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621B1 -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621B1
KR100396621B1 KR1019960056436A KR19960056436A KR100396621B1 KR 100396621 B1 KR100396621 B1 KR 100396621B1 KR 1019960056436 A KR1019960056436 A KR 1019960056436A KR 19960056436 A KR19960056436 A KR 19960056436A KR 100396621 B1 KR100396621 B1 KR 100396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battery
unit
charging
han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646A (ko
Inventor
정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1996005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6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노말 충전(Normal Charge), 퀵 충전(Quick Charge), 트리클 충전(Trickle Charge)등을 자동 제어하여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특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토록 한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배터리의 특성 및 충전량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의 특성은 극히 저하되고, 또한 수명도 단축되어 무선전화기 불량의 주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드셋의 충전 여부를 검출하여 충전 모드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충전 모드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와;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에서 충전 모드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부와 핸드셋을 연결하는 충전 선택 라인을 스위칭해 주는 아날로그 스위칭부와; 아날로그 스위칭부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된 충전 선택 라인을 통해 상기 핸드셋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말 충전(Normal Charge), 퀵 충전(Quick Charge), 트리클 충전(Trickle Charge)등을 자동 제어하여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특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토록 한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먼저, 핸드셋을 무선전화기의 본체에 올려 놓게 되면 무선전화기의 본체에 구비된 충전장치에 의해 통상적으로 충전을 하였다.
그리나 이러한 종래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배터리의 특성 및 충전량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의 특성은 극히 저하되고, 또한 수명도 단축되어 무선전화기 불량의 주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노말 표준 충전(Normal Charge), 퀵 충전(Quick Charge), 트리클 충전(Trickle Charge)등을 자동 제어하여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특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토록 한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핸드셋의 충전 여부를 검출하여 충전 모드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충전 모드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에서 충전 모드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부와 핸드셋을 연결하는 충전 선택 라인을 스위칭해 주는 아날로그 스위칭부와;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부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된 충전 선택 라인을 통해 상기 핸드셋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과정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핸드셋 102 :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MCU)
103 : 아날로그 스위칭부 104 : 충전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과정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핸드셋(101)의 충전 여부를 검출하여 충전 모드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충전 모드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에서 충전 모드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부(104)와 핸드셋(101)을 연결하는 충전 선택 라인을 스위칭해 주는 아날로그 스위칭부(103)와,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부(103)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된 충전 선택 라인을 통해 상기 핸드셋(101) 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10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드셋(101)을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에 올려 놓게 되면 상기 무선 전화기 고정장치내의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는 핸드셋(101)의 충전 검출라인(①)이 "H"로 검출되면 3.0V 디텍트(Detect)라인(②) 또는 4.0V 디텍트(Detect)(③)라인 인지를 검출한다.
그 검출 결과 3.0V 디텍트(Detect)라인(②)이 " L" 검출이면 쾌속 충전이라고 판별을 하고 그에 대응하는 쾌속 충전 제어신호를 쾌속 충전 라인(⑤)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그리면, 아날로그 스위칭부(103)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에서 출력된 쾌속 충전 제어신호에 의해 충전부(104)와 핸드셋(101)을 연결하는 쾌속 충전 라인(⑧,⑨)을 스위칭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부(104)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부(103)에서 스위칭된 쾌속충전 라인(⑧,⑨)을 통해 상기 핸드셋(101)내의 배터리를 쾌속 충전하게 된다.
한편, 검출된 결과 4.0V 디텍트(Detect)라인(③)이 "로우" 상태로 검출되면 트리클 충전이라고 판별을 하고 그에 대응하는 트리클 충전 제어신호론 트리클 충전 라인(⑥)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아날로그 스위칭부(03)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에서 출력된 트리클 충전 제어신호에 의해 충전부(104)와 핸드셋(101)을 연결하는 트리클 충전 라인(⑨,⑫)을 스위칭해 주게 된다.
이에 나라, 충전부(104)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부(103)에서 스위칭된 트리클 충전 라인(⑨,⑫)을 통해 상기 핸드셋(101)내의 배터터를 트리클 충전하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3.0V 디텍트(Detect)라인(②) 및 4.0V 디텍트(Detect)라인(③)이 "하이" 상태로 검출되면 표준 충전 이라고 판별을 하고 그에 대응하는 노말 충전 제어신호를 노말 충전 라인(④)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아날로그 스위칭부(103)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에서 출력된 노말 충전 제어신호에 의해 충전부(104)와 핸드셋(101)을 연결하는 노말 충전 라인(⑦,⑩)을 스위칭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부(104)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부(103)에서 스위칭된 노말 충전 라인(⑦,⑩)을 통해 상기 핸드셋(101)내의 배터리를 노말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을 선택 모드에 따라 자동 제어하여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특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하여 배터리에 관련된 불량을 줄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열관련 불량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핸드셋(101)의 충전 여부를 검출하여 충전 모드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충전 모드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에서 충전 모드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부(104)와 핸드셋(101)을 연결하는 충전 선택 라인을 스위칭해 주는 아날로그 스위칭부(103)와;
    상기 아날로그 스위칭부(103)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된 충전 선택 라인을 통해 상기 핸드셋(101)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02)는 상기 핸드셋(101)의 충전 여부를 검출하여 특정의 충전 모드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되게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KR1019960056436A 1996-11-22 1996-11-22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KR10039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436A KR100396621B1 (ko) 1996-11-22 1996-11-22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436A KR100396621B1 (ko) 1996-11-22 1996-11-22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646A KR19980037646A (ko) 1998-08-05
KR100396621B1 true KR100396621B1 (ko) 2003-11-13

Family

ID=3742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436A KR100396621B1 (ko) 1996-11-22 1996-11-22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6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64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0384C (en) Battery charger for a portable wireless telephone set having means for tricklingly charging the battery with an increased current during a stand-by period of the telephone set
US4726052A (en) Radio telephon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259263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배터리 충전회로 및 그 충전방법
RU2000124088A (ru) Блок источника питания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телефона
JPH1032938A (ja) 充電装置
JP2001500355A (ja) 負荷を切断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EP0343571A3 (en) Mobile station for an automobile telephone system
KR100396621B1 (ko)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자동 조절장치
EP042610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an electric machine in a vehicle
AU661876B2 (en)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lephone
EP0720305A2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200077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CA2034620C (en) Charge device capable of lengthening a lifetime of a storage cell
KR200180966Y1 (ko) 무선전화기의 급속충전 장치
KR10019121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수소전지/카드뮴전지를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충전방법
KR20030069156A (ko) 휴대전화 착신 전자파 감지를 통한 카오디오, 실내음향시스템의 자동볼륨조절 장치
KR200149953Y1 (ko) 핸드프리 기능을 구비한 충전기
KR100836047B1 (ko) 배터리의 충전 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59722U (ko) 휴대폰의 충전 장치
JP2672100B2 (ja) 充電式掃除機の充電制御装置
CN2362136Y (zh) 充电状态侦测显示装置
KR0157716B1 (ko) 무선호출기에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지수명 연장방법 및 회로
KR980012767A (ko) 무선전화기에서 수소 배터리의 충전방법
JP3586076B2 (ja) 電源システム
MY115948A (en) Electronic appliance, recharging method and rechar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