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477B1 -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 Google Patents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477B1
KR100396477B1 KR10-2001-0023823A KR20010023823A KR100396477B1 KR 100396477 B1 KR100396477 B1 KR 100396477B1 KR 20010023823 A KR20010023823 A KR 20010023823A KR 100396477 B1 KR100396477 B1 KR 10039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sion
range
wavelength
refractive index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505A (ko
Inventor
박혜영
김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4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19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properties in the silica low loss window around 1550 nm, i.e. S, C, L and U bands from 1460-1675 nm
    • G02B6/02252Negative dispersion fibres at 1550 nm
    • G02B6/02261Dispersion compensating fibres, i.e. for compensating positive dispersion of other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38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 분산보상용 광섬유가 코어, 1차클래드, 2차 클래드로 이루어진 삼중클래드 구조이며, 분산이 - 50 ∼ -14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40 ∼ -1.0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 167 ㎚ 범위이므로, 전송로의 분산 뿐만 아니라 분산기울기를 보상하여 향후 전송 용량 증대를 위해 신호간 파장 간격을 줄여 다수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Dispersion compensating fiber of 50GHz channel spacing wavelength division multilp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본 발명은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분산 보상용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장 간격이 50㎓ 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누적된 분산과 분산 기울기를 보상하는 광섬유에 관한 것이다.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은 전송 용량을 증대 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파장으로 각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말하며, 광전송 시스템에서는 광증폭기가 상용화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송신단에서 변조된 광신호는 전송로인 광섬유의 일정 길이를 진행하면서 광섬유의 고유 특성인 손실로 인해 세기가 감쇄되어 수신단에서 신호의 복조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장거리 전송 시스템의 경우 감쇄된 광신호를 증폭시켜주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광증폭기 상용화 이전에는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세기를 증폭시키고 이를 다시 광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재생기를 사용하였는데,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 할 경우 각각에 대하여 신호 재생을 해주어야 하므로 시스템이 복잡하게 된다. 반면 광증폭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 세기를 파장에 상관없이 동시에 증폭시켜주므로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어븀을 증착한 광증폭기는 1530~1565㎚구간 내의 파장 성분을 갖는 광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키므로, 증폭 파장 구간내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경우 광섬유 손실로 인한 광신호 세기의 감쇄와 이로 인한 전송 거리 감소는 더 이상 문제 되지 않는다.따라서 광증폭기와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대 시킨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이 활발히 구축되고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에서는 광증폭기의 사용으로 광섬유 손실로 인한 전송 용량 감소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광섬유 내 광파워 세기가 증가되어 비선형 현상으로 인한 신호 왜곡이라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비선형 현상 중 특히 사중파 혼합(FWM: Four Wave Mixing)은 다수의 신호를 전송할 경우 신호 간 간섭을 일으켜 주신호 파장 주변에 새로운 신호가 생성하므로 시스템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킨다.신호간 간섭은 위상 일치 조건을 만족해야 발생하는데 이 조건은 광섬유의 분산 특성과 관련 깊다. 송신단에서 변조된 광신호는 단일 파장이 아닌 특정 선폭을 갖게 되며, 파장 간 광섬유 내 진행 속도 차이로 송신단에서 보낸 광신호의 형태가 점차 퍼지게 되는데 이러한 신호 퍼짐을 분산이라고 한다.
분산은 광섬유의 굴절률 분포에 의해 결정되며, 전송 거리에 비례하여 누적된다.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에서 특정 분산을 갖는 광섬유를 전송로로 사용할 경우 각 신호의 진행 속도 간 차이로 신호 간 위상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사중파 혼합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광섬유가 큰 분산을 가질수록 사중파 혼합 억제면에서는 유리하나, 짧은 거리를 진행한 후에도 신호 퍼짐 정도가 심해지므로 전송 거리 증대면에서는 불리하다. 또한 광섬유의 분산은 시스템 전송 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시스템 전송 속도를 고속화 하기 위해 단위 시간 당 많은 신호를 보낼 경우 신호 간격이 줄어들기 때문에 짧은 거리를 진행한 후에도 신호 퍼짐에 의해 신호 간 구별이 어려워지고, 수신감도가 저하된다.따라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광섬유는 사중파 혼합을 억제하면서 특정 전송 거리, 특정 전송 속도를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분산을 가져야 한다.
사중파 혼합을 억제하기 위해서 증폭 파장대인 1530~1565㎚구간 내의 광섬유의 분산은 영이 아니어야 한다. 기존 광섬유 중 분산 이동 광섬유(DSF: DispersionShifted Fiber)는 증폭 파장대 중심 파장인 1550㎚에서 분산이 거의 영이므로 사중파 혼합 억제가 어렵다. 일반 단일 모드 광섬유(SMF : Single Mode Fiber)의 경우 1310㎚ 부근에서 분산이 거의 영이므로 증폭 파장대 중심 파장인 1550㎚에서 분산이 17 ㎰/㎚-㎞ 정도이다.
따라서, 일반 단일 모드 광섬유는 사중파 혼합 억제에 효과적이나 전송 거리, 전송 속도 증대가 어렵다. 이에 기존 광섬유 - 일반 단일 모드 광섬유, 분산 이동 광섬유 - 와는 달리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광섬유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광섬유의 특징은 사중파 혼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1550㎚에서 분산이 영이 아니며, 장거리 전송을 위해 작은 분산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를 기존의 분산 이동 광섬유와 구분하기 위하여 비영분산 분산 이동 광섬유(NZDSF : Non Zero Dispersion Shifted Fiber) 라 한다.
미국특허 5,327,516 호에 의하면 전송속도가 5Gbps 이상이며 파장 간격이 125~250㎓인 광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비영분산 분산 이동 광섬유의 경우 최적 분산 범위로 1.5~4.0 ㎰/㎚-㎞를 제시하였다.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에서 전송 용량을 증대 시키기 위해서는 광신호의 전송 속도를 증대 시키고, 신호 간 파장 간격을 줄여야 한다.
현재 전송 속도는 2.5,10,40Gbps로 고속화 되고 있으며, 파장 간격은 100, 50㎓로 좁아지고 있다. 광신호의 전송 속도와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의 신호 간 파장 간격에 따라 전송로로 사용되는 광섬유의 최적 분산이 다르므로, 전송 속도가 10Gbps 이상이며 파장 간격이 50㎓ 으로 전송 용량이 기존보다 증대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광섬유의 최적 분산 범위는 8.0~12.0㎰/㎚-㎞ 이다.
이는 전송 속도 고속화로 인해 1.5~4.0 ㎰/㎚-㎞ 의 작은 분산으로는 사중파 혼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증폭 파장대 중심 파장인 1550㎚에서 분산이 8.0㎰/㎚-㎞ 정도인 광섬유를 비영분산 분산 이동 광섬유와 구분하기 위하여 '50㎓ NZDSF' 라 한다.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의 전송로로 사용되는 광섬유는 일반 단일 모드 광섬유, 비영분산 분산 이동 광섬유, 50㎓ NZDSF 가 있으며, 이들 광섬유는 전송 파장대에서 분산이 영이 아니므로 특정 전송 거리 진행 후 분산이 누적되므로 누적 분산을 보상해주어야 수신단에서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분산 보상 광섬유의 분산은 전송로로 사용되는 광섬유의 분산과 부호는 반대이면서 크기는 누적 분산과 유사한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단파장대 신호의 전송 속도가 장파장대보다 빠를 때 부호가 양인 분산을 갖는다고 하는데 전송로로 사용되는 광섬유가 부호가 양인 분산을 가지므로 분산 보상 광섬유는 부호가 음의 분산을 갖도록 한다. 또한 전송 시스템을 간소화 하기 위하여 분산 보상 광섬유를 모듈 형태로 사용하려면 짧은 길이로 전송로의 누적 분산을 보상해 주어야 하므로 분산 크기가 상당히 크다.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의 전송로로 사용되는 광섬유인 일반 단일 모드 광섬유, 비영분산 분산 이동 광섬유, 50㎓ NZDSF 는 증폭 파장대에서 특정 분산 기울기를 갖는다. 분산 기울기란 파장 간 분산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파장이 증가할수록 분산이 증가하면 분산 기울기의 부호가 양이고 파장이 증가할수록 분산이 감소하면 분산 기울기의 부호는 음이다.
종래의 분산 보상 광섬유는 부호가 음인 큰 분산을 가지며 부호가 양인 분산 기울기를 가지므로 일반 단일 모드 광섬유의 분산 보상을 위해 종래의 광섬유를 사용할 경우 분산 보상 후 신호 간 분산의 차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는 전송 거리에 비례하여 증대된다. 특히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전송 시스템의 전송 용량 증대를 위해 신호 간 파장 간격을 줄여 증폭 파장 대에 보다 많은 신호를 전송할 경우 분산 보상 차이로 인해 수신단에서의 신호 감도가 저하되어 전송 시스템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일반 단일 모드 광섬유나 비영분산 분산 이동 광섬유의 경우 종래의 분산 보상 광섬유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신호 간 파장 간격이 좁은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50㎓ NZDSF의 경우 종래의 분산 보상 광섬유를 사용할 경우 신호 감도가 저하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진다. 이에 50㎓ NZDSF의 분산 뿐만 아니라 분산 기울기를 보상하기 위하여 부호가 음인 분산과 부호가 음인 분산 기울기를 가져 분산 보상 후 신호 간 분산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분산 보상 광섬유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의 전송로로 사용되는 50㎓ NZDSF의 분산 및 분산기울기를 보상하여 전송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삼중클래드 구조 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단면도.
도 2는 삼중클래드 구조 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굴절률 분포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클래드 구조 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길이에 따른 1550㎚ 파장에서의 분산과 분산 기울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클래드 구조 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파장에 따른 분산과 분산 기울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산보상용 광섬유는, 부호가 음인 큰 분산을 가지며, 부호가 음인 분산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분산이 - 50 ∼ -14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40 ∼ -1.0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 167 ㎚이고, 코어와 1차 클래드와 2차클래드로 이루어진 삼중클래드 구조로 이루어진다.
50㎓ NZDSF는 증폭 파장대 중심 파장인 1550㎚ 파장에서 분산이 8ps/㎚-㎞이며 분산 기울기는 0.06ps/㎚2-㎞이므로 분산을 분산 기울기로 나눈 수치 X가 133이다. 50㎓ NZDSF 분산 및 분산 기울기를 보상하는 광섬유의 특성은 X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즉 본 발명의 분산 보상용 광섬유는 X가 50㎓ NZDSF 수준과 유사한 값을 갖도록 분산과 분산 기울기 특성이 결정된다.
증폭기간 전송거리는 대략 80㎞정도 되며, 50㎓ NZDSF를 전송로로 사용한 경우 1550㎚ 파장에서의 분산이 8ps/㎚-㎞되므로 누적분산은 640ps/㎚이다. 사중파 혼합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분산 보상후의 누적 분산을 10ps/㎚정도로 유지할 경우에 보상해야 할 분산은 630ps/㎚이다. 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분산특성은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본 발명에 의한 분산보상용 광섬유는 5∼10㎞범위의 길이로 누적 분산 보상하기 위해 분산 범위를 -63 ∼ -126 ps/㎚-㎞로 결정하기로 한다.
위에서 제시한 수치 X를 만족시키기 위한 분산 기울기 범위를 -0.48 ∼ -0.95ps/㎚2-㎞로 할때, 분산 기울기 보상용 광섬유가 만족해야 할 길이, 분산, 분산기울기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광섬유 길이(㎞) 분산(ps/㎚-㎞) 분산 기울기(ps/㎚2-㎞) 분산/분산 기울기
5 -126 -0.95 133
6 -105 -0.79 133
7 - 90 -0.68 132
8 - 79 -0.60 132
9 - 70 -0.53 132
10 - 63 -0.48 131
광섬유의 광특성은 굴절률 분포에 의해 결정되며, 굴절률 분포는 광섬유 코어내 다수의 영역의 폭과 굴절률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분산 보상용 광섬유는 삼중 클래드 구조를 이용하여 목표광특성을 구현하도록 한다.
삼중클래드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R1), 1차 클래드(R2), 2차 클래드(R3)와, 실리카 클래드 영역(R4)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조의 굴절률 분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역의 폭과 굴절률로 결정된다. 코어는 폭이 a1이고 굴절률차가 del_a1이며, 1차 클래드는 폭이 a2이고 굴절률차가 del_a2이며, 2차 클래드는 폭이 a3이고 굴절률차가 del_a3이다.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삼중 클래드 구조의 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굴절률 분포와 각 분포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실시예1>
실시예1로서 길이가 10㎞인 삼중 클래드 구조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굴절률분포와 그 분포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어폭 a1(㎛): 1.69, 코어 굴절률차 del_a1: 0.011161, 1차 클래드 폭a2(㎛): 4.59, 1차 클래드 굴절률차 del_a2: -0.003518, 2차 클래드 폭a3(㎛): 1.49, 2차 클래드 굴절률차 del_a3: 0.004708일때, 분산(ps/㎚-㎞): -63.1, 분산 기울기(ps/㎚2-㎞): -0.483, 모드필드경(㎛): 5.2, 구부림손실(32.5φ, ㏈/1turn): 0.5이다.
<실시예2>
실시예2로서 길이가 5㎞인 삼중 클래드 구조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굴절률 분포와 그 분포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어폭 a1(㎛): 1.24, 코어 굴절률차 del_a1: 0.018448, 1차 클래드 폭a2(㎛): 3.79, 1차 클래드 굴절률차 del_a2: -0.004466, 2차 클래드 폭a3(㎛): 2.42, 2차 클래드 굴절률차 del_a3: 0.002824일때, 분산(ps/㎚-㎞): -126.6, 분산 기울기(ps/㎚2-㎞): -0.94, 모드필드경(㎛): 4.2, 구부림손실(32.5φ, ㏈/1turn): 0.007이다.
아래의 표 2에 삼중 클래드 구조의 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길이 분산과 분산 기울기 특성을 제시하였다.
광섬유 길이(㎞) 분산(ps/㎚-㎞) 분산 기울기(ps/㎚2-㎞) 분산/분산 기울기
5 -126.6 -0.94 134.5
6 -105.7 -0.79 134.6
7 - 90.9 -0.68 133.7
8 - 79.3 -0.59 134.4
9 - 70.9 -0.54 131.8
10 - 63.1 -0.48 130.6
또한, 표 2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표 1과 표 2를 비교해 보면, 분산 및 분산 기울기가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분산/분산기울기는 차이가 있으나, 실제 제조후 분산 및 분산 기울기의 편차를 고려할 경우에는 허용가능한 차이이다.
아울러, 분산, 분산기울기에 따른 삼중클래드 구조의 실험데이터를 표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표 3은 분산이 - 50 ∼ -7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40 ∼ -0.55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167 ㎚ 범위인 삼중 클래드 구조의 광섬유 제작을 위한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폭(㎛) 굴절률차
코 어 1.69 ±0.02 0.0111 ±0.002
1 차 클래드 4.59 ±0.02 -0.0035 ±0.002
2 차 클래드 1.49 ±0.02 0.0047 ±0.002
표 4는 분산이 - 60 ∼ -8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40 ∼ -0.60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167 ㎚ 범위인 삼중 클래드 구조의 광섬유 제작을 위한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폭(㎛) 굴절률차
코 어 1.42 ±0.02 0.0168 ±0.002
1 차 클래드 3.38 ±0.02 -0.0065 ±0.002
2 차 클래드 2.34 ±0.02 0.0025 ±0.002
표 5는 분산이 - 70 ∼ -9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40 ∼ -0.70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167 ㎚ 범위인 삼중 클래드 구조의 광섬유 제작을 위한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폭(㎛) 굴절률차
코 어 1.44 ±0.02 0.0159 ±0.002
1 차 클래드 3.53 ±0.02 -0.0054 ±0.002
2 차 클래드 2.44 ±0.02 0.0028 ±0.002
표 6은 분산이 - 80 ∼ -10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55 ∼ -0.80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167 ㎚ 범위인 삼중 클래드 구조의 광섬유 제작을 위한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폭(㎛) 굴절률차
코 어 1.52 ±0.02 0.0143 ±0.002
1 차 클래드 3.21 ±0.02 -0.0055 ±0.002
2 차 클래드 2.21 ±0.02 0.0027 ±0.002
표 7은 분산이 - 90 ∼ -12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65 ∼ -0.90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167 ㎚ 범위인 삼중 클래드 구조의 광섬유 제작을 위한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폭(㎛) 굴절률차
코 어 1.27 ±0.02 0.0176 ±0.002
1 차 클래드 3.90 ±0.02 -0.0043 ±0.002
2 차 클래드 2.93 ±0.02 0.0018 ±0.002
표 8은 분산이 - 110 ∼ -14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75 ∼ -1.0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167 ㎚ 범위인 삼중 클래드 구조의 광섬유 제작을 위한 실험데이터를 나타낸다.
폭(㎛) 굴절률차
코 어 1.24 ±0.02 0.0184 ±0.002
1 차 클래드 3.79 ±0.02 -0.0045 ±0.002
2 차 클래드 2.42 ±0.02 0.0028 ±0.002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의 전송로의 분산 보상을 위한 실험데이터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며, 50㎓ 근처의 파장을 갖는 분산보상용 광섬유에서의 분산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 4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장에 따라 분산도 변화가 있음에 따라 보상되는 분산 및 분산기울기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그 차이는 허용될 만한 것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광섬유는 전송속도가 10 Gbps이고 파장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의 전송로로 50㎓ NZDSF를 사용한 경우 전송로의 분산뿐만 아니라 분산기울기를 보상하므로 향후 전송 용량 증대를 위해 신호간 파장 간격을 줄여 다수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사용되는 분산 보상용 광섬유의 길이는 5 -10 ㎞로 전송로의 십분의 일 정도에 해당되므로 광전송 시스템에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3)

  1.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에 있어서,
    분산보상용 광섬유가 코어, 1차클래드, 2차 클래드로 이루어진 삼중클래드 구조이며, 분산이 - 50 ∼ -14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가 -0.40 ∼ -1.0 ps/㎚2-㎞ 범위이며, 분산/분산기울기가 125 ∼ 167 ㎚ 범위인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은 - 50 ∼ -7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는 -0.40 ∼ -0.55 ps/㎚2-㎞ 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클래드 구조에서,
    a) 상기 코어는 폭이 1.69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111 ±0.002범위를 가지며,
    b) 상기 1차클래드는 폭이 4.59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35 ±0.002범위를 가지며,
    c) 상기 2차클래드는 폭이 1.49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47 ±0.002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은 - 60 ∼ -8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는 -0.40 ∼ -0.60 ps/㎚2-㎞ 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클래드 구조에서,
    a)상기 코어는 폭이 1.42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168 ±0.002범위를 가지며,
    b)상기 1차클래드는 폭이 3.38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65 ±0.002범위를 가지며,
    c)상기 2차클래드는 폭이 2.34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25±0.002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은 - 70 ∼ -9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는 -0.40 ∼ -0.70 ps/㎚2-㎞ 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클래드 구조에서,
    a)상기 코어는 폭이 1.44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159 ±0.002범위를 가지며,
    b)상기 1차클래드는 폭이 3.53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54 ±0.002범위를 가지며,
    c)상기 2차클래드는 폭이 2.44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28 ±0.002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은 - 80 ∼ -10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는 -0.55 ∼ -0.80 ps/㎚2-㎞ 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클래드 구조에서,
    a)상기 코어는 폭이 1.52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143 ±0.002범위를 가지며,
    b)상기 1차클래드는 폭이 3.21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55 ±0.002범위를 가지며,
    c)상기 2차클래드는 폭이 2.21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27 ±0.002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은 - 90 ∼ -12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는 -0.65 ∼ -0.90 ps/㎚2-㎞ 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클래드 구조에서,
    a)상기 코어는 폭이 1.27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176 ±0.002범위를 가지며,
    b)상기 1차클래드는 폭이 3.90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43 ±0.002범위를 가지며,
    c)상기 2차클래드는 폭이 2.93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18 ±0.002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은 - 110 ∼ -140 ps/㎚-㎞ 범위이고, 분산기울기는 -0.75 ∼ -1.0 ps/㎚2-㎞ 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클래드 구조에서,
    a)상기 코어는 폭이 1.24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184 ±0.002범위를 가지며,
    b)상기 1차클래드는 폭이 3.79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45 ±0.002 범위를 가지며,
    c)상기 2차클래드는 폭이 2.42 ±0.02㎛의 범위를 갖고, 굴절률차가 0.0028 ±0.002 범위를 가지는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 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KR10-2001-0023823A 2001-05-02 2001-05-02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KR10039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823A KR100396477B1 (ko) 2001-05-02 2001-05-02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823A KR100396477B1 (ko) 2001-05-02 2001-05-02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505A KR20020084505A (ko) 2002-11-09
KR100396477B1 true KR100396477B1 (ko) 2003-09-02

Family

ID=2770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823A KR100396477B1 (ko) 2001-05-02 2001-05-02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4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516A (en) * 1993-05-28 1994-07-05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US5781673A (en) * 1997-02-05 1998-07-14 Lucent Technologies Inc. WDM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dispersion compensation
WO1999013366A1 (fr) * 1997-09-10 1999-03-18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Fibre optique a compensation de pente de dispersion
KR19990057673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단일 모드 광섬유
JP2000162462A (ja) * 1998-11-23 2000-06-16 Alcatel 分散シフトタイプのラインファイバを用いた波長分割多重光ファイバ伝送システムのための分散補償ファイバ
KR20010017701A (ko) * 1999-08-13 2001-03-05 권문구 전송용량증대를 위한 광케이블 및 그를 사용한 파장분할다중화방식 광전송 시스템
KR20020029530A (ko) * 2000-10-13 2002-04-19 이계철 큰 음의 분산 값을 갖는 분산 평탄 광섬유를 이용한 분산보상 소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516A (en) * 1993-05-28 1994-07-05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US5781673A (en) * 1997-02-05 1998-07-14 Lucent Technologies Inc. WDM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dispersion compensation
WO1999013366A1 (fr) * 1997-09-10 1999-03-18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Fibre optique a compensation de pente de dispersion
KR19990057673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단일 모드 광섬유
JP2000162462A (ja) * 1998-11-23 2000-06-16 Alcatel 分散シフトタイプのラインファイバを用いた波長分割多重光ファイバ伝送システムのための分散補償ファイバ
KR20010017701A (ko) * 1999-08-13 2001-03-05 권문구 전송용량증대를 위한 광케이블 및 그를 사용한 파장분할다중화방식 광전송 시스템
KR20020029530A (ko) * 2000-10-13 2002-04-19 이계철 큰 음의 분산 값을 갖는 분산 평탄 광섬유를 이용한 분산보상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505A (ko) 200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400B1 (ko) 분산 보상 광섬유
CA2084217C (en) Dispersion compensating devices and systems
JP3893877B2 (ja) 分散補償ファイバ
US6418256B1 (en) High order spatial mode optical fiber
US6477306B2 (en) Dispersion-compensating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line and dispersion-compensating module respectively including the same
US6591048B2 (en) Dispersion compensating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line using the optical fiber
KR100349320B1 (ko) 좁은 간격의 광채널을 이용한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광전송장치용 광섬유
JP2002533774A (ja) 低損失及び非線形効果を有した光システム及び方法
RU2216755C2 (ru) Оптическое волокно с низкой дисперсией и оп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с низкой дисперсией
AU1173299A (en) Dispersion-shifted optical fiber
KR20020067654A (ko) 광파이버 및 광전송로
JP3999957B2 (ja) シングルモードファイバのsバンドの波長分散を補償するファイバ
US20030118304A1 (en) Broadband optical fiber
CA2405146A1 (en) Dispersion-compensating optical fiber with w-shaped index profile
KR100396477B1 (ko) 파장 간격이 50㎓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전송로의 분산보상용 광섬유
US6522821B1 (en) Dispersion-compensating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433297B1 (ko) 파장분할다중통신용광섬유
KR100584951B1 (ko) 고속, 대용량의 파장분할다중화 시스템에 적합한 광섬유,이를 이용한 광전송선 및 광통신 시스템
KR100336801B1 (ko) 전송용량증대를 위한 광케이블 및 그를 사용한 파장분할다중화방식 광전송 시스템
KR100384900B1 (ko) 분산 기울기 보상용 광섬유
US7046889B2 (en) Dispersion-shifted fiber
KR100485889B1 (ko) Wdm 방식 광전송시스템용 광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