다(제7도). 또한, 단일 밴드를 나타내는 분획 및 2개 밴드를 나타내는 분획은 API로 분해되고 펩타이드 지도는 역상 HPLC에 의한 분획화로 제조되며, 2개의 분획사이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는다.3) The heterogeneity of the present factor can be explained as heterogeneity in the sugar chain structure of the glycoprotein.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factor treated with the asparagine bound sugar removing enzyme endoglycosidase F,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factor is reduced to about 40 KDa in molecular weight, and also heterogeneity is reduced in SDS-PAGE (Fig. 7). In addition, fractions representing single bands and fractions representing two bands were digested with API and peptide maps were prepared by fractionation by reverse phase HPLC, and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fractions.

4) 본 인자는 서열 1 내지 9에서 나타낸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한다.4) This factor contains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shown in SEQ ID NOs: 1-9.

5) 생물학적 활성5) biological activity

마우스 골수세포를 정제된 거핵구 분화 인자 및 IL-3 존재하에 배양한 경우, 거핵구의 증식 및 분화를 관찰한다(제8도, 제9도 및 제10도). 제8도는 거핵구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활성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제9도는 배양된 세포(X20)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며; 제10도는 배양된 세포(X100)의 메이-그루엔왈드-기엠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낸다. 제9도 및 제10도 모두에서, 거핵구는 거핵구 분화 인자가 없는 경우(A)와 비교해서 이의 존재시(B)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When mouse bone marrow cells a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purifi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nd IL-3,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egakaryocytes is observed (FIGS. 8, 9 and 10). 8 shows measurement results for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of megakaryocytes; 9 shows the results of acetylcholine esterase staining of cultured cells (X20); 10 shows the results of May-Grouenwald-Gymsa staining of cultured cells (X100). In both Figures 9 and 10, megakaryocytes show an increase in their presence (B) compared to the absence of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

(5) 거핵구 분화 인자의 구조(5) structure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정제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구조를 특징짓기 위해, 이 인자를 API로 분해시켜 생성된 단편의 구조를 결정한다. API로 인자를 분해시킨 후, 각 단편을 역상 HPLC에 의해 회수하고, 적합한 분획에 대한 구조를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펩타이드 단편은 서열 1 내지 9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To characterize the structure of the purifi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this factor is digested with API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resulting fragment. After factor degradation with API, each fragment is recovered by reverse phase HPLC and the structure for the appropriate fraction is determined. As a result, the peptide fragment has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s: 1-9.

실시예 2Example 2

거핵구 분화 인자에 대한 cDNA 구조의 결정Determination of cDNA Structure for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1. PCR에 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의 cDNA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분석(1)1. Analysis of cDNA nucleotide sequence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by PCR (1)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NI 065(서열 10; 서열 30의 449 내지 486에 상응한다) 및 NI 067(서열 11; 서열 30의 1049 내지 1080에 상응한다)를 각각 서열 3 및 4에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기초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고안함으로서 합성한다.Oligonucleotides NI 065 (SEQ ID NO: 10; corresponding to 449 through 486 of SEQ ID NO: 30) and NI 067 (SEQ ID NO: 11; corresponding to 1049 through 1080 of SEQ ID NO: 30) 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S: 3 and 4, respectively, It is synthesize | combined by devising.

총 RNA를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ISOGEN(Wako Pure Checmical)을 사용하여 A431 세포로부터 정제한다. 폴리 A를 갖는 RNA를 총 RNA로부터 정제하고, 3'-RACE Kit(Gibco BRL)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올리고머 NI 065 및 3'-RACE Kit(Gibco BRL)에 부착된 올리고머 3'-RACE 어뎁터 프라이머(서열 12)를 사용하여 키트와 함께 포함된 지시에 따라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PCR)을 수행한다.Total RNA is purified from A431 cells using Wako Pure Checmical (ISOGE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RNA with poly A is purified from total RNA and the reaction is performed using the 3'-RACE Kit (Gibco BRL). That is, using the oligomer 3'-RACE adapter primer (SEQ ID NO: 12) attached to the oligomer NI 065 and 3'-RACE Kit (Gibco BRL) described abov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included with the kit. Perform.

그런 다음, 반응 생성물은 프라이며 NI067 및 3'-RACE Kit(Gibco BRL)에 포함된 올리고머 3'-RACE 어뎁터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2차 PCR하고 약 900 염기쌍을 갖는 DNA 단편을 수득한다. 그런 다음, PCR 생성물에 대해 직접적인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결정법을 사용하여, 문헌[참조: U. Gyllenste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5 : 7652 (1988)]에 따라서, 약 900 염기쌍을 갖는 DNA 단편을 직접 반응 기질로서 사용하여 제조업자 지시에 따라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으로부터 시판되는 타크 다이 데옥시 터미네이터 사이클 시퀀싱 키트(Taq Dye Deoxy Terminator Cycle Seguencing Kit) 및 형광 뉴클레오타이드 서열기(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타입 370 A)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나타내는 부분 및 그 단백질 부분의 하류 부분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측정한다. 결과적으로,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1081 내지 1950으로부터의 서열을 나타낸다.The reaction product is then pra and secondary PCR using oligomeric 3'-RACE adapter primers included in NI067 and 3'-RACE Kit (Gibco BRL) to obtain DNA fragments with about 900 base pairs. Then, using nucleotide sequencing directly on the PCR product, U. Gyllenste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5: 7652 (1988)], using a DNA fragment with about 900 base pairs as a direct reaction substrate, a Taq Dye Deoxy Terminator kit (Taq Dye Deoxy Terminato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Applied Biosystem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Cycle Seguencing Kit) and fluorescent nucleotide sequencer (Applied Biosystem, Type 370 A) are used to determine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portion representing the protein and the downstream portion of the protein portion. As a result, the sequences from nucleotides 1081 to 1950 of SEQ ID NO: 30 are shown.

이러한 서열을 근거로하여, 올리고머 KY100(서열 13; 서열 30의 1255 내지 1236에 상응한다)을 합성한다. NI065 및 3'-RACE Kit(Gibco BRL)에 부착된 올리고머 3'-RACE 어뎁터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에 의해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반응 기질로서 사용하여 NI 065 및 KY 100을 사용하는 추가 PCR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807 염기쌍을 갖는 DNA 단편을 수득한다.Based on this sequence, oligomer KY100 (SEQ ID NO: 13 corresponds to 1255 to 1236 of SEQ ID NO: 30) is synthesized. Further PCR using NI 065 and KY 100 is performed using the reaction product obtained by PCR as oligomeric 3'-RACE adapter primer attached to the NI065 and 3'-RACE Kit (Gibco BRL) as the reaction substrate. . As a result, a DNA fragment having 807 base pairs is obtained.

이러한 807 염기쌍을 갖는 DNA 단편을 직접 반응 기질로서 사용하여 제조업자 지시에 따라서, 어플라이드 바이오 시스템으로부터 시판되는 타크 다이 데옥시터미네이터 사이클 시퀀싱 키트 및 형광 뉴클레오타이드 서열기를 사용하여 이것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487 내지 1080으로부터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나타낸다. 이러한 서열을 근거로 하여, 올리고머 NI073(서열 14; 서열 30의 864 내지 886에 상응한다), NI074(서열 15; 서열 30의 1012 내지 992에 상응한다), 및 NI075(서열 16; 서열 30의 802 내지 782에 상응한다)를 합성한다.DNA fragments having such 807 base pairs are used as direct reaction substrates to determine their nucleotide sequences using the Tac Di Deoxy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 and Fluorescent Nucleotide Sequenc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Applied Biosystems. As a result, the nucleotide sequence from nucleotides 487 to 1080 of SEQ ID NO: 30 is shown. Based on this sequence, oligomeric NI073 (SEQ ID NO: 14; corresponds to 864-886 of SEQ ID NO: 30), NI074 (SEQ ID NO: 15; corresponds to 1012-992 of SEQ ID NO: 30), and NI075 (SEQ ID NO: 16; 802 of SEQ ID NO: 30). To 782).

2. PCR에 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의 cDNA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분석(2)2. Analysis of cDNA nucleotide sequence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by PCR (2)

A. 거핵구 분화 인자 발현 세포주(A431)로부터 mRNA의 제조A. Preparation of mRNA from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expressing cell line (A431)

사람 유표피암 세포준(A431)의 냉동된 세포 1.1g으로부터 mRNA 25μ g을 추출하고 파마시아 LKB로부터 시판되는 RNA 추출 키트 및 mRNA 정제 키트를 사용하여 정제한다.25 μg of mRNA is extracted from frozen cells of human epidermal cancer cell line (A431) and purified using RNA extraction kit and mRNA purification kit available from Pharmacia LKB.

B. 거핵구 분화 인자 발현 세포주(A431)로부터 DNA 파지 라이브러리(library)의 제조B. Preparation of DNA phage library from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expressing cell line (A431)

(1) cDNA의 합성(1) Synthesis of cDNA

A431로부터 유도된 mRNA 5μ g으로부터, cDNA를 파마시아-LKB로부터 시판되는 cDNA 합성 키트 타임 세어버(Time Saver)를 사용하여 합성한다.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DEPC)로 처리된 증류수 20μ 1중 용해된 mRNA 5μ g을 우선 65℃에서 10분 동안 가열하고 얼음위에서 냉각한다. 여기에 제1 스트랜드 반응 혼합물 11μ 1, DTT 용액 1μ 1 및 130U/ml NotI/올리고머 18 프라이머 용액(파미시아-LKB) 1μ 1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다.From 5 μg of mRNA derived from A431, cDNA is synthesized using the cDNA Synthesis Kit Time Saver, available from Pharmacia-LKB. 5 μg of mRNA dissolved in 20 μl of distilled water treated with diethylpyrocarbonate (DEPC) is first heated at 65 ° C. for 10 minutes and cooled on ice. To this was added 11μ 1 of the first strand reaction mixture, 1μ 1 of the DTT solution and 1μ 1 of the 130U / ml NotI / oligomer 18 primer solution (Pamasia-LKB), and the mixture was incubated at 37 ° C for 1 hour.

반응 혼합물을 제2 스트랜드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12℃에서 30분, 22℃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65℃에서 10분 동안 가열한다. 페놀/클로로포름/이소아닐알콜(25 : 24 : 1; 이후 PC로 약칭) 100μ 1를 여기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강렬하게 교반하고, 14,000 x g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수득한 다음, 이것을 세파크릴(Sephacryl) S-400 스핀 컬럼(파마시아 LKB)에 의해 분별하여 cDNA용액 100μ 1를 수득한다.The reaction mixture is added to the second strand reaction mixture, which is incubated at 12 ° C. for 30 minutes, 22 ° C. for 1 hour, and heated at 65 ° C. for 10 minutes. Phenol / chloroform / isoaniyl alcohol (25: 24: 1; then abbreviated PC) 100 μl was added to this, the mixture was vigorously stirred and centrifuged at 14,000 × g for 1 minute to give a supernatant. This was fractionated by Sephacryl S-400 spin column (Pharmacia LKB) to obtain 100 µ1 of cDNA solution.

(2) EcoRl 어뎁터의 부가(2) Addition of EcoRl Adapter

cDNA 용액 100μ 1에 10U/ml EcoRl 어뎁터(파마시아, LKB) 5μ 1, 폴리에틸렌글리콜 완충액 30μ 1, 1/5 희석된 ATP 용액 1μ 1 및 T4 DNA 리가제 1μ 1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다. 65℃에서 10분 동안 가열시킨 후, ATP 용액 1.5μ 1 및 T4 폴리뉴클레오타이드키나제 1μ 1를 여기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한다. 65℃에서 10분 동안 가열시킨 후 20U/μ 1 NotI 2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한 다음, 37℃에서 1시간 배양한다. PC 150μ 1를 혼합물에 가하고, 격렬하게 교반하고 14,000 x g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이 상층액을 세파덱스 S-400 스핀 컬럼상에서 분별화하여 cDNA 용액 150μ 1를 수득한다.To 100 μ1 of cDNA solution, 5 μl of 10 U / ml EcoRl adapter (Pharmacia, LKB), 30 μl of polyethylene glycol buffer, 1 μ1 of diluted ATP solution and 1 μ1 of T4 DNA ligase and 1 μ1 of T4 DNA ligase were added, and the mixture was subjected to 1 at 37 ° C. Incubate for hours. After heating at 65 ° C. for 10 minutes, 1.5 μl of ATP solution and 1 μl of T4 polynucleotide kinase are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is incubated at 37 ° C. for 30 minutes. After heating at 65 ° C. for 10 minutes, 20 U / μ 1 NotI 2 μ 1 is added to this mixture and then incubated at 37 ° C. for 1 hour. 150 μl of PC was added to the mixture, stirred vigorously and centrifuged at 14,000 × g for 1 minute to fractionate this supernatant on a Sephadex S-400 spin column to give 150 μl of cDNA solution.

(3) 파지 벡터내로 cDNA의 통합 및 시험관내 팩캐이징(3) Incorporation of cDNA into phage vectors and in vitro packaging

EcoRI 및 NotI로 분해시킨 후, cDNA 용액 15μ 1에 탈인산화된 λ gt110(파마시아 LKB) 2μ g을 가한다. 에탄올 침전시킨 후, 이 침전물을 리가제 완충액 8μ 1에 용해시키고, 1/75 희석된 ATP 용액 1μ 1 및 T4 DNA 리가제 1μ 1를 이 용액에 가한 다음, 16℃에서 30분 동안 배양시키고 얼음상에서 저장한다.After digestion with EcoRI and NotI, 2 μg of dephosphorylated λ gt110 (Pharmacia LKB) was added to 15 μ1 of cDNA solution. After ethanol precipitation, the precipitate was dissolved in 8 μl of ligase buffer, 1 μl of 1/75 diluted ATP solution and 1 μl of T4 DNA ligase were added to the solution, followed by incubation at 16 ° C. for 30 minutes and on ice Save it.

시험관내 팩캐이징 반응을 기가팩(Gigapack)II 골드(Stratagene)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재조합 파아지 3.22 x 106 pfu 라이브러리를 상기 3가지 리가제 반응 생성물로부터 수득한다. 상기 라이브러리를 이. 콜라이 Y1090r 숙주에서 증폭시켜서 A431 파지 라이브러리 스톡 6.0 x 1010pfu/ml를 수득한다.In vitro packaging reactions are performed using GigapackII Gold Stratagene and a recombinant phage 3.22 × 10 6 pfu library is obtained from these three ligase reaction products. This library. Amplification in E. coli Y1090r host yields A431 phage library stock 6.0 × 10 10 pfu / ml.

C. PCR에 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에 대한 cDNA 단편의 동정 및 분리C.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cDNA fragments for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by PCR

(1) PCR에 의한 A431 파지 라이브러리에서 cDNA 삽입 단편의 증폭(1) Amplification of cDNA Insertion Fragments in A431 Phage Library by PCR

6.0 x 1010pfu/ml A431 파지 라이브러리의 스톡용액 10μ 1(6.0 x 108pfu에 상응)을 PCR 반응에 대한 주형 DNA로서 사용하고, 10 x PCR 완충액 5μ 1, 1.25mM 4dNTPs 8μ 1, 10D/ml λ gt11-정방향 프라이머(λ gt 11F)(서열 17) 2μ 1, 10D/ml A gt 11-역방향 프라이머(A gt 11R)(서열: 18) 및 5U/μ 1 Taq DNA 폴리머라제(Perkin Elmer Cetus) 1μ 1를 가하고, 이 혼합물의 총 용적을 DEPC-처리된 증류수로 50μ 1로 만든다. 93° 에서 1분 동안, 55℃에서 2분 동안 및 72℃에서 3분 동안의 30회 반응을 수행하고, 이 반응 혼합물을 72℃에서 10분 동안 배양한다. 1% 아가로스 겔 전기 영동에 의한 분석의 결과는 0.8 내지 6kb 범위의 얼룩성 패턴으로 나타난다. 10 μl of stock solution (corresponding to 6.0 x 10 8 pfu) of a 6.0 x 10 10 pfu / ml A431 phage library was used as template DNA for PCR reactions, and 10 x PCR buffer 5 μ1, 1.25 mM 4dNTPs 8 μ1, 10 D / ml λ gt11-forward primer (λ gt 11F) (SEQ ID NO: 17) 2μ 1, 10D / ml A gt 11-reverse primer (A gt 11R) (SEQ ID NO: 18) and 5U / μ 1 Taq DNA polymerase (Perkin Elmer Cetus) 1μ 1 is added and the total volume of this mixture is brought to 50μ 1 with DEPC-treated distilled water. Thirty reactions were carried out at 93 ° for 1 minute, at 55 ° C. for 2 minutes and at 72 ° C. for 3 minutes, and the reaction mixture was incubated at 72 ° C. for 10 minu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1% agarose gel electrophoresis show a speckle pattern ranging from 0.8 to 6 kb.

(2) 주형으로서 cDNA 삽입 DNA 증폭 단편 혼합물을 사용하고 프라이머로서 TP7(서열 20; 서열 30의 683 내지 703에 상응), /TP10, TP7/TP6(서열 19; 서열 30의 1036 내지 1001에 상응), TP8(서열 21; 서열 30의 941 내지 964에 상응), TP10(서열 22; 서열 30의 1036 내지 986에 상응) 및 TP8/TP6을 사용하는 PCR분석(2) using cDNA insert DNA amplification fragment mixture as a template and TP7 (SEQ ID NO: 20; corresponding to 683-703 of SEQ ID NO: 30), / TP10, TP7 / TP6 (SEQ ID NO: 19; corresponding to 1036-1001 of SEQ ID NO: 30) as primers PCR analysis using TP8 (SEQ ID NO: 21; corresponding to 941 to 964 of SEQ ID NO: 30), TP10 (SEQ ID NO: 22; corresponding to 1036 to 986 of SEQ ID NO: 30), and TP8 / TP6

상술한 PCR 반응 생성물의 1/5000-희석된 용액 1μ 1를 PCR 반응에 대한 주형 DNA로서 사용하고, 10 x PCR 완충액 5μ 1, 1.25mM 5 dNTPs 8μ 1, 후술되는 배합물로 각각 10D/ml 프라이머 2μ 1 및 퍼펙트 매치(Perfect Match)(Stratagene) 1μ 1를 가하고, 이 혼합물 총 용적을 DEPC-처리된 증류수로 49μ 1로 만든다.1 μl of a 1 / 5000-diluted solution of the PCR reaction product described above was used as template DNA for PCR reactions, 10 μg PCR buffer 5 μl, 1.25 mM 5 dNTPs 8 μl, 2 μl of 10D / ml primers, respectively, in the combinations described below. 1 and Perfect Match (Stratagene) 1 μ 1 are added and the total volume of this mixture is brought to 49 μ 1 with DEPC-treated distilled water.

이 반응 혼합물을 95℃에서 5분 및 60℃에서 5분 동안 가열시키고, 5U/μ 1 Taq DNA 폴리머라제(Perkin Elmer Cetus) 1μ 1를 여기에 가하고, 94℃에서 1분, 60℃에서 2분 및 72℃에서 3분 동안 30회 반응시키고 이어서 72℃에서 10분 동안 배양한다. 프라이머로서, TP7/TP10, TP7/TP6, TP8/TP10, 및 TP8/TP6을 사용한다.The reaction mixture is heated at 95 ° C. for 5 minutes and at 60 ° C. for 5 minutes and 5 U / μ 1 Taq DNA polymerase (Perkin Elmer Cetus) 1 μ 1 is added thereto, 1 min at 94 ° C., 2 min at 60 ° C. And reacted 30 times at 72 ° C. for 3 minutes and then incubated at 72 ° C. for 10 minutes. As primers, TP7 / TP10, TP7 / TP6, TP8 / TP10, and TP8 / TP6 are used.

2% 아가로스 겔 전기이동에 의한 PCR 반응 생성물의 분석 결과로서, 354bp, 354 bp, 96bp 및 96bp 밴드를 각각 프라이머에 상응하게 수득한다.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CR reaction product by 2% agarose gel electrophoresis, 354 bp, 354 bp, 96 bp and 96 bp bands are respectively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primers.

(3) 프라이머 TP7/TP10 및 TP7/TP6을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PCR 증폭 생성물(354bp)의 1차 서열의 분석(3) Analysis of the primary sequence of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354 bp) obtained by using the primers TP7 / TP10 and TP7 / TP6

프라이머 TP7/TP10 및 TP7/TP6을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PCR 증폭 생성물(354bP)의 밴드를 전기 영동시킨 후, 2% 아가로스 겔로부터 잘라내고, 잘려진 아가로스 겔 단편에 DEPC-처리된 증류수 50μ 1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45° C에서 30분 동안 가열한다. 주형 DNA로서 이 용액 2μ 1에 10 x PCR 완충액 5μ 1,1.25mM 4dNTPs 8μ 1, 배합물로 10D/ml 프라이머 각 2μ 1 및 퍼펙트 매치(Stratagene) 1μ 1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 총 용적을 DEPC-처리된 증류수로 49μ 1를 만든다. 이 혼합물을 95℃에서 5분 동안, 60℃에서 5분 동안 가열하고, 5U/μ 1 Tap DNA 폴리머라제(Perkin Elmer Cetus) 1μ 1을 가하고, 94℃에서 1분, 60℃에서 2분 및 72℃에서 3분 동안의 30회 반응을 수행한 다음, 72℃에서 10분 동안 배양한다. 상술한 PCR 반응에 대한 프라이머로서, TP7/TP10 및 TP7/TP6을 사용한다. PCR 반응 생성물의 밴드(각각 354bp)를 전기 영동의 2% 아가로스 겔로부터 잘라내고, 추출하고 정제하여 생성물을 pCR II(인비트로겐)으로 삽입한 다음, 이 콜라이 INVα F'(인비트로겐)을 형질전환시키는데 사용한다.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고 정제하여, 이것을 EcoRI 분해에 의해 354bp의 DNA 단편이 삽입된 것을 확인한다.Bands of PCR amplification products (354bP) obtained by using primers TP7 / TP10 and TP7 / TP6 were electrophoresed, cut out from 2% agarose gel, and 50 μl of DEPC-treated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the cut agarose gel fragments. And the mixture is heated at 45 ° C. for 30 minutes. 2 μ1 of this solution as template DNA was added 10 μl PCR buffer 5 μ1,1.25 mM 4dNTPs 8 μ1, 2 μl of 10D / ml primer and 1 μl Perfect Match (Stratagene) in combination, and the total volume of the reaction mixture was DEPC-treated. Make 49μ1 with distilled water. The mixture is heated at 95 ° C. for 5 minutes, at 60 ° C. for 5 minutes, 5 U / μ 1 Tap DNA polymerase (Perkin Elmer Cetus) 1 μ 1 is added, 1 minute at 94 ° C., 2 minutes and 72 minutes at 60 ° C. The reaction is carried out 30 times for 3 minutes at ℃, then incubated for 10 minutes at 72 ℃. As primers for the above-described PCR reactions, TP7 / TP10 and TP7 / TP6 are used. Bands of PCR reaction products (354 bp each) were cut out from 2% agarose gels in electrophoresis, extracted and purified to insert the product into pCR II (Invitrogen), followed by transfection of this E. coli INVα F '(Invitrogen). Used to switch Plasmid DNA was extracted and purified to confirm that 354 bp DNA fragment was inserted by EcoRI digestion.

DNA 삽입 단편의 1차 서열을 M13 정방향 프라이머(M13F)(서열 23) 및 M13 역방향 프라이머(M13R)(서열 24)(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의 자동화된 서열기, 모델 370A)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704 내지 999에 상응하는 296bp 서열이 발견되었고, 이 서열은 프라이머 TP7의 하류 부분에 상응하는 서열 9의 C-말단 3개 아미노산(XRK: 그러나 DNA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부터의 ERK), 프라이머 TP6의 상류 부분에 상응하는 서열 6의 N-말단 5개 아미노산(ADLSG), 및 프라이머 TP8에 상응하는 서열 5의 8개 아미노산(YLRALGLK)을 함유하고, PCR 반응 생성물(각각 354bp)은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cDNA의 일부분임을 밝힌다.The primary sequence of the DNA insertion fragment is analyzed using M13 forward primer (M13F) (SEQ ID NO: 23) and M13 reverse primer (M13R) (SEQ ID NO: 24) (Automated Sequencer of Applied Biosystem, Model 370A). As a result, a 296 bp sequence corresponding to nucleotides 704 to 999 of SEQ ID NO: 30 was found, which sequence was the C-terminal three amino acids of SEQ ID NO: 9 corresponding to the downstream portion of primer TP7 (XRK: but ERK from DNA nucleotide sequence). , N-terminal five amino acids of SEQ ID NO: 6 corresponding to the upstream portion of primer TP6 (ADLSG), and eight amino acids of SEQ ID NO: 5 corresponding to primer TP8 (YLRALGLK), and the PCR reaction products (354bp each) Identify part of the cDNA encoding differentiation factor.

3.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하하는 cDNA 선별3. cDNA screening encoding megakaryocytic differentiation factor

A. 거핵구 분화 인자 발현 세포주(A431)로부터의 cDNA 플라스미드 라이브러리의 제조A. Preparation of cDNA plasmid library from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expressing cell line (A431)

(1) 제1 스트랜드 cDNA의 합성(1) Synthesis of First Strand cDNA

A431 세포주로부터 유래된 mRNA 5μ g으로부터 GIBCO로부터 시판되는 슈퍼 스크립트(Super Script) 플라스미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한다. 우선 NotI 프라이머 어뎁터 2μ 1를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DEPC)로 처리된 증류수 5μ 1에 용해된 mRNA 5μ g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7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고 얼음상에서 냉각시킨다. 5 x 제1 스트랜드 완충액 4μ 1, 0.1M DTT 용액 2μ 1, 10mM dNTPs 1μ 1 및 DEPC로 처리된 증류수 1μ 1를 여기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37℃에서 2분 동안 배양한다. 슈퍼 스크립트 역전사효소 5μ 1를 이 반응 혼합물에 가한 다음,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반응을 정지시키기 위해 얼음상에 놓는다.CDNA is synthesized using a Super Script plasmid system commercially available from GIBCO from 5 μg of mRNA derived from the A431 cell line. First 2 μl of NotI primer adapter is added to 5 μg of mRNA dissolved in 5 μl of distilled water treated with diethylpyrocarbonate (DEPC), and the mixture is heated at 70 ° C. for 10 minutes and cooled on ice. 5 x first strand buffer 4μ 1, 0.1M DTT solution 2μ 1, 10mM dNTPs 1μ 1 and 1μ 1 of distilled water treated with DEPC are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is incubated at 37 ° C. for 2 minutes.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5μ 1 is added to this reaction mixture, then incubated for 1 hour at 37 ° C and then placed on ice to stop the reaction.

(2) 제2 스트랜드 cDNA의 합성(2) Synthesis of Second Strand cDNA

제1 스트랜드 cDNA 합성을 위한 20μ 1 반응 혼합물중 18μ 1에 DEPC 처리된 증류수 93μ 1, 5 x 제2 스트랜드 완충액 30μ 1, 10mM 4NTPs 3μ 1, 10U/μ 1 이. 콜라이 DNA 리가제 1μ 1, 10U/μ 1 이 콜라이 DNA 폴리머라제 4μ 1 및 2U/μ 1 이 콜라이 RN아제 H 1μ 1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16℃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다. T4 DNA 폴리머라제 2μ 1(10U)를 이 반응 혼합물에 가한 다음, 16℃에서 5분 동안 배양한다.DEPC-treated distilled water 93μ1, 5 x second strand buffer 30μ1, 10mM 4NTPs 3μ1, 10U / μ1 in 18μ1 of 20μ1 reaction mixture for first strand cDNA synthesis. 1 μl of E. coli DNA ligase, 4 μl of 10 E / μ 1 E. coli DNA polymerase and 1 μl of E. coli RNase H are added, and the mixture is incubated at 16 ° C. for 2 hours. 2μ 1 (10U) of T4 DNA polymerase is added to this reaction mixture and then incubated at 16 ° C for 5 minutes.

이 반응 혼합물을 얼음상에 놓고, 여기에 0.5M EDTA 10μ 1 및 PC 150μ 1를가한후, 격렬하게 교반하고 14,000 x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 140μ 1를 새로운 원심분리관으로 이동시킨다. 7.5M 암모늄 아세테이트 70μ 1 및 에탄올 0.5ml를 이 상층액에 가한 후, -80℃에서 30분 동안 정치시킨다. 이 혼합물을 14,000 x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층액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70% 에탄올 0.5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한다.Place the reaction mixture on ice, add 0.5M EDTA 10μ 1 and PC 150μ 1 to it, stir vigorously, centrifuge at 14,000 xg for 10 minutes, and transfer supernatant 140μ 1 to a new centrifuge tube. . 70 μl of 7.5 M ammonium acetate and 0.5 ml of ethanol are added to this supernatant and then left at −80 ° C. for 30 minutes. The mixture is centrifuged at 14,000 x g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is removed and the precipitate is washed with 0.5 ml of 70% ethanol and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3) BstXI 어뎁터의 첨가(3) Addition of BstXI Adapter

상술한 cDNA 침전물을 DEPC 처리된 증류수 25μ 1에 용해시키고, 5x T4 DNA 리가제 완충액 10μ 1, BstXI 어뎁터(인비트로겐) 10μ 1 및 T4 DNA 리가제 5μ 1를 이 용액에 가한 다음, 16° C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한다. PC 50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하고, 격렬하게 교반시켜서, 14,000 x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관으로 이동시킨다. 7.5M 암모늄 아세테이트 25μ 1 및 에탄올 150μ 1를 이 관에 가하고, 교반시켜서 -80° C에서 30분 동안 정치시킨다. 14,000 x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70% 에탄올 0.5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한다.The cDNA precipitate described above was dissolved in 25μ 1 of DEPC treated distilled water, 10μ 1 of 5x T4 DNA ligase buffer, 10μ 1 of BstXI adapter (Invitrogen) and 5μ 1 of T4 DNA ligase were added to this solution and then at 16 ° C. Incubate for 16 hours. PC 50μ 1 is added to this mixture and stirred vigorously to transfer to a centrifuge tube at 14,000 × g for 5 minutes. 25 μl of 7.5 M ammonium acetate and 150 μl of ethanol are added to this tube and allowed to stir for 30 minutes at −80 ° C. After removing the supernatant by centrifugation at 14,000 x g for 10 minutes, the precipitate is washed with 0.5 ml of 70% ethanol and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4) NotI 분해(4) NotI decomposition

상술한 cDNA 침전물을 DEPC 처리된 증류수 41μ 1에 용해시키고, REAct 7 완충액 5ml 및 Notl 4μ 1를 이 용액에 가하고, 37° C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다. PC 50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하고, 격렬히 교반하여 14,000 x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층액 45μ 1를 원심분리관으로 이동시킨다.The cDNA precipitate described above is dissolved in 41 μl of DEPC treated distilled water, 5 ml of REAct 7 buffer and 4 μl of Notl 4 are added to this solution and incubated at 37 ° C. for 2 hours. PC 50μ 1 is added to this mixture, stirred vigorously and centrifuged at 14,000 × g for 10 minutes, and the supernatant 45μ 1 is transferred to a centrifuge tube.

(5) 어뎁터의 제거 및 부분 cDNA 크기 분별화(5) Adapter removal and partial cDNA size fractionation

상술한 cDNA 용액을 퀵 스핀(Qulck Spin) 컬럼 링커(Linker) 5(Boehringer Mannheim)을 사용하여 분별한다. 40μ g/μ 1 cDNA 50μ 1를 수득한다.The cDNA solution described above is fractionated using Qulck Spin column linker 5 (Boehringer Mannheim). Obtain 40 μg / μ 1 cDNA 50 μ 1.

(6) 파아지벡터로 cDNA의 도입 및 이. 콜라이의 형질전환(6) introduction of cDNA into phage vector and E. E. coli transformation

상술한 cDNA 용액 37.5μ 1에 NotI 및 BstXI로 분해된 pCR/CMV(인비트로겐) 벡터(29μ g/μ 1) 12.5μ 1를 가하고, 추가로 타카라 리게이션(Takara Ligation) 키트 A 용액 400μ 1 및 B 용액 50μ 1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16° C에서 30분 동안 배양하고, 최대 효능(Max Efficiency) DH5α 컴피턴트 세포(BRL) 1ml를 형질전환시켜 71,550개 재조합 클론을 수득한다. 모든 콜로니를 평판으로부터 수집하고(2,86 x 107 세포/ml), 20% 글리세롤 존재하에 -80° C에서 저장한다.To 37.5 μ1 of cDNA solution described above, 12.5 μ1 of pCR / CMV (Invitrogen) vector (29 μg / μ1) digested with NotI and BstXI was added, and further 400 μl of Takakara Ligation Kit A solution and 50 μl of B solution is added and the mixture is incubated for 30 minutes at 16 ° C. and transformed into 1 ml of Max Efficiency DH5α competent cells (BRL) to yield 71,550 recombinant clones. All colonies are collected from the plates (2,86 × 10 7 cells / ml) and stored at −80 ° C. in the presence of 20% glycerol.

B. 콜로니 하이브리드화에 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 cDNA의 선별B. Screening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DNA by colony hybridization

A431 세포주로부터 유래된 cDNA 플라스미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총 227,000(3700/평판)개 콜로니를 9cm 직경의 60 평판상에서 형성하고, 이 콜로니를 니트로셀룰로오즈 필터로 복제한다. 프라이머 NI 067 및 3'-RACE 어뎁터(GIBCOBRL)을 사용하여 PCR(상술한 바와 같은)을 수행하여 900bp PCR 생성물을 수득하고, BamHI로 PCR 생성물을 분해하여 2개 DNA 단편(0.5 kb 및 0.4 kb)을 수득하며 [α-32p] dCTP로 DNA 단편을 닉-해독함으로써 프로브를 제조한다.Using a cDNA plasmid library derived from the A431 cell line, a total of 227,000 (3700 / plate) colonies were formed on a 9 cm diameter 60 plate and replicated with a nitrocellulose filter. PCR (as described above) using primers NI 067 and 3'-RACE adapter (GIBCOBRL) yielded a 900 bp PCR product, and the PCR product was digested with BamHI to yield two DNA fragments (0.5 kb and 0.4 kb). Probes are prepared by nick-decoding DNA fragments with [α- 32 p] dCTP.

콜로니 하이브리드화를 위해, 필터를 5 x SCC, 25mM 인산염 완충액(pH 7.4), 5 x 덴할트(Denhaldt) 용액, 1% SDS, 가열 변성된 연어 정자 DNA 100μ g/ml 및 50% 포름아미드에서 42° C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고, 5 x SSC, 0.1 SDS로 40° C에서 20분 및 45° C에서 20분 동안 세척한다. BAS 2000(후지 필름)을 18시간 동안 노출시킴에 의해 검출한다.For colony hybridization, the filters were placed in 5 × SCC, 25 mM phosphate buffer (pH 7.4), 5 × Denhaldt solution, 1% SDS, 100 μg / ml of heat denatured salmon sperm DNA and 50% formamide. Incubate for 18 hours at ° C and wash 20 min at 40 ° C. and 20 min at 45 ° C. with 5 × SSC, 0.1 SDS. Detection is by exposing BAS 2000 (Fuji Film) for 18 hours.

제1, 제2 및 제3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4개 클론, 예를 들면, TF290, TP308, TP310 및 TP317을 수축한다. 삽입 cDNA의 길이는 각각 1,2kb, 1.1kb, 1,2kb 및 1.2kb이다. TF290, TP310 및 TP317은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685로부터 하류 영역을 포괄한다.First, second and third screening is performed to shrink four clones, eg, TF290, TP308, TP310 and TP317. The length of the inserted cDNA is 1,2 kb, 1.1 kb, 1,2 kb and 1.2 kb, respectively. TF290, TP310 and TP317 encompass the region downstream from nucleotide 685 of SEQ ID NO: 30.

4. FCR에 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cDNA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분석(3)4. Analysis of cDNA 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by FCR (3)

A. 거핵구 분화 인자 발현 세포주 (HPC-Y11)로부터 mRNA의 제조A. Preparation of mRNA from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expressing cell line (HPC-Y11)

사람 췌장 암 세포주(HPC-Y11)의 냉동 세포 1.1g으로부터, mRNA 50μ g을 파마시아 LKB로부터 시판되는 RNA추출 키트 및 mRNA 정제 키트를 사용하여 추출 및 정제한다.From 1.1 g of frozen cells of the human pancreatic cancer cell line (HPC-Y11), 50 μg of mRNA is extracted and purified using an RNA extraction kit and an mRNA purification kit available from Pharmacia LKB.

B, 거핵구 분화 인자 발현 세포주 (HPC-Y11)로부터 cDNA 파지 라이브러리의 제조(1) cDNA의 합성B, Preparation of cDNA Phage Library from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Expressing Cell Line (HPC-Y11) (1) Synthesis of cDNA

HPC-Y11로부터 유래된 mRNA 5μ g으로부터, cDNA를 파마시아 LKB의 타임 세이버 cDNA 합성 키트를 사용하여 합성한다. 먼저, mRNA 5μ g을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DEPC) 처리된 증류수 20μ 1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65° C에서 10분 동안 가열하고, 얼음에서 냉각시킨다. 제1 스트랜드 반응 혼합물 11μ 1, DTT 용액 1μ 1 및 NotI(올리고머 18 프라이머 용액 1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한 다음, 37° C에서 1시간 동안 배양시킨다.From 5 μg of mRNA derived from HPC-Y11, cDNA is synthesized using Pharmacia LKB's time saver cDNA synthesis kit. First, 5 μg of mRNA is dissolved in 20 μl of diethylpyrocarbonate (DEPC) treated distilled water and the solution is heated at 65 ° C. for 10 minutes and cooled on ice. 11 μl of the first strand reaction mixture, 1 μl of DTT solution and 1 μl of NotI (oligomer 18 primer solution) are added to the mixture and then incubated at 37 ° C. for 1 hour.

제2 스트랜드 반응 혼합물 100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한 다음, 12° C에서 30분 및 22° C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65° C에서 10분 동안 가열한다, 페놀-클로로포름-이소아밀 알콜(25 : 24 : 1, 이후 PC로 약칭) 100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하여, 격렬히 교반시키고 14,000 x g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층액을 서파크릴(Sephacryl) S-400 스핀 컬럼(파마시아-LKB)를 사용하여 분별화시켜 cDNA 용액 100μ 1를 수득한다.100 μl of the second strand reaction mixture is added to this mixture, followed by incubation at 12 ° C. for 30 minutes and 22 ° C. for 1 hour, and heating at 65 ° C. for 10 minutes, phenol-chloroform-isoamyl alcohol (25 : 24: 1, then abbreviated as PC) 100 μ 1 was added to this mixture, stirred vigorously and centrifuged at 14,000 × g for 1 minute, and the supernatant was washed with a Sephacryl S-400 spin column (Pharmacia-LKB). Fractionation to give 100 μl of cDNA solution.

(2) EcoRI 어뎁터의 부가(2) Addition of EcoRI Adapter

cDNA 용액 100μ 1에 EcoRI 어뎁터(파마시아-LKB) 5μ 1, 폴리에틸렌 글리콜 30μ 1, ATP 용액 1μ 1 및 T4 DNA 리가제 1μ 1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37° C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다. 65° C에서 10분 동안 가열한 후, ATP 용액 1.5μ 1 및 T4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키나제 1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하고, 37° C에서 30분 동안 배양시킨다. 65° C에서 10분 동안 가열시키고, NotI 12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한 다음, 37° C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다. PC 150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하고, 격렬히 교반하여 14,000 x g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세파크릴 S-400 스핀 컬럼을 사용하여 분별화시키고 cDNA 용액 150μ 1를 수득한다.To 100 μl of cDNA solution is added 5 μl of EcoRI Adapter (Pharmacia-LKB), 30 μl of polyethylene glycol, 1 μl of ATP solution and 1 μl of T4 DNA ligase, and the mixture is incubated at 37 ° C. for 1 hour. After 10 minutes of heating at 65 ° C., 1.5 μl of ATP solution and 1 μl of T4 polynucleotide kinase are added to this mixture and incubated at 37 ° C. for 30 minutes. Heat at 65 ° C. for 10 minutes, add NotI 12μ 1 to this mixture, and incubate at 37 ° C. for 1 hour. 150 μl of PC was added to this mixture, stirred vigorously, centrifuged at 14,000 × g for 1 minute and the supernatant fractionated using a Sephacryl S-400 spin column to give 150 μl of cDNA solution.

(3) 파지벡터로 cDNA의 도입 및 시험관내 팩케이징(3) Introduction of cDNA as a phage vector and in vitro packaging

cDNA 용액 15μ 1에 EcoRI 및 NotI로 분해하여 탈인산화시킨 λ gt 11D(파마시아-LKB) 2μ g을 가하고, 에탄올 침전시킨 후, 이 침전물을 리가제 완충액 8μ 1에 용해시킨다. 1/75-희석된 ATP 용액 1μ 1 및 T4 PDNA 리가제 1μ 1를 이 혼합물에 가한 다음, 16° C에서 30분 동안 배양시키고 얼음상에서 저장한다. 시험관내팩케이징 반응은 기가(Giga) 팩(Pack)II 골드(Gold)(Stratagene)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재조합 파지 5.34 x 106pfu를 상술한 3개의 리가제 반응 생성물로부터 수득한다. 라이브러리를 이, 콜라이 Y 1090r-1숙주에서 증폭시켜서 1.7 × 1011 pfu/ml HPC-Y11 파지 라이브러리의 스톡을 수득한다.2 μg of λ gt 11D (Pharmacia-LKB) which was dephosphorylated by EcoRI and NotI and dephosphorylated was added to 15 μ1 of the cDNA solution, followed by ethanol precipitation, and the precipitate was dissolved in 8 μ1 of ligase buffer. 1 μl of 1 / 75-diluted ATP solution and 1 μl of T4 PDNA ligase are added to this mixture, then incubated at 16 ° C. for 30 minutes and stored on ice. In vitro packaging reactions are carried out using Giga Pack II Gold (Stratagene) and recombinant phage 5.34 × 10 6 pfu is obtained from the three ligase reaction products described above. The library is amplified in this Coli Y 1090r-1 host to obtain a stock of 1.7 × 10 11 pfu / ml HPC-Y11 phage library.

C. 거핵구 분화 인자 cDNA의 5'-부분의 동정 및 분리C.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the 5'-Part of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DNA

(1) PCR에 의한 HPC-Y11 파지 라이브러리 cDNA 삽입 DNA 단편 프라이머 N1074 상류 부분의 증폭(1) Amplification of HPC-Y11 Phage Library cDNA Insertion DNA Fragment Primer N1074 Upstream by PCR

PCR 반응을 위한 주형 DNA로서 6.0 x 1010pfu/ml HPC-Y11 파지 라이브러리 스톡 용액 1μ 1(1.7 x 109pfu에 상응)에 10 x PCR 완충액 5μ 1, 1.25mM 4 dNTPs 8㎕, 10 0D/ml λ gt 11-정방향 F1 프라이머(서열 25) 1μ 1, 50D/ml N1074 프라이머 1μ 1 및 퍼팩트 맷치(Stratagene) 1μ 1를 가하고, 총 용적을 DEPC로 처리된 증류수 49μ 1를 만든다.As template DNA for PCR reactions, 1 μl of 6.0 x 10 10 pfu / ml HPC-Y11 phage library stock solution (corresponding to 1.7 x 10 9 pfu) 5 μl of 10 × PCR buffer, 1 μl of 1.25 mM 4 dNTPs, 10 0D / 1 μl of ml λ gt 11-forward F1 primer (SEQ ID NO: 25), 1 μ1 of 50 D / ml N1074 primer, and 1 μ1 of Perfect Matat (Stratagene) are added and the total volume is made 49 μ1 of distilled water treated with DEPC.

반응 혼합물을 95° C에서 5분 동안 및 60° C에서 5분 동안 가열시킨 후, 5U/μ 1 Taq DNA 폴리머라제(Perkin Elmer Cetus) 1μ 1를 여기에 가하고, 94° C에서 1분, 60° C에서 1분 및 72° C에서 10분 동안 35회 반응시킨다. 2%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에 의한 분석 결과는 0.3 내지 6kb 범위의 얼룩진 패턴을 나타낸다.The reaction mixture was heated at 95 ° C. for 5 minutes and at 60 ° C., then 5 U / μ 1 Taq DNA polymerase (Perkin Elmer Cetus) 1 μ 1 was added thereto, and at 94 ° C. for 1 minute, 60 React 35 times at 1 ° C. for 10 minutes at 72 ° C. The analysis by 2% agarose gel electrophoresis showed a stained pattern in the range of 0.3 to 6 kb.

(2) λ gt11F1/NI074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제조된 PCR 증폭 단편 혼합물인 주형 및, 프라이머로서 λ gt11F2(서열 26)/NI075, λ gt11F2/TP12(서열 28; 서열 30의 703-683에 상응), λ gt11F2/TP11(서열 27; 서열 30의 619-599에 상응), λgt11F2/TP13(서열 29; 서열 30의 595-575에 상응), TP7/NI074, TP7/NI075 및 NI073/NI074를 사용하는 PCR 분석(2) a template which is a mixture of PCR amplification fragments prepared using the λ gt11F1 / NI074 primers, and λ gt11F2 (SEQ ID NO: 26) / NI075, λ gt11F2 / TP12 (SEQ ID NO: 28; corresponding to 703-683 of SEQ ID NO: 30), as a primer PCR using λ gt11F2 / TP11 (SEQ ID NO: 27; corresponding to 619-599 of SEQ ID NO: 30), λgt11F2 / TP13 (SEQ ID NO: 29; corresponding to 595-575 of SEQ ID NO: 30), TP7 / NI074, TP7 / NI075, and NI073 / NI074 analysis

상기 PCR 반응 생성물의 l/100 희석된 용액 1㎕를 PCR 반응을 위한 주형 DNA에 대해 사용하고, 10xPCR 완충액 5㎕, 1.25mM 4dNTP 8㎕,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혼합되는 각각 10 0D/ml 프라이머 0.5㎕ 및 퍼펙트 맷치(Ferfect Match; Stratagene) 1㎕를 이에 가한 후, DEPC-처리된 증류수를 사용하여 전체 반응 혼합물을 49㎕가 되게 한다. 반응 혼합물을 95℃에서 5분간 및 60℃에서 5분간 가열하고, 5U/㎕ Taq DNA 폴리머라제(Perkin Elmer Cetus) 1㎕를 이에 가한 후, 94℃에서 1분, 60℃에서 2분 및 72℃에서 2분간 35회 반응을 수행한 후 72℃에서 10분 배양한다.1 μl of the l / 100 diluted solution of the PCR reaction product is used for template DNA for PCR reactions, 5 μl 10 × PCR buffer, 8 μl of 1.25 mM 4dNTP, each 10 0D / ml primer mixed as described below 0.5 μl and 1 μl Perfect Match (Stratagene) are added thereto and then the entire reaction mixture is brought to 49 μl using DEPC-treated distilled water. The reaction mixture is heated at 95 ° C. for 5 minutes and at 60 ° C. for 5 minutes and 1 μl of 5 U / μl Taq DNA polymerase (Perkin Elmer Cetus) is added thereto, followed by 1 minute at 94 ° C., 2 minutes at 60 ° C. and 72 ° C. The reaction was performed 35 times for 2 minutes at and then incubated at 72 ° C for 10 minutes.

프라이머로서 λ gt11F2/NI075, λ gt11F2/TP12, λ gt11F2/TP11, λ gt11F2/TP13, TP7/NI075, 및 NI073/NI074를 사용한다. 2%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결과, 969bp, 870bp, 786bp, 762bp, 330bp 및 149bp의 밴드가 프라이머에 상응하여 수득된다.Lambda gt11F2 / NI075, lambda gt11F2 / TP12, lambda gt11F2 / TP11, lambda gt11F2 / TP13, TP7 / NI075, and NI073 / NI074 as primers. 2% agarose gel electrophoresis results in bands of 969 bp, 870 bp, 786 bp, 762 bp, 330 bp and 149 bp corresponding to the primers.

(3) F2/NI075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제조된 PCR 증폭 생성물(969bp)에 대한, λ gt11F/TP11 및 λ gt11F/TP13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 분석 및 1차 서열 분석(3) PCR analysis and primary sequence analysis using λ gt11F / TP11 and λ gt11F / TP13 primers for PCR amplification products (969 bp) prepared using F2 / NI075 primers

프라이머로서 λ gt11F2/NI075를 사용하여 제조된 상기 PCR 반응 생성물(969bP) 0.5㎕를 PCR 반응에 대한 주형 DNA로서 사용하고, 10xPCR 완충액 5㎕, 1.25mM 4dNTP 8㎕, 10 0D/ml λ gt11F1 프라이머 1㎕, 10 0D/ml TP11 프라이머 1㎕ 또는 10 0D/ml TP13 프라이머 1㎕ 및 퍼펙트 맷치 l㎕를 이에 가한 후, DEPC-처리된 증류수를 사용하여 전체 용적이 49㎕가 되게 한다.0.5 μl of the PCR reaction product (969bP) prepared using λ gt11F2 / NI075 as a primer was used as template DNA for the PCR reaction, and 5 μl of 10 × PCR buffer, 8 μl of 1.25 mM 4dNTP, 10 0D / ml λ gt11F1 primer 1 1 μl, 1 μl of 10 0D / ml TP11 primer or 1 μl of 10 0D / ml TP13 primer and 1 μl of Perfect Match are added thereto, followed by 49 μl total volume using DEPC-treated distilled water.

반응 혼합물을 95℃에서 5분간 및 60℃에서 5분간 가열하고, 5U/ml Taq /DNA 폴리머라제(Perkin Elmer Cetus) 1㎕를 이에 가한 후, 94℃에서 1분, 60℃에서 2분 및 72℃에서 2분간 35회 반응을 수행한 후 72℃에서 10분 배양한다.The reaction mixture was heated at 95 ° C. for 5 minutes and at 60 ° C. for 5 minutes, and 1 μl of 5 U / ml Taq / DNA polymerase (Perkin Elmer Cetus)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1 minute at 94 ° C., 2 minutes at 72 ° C. and 72 minutes. The reaction is carried out 35 times at 2 ° C. for 10 minutes at 72 ° C.

PCR 반응 생성물의 밴드(각각 678bp 및 654bp)를 전기 영동후 2% 아가로스겔로부터 절단하고, 추출하며, 정제하고, pCRII(Invitrogen)내로 삽입시킨 후, 이를 이 콜라이 IN Vα F'(INtrogen)을 형질전환하는데 사용한다.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고, 형질전환체로부터 정제한 후, EcoRI로 분해하여 0.75kb DNA 단편이 삽입되었는지 확인한다. 삽입된 DNA 단편의 1차 서열을 M13 정방향 프라이머 M13F 및 M13 역방향 프라이머 M13(Applied Biosystems automated sequencer Model 370A)을 사용하여 분석한다.Bands of the PCR reaction product (678 bp and 654 bp, respectively) were cut from 2% agarose gel after electrophoresis, extracted, purified, inserted into pCRII (Invitrogen), and this coli IN Vα F '(INtrogen) Used to transform. Plasmid DNA is extracted, purified from the transformants, and digested with EcoRI to confirm that a 0.75 kb DNA fragment is inserted. The primary sequence of the inserted DNA fragment is analyzed using M13 forward primer M13F and M13 reverse primer M13 (Applied Biosystems automated sequencer Model 370A).

그 결과,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1 내지 619에 상응하는 619개 bp의 서열이 나타나며,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487 내지 619로 이루어진 133개 뉴클레오타이드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실시예 2.1에서 나타나는 1차 서열의 N-말단에 상응한다. 이러한 619bp 서열중에는 서열 3의 19개 아미노산(DNA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부터의 VERVDFTNHLEDTRRINK) 및 서열 7의 5개 아미노산(LYDAK)이 존재하고, 이러한 PCR 반응 생성물(각각 0.7kb)은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cDNA의 일부분임이 명백해진다.As a result, 619 bp of sequences corresponding to nucleotides 1 to 619 of SEQ ID NO: 30 appear, and the nucleotide sequence of 133 nucleotides consisting of nucleotides 487 to 619 of SEQ ID NO: 30 is located at the N-terminus of the primary sequence shown in Example 2.1. Corresponds. Among these 619 bp sequences are 19 amino acids of SEQ ID NO: 3 (VERVDFTNHLEDTRRINK from DNA nucleotide sequence) and 5 amino acids of SEQ ID NO: 7 (LYDAK), and these PCR reaction products (0.7 kb each) represent the cDNA encod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t is obvious that it is part.

해독 개시 메티오닌은 제74번 뉴클레오타이드에 상응하고, 5'-비 해독 영역은 73개 bp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이들 PCR 반응 생성물(각각0.7kb)이 거핵구 분화 인자에 대한 구조 유전자의 N-말단을 함유하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Translation initiation methionine corresponds to nucleotide 74 and the 5'-non translation region is considered to consist of 73 bp. Thus, it is evident that these PCR reaction products (0.7 kb each) contain the N-terminus of the structural gene for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5. PCR에 의한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cDNA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분석(4)5. cDNA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encod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by PCR (4)

HPC-Y11로부터 유래된 거핵구 분화 인자에 대한 구조 유전자의 N-말단 부위 및 섹션 C(3)에서 수득된 5'-비-해독 영역으로 간주되는 서열중, 5'-비-해독 영역으로 간주되는 서열 부위인 서열 30의 12 내지 31번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올리고 머 Ni 083(서열 31) 합성의 기반으로서 사용한다.Among the sequences considered to be the 5'-non-translated region obtained in section C (3) and the N-terminal region of the structural gene for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derived from HPC-Y11, the 5'-non-detox regi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Nos. 12 to 31 of SEQ ID NO: 30 are used as the basis for oligomer Ni 083 (SEQ ID NO: 31) synthesis.

섹션 1에서 A431 세포로부터 제조되는 폴리 A를 함유하는 RNA, 예비증폭 시스템(Gibco BRL) 및 시스템에 부착된 랜덤 헥사머를 사용하여 포함된 지침서에 따라 제1 스트랜드 cDNA를 합성하고, NI 083 및 NI 074 및 Ampli Tas(Takara)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한다. 그 결과, 거핵구 분화 인자에 대한 cDNA 단편인 1001bp의 DNA 단편이 수득된다.Synthesizing the first strand cDNA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included using RNA containing poly A prepared from A431 cells in section 1, a preamplification system (Gibco BRL) and a random hexamer attached to the system, NI 083 and NI PCR is performed using 074 and Ampli Tas (Takara). As a result, a DNA fragment of 1001 bp, which is a cDNA fragment for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obtained.

이와 같은 PCR 생성물인 1001bP의 DNA 단편을, 포함된 제작자의 지침서에 따라 Taq 염료 데옥시 터미네이터 사이클 시퀀싱 키트(Applied Biosystem) 및 형광성 서열기(Applied Biosystem Type 370A) 상에서 서열화를 위한 기질로서 직접적으로 사용한다. 그 결과,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32 내지 486의 서열이 발견된다. 추가로,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487 내지 991에 대해 수득된 결과는 섹션 1에서 수득한 서열과 상응한다.DNA fragments of this PCR product, 1001bP, are used directly as substrates for sequencing on Taq dye deoxy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s (Applied Biosystem) and fluorescent sequencers (Applied Biosystem Type 370A) according to the included manufacturer's instructions. . As a result, the sequences of nucleotides 32 to 486 of SEQ ID NO: 30 are found. In addition, the results obtained for nucleotides 487 to 991 of SEQ ID NO: 30 correspond to the sequences obtained in section 1.

섹션 1에서 수득한 서열과 혼합하여, A431 세포의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cDNA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인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32 내지 1950을 결정한다.Mixing with the sequence obtained in section 1 determines the nucleotide sequences 32 to 1950 of SEQ ID NO: 30, which are cDNA 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A431 cells.

이러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있어, 모든 가능한 3개의 판독 프레임을 기계적으로 아미노산 서열로 해독하면 이들중 하나가 서열 1 내지 9에 도시된 모든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연속 아미노산 서열로 해독될 수 있는 영역을 가짐이 밝혀졌고, 거핵구 분화 인자의 판독 프레임을 결정하였다.In this nucleotide sequence, the translation of all three possible reading frames into an amino acid sequence revealed that one of them had a region that could be translated into a contiguous amino acid sequence containing all of the amino acid sequences shown in SEQ ID NOS: 1-9. And the reading frame of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was determined.

이러한 판독 프레임중에는 해독 개시 위치에서 발견되는 메티오닌에 대한 코돈(뉴클레오타이드 74 내지 76)이 존재하고, 이 위치로부터 서열 1 내지 9에 도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아미노산 서열로 해독될 수 있는 영역이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위치 1213까지 지속됨이 밝혀짐으로써, 서열 30의 위치 74로부터 위치 1213까지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 거핵구 분화 인자로 해독되는 영역임이 결정되었다.Within this reading frame is a codon (nucleotides 74-76) for methionine found at the start of translation, from which the region can be translated into an amino acid sequence contain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s: 1-9 It was found that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1213 of the nucleotide sequence from position 74 to position 1213 of SEQ ID NO: 30 is the region to be translated into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74 내지 76의 메티오닌 코돈을 포함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GCAATGC(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71 내지 77)는 문헌[참조; M. Kozak, Nucleic Acids Research (1981) Vol. 9, p 5233-5252]중에 나타난 해독 개시 부위에 빈번히 존재하는 메티오닌 코돈을 포함하는 서열(G/A-N-N-A-T-G-G)에 상응한다.The nucleotide sequence GCAATGC (nucleotides 71 to 77 of SEQ ID NO: 30) comprising the methionine codons of nucleotides 74 to 76 of SEQ ID NO: 30 is described in literature; M. Kozak, Nucleic Acids Research (1981) Vol. 9, p 5233-5252],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G / A-N-N-A-T-G-G) containing methionine codons that are frequently present at the translation initiation site shown.

따라서 거핵구 분화 인자의 1차 서열은 구조 유전자중 아미노산 수가 380개, 분자량 기대치 42904.43, 등전점 기대치 6.79로서 명백해진다. 서열 1은 서열 30의 아미노산 188 내지 196에 상응하고; 서열 2는 서열 30의 아미노산 181 내지 187에상응하며; 서열 3은 서열 30의 아미노산 126 내지 144에 상응하고; 서열 4는 서열 30의 아미노산 325 내지 341에 상응하며; 서열 5는 서열 30의 아미노산 289 내지 297에 상응하고; 서열 6은 서열 30의 아미노산 305 내지 324에 상응하며; 서열 7은 서열 30의 아미노산 121 내지 125에 상응하고; 서열 8은 서열 30의 아미노산 284 내지 288에 상응하며; 서열 9는 서열 30의 아미노산 204 내지 213에 상응한다. 추가로, 폴리 A 부가 시그날 AATAAA 서열은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1933 내지 1998에 존재한다.Therefore, the primary sequence of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becomes apparent as 380 amino acids in the structural gene, 42904.43 molecular weight expectation, and 6.79 isoelectric expectation expectation. SEQ ID NO: 1 corresponds to amino acids 188 to 196 of SEQ ID NO: 30; SEQ ID NO: 2 corresponds to amino acids 181 to 187 of SEQ ID NO: 30; SEQ ID NO: 3 corresponds to amino acids 126 to 144 of SEQ ID NO: 30; SEQ ID NO: 4 corresponds to amino acids 325 to 341 of SEQ ID NO: 30; SEQ ID NO: 5 corresponds to amino acids 289 to 297 of SEQ ID NO: 30; SEQ ID NO: 6 corresponds to amino acids 305 to 324 of SEQ ID NO: 30; SEQ ID NO: 7 corresponds to amino acids 121 to 125 of SEQ ID NO: 30; SEQ ID NO: 8 corresponds to amino acids 284 to 288 of SEQ ID NO: 30; SEQ ID NO: 9 corresponds to amino acids 204 to 213 of SEQ ID NO: 30. In addition, the poly A addition signal AATAAA sequence is present at nucleotides 1933 to 1998 of SEQ ID NO: 30.

실시예 3Example 3

PCR에 의해 A431로부터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cDNA의 분리 및 동정 및 발현 벡터의 작제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DNA Encod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from A431 by PCR and Construction of Expression Vectors

올리고머 NI078(서열 32) 및 NI079(서열 33)을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서열(서열 30)을 기본으로 하여 합성한다. NI078에서, 해독 개시 메티오닌 코돈을 포함하는 뉴클레오타이드 13 내지 37의 서열은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74 내지 98의 서열에 상응하고, EcoRI 인지 부위(뉴클레오타이드 4 내지 9) 및 NruI 인지부위(뉴클레오타이드 8 내지 13)을 인위적으로 부가한다; NI079에서, 뉴클레오타이드 17 내지 49의 서열은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1237 내지 126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응하고, EcoRI 인지 부위(뉴클레오타이드 3 내지 8) 및 NotI 인지부위(뉴클레오타이드 9 내지 16)을 인위적으로 부가한다.Oligomeric NI078 (SEQ ID NO: 32) and NI079 (SEQ ID NO: 33) are synthesized based on the sequence obtained in Example 2 (SEQ ID NO: 30). In NI078, the sequences of nucleotides 13-37 comprising a translational initiation methionine codon correspond to the sequences of nucleotides 74-98 of SEQ ID NO: 30 and correspond to the EcoRI recognition sites (nucleotides 4-9) and the NruI recognition sites (nucleotides 8-13). Add artificially; In NI079, the sequences of nucleotides 17 to 49 correspond to the nucleotide sequences of nucleotides 1237 to 1269 of SEQ ID NO: 30 and artificially add EcoRI recognition sites (nucleotides 3 to 8) and NotI recognition sites (nucleotides 9 to 16).

실시예 2, 섹션 1에서의 A431 세포로부터 제조된 폴리 A를 갖는 RNA, 예비증폭 시스템(Gibco BRL) 및 올리고머, 예를 들면 시스템중 포함된 랜덤 헥사머를 포함된 제조자의 지침서에 따라 사용하여 제1 스트랜드 cDNA를 합성하고, 주형으로서 합성된 DNA를, 프라이머로서 NI078 및 NI079 ALC Ampli Taq(Perkin Elmer Cetus)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한다. 그 결과, 거핵구 분화 인자에 대한 cDNA 단편이고, 거핵구 분화 인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갖는 1224bp의 DNA 단편을 수득한다.Example 2, RNA having poly A prepared from A431 cells in section 1, preamplification system (Gibco BRL) and oligomers, such as random hexamers contained in the system, were prepared us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One strand cDNA was synthesized and PCR synthesized using DNA synthesized as a template and NI078 and NI079 ALC Ampli Taq (Perkin Elmer Cetus) as primers. As a result, a DNA fragment of 1224 bp which is a cDNA fragment for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nd has all the information related to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s obtained.

이러한 DNA 단편을 EcoRI로 처리하여 올리고머 NI078(서열 32) 및 NI079(서열 33)에 인위적으로 부가된 EcoRI 인지부위에 의해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cDNA의 양쪽 말단에 EcoRI 결합 부위가 생성된다.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이러한 cDNA 단편을 이의 EcoRI 인지 부위에서 포유동물 발현 벡터 pdKCR-DHFD내로 도입시켜 PdKCR-DHFR-TP055를 수득한다.Such DNA fragments are treated with EcoRI to generate EcoRI binding sites at both ends of the cDNA encod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by EcoRI recognition sites artificially added to oligomers NI078 (SEQ ID NO: 32) and NI079 (SEQ ID NO: 33). This cDNA fragment encoding a megakaryotic differentiation factor is introduced into the mammalian expression vector pdKCR-DHFD at its EcoRI recognition site to yield PdKCR-DHFR-TP055.

동물 세포 발현 벡터 PdKCR-dhfr[참조; Oikawa, 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64, 39, 1989]은 pKCR[참조; 0'Hare et. al., Pro. Natl. Acad. Sci. USA, 78, 1527, 1981]의 유도체이고 SU 40 초기 프로모터 및 래빗 β - 글로빈 유전자 및 dhfr(데하이드로플레이트 환원효소) 유전자를 갖는다.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는 에스케리챠 콜라이 SBM 308로 지정되어, 1990년 6월 7일 기탁기관[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1-3, Higashi 3-chome, Tsukubashi, Ibaraki, Japan]에 FERM P-11506의 기탁번호로 기탁되었으며, 1993년 2월 18일, FERM BP-4197로서 부다페스트 조약하의 국제기탁물로 이전되었다.Animal cell expression vector PdKCR-dhfr [see; Oikawa, 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64, 39, 1989 refer to pKCRs; 0'Hare et. al., Pro. Natl. Acad. Sci. USA, 78, 1527, 1981 and has a SU 40 early promoter and rabbit β-globin gene and dhfr (dehydroplate reductase) gene. The host transformed with the expression vector was designated Escherichia coli SBM 308, and was deposited on June 7, 1990 by 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1-3, Higashi 3-chome, Tsukubashi, Ibaraki. , Japan] was deposited with the accession number of FERM P-11506, and on February 18, 1993, it was transferred to the International Deposit under the Treaty of Budapest as FERM BP-4197.

pdKCR-DHFR내에 통합된 거핵구 분화 인자 cDNA를 함유하는 클론 PdKCR-DHFR-TP055를 Taq 염료 데옥시 터미네이터 사이클 시퀸싱 키트(Applied Biosystem) 및형광성 서열기(Applied Biosystem Type 370A)를 사용하여 포함된 지침서에 따라 서열화한다. 그 결과, 결정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서열 30의 뉴클레오타이드 99 내지 1236의 서열 및 올리고머 NI078 및 NI079에 상응한다, 추가로, 서열화에 의해, 벡터내로 삽입된 거핵구 분화 인자 cDNA는 발현 벡터 프로모터에 대해 정확한 배향으로 존재함이 확인되었다.Clone PdKCR-DHFR-TP055 containing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DNA integrated into pdKCR-DHFR was included in the instructions included using Taq dye deoxy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 (Applied Biosystem) and fluorescent sequencer (Applied Biosystem Type 370A). To be sequenced accordingly. As a result, the determined nucleotide sequence corresponds to the nucleotides 99 to 1236 of SEQ ID NO: 30 and oligomers NI078 and NI079. Additionally, by sequencing,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DNA inserted into the vector is present in the correct orientation for the expression vector promoter. Was confirmed.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이, 서열 30의 정보가 제공되면,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있어,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거핵구 분화 인자 발현 세포주(예: A431)상에서 및 임의의 발현 벡터 내에서 전체 거핵구 분화 인자 또는 임의의 영역을 암호화하는 cDNA를 증폭함으로써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As shown above, given the information in SEQ ID NO: 30,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nucleotide sequence may be expressed as a complet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r any on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expressing cell line (e.g., A431) and in any expression vector. This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amplifying the cDNA encoding the region.

실시예 4Example 4

봄빅스 모리에서 거핵구 분화 인자의 발현Expression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in Bombyx mori

(1) 봄빅스 모리 발현 벡터의 작제(1) Construction of Bombyx mori expression vector

거핵구 분화 인자 cDNA 클론 pdKCR-DHFR-TP055를 NotI으로 분해하여 NI079에 인위적으로 부가된 NotI 인지부위를 절단한다. 이같이 생성된 NotI 결합 말단을 다카라 슈조로부터 구입가능한 평활화 키트를 사용하여 평활-말단화시키고, 첨부된 지침서에 따라 평활말단에 XbaI 링커(Takara Shuzo)를 가한다. 이와 같이 수득된 플라스미드를 동시에 NruI 및 XbaI로 동시에 분해하며, NI078에 인위적으로 부가된 NruI 인지부위 및 도입된 XbaI 링커의 XbI 인지부위를 절단하여, NruI 점착성 말단 및 XbaI 점착성 말단을 갖는 거핵구 분화 인자 cDAN를 제조한다. 이 DNA 단편을 NruI 및 XbaI으로 동시에 분해된, 봄빅스 모리 핵 다면성 바이러스에 대한 바큘로바이러스 전이벡터 pBm4[Department of Insect Genetics and Bleeding National Institute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Ohwashi, Tukuba, Ibaraki 305, JaPan로부터 입수]내로 NruI 인지부위에서 삽입시켜 pBm4-TP055를 수득한다.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DNA clone pdKCR-DHFR-TP055 is digested with NotI to cleave the NotI recognition site artificially added to NI079. The NotI binding ends thus produced are blunt-terminated using a smoothing kit available from Takara Shuzo, and XbaI linker (Takara Shuzo) is added to the blunt ends according to the attached instructions. The plasmid thus obtained was simultaneously digested with NruI and XbaI simultaneously, and cleaved from the NruI recognition site artificially added to NI078 and the XbI recognition site of the introduced XbaI linker, resulting i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DAN having an NruI sticky end and an XbaI sticky end. To prepare. This DNA fragment from the baculovirus transfer vector pBm4 for Bombyx mori nuclear polyhedral virus simultaneously digested with NruI and XbaI from the Department of Insect Genetics and Bleeding National Institute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Ohwashi, Tukuba, Ibaraki 305, JaPan Obtained] is inserted at the NruI recognition site to obtain pBm4-TP055.

(2) TP055 재조합 바이러스의 작제(2) Construction of TP055 Recombinant Virus

봄빅스 모리 엠브리오닉(Bombyx mori embryonic)으로부터 유래된 세포주 BoMo15AIIc[구입처: Department of Insect Genetics and Bleeding National Institute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Ohwashi, Tukuba, Ibarki 305, Japan]을 10% 태송아지 혈청(FBS: GIBCO BRL) 및 MGM 448중의 500㎍/ml 젠타마이신을 함유하는 배지중에서 25℃에서 계대배양시킨다. TP055 재조합 바이러스를, 봄빅스 모리 핵 다면성 바이러스 유전자 DNA 및 pBm4-TP055 플라스미드 DNA를 예를 들면 인산칼슘 공동침전법에 의해 봄빅스 모리 배양된 세포내로 공동 도입시켜 작제한다.Cell line BoMo15AIIc derived from Bombyx mori embryonic [Department of Department of Insect Genetics and Bleeding National Institute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Ohwashi, Tukuba, Ibarki 305, Japan] was extracted from 10% calf serum (FBS: Passage at 25 ° C. in medium containing 500 μg / ml gentamicin in GIBCO BRL) and MGM 448. The TP055 recombinant virus is constructed by co-introducing Bombyx mori nuclear polyhedral virus gene DNA and pBm4-TP055 plasmid DNA into Bombyx mori cultured cells, for example, by calcium phosphate coprecipitation.

즉, 야생형 바이러스 B6E[입수처: Department of Insect Genetics and Bleeding National Institute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Ohwashi, Tukuba, Ibaraki 305, Japan]의 게놈 DNA 2㎍ 및 전이 플라스미드 pBm4-TP055 10㎍을 멸균 정제수 240㎕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동일 용적의 0.5M CaCl2 및 0.1M HEPES를 가한 후 혼합물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시킨다. 혼합물에 0.2M NaCl, 0.05M HEPES, 0.75mM NaH2PO4 및 0.75mM Na2HPO4 480㎕를 가하고, 혼합물을 수초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20 내지 30분 방치시켜 게놈 DNA 및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인산칼슘 겔을 형성한다.That is, 240 μl of sterile purified water of 2 μg of genomic DNA and 10 μg of the transfer plasmid pBm4-TP055 of wild type virus B6E [Department of Insect Genetics and Bleeding National Institute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Ohwashi, Tukuba, Ibaraki 305, Japan] To this solution, equal volumes of 0.5 M CaCl 2 and 0.1 M HEPES were added, and the mixture was mixed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480 μL of 0.2 M NaCl, 0.05 M HEPES, 0.75 mM NaH 2 PO 4 and 0.75 mM Na 2 HPO 4 are added to the mixture, and the mixture is stirred for several seconds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20 to 30 minutes to form a calcium phosphate gel containing genomic DNA and plasmid. .

그런 다음, 바이러스 게놈 DNA 및 전이벡터를 함유하는 인산칼슘 겔 현탁액 960㎕를 25cm2T 플라스크(T25, Corning) 중의 BoMo15AIIc 세포 4ml에 가하고, 혼합물을 12시간 방치시킨다. 배지를 새로운 MGM 448(10% FBS 및 항생제 함유)로 교체하고, 25℃에서 배양을 수행한다. 제6일에, 배양배지를 바이러스 용액으로서 회수한다.960 μl of calcium phosphate gel suspension containing viral genomic DNA and transition vector is then added to 4 ml of BoMo15AIIc cells in a 25 cm 2 T flask (T25, Corning) and the mixture is left for 12 hours. Replace the medium with fresh MGM 448 (containing 10% FBS and antibiotics) and incubate at 25 ° C. On day 6, the culture medium is recovered as a viral solution.

배양배지를 원심분리하여, 맑은 상층액을 수득하고, 이를 희석한 후, 미세역가 평판상에서 배양시킨 BoMo15AIIc 세포로 가하고, 8일 후, 바이러스 감염이 현미경하에서 관측되지만 다면체는 형성되지 않은 배양배지를 선별한다(제한희석법에 의해). 배양배지를 회수한다. 바이러스 용액 인자중 야생형 바이러스로의 오염은 관측되지 않는다.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to obtain a clear supernatant, diluted, and then added to BoMo15AIIc cells incubated on a microtiter plate, and after 8 days, a culture medium in which viral infection was observed under a microscope but no polyhedron was selected. (By limiting dilution method). Recover the culture medium. No contamination with wild type virus in virus solution factor was observed.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DNA를 함유하는 상기와 같이 작제된 재조합 바이러스를 TP055-BmNPV로서 지정한다.The recombinant virus constructed as above containing DNA encoding a megakaryotic differentiation factor is designated as TP055-BmNPV.

(3) 재조합 유전자의 발현 시험(3) Expression test of recombinant gene

약 1x106BoMo15AIIC 세포를, 평판 배양에 의해 2일 동안, 저부면적이 25cm2인 플라스크중 10% FBS 함유 MGM 448 배지 4ml에서 배양한다, 배양물에,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바이러스(TP055-BmNPV) 또는 야생형 바이러스 B6E 0.5ml를 가하여 BoMo15AIIc 세포를 감염시키고 세포를 25℃에서 3일간 배양하며, 아이소겐(Isogen, Wako Pure Chemical)을 사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한다. 유사하게, 전체 RNA를 비감염된 BoMo15AIIc 세포로부터 추출한다.About 1 × 10 6 BoMo15AIIC cells are incubated for 2 days in plate culture in 4 ml of MGM 448 medium containing 10% FBS in a flask of 25 cm 2 bottom area, in culture the recombinant virus containing the gene encod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TP055-BmNPV) or 0.5 ml of wild-type virus B6E is added to infect BoMo15AIIc cells, the cells are incubated at 25 ° C. for 3 days, and total RNA is extracted using Isogen (Wako Pure Chemical). Similarly, total RNA is extracted from uninfected BoMo15AIIc cells.

그런 다음, 이같이 추출된 RNA 1Mg를 아가로스겔 전기영동에 의해 크기-분별화하고, 분리된 RNA를 모세관 작용에 의해 제타프로브(Zetaprobe)막으로 옮긴다. 디곡시게닌(Boehringer Mannheim)으로 표지시킨 거핵구 분화 인자 cDNA(실시예 2.1에 기술된 KY100 및 NI065로 증폭시킨 PCR 생성물)(TP055 프로브 DNA)를 함유하는 하이브리드화 완충액중에 막을 침지시키고, 혼합물을 42℃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재조합 거핵구 분화 인자 mRNA 및 이의 TP055 프로브 DNA의 특이 복합체를 형성시킨다. 그런 다음 복합체를 알칼리 포스파타제-결합된 항-디곡시게닌 항체(Boehringer Mannheim)와 반응시키고, 복합체화된 거핵구 분화 인자 mRNA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알칼리 포스파타제로 루미겐 PPD(AMPPD)(Boehringer Mannheim)를 가수분해하여 생성시킨 화학발광성으로 검출한다.Then, 1 Mg of the RNA thus extracted is size-fractionat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the separated RNA is transferred to Zetaprobe membrane by capillary action. The membrane is immersed in a hybridization buffer containing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DNA (PCR product amplified with KY100 and NI065 described in Example 2.1) (TP055 probe DNA) labeled with Digoxigenin (Boehringer Mannheim) and the mixture is 42 ° C. Incubation was carried out for 12 hours to form a specific complex of recombinant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mRNA and its TP055 probe DNA. The complex is then reacted with an alkaline phosphatase-linked anti-digoxigenin antibody (Boehringer Mannheim) and complex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mRNA is subjected to luminogen PPD (AMPPD) (Boehringer Mannheim) as alkaline phosphatase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It is detected by chemiluminescence generated by hydrolysis.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조합 거핵구 분화 인자 mRMA는 TP055-BmNPV-감염된 세포로부터 추출된 전체 RNA중에서 검출되어, mRNA가 TF055-BmNFV-감염된 세포중에서 발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프로브 DNA와 하이브리드화하는 mRNA의 발현은 B6E-감염된 세포 및 비감염 세포중에서는 관측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11, recombinant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mRMA is detected in total RNA extracted from TP055-BmNPV-infected cells, indicating that mRNA is expressed in TF055-BmNFV-infected cells. On the other hand, expression of mRNA hybridizing with probe DNA is not observed in B6E-infected and uninfected cells.

(4) 재조합 바이러스의 용액 제조(4) Solution Preparation of Recombinant Virus

약 1x106BoMo15AIIC 세포를 저부 면적이 25cm2인 플라스크중 10% FBS를 함유하는 MGM448 4ml중에서 2일 동안 배양하고, 이 뱅양액에 상기 섹션(2)에서 클로닝시킨 재조합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BoMo15AIIc 세포의 배양 배지 10㎕를 가한다. 25℃에서 14일간 배양후, 배양배지를 1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재조합 바이러스 용액으로서 상층액을 수득한다.Incubate about 1 × 10 6 BoMo15AIIC cells in 4 ml of MGM448 containing 10% FBS in a bottomed 25 cm 2 flask for 2 days, and culture the BoMo15AIIc cells containing the recombinant virus cloned in section 2 above into the vesical fluid. 10 μl of medium is added. After 14 days of incubation at 25 ° C., 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at 1000 rpm for 5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as a recombinant virus solution.

(5) 봄빅스 모리의 혈임파 제조(5) Manufacture of Hemoglobin in Bombyx mori

상기 섹션(3)에서 수득한 10-1희석된 재조합 바이러스 용액 또는 10-1희석된 야생형 바이러스 B6E 용액의 바이러스 응액 50㎕/헤드(head)를 5령기 봄빅스 모리 유충에 주입하고, 시판되는 인공 사료(Morus; Katakura Kogyo)로 20℃에서 4 내지 5일간 누에에게 공급한다. 누에 50마리의 복부를 절단하여, 혈임파를 함유하는 추출물 및 중심부 장의 내용물을 얼음 냉각시킨 플라스틱 튜브에 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한다.10 obtained in the section (3) -1 and the recombinant virus solution diluted or 10 -1 dilution of wild type virus in the virus solution B6E eungaek 50㎕ / head (head), the spring 5 instar larvae injected to Biggs memory,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artificial Feed the silkworms (Morus; Katakura Kogyo) at 20 ° C. for 4-5 days. Fifty silkworms were cut to the abdomen, and the extract containing hemolymph and the contents of the central intestine were taken in an ice cooled plastic tube and centrifuged to obtain a supernatant.

(6) 거핵구 분화 인자의 활성 확인(6) Confirmation of activity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상기 섹션(5)에서 수득한 누에의 혈임파 50ml를 20mM 트리스/HCl(pH 7.4)완충액에 대해 투석하고, 동일한 완충액으로 평형시킨 매트렉스 블루 A 칼럼(ψ 2.5x15cm)에 적용시킨다. 칼럼을 동일한 완충액으로 철저히 세척하여 비결합 분획을 제거하고, 결합된 단백질을 0 내지 1M NaCl의 농도 구배로 용출시킨다. 재조합 바이러스를 주사한 누에로부터 수득된 혈임파의 거핵구 분화 활성에 대한 용출 프로파일을 야생형 바이러스에 대한 프로파일과 비교한다.50 ml of hemolymph of silkworm obtained in section 5 was dialyzed against 20 mM Tris / HCl (pH 7.4) buffer and applied to Matrex Blue A column (ψ 2.5x15 cm) equilibrated with the same buffer. The column is washed thoroughly with the same buffer to remove unbound fractions and the bound protein is eluted with a concentration gradient of 0-1 M NaCl. The elution profile for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activity of hemolymph obtained from silkworms injected with recombinant virus is compared with the profile for wild type virus.

제12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재조합 바이러스를 주사한 누에로부터의 혈임파에서 거핵구 분화 활성은 야생형 바이러스에 대한 활성보다 훨씬 높다.As shown in FIG. 12,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activity in hemolymph from silkworms injected with recombinant virus is much higher than activity against wild type virus.

봄빅스 모리 바큘로바이러스 전이 벡터 pBm4, 봄빅스 모리 핵 다면성 바이러스 PbE 및 봄빅스 모리 세포 BoMo15AIIc가 실시예 4에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이들 물질의 사용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기타 바큘로바이러스 전이 벡터(예: pBk283, pBKblue, Funakoshi에서 입수가능) 봄빅스 모리 핵 다면성 바이러스(Funakoshi로부터 입수가능한 정제된 DNA), 봄빅스 모리 세포(Funakoshi로부터 입수가능한 BmN4 세포)를 사용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가 거핵구 분화 인자를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Bombyx mori baculovirus transfer vectors pBm4, Bombyx mori nuclear polyhedral virus PbE, and Bombix mori cell BoMo15AIIc were used in Example 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these materials. That is, using other baculovirus transfer vectors (e.g., pBk283, pBKblue, Funakoshi) Bombyx mori nuclear polyhedron virus (purified DNA available from Funakoshi), Bombyx mori cells (BmN4 cells available from Funakoshi) Thus on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obtai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는 IL-3의 존재하에 골수세포로부터 거핵구의 형성을 가속화시킨다.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는 거핵구 분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전구 형성체로서 생체내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핵구 분화 인자는 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여러 질환뿐만 아니라 골수 투과 방사의 경우에 있어 방사에 의한 혈소판수의 감소 조절 또는 종양의 화학요법시 혈소판 수의 조절에 효과적인 약제일 수 있다.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es the formation of megakaryocytes from myeloid cells in the presence of IL-3.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and acts in vivo as a precursor. Thus,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ffective agent for controlling the reduction of platelet number by radiation or in the case of chemotherapy of tumors as well as in various diseases related to platelet reduction, as well as in the case of bone marrow permeation radiation.

서열 리스트Sequence list

서열 1SEQ ID NO: 1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9Sequence length: 9

형 태 : 선형Type: Linear

분자 타입 :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SEQ ID NO: 2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7Sequence length: 7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SEQ ID NO: 3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19Sequence length: 19

형 태 : 선형Type: linear

분자 타입 :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SEQ ID NO: 4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17Sequence length: 17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SEQ ID NO: 5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9Sequence length: 9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SEQ ID NO: 6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20Sequence length: 20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SEQ ID NO: 7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5Sequence length: 5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SEQ ID NO: 8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5Sequence length: 5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9SEQ ID NO: 9

서열 타입: 아미노산Sequence type: amino acid

서열 길이 : 10Sequence length: 10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펩타이드Molecular Typ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0SEQ ID NO: 10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38Sequence length: 38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특성 : 서열 3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I는 이노신)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I is inosine)

서열order

서열 11SEQ ID NO: 11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32Sequence length: 32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특성 : 서열 4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I는 이노신)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I is inosine)

서열order

서열 12SEQ ID NO: 12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37Sequence length: 37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특성 : 3'-RACE 키트(Gibco BRL)에 부착된 올리고머Characteristics: Oligomer attached to 3'-RACE kit (Gibco BRL)

서열order

서열 13SEQ ID NO: 13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0Sequence length: 20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14SEQ ID NO: 14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3Sequence length: 23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15SEQ ID NO: 15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1Sequence length: 21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16SEQ ID NO: 16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1Sequence length: 21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17SEQ ID NO: 17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1Sequence length: 21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18SEQ ID NO: 18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2Sequence length '22

분쇄 : 일본쇄Crushing: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19SEQ ID NO: 19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36Sequence length: 36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0SEQ ID NO: 20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1Sequence length: 21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1SEQ ID NO: 21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4Sequence length: 24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2SEQ ID NO: 22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51Sequence length: 51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3SEQ ID NO: 23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17Sequence length: 17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4SEQ ID NO: 24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17Sequence length: 17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 태 : 선형Type: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5SEQ ID NO: 25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0Sequence length: 20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6SEQ ID NO: 26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0Sequence length: 20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7SEQ ID NO: 27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1Sequence length: 21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28SEQ ID NO: 28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1Sequence length '21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서열Molecular Type: Synthetic DNA Sequence

서열 29SEQ ID NO: 29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1Sequence length: 21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30SEQ ID NO: 30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1950Sequence length: 1950

본쇄 : 이본쇄Main print: Doubl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상보성 DNA (cDNA)Molecular Type: Complementary DNA (cDNA)

본래의 공급원 : 사람Original source: person

인접 공급원 : A431Adjacent source: A431

특성 : 사람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DNACharacteristics: DNA encoding huma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서열order

서열 31SEQ ID NO: 31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20Sequence length: 20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본래의 공급원 : 사람Original source: person

특성 : 5'-비-해독 영역Characteristics: 5'-non-detox area

서열order

서열 32SEQ ID NO: 32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37Sequence length: 37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서열 33SEQ ID NO: 33

서열 타입: 핵산Sequence type: nucleic acid

서열 길이 : 49Sequence length: 49

본쇄 : 일본쇄Main print: Japanese print

형태 : 선형Form: Linear

분자 타입 : 합성 DNAMolecular Type: Synthetic DNA

서열order

제1도는 Q-세파로즈 컬럼으로부터의 단백질(A280-●-) 및 거핵구 분화 인자(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활성 -○-)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여기서 용출은 NaCl 농도구배(0 내지 1.0M)로 수행하여 분획 1 내지 120을 수득한다.FIG. 1 shows the elution profile of protein (A280- •-) an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from Q-Sepharose column, where elution is NaCl gradient (0 to 1.0 M) To give fractions 1 to 120.

제2도는 페닐-세파로즈 컬럼으로부터의 단백질(A280-●-) 및 거핵구 분화 인자(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활성 -○-)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여기서, 용출은 황산 암모늄 농도구배(30 내지 0%) 및 에틸렌글리콜 농도구배(0 내지 50%)로 수행하여 1 내지 100번의 분획을 수득하고, 이어서 50%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101 내지 120번의 분획을 수득한다.2 shows the elution profile of protein (A280- •-) an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from phenyl-sepharose column, where elution is ammonium sulfate concentration gradient (30 to 0). %) And an ethylene glycol concentration gradient (0 to 50%) to yield 1 to 100 fractions, followed by 101 to 120 fractions using 50% ethylene glycol.

제3도는 S-세파로즈 컬럼으로부터의 단백질(A280 -●-) 및 거핵구 분화 인자(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활성 -○-)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여기서, 용출은 NaCl 농도구배(0 내지 0,5M)로 수행하여 1 내지 100번의 분획을 수득한다.Figure 3 shows the elution profile of protein (A280-) an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from S-Sepharose column, where elution is NaCl gradient (0 to 0, 5M) to give 1 to 100 fractions.

제4도는 히로드(Hiroad) 26/60 슈퍼덱스 75Pg 컬럼으로부터의 단백질(A280-) 및 거핵구 분화 인자(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활성 -○-)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SDS-PAGE에 의해 수득되는 분획의 분석 결과(도면의 하단)를 나타낸다.Figure 4 shows the elution profile of protein (A280-) an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from Hiroad 26/60 Superdex 75Pg column, obtained by SDS-PAG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ractions (bottom of the figure) are shown.

제5도는 정제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SDS-PAGE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양식을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electrophoretic pattern showing the results of SDS-PAGE analysis of purifi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제6도는 정제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등전성 포커싱(isoelectric focusing)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FIG. 6 shows the results of isoelectric focusing of the purifi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제7도는 SDS-PAGE에 의해 정제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당쇄 분석의 결과를 도시한 전기영동 양식을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서, 제1컬럼은 비-처리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결과를 나타내고, 제2컬럼은 엔도글리코시다제 F-처리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결과(주; 35KD위치 근처의 밴드는 효소 제제로부터 유도된 것이다)를 나타낸다.FIG. 7 shows an electrophoretic pattern showing the results of sugar chain analysis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purified by SDS-PAGE, where the first column represents the results of untreat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nd FIG. The column shows the results of the endoglycosidase F-treat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note; the band near the 35KD position is derived from the enzyme preparation).

제8도는 정제된 거핵구 분화 인자(55KDa 단백질)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IL-6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5일 동안 배양한 마우스 골수 세포로부터 유도된 거핵구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 graph comparing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of megakaryocytes derived from mouse bone marrow cells cultured for 5 days with or without IL-6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purifi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55KDa protein). It is shown.

제9도는 정제된 거핵구 분화인자의 존재하(B) 또는 부재(A)하에서, IL-3을 첨가한 후 4일 동안 배양한 마우스 골수 세포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염색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the results of acetylcholine esterase staining of mouse bone marrow cells cultured for 4 days after the addition of IL-3, in the presence (B) or absence (A) of purifi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제10도는 정제된 거핵구 분화 인자의 존재하(B) 또는 부재(A)하에서, IL-3을 첨가한 후 4일 동안 배양한 마우스 골수 세포의 메이-그륀빌트-김사(May-Gruenwald-Giemsa's) 염색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FIG. 10 shows May-Gruenwald-Giemsa's of mouse bone marrow cells cultured for 4 days after the addition of IL-3, in the presence (B) or absence (A) of purifi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The result of staining is shown.

제11도는 DNA 프로브(실시예 2,1에서 기술한 KY100 및 N1065를 사용하여 증폭시킨 PCR 생성물)를 사용한 RNA의 검출을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RNA는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TF055-Bm NPV)로 감염시킨 배양된 봄빅스 모리(Bombyx moli) 세포(레인 B), 야생형 바이러스(B6E)로 감염시킨 세포(레일 A) 또는 비-형질전환된 세포(레인C)로 부터 추출한 것이다.FIG. 11 shows the detection of RNA using DNA probes (PCR products amplified using KY100 and N1065 as described in Examples 2, 1), wherein the RNA is recombinant containing a gene encod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With cultured Bombyx moli cells (lane B) infected with virus (TF055-Bm NPV), cells infected with wild type virus (B6E) (rail A) or non-transformed cells (lane C) Is extracted from.

제12도는 매트렉스 블루 A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거한 후 봄빅스 모리의 혈임파내에서 거핵구 분화 인자(TP55)의 발현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12 show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of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TP55) in Bombyx mori hemolymph after collection by Matex Blue A column chromatography.

Claims (11)

단백질-비함유 배지중에서 배양된 사람 유표피암 세포 A431로부터 유래된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Produced by cells derived from human epidermal cancer cell A431 cultured in protein-free medium, (1) 거핵구의 분화를 자극하고,(1) stimulate the differentiation of megakaryocytes, (2) 겔 여과 및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에 의해 측정시 55 내지 57kD의 분자량을 나타내며, 분자간 디설파이드 결합이 존재하지 않고,(2) shows a molecular weight of 55 to 57 kD as measured by gel filtration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d there is no intermolecular disulfide bond, (3) 6 5± 0.5의 등전점을 나타내며,(3) shows an isoelectric point of 6 5 ± 0.5, (4) 서열 리스트중 서열 1 내지 9에 도시된 아미노산 서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거핵구 분화 인자.(4)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comprising one or more of the amino acid sequences shown in SEQ ID NOs: 1-9 in the sequence list. 서열 30에 도시된 아미노산 서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거핵구 분화 인자.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onsisting essentially of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0. 제2항에 있어서, 글리코실화된 거핵구 분화 인자.The glycosylated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claim 2. 제2항에 있어서, N-말단이 생화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거핵구 분화 인자.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claim 2, wherein the N-terminus is biochemically or chemically modified. 제4항에 있어서, N-말단에서 첫 번째 메티오닌이 결실되고 두 번째 알라닌이 아세틸화된 거핵구 분화 인자.5.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methionine is deleted and the second alanine is acetylated at the N-terminus. 제2항에 따른 거핵구 분화 인자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DNA.An isolated DNA encod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cording to claim 2. 제6항에 따른 DNA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An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the DNA according to claim 6. 제7항에 따른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이, 콜라이 및 봄빅스 모리로부터 선택되는 숙주.A host selected from E. coli and Bombyx mori, transformed with the expression vector according to claim 7. 제2항에 따른 거핵구 분화 인자에 대한 항체.An antibody against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cording to claim 2. 제8항에 따른 숙주를 배양하여 이에 의해 생산된 거핵구 분화 인자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항에 따른 거핵구 분화 인자의 생산 방법.A method of producing a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according to claim 2 comprising culturing the host according to claim 8 and recovering the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produced thereby. 제10항에 있어서, 숙주가 누에 봄빅스 모리(Bombyx mori)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ost is silkworm Bombyx mori.
KR1019930013425A 1992-07-17 1993-07-16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KR1003972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12305 1992-07-17
JP21230592 1992-07-17
JP6733993 1993-03-04
JP93-067339 1993-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244B1 true KR100397244B1 (en) 2003-12-01

Family

ID=264085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425A KR100397244B1 (en) 1992-07-17 1993-07-16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KR1019930013425A KR940005799A (en) 1992-07-17 1993-07-16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425A KR940005799A (en) 1992-07-17 1993-07-16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5) US5831030A (en)
EP (1) EP0583884B1 (en)
JP (1) JP3521936B2 (en)
KR (2) KR100397244B1 (en)
AU (2) AU4190893A (en)
CA (1) CA2100690C (en)
DE (1) DE69314574T2 (en)
DK (1) DK0583884T3 (en)
ES (1) ES2108228T3 (en)
HU (1) HU218411B (en)
IL (1) IL106375A0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593A (en) * 1993-09-08 1995-03-20 Suntory Ltd Production of protein
US8357513B1 (en) 1994-01-03 2013-01-22 Genentech, Inc. Nucleic acids encoding mpl ligand (thrombopoietin) and fragments thereof
TW565568B (en) * 1994-03-31 2003-12-11 Amg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megakaryocyte growth and differentiation
US5795569A (en) * 1994-03-31 1998-08-18 Amgen Inc. Mono-pegylated proteins that stimulate megakaryocyte growth and differentiation
TW434021B (en) * 1995-03-15 2001-05-16 Kirin Brewery Methods for preventing adsorption of thrombopoietin (TPO), and stable TPO-containing compositions
TW434020B (en) * 1995-03-15 2001-05-16 Kirin Brewery Methods for preventing adsorption of thrombopoietin (TPO), and stable top-containing compositions
TW497972B (en) * 1995-06-08 2002-08-11 Kirin Brewery Stable thrombopoietin (TPO)-containing lyophilized compositions
WO1998040496A1 (en) * 1997-03-12 1998-09-17 The Perkin-Elmer Corporation Dna polymerases having improved labeled nucleotide incorporation properties
AU2763302A (en) * 1997-09-22 2002-05-16 Kurokawa, Kiyoshi Megsin protein
KR100613531B1 (en) * 1997-09-22 2006-08-16 도시오 미야타 MEGSIN protein
EP1172655B1 (en) * 1999-03-19 2013-06-05 Kurokawa, Kiyoshi A method for detecting megsin protein and use thereof
US7056661B2 (en) * 1999-05-19 2006-06-06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for sequencing nucleic acid molecules
AU780532B2 (en) * 1999-10-06 2005-03-24 Kurokawa, Kiyoshi Animal model for mesangial proliferative nephritis
AU2226001A (en) * 1999-12-28 2001-07-09 Kurokawa, Kiyoshi Method of diagnosing mesangium proliferative nephritis in rat
DK1642910T3 (en) * 2000-12-05 2012-05-07 Alexion Pharma Inc Rationally designed antibodies
US20040253242A1 (en) * 2000-12-05 2004-12-16 Bowdish Katherine S. Rationally designed antibodies
US7396917B2 (en) * 2000-12-05 2008-07-08 Alexion Pharmaceuticals, Inc. Rationally designed antibodies
US20050042629A1 (en) 2002-09-13 2005-02-24 Applera Corporation Thermus scotoductus nucleic acid polymerases
WO2003048308A2 (en) 2001-11-30 2003-06-12 Applera Corporation Thermus brockianus nucleic acid polymerases
DE602004027798D1 (en) * 2003-03-12 2010-08-05 Univ Arizona State METHOD FOR REGULATING ANGIOGENESIS WITH APELIN COMPOSITIONS
US7879318B2 (en) 2006-01-23 2011-02-01 Mcw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of reducing the effects of ischemia by administration of a thrombopoietin receptor liga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4440A (en) * 1986-09-17 1990-01-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isolating megakaryocyte stimulatory factor
IL90719A0 (en) * 1988-06-28 1990-01-18 Yissum Res Dev Co Novel nuclei acids and polypeptides encoded thereby
US5032396A (en) * 1989-02-17 1991-07-16 Immunex Corporation IL-7 to stimulate platelet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313000A (en) 1994-11-08
EP0583884A1 (en) 1994-02-23
US20020164711A1 (en) 2002-11-07
AU703648B2 (en) 1999-03-25
AU7538796A (en) 1997-02-20
US5972886A (en) 1999-10-26
CA2100690C (en) 2007-04-17
DE69314574D1 (en) 1997-11-20
DK0583884T3 (en) 1998-03-16
AU4190893A (en) 1994-01-20
US5831030A (en) 1998-11-03
DE69314574T2 (en) 1998-02-19
US5874253A (en) 1999-02-23
IL106375A0 (en) 1993-11-15
JP3521936B2 (en) 2004-04-26
HU9302059D0 (en) 1993-11-29
CA2100690A1 (en) 1994-01-18
KR940005799A (en) 1994-03-22
US20010026931A1 (en) 2001-10-04
HU218411B (en) 2000-08-28
ES2108228T3 (en) 1997-12-16
HUT67124A (en) 1995-02-28
EP0583884B1 (en) 1997-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244B1 (en) Megakaryocyte differentiation factor
Miyajima et al. Us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and an insect baculovirus vector for high-level expression and secretion of biologically active mouse interleukin-3
Devosse et al. Formyl peptide receptor-like 2 is expressed and functional in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tissue-specific macrophage subpopulations, and eosinophils
KR100393508B1 (en) New hIL-4 Mutant Proteins as Antagonists or Partial Agonists of Human Interleukin 4
PL178384B1 (en) Haemopoesive protein as well as method of and materials for obtaining same
JPS6037988A (en) Production of rearranged virus incidence vector
JP2002514887A (en) Method of secreting thrombopoietin polypeptide
EA010741B1 (en) Use of zcyto cytokine polypeptide of human, mouse and antibodies to said polypeptides for treatment of different diseases
US6660257B1 (en) Circular permuteins of flt3 ligand
JPH0657152B2 (en) CSF genes
US20090264354A1 (en) Penumbra Nucleic Acid Molecules, Proteins and Uses Thereof
JPH1080270A (en) Polypeptide-processing enzyme
US5824789A (en) Human growth factors,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growth factors, and method of use thereof
EP1325929B1 (en) Cytotoxic cyplasin of the sea hare, Aplysia punctata, cDNA cloning and expression of bioreactive recombinants
SK5402001A3 (en) Prv-1 gene and the use thereof
JP2000513924A (en) Novel c-mpl receptor agonist
JP2007151401A (en) Method for producing canine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JP4010606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peptide
US20040138430A1 (en) Novel polypeptide compose substance for promoting blood and blood vessel cell growth
JP3896608B2 (en) Novel protein, DNA enco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rotein
JP2003532623A (en) Anti-angiogenic angiotensin-7 and method of regulating angiogenesis by using polynucleotides encoding the same
JPH09188697A (en) Platelet increasing factor
CZ346799A3 (en) Chimeric proteins as flt3 ligands
WO1997005251A2 (en) Feline stem cell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