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263B1 -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263B1
KR100396263B1 KR1019970052729A KR19970052729A KR100396263B1 KR 100396263 B1 KR100396263 B1 KR 100396263B1 KR 1019970052729 A KR1019970052729 A KR 1019970052729A KR 19970052729 A KR19970052729 A KR 19970052729A KR 100396263 B1 KR100396263 B1 KR 10039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udio
cursor
balance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860A (ko
Inventor
김제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2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청취공간내에서 각기 다른 장소에 위치되는 다채널의 스피커들을 사용하는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을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가 오디오 밸런스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가 선택될 때 스피커들에 하나씩 대응되는 채널 표지들을 스피커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되게 나타내는 조정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조정화면상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커서가 이동되면 채널 표지들 각각과 커서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되게 다채널간의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하는데 이용한다.

Description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본 발명은 텔레비젼(Television: 이하 "TV"라 함)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취공간내에서 각기 다른 장소에 위치되는 다채널(multichannel)의 스피커들을 사용하는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을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오디오 밸런스(audio balance)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 TV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는 아날로그 2채널 즉, 좌,우채널 L(Left),R(Right)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스테레오(stereo)방식을 채용하여 왔었다. 이에따라 NTSC TV 수상기에 채용되는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2채널 오디오에 대해서만 청취위치에서의 음상정위, 즉 좌,우채널의 볼륨(volume)에 대한 밸런스를 1차원적으로 조정하여 왔었다.
한편 임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청취공간내에서 각기 다른 장소에 위치되는 보다 많은 수의 스피커들을 사용하는 서라운드(surround) 오디오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을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이라 하는데, 예를들어 돌비(Dolby) 프로로직(prologic) 사운드 시스템, THX 오디오 시스템, 돌비 AC-3 오디오 시스템등이 있다.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의 음향 효과를 청취자가 최적으로 즐기기 위해서는 이전의 2채널 오디오 시스템에 비해 보다 많은 채널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만큼 청취위치에서의 음향 특성, 즉 음상정위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대두된다.
예를들어 향후 방송될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에 있어서 오디오는 돌비 AC-3 포맷(format)을 채용할 예정이다. 상기 돌비 AC-3는 돌비사의 독자적인 압축 알고리듬(algorithm)으로, 미합중국 HDTV 디지털 오디오 표준으로 정해졌으며, 5.1채널로 표현되는 6개 채널을 제공한다. 상기 5.1채널은 기본적으로 5개 채널, 즉 2개의 메인 채널 L,R과 3개의 서브 채널 SR(Surround Right),SL(Surround Left),C로 이루어지며, 이에 서브 우퍼(sub woofer) 스피커 구동용의 저음 보강 채널인 1개의 서브 채널 LFE(Low Frequency Effect)이 추가된다. 그리고 5.1채널을 위한 6개의 스피커는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전방 3채널중에 C 스피커는 청취자의 정면에 위치하고, L 스피커와 R 스피커는 정면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30°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그리고 후방 2채널의 RS 스피커와 LS 스피커는 청취자의 좌,우를 잇는 선상에서 후방 20°되는 지점에 각각 위치한다. 또한 저음만을 위한 LFE 스피커는 C 스피커와 같은 방향에 위치한다.
이와같이 HDTV에는 돌비 AC-3가 채용됨에 따라 HDTV 수상기의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조정할 오디오 채널 수가 6개나 됨으로써 사용자가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하기 곤란하였었다. 예를들어 좌상의 볼륨을 강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L, LFE 채널의 볼륨을 크게 하고 RS, R 채널의 볼륨을 작게 해야 하므로 여러 채널을 조정해야 한다. 이에따라 정확히 조정하기 위해서는 채널마다 개별적으로 여러번 조정을 하여야만 하였었고 그만큼 시간도 많이 소요되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하기 곤란하였으며 정확히 조정하기 위해서는 채널마다 개별적으로 여러번 조정을 하여야만 하였었고 그만큼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오디오 밸런스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HDTV 수상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위한 밸런스 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화면 예시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가 선택될 때 스피커들에 하나씩 대응되는 채널 표지들을 스피커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되게 나타내는 조정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조정화면상에서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의 커서(cursor)가 이동되면 채널 표지들 각각과 커서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되게 다채널간의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많은 구체적인 처리흐름이나 조정화면 예시와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V 수상기의 예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규격을 채용하는 HDTV 수상기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튜너(tuner)(102)는 안테나(100)를 통한 방송 수신신호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124)의 제어에 따라 RF(Radio Frequency) 채널을 선국한다. 이에따라 튜너(102)에서는 채널 선국된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가 출력되고 IF 모듈(module)(104)에서 베이스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되어 채널 디코더(decoder)(106)로 출력된다. 채널 디코더(106)는 IF 모듈(104)로부터 입력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채널 복호화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해 낸다. 이와같이 재생된 데이터 비트열은 TS(Transport Stream) 디코더(108)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부가 데이터로 각각 분리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110)에 인가되어 MPEG 규격 또는 돌비 AC-3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112)에서 처리된후 스피커(114)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116)에 인가되어 MPEG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OSG(On Screen Graphic) 믹서(mixer)(118)에 인가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의 제어에 따른 OSG 데이터와 합쳐져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120)에서 처리된후 수상관(122)을 통해 화면상에 출력된다. 여기서 OSG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4)가 화면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HDTV 수상기의 제어부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28)를 통해 키패드(keypad)(130)와 IR(Infrared) 수신부(134)가 접속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키패드(130)나 IR 수신부(134)를 통해 조이스틱(joystick) 리모콘(132)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동작을 메모리부(12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한다. 조이스틱 리모콘(132)은 통상적인 포인팅 디바이스의 하나로서 조이스틱 형태의 방향키와 리턴 키(return key)만을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 조작이나 리턴 키 입력에 따른 IR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방향키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고, 리턴 키는 본 발명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 선택이나 종료시키기 위한 입력 키로 사용된다. 이러한 조이스틱 리모콘(132)으로부터 송신되는 IR신호는 IR 수신부(134)에 수신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28)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에 인가된다.
또한 메모리부(12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과,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을 구비한다.
상기한 튜너(102), IF 모듈(104), 채널 디코더(106), TS 디코더(108), 오디오 디코더(110),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112), 비디오 디코더(116), OSG 믹서(118),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120), 메모리부(12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에 연결되는 버스(136)를 통해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HDTV에서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112)에 구비되는 밸런스 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 2로서 보였다. 도 2에서 HD 오디오신호중에 2개의 메인 채널 오디오신호 L,R는 메인 볼륨 톤 조정부(202)에 인가되고, 2개의 서브 채널 오디오신호 S,C는 제1서브 볼륨 조정부(204)에 인가되며, 나머지 서브 채널 오디오신호 C, LFE는 제2서브 볼륨 조정부(206)에 인가된다.
한편 도 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메인 채널 오디오신호 L,R에 대한 볼륨 및 톤과 서브 채널 오디오신호 SR,SL,C,LFE에 대한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마이컴(124)에 버스(136)로 연결되는 DAC(Digital-to-Analog Converter)(2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로부터 출력되는 볼륨 및 톤 조정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볼륨 톤 조정부(202)와 제1,제2서브 볼륨 조정부(204,206)에 각각 대응되게 인가한다.
상기 메인 볼륨 및 톤 조정부(202)와 제1,제2서브 볼륨 조정부(204,206)는 아나로그 제어되는 IC를 사용한 것으로, 마이컴(124)이 DAC(200)를 통해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메인 볼륨 및 톤 조정부(202)는 메인 채널 오디오신호 L,R에 대한 볼륨 및 톤을 DAC(200)의 출력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메인 볼륨 및 톤 조정부(202)로서는 예를들어 필립스(Philips)사의 TDA 8425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1서브 볼륨 조절정(204)는 서브 채널 오디오신호 SR,SL에 대한 볼륨을 DAC(200)의 출력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하며, 제2서브 볼륨 조정부(206)는 서브 채널 오디오신호 C, LFE에 대한 볼륨을 DAC(200)의 출력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제1,제2서브 볼륨 조정부(204,206)로서는 예를들어 아날로그 디바이스(Device)사의 SSM2160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HDTV에 있어서 조이스틱 리모콘(132)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3의 처리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도 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26)에 프로그램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가 선택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300)단계에서 도 4로서 보인 바와 같은 조정화면(400)을 OSG 믹서(118)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는 예를 들어 키패드(130)상에 별도의 키를 추가하거나 특정 키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거나 메뉴 선택에 의해 설정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조정화면(400)은 돌비 AC-3 규격에 따른 5.1채널에 대한 예를 보인 것으로, 스피커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하나씩 대응되게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표지들(404∼414)을 포함함과 아울러 조이스틱 리모콘(132)의 커서(402)를 포함한다. 이때 커서(402)의 초기 위치는 채널 표지들(404∼414)의 중앙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채널들간의 현재의 상대적인 볼륨 크기에 대응되게 채널 표지들(404∼414)과 거리를 두고 있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채널 표지들(404∼414)중에 채널 표지(404)는 전방 채널 C을, 채널 표지(406)는 전방 좌채널 L을, 채널 표지(408)는 전방 우채널 R을, 채널 표지(410)는 후방 좌채널 LS을, 채널 표지(412)는 후방 우채널 LR을, 채널 표지(414)는 저음 보강 채널 LFE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조정화면(40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볼륨을 크게 하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이스틱 리모콘(132)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402)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302)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304)단계에서 버스(136)를 통해 DAC(200)로 볼륨 조정데이터를 인가하여 채널 표지들(404∼414)중 커서(402)와 가까워지는 채널 표지에 대응하는 채널의 오디오 볼륨은 가까워지는 만큼 크게 조정하고, 커서(402)와 멀어지는 채널 표지에 대응하는 채널의 오디오 볼륨은 멀어지는 만큼 작게 조정한다. 그러므로 조정화면(400)상에서 조이스틱 리모콘(132)의 커서(402)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면 채널 표지들(404∼414) 각각과 커서(402)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되게 다채널간의 오디오 밸런스가 한번에 조정된다. 이때 커서(402)와 멀어지는 채널 표지에 대응하는 채널의 오디오 볼륨을 멀어지는 만큼 작게 조정하는 것은 생략하고, 커서(402)와 가까워지는 채널 표지에 대응하는 채널의 오디오 볼륨을 가까워지는 만큼 크게 조정하는 것만 수행하도록 하여도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306)단계에서 커서(402)의 정지 여부를 확인하여 계속 이동중이면 상기 (304)단계를 계속 수행하여 밸런스를 조정하고, 커서(402)의 이동이 정지되면 (308)단계에서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302)단계에서 커서(402)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도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308)단계를 수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를 종료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상기 (302)단계부터 다시 수행하고, 사용자가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를 종료시키면 본 발명의 오디오 밸런스 조정을 종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이스틱 리모콘(132)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400)만을 이동시킴으로써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HDTV 수상기에 적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을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TV 수상기는 물론이고 모니터(monitor)를 사용하는 장치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조이스틱 리모콘을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유선 또는 무선 마우스(mouse)는 물론이고 방향키를 별도로 가지지 않고 단지 입력 키만을 가지는 포인팅 디바이스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청취공간내에서 각기 다른 장소에 위치되는 다채널의 스피커들을 사용하는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과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밸런스 조정모드가 선택될 때 상기 스피커들에 하나씩 대응되는 채널 표지들을 상기 스피커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되게 나타내는 조정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화면상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커서가 이동되면 상기 채널 표지들 각각과 상기 커서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다채널간의 오디오 밸런스를 조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과정이, 상기 채널 표지들의 중앙을 상기 커서의 초기 위치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과정이, 채널들간의 현재의 상대적인 볼륨 크기에 대응되게 상기 채널 표지들과 거리를 두고 있는 위치를 상기 커서의 초기 위치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과정이, 상기 커서와 가까워지는 채널 표지에 대응하는 채널의 오디오 볼륨을 가까워지는 만큼 크게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과정이, 상기 커서와 가까워지는 채널 표지에 대응하는 채널의 오디오 볼륨은 가까워지는 만큼 크게 조정하고 상기 커서와 멀어지는 채널 표지에 대응하는 채널의 오디오 볼륨은 멀어지는 만큼 작게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KR1019970052729A 1997-10-15 1997-10-15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KR10039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729A KR100396263B1 (ko) 1997-10-15 1997-10-15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729A KR100396263B1 (ko) 1997-10-15 1997-10-15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60A KR19990031860A (ko) 1999-05-06
KR100396263B1 true KR100396263B1 (ko) 2003-10-17

Family

ID=3742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729A KR100396263B1 (ko) 1997-10-15 1997-10-15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010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별적으로 음성 제어할 수 있는 개인용 비디오 녹화 장치및 방법
KR100652264B1 (ko) * 2005-07-12 2006-11-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채널 오디오 텔레비전의 사운드 출력레벨 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60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228B2 (en) Home theater system, audio/video playback device, audio output control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US7050117B2 (en) Channel selection device used in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JP4143102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CN100571047C (zh) 广播接收设备和广播接收方法
US20020104103A1 (en) Channel selection device for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KR100396263B1 (ko) 다채널 오디오 밸런스 조정방법
JPH0898102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716238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その音声信号の出力方法
JPH0436918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050174494A1 (en) Electronic device
JP2006339856A (ja) テレビ装置および音声データの出力制御方法
KR10027911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의채널선국방법및장치
KR200600319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채널 전환 방법
JPH08294048A (ja) 映像表示音声出力装置
JP2000209700A (ja) オ―ディオシステム
JPH0974531A (ja) 音声映像装置
KR101002844B1 (ko)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에서 스피커 출력 레벨 자동 조절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241743B1 (ko) 멀티 채널 오디오 처리장치
KR20050032929A (ko) 스피커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3495597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218102B1 (ko) 복합 영상기기의 채널 독점방법
JP2993067B2 (ja) データ伝送装置、データ伝送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100246761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채널 표시방법
JPH0349502Y2 (ko)
JP2005109593A (ja) テレビ放送受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00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1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30630

Appeal identifier: 2001101003321

Request date: 2001100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004

Effective date: 200306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3070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11004

Decision date: 20030630

Appeal identifier: 2001101003321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3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1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