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125B1 -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125B1
KR100396125B1 KR10-2001-0007696A KR20010007696A KR100396125B1 KR 100396125 B1 KR100396125 B1 KR 100396125B1 KR 20010007696 A KR20010007696 A KR 20010007696A KR 100396125 B1 KR100396125 B1 KR 10039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late
logistics
recove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231A (ko
Inventor
이시영
Original Assignee
이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영 filed Critical 이시영
Priority to KR10-2001-000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1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2Pivo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횡상 복수의 보관실을 구축하면서도 선입, 선출고의 원칙을 준수하고, 파렛트 랙의 일측에는 입고작업 및 파렛트 회수작업만을 시행토록 하고, 파렛트 랙의 타측에서는 물류의 출고작업만을 시행토록 설계하므로서,
보다 신속한 물류의 입고 및 출고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물류의 출고작업은 별도의 콘베이어 밸트 이송수단에 의해 일측에서 자동으로 필요지로 이동케 하였으며, 물류가 완전이 출고된 상태의 파렛트는 별도의 임시공간에 머물게 하므로서, 지속적인 입고와 동시에 출고가 가능함은 물론 파렛트의 회수작업이 용이하여 각종 물류의 순환율 및 파렛트의 회수율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한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pallet collec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irculation of cargoes in the freight-storage storehouse}
본 발명은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 적재용 파렛트의 순환방법 및 회수방법을 개선하고, 그 파렛트의 순환방법 및 회수방법을 개선키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를 제안하므로서,
물류 적재창고의 공간활용도를 높히며, 물류의 입,출고작업이 매우 단순해짐은 물론 하역 및 적재작업이 매우 신속하며 각종 운영유지비의 감소효과는 물론 관리 및 작업인력의 감소로 인한 경제적인 비용감소 효과가 매우 큰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류 적재창고는 공장 및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음료 및 의류, 가전 등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이다.
따라서, 이러한 적재창고는 대량생산된 물품을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에 의해 정해진 수량을 출고하여 각 소비지역으로 배포되는 것이다.
또한, 소비지역으로 출고된 물품에 의해 발생되는 적재창고의 빈공간에는 다시 새롭게 생산된 물품을 새롭게 적재하여 필요에 의해 신속하게 소비지역으로 물품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생산지와 소비지역간의 중간기지 역활을 하므로 보다 신속하게 물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물류 적재창고는 적재된 물품을 보다 신속하게 적재 또는 하역하여야 하는 것이며, 신속한 적재 및 하역과 더불어 물류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보다 대량의 물류를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 적재 및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설계 및 시공하여야하는 것이 우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물류 적재창고의 설계는 도 1 내지 도 2의 도시와 같이 규격의 파렛트가 출납될 수 있는 폭과 높이를 갖는 파렛트 랙을 수직 단계적으로 설계하고, 각각의 분할 공간에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에 의해 물류가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를 채워 보관하므로서, 1실 1파렛트 방식으로 보관하는 것이며, 적재된 상태의 물류를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에 의해 적재된 상태의 물류를 작업자에 의해 지면 또는 운반용 차량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를 도 1에 도시된 작업순서도에 의해 설명하면,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에 의해 각 보관실에 물류가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를 채워넣고, 필요에 의해 적재된 상태의 물류중 일부를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포크리프트(100) 또는 오토크레인에 하역작업자(101)가 탑승한 채로 하역하고자 하는 파렛트 보관실로 상승하고, 상승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원하는 수량만큼 작업자가 그 파렛트(102)의 상부 적재 물류로부터 물류박스를 인출하여 포크리프트(100) 또는 오토크레인으로 내려놓으면 되는 것이며, 필요한 물류가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을 하강하여 그 인출된 물류박스를 이동코자 하는 곳으로 운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업순서도에 의해 이를 설명하면,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에 의해 각 보관실에 물류가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를 채워넣고, 필요에 의해 적재된 상태의 물류중 일부를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포크리프트(100) 또는 오토크레인에 의해 필요물류가 적재된 파렛트 전체를 지면으로 하강시키고, 지면에 위치한 파렛트 상부의 물류를 작업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하역하는 것이며, 하역물품이 제거된 상태의 적재파렛트는 다시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에 의해 최초에 위치하던 보관실로 진입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방법에 의해 수직의 물류보관실을 다수 형성한 파렛트랙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각각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을 형성하여 그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의 상하 승강작업에 의해 적재된 상태의 물류를 하역하거나 보관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물류 적재창고 및 이를 순환키 위한 작업방법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첫째로,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이 물류의 입고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적재창고로부터 보관되어 있는 물류의 출고작업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하나의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에 의해 물류의 입고 및 출고작업을 각각 시행하므로 물류의 입고작업중에는 출고작업을 할 수 없게됨은 물론 반대로 물류의 출고작업중에는 물류의 입고작업이 불가능하여 외부에서 입고순서를 기다리며 대기하거나 임시보관장소에 하역하여야 하는 것이다.
둘째로, 적재 보관된 상태의 물류를 하역하거나 입고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그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에 탑승한 상태로 파렛트와 함께 상하 승강하며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고의 발생이 매우 높으며 물건의 입고 및출고과정에서 일일이 작업자의 손을 빌려 이를 시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 또한 매우 저하되는 것이다.
셋째로, 물류의 출고작업에 의해 파렛트내의 물류가 완전히 없어진 상태 즉, 빈파렛트만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물류의 입고 및 출고 작업과는 별개로 빈파렛트의 회수작업을 전기한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에 의해 실시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작업시간 및 인원이 추가로 소모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로, 물류가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는 입출고작업이 일측 방향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선입고 제품은 선출고되어야 하는 원칙상 횡상 복수 또는 다수의 열로 배치하지 못하고, 하나의 전후 면적이 파렛트 하나의 입출공간만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 각각의 파렛트랙과 이에 대응되어 작동하는 포크리프트 및 그 포크리프트의 운전공간 및 하역공간등을 각각의 파렛트 랙마다 차지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공간을 매우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그 면적에 비해 실제 적재보관되는 물류의 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다셋째로는, 여러종류의 물류를 일시에 출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와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이 여러 위치로 이동하며 이를 출고하여야 하는 것이며, 하나의 출고작업이 전기한 바와 같이 다단계의 과정을 거쳐 출고되므로 여러종류의 물류를 출고하는 경우에는 매우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 종래의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방법 및 설계구조는 상기한 문제점을 갖고 있으면서도 별다른 대응책이 없으므로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수하면서도 물류 적재창고의 효용가치가 매우 크므로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횡상 복수의 보관실을 구축하면서도 선입, 선출고의 원칙을 준수하고, 파렛트 랙의 일측에는 입고작업 및 파렛트 회수작업만을 시행토록 하고, 파렛트 랙의 타측에서는 물류의 출고작업만을 시행토록 설계하므로서,
보다 신속한 물류의 입고 및 출고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물류의 출고작업은 별도의 콘베이어 밸트 이송수단에 의해 일측에서 자동으로 필요지로 이동케 하였으며, 물류가 완전이 출고된 상태의 파렛트는 별도의 임시공간에 머물게 하므로서, 지속적인 입고와 동시에 출고가 가능함은 물론 파렛트의 회수작업이 용이하여 각종 물류의 순환율 및 파렛트의 회수율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한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키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는 파렛트를 진입 및 자동으로 이송하고 이송후 진입방향으로 배출키 위한 파렛트 리턴장치가 부설된 파렛트 회수수단과, 통상의 포크리프트 또는 오토크레인과, 출고되는 물류상자를 자동으로 이송키 위한 콘베이어 밸트에 의한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회수시스템에 의한 하역작업 순서도
도 2는 종래 회수시스템에 의한 하역작업의 또다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회수시스템에 의한 하역작업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회수시스템에 의한 전체 적재창고의 개략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회수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에 의해 파렛트가 순환된 상태의 전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일측하강상태를 보인 전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작동레버부를 보인 일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작동레버부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작동레버부를 보인 측면작동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분리장착부를 보인 측면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분리장착부의 작동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빈파렛트 회전승강부가 작동된 상태의측면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에 의해 빈 파렛트가 회수대기상태로 위치된 측면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파렛트 검출장치를 보인 일부확대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회전승강부 단부가 상승된 상태의 상세도
도 18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파렛트 검출장치에 의해 타측 파렛트가 이동되기 시작하는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에 의해 타측 파렛트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에 의해 타측 파렛트가 이동되어 파렛트 검출장치가 파렛트를 인지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역진방지장치를 보인 측면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에 의해 파렛트가 완전히 진입된 후 역진방지장치가 작동한 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에 의해 빈파렛트가 회수된 상태의 일부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에 의해 빈파렛트가 순환장치에 진입하는 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에 의해 빈파렛트가 완전히 진입된 후 빈파렛트 역진방지장치가 작동된 상태의 측면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지지레일 2 : 횡설보
3,3' : 회전롤러 4 : 지지판
5,5' : 회전롤러 6 : 회전축
7,7' : 회수레일 8 : 연결로드
9 : 파렛트 10 : 물류박스
11 : 포크리프트 12 :지지각
13 : 회전아암 14,14' : 연결로드
15 : 수직보 16 : 압축실린더
17 : 콘베이어 밸트 18 : 파렛트 랙
20 : 단속장치 40 : 위치고정장치
50 : 역진방지장치 60 : 파렛트 검출장치
70 : 역진방지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류 순환을 위한 회수작업공정을 보인 순서도이며, 도 4는 물류 적재창고의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회수시스템은,
횡상 복수열의 다층 파렛트 랙의 일측에서는 포크리프트에 의한 입고작업만이 이루어지고, 파렛트 랙의 타측에서는 출고작업만이 이루어지게 하며,
출고 완료된 빈 파렛트는 포크리프트 측으로 리턴되어 포크리프트에 의해 회수되게 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파렛트 랙은 서로 대향되게 설계하여 그 중간부의 각층에는 콘베이어 이송장치에 의해 출고물류가 이송되게 하고, 각각의 파렛트 랙 외측에는 물류 입고용 포크리프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대향된 파렛트 랙이 연속 설계되면 하나의 포크리프트가 양측 파렛트 랙 단부를 통해 입고작업이 가능케 된 것이다.
도 5는 물류 적재 파렛트의 입고 및 출고와 빈 파렛트의 회수과정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6은 파렛트의 상부에 물류 박스가 적재된 상태에서 파렛트 이송 및 회수장치에 입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파렛트 랙 일측의 포크리프트를 이용하여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를 파렛트 이송장치로 진입시키고, 진입된 순서대로 타측에서 선입, 선출고 방식에 의해 입고된 순서대로 원하는 수량의 물류 박스를 출고하는 것이며, 출고작업에 의해 물류박스가 완전히 출고된 빈 파렛트는 파렛트 이송장치의 일측에 장착된 리턴장치에 의해 최초 입고위치로 리턴되는 것이다.
또한, 리턴 작업 종료후에는 자동으로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가 전진하여 출고 대기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파렛트 이송장치를 보인 전체사시도로서,
중간부에 회전아암(13)이 결합된 지지각(12)에 의해 이격 형성된 양측 지지레일(1)(1')의 중간부에는 횡설보(2)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그 내부공간이 양측분할되게 하여, 일측내부에는 회전롤러(3)(3')가 연속형성되게 하고, 내부 타측에는 별도의 지지판(4) 양측에 전기한 회전롤러(3)(3')와 연속되게 또다른 회전롤러(5)(5')를 형성하며,
그 지지판(4)은 지지레일(1)(1') 단부의 회전축(6)에 의해 하향 회전되게 하되, 작동레버(21) 및 회전판(22)에 의한 단속장치(20)에 의해 지지판(4)이 회전 및 고정되게 하고,
전기한 횡설보(2)에는 절곡판(41)에 의한 위치고정장치(40)와, 무게판(51)에 의한 역진방지장치(50)를 장착하며, 이와 대향되는 지지판(4)의 단부에는 또다른 절곡판(61)에 의한 파렛트검출장치(60)를 장착하며,
양측 지지레일(1)(1')의 일측 하부에는 수직보(15)에 의해 일측이 힌지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수레일(7)(7')을 장착하되, 회수레일(7)(7')의 단부에 연결로드(8)를 장착하고, 그 연결로드(8)에 또다른 스토퍼(71)에 의한 빈파렛트 역진방지장치(70)를 장착하며, 전기한 회전아암(13)의 양단에는 연결로드(14)(14')를 장착하여 이를 각각 회수레일(7)(7')의 일측면과 지지판(4)의 일측면에 연결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또한, 단속장치(20)는 일측 지지레일(1)의 단부에 브라켓(21)에 의해 힌지 장착된 작동레버(23)와, 브라켓(21) 일측에 상하 작동하는 스위치봉(24)과, 삽입공(25)을 형성하고 전기한 작동레버(2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위치판(26)과, 작동레버(21)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지지판(4) 타측하부의 회전레버(27)의 중간부에 연결된 스위치로드(28)와, 회전레버(27)의 전측에 걸림턱(31)이 형성된 단속판(29)과, 회전레버(27) 및 단속판(29)의 상하부에 탄설된 스프링(30)(30')과, 횡설보(2)의 일측 하부에 돌출형성된 돌출턱(32)을 형성하여 작동레버(21)의 회전에 의해 단속판(29)의 걸림턱(31)이 횡설보(2)의 돌출턱(32)과 괘지 또는 이탈되며 지지판(4)이 하향회전 및 고정되게 결합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위치고정장치(40)는 횡설보(2)의 타측에 브라켓(42)에 의해 회전레버(43) 및 절곡판(41)을 장착하고, 그 회전레버(43)의 선단에는 저면에 걸림홈(44)이 형성된 판상의 슬라이딩바(45)의 단부를 힌지결합하며, 그 걸림홈(44)이 위치한 횡설보(2)의 상부에는 걸림봉(47)을 형성하고, 슬라이딩바(45)의 하부중간과 브라켓(42)의 하부를 스프링(46)에 의해 탄설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역진방지장치(50)는 횡설보(2)의 상부 일측에 절곡판상의 무게판(51)을 힌지축(52)에 의해 회전가능케 형성하되, 힌지축(52)의 상부보다 하부의 무게를 더 무겁게 형성하여 자중에 의해 힌지축(52) 상부에 경사상으로 입설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지지판(2)의 단부에 장착된 파렛트 검출장치(60)는 "ㄹ"자형절곡판(61)을 지지판(2)에 장착된 브라켓(6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되, 절곡판(61)의 하부에는 연장리브(63)를 형성하여 그 연장리브(63)의 단부와 브라켓(62)의 선단을 스프링(64)에 의해 탄설되게 결합한 것이다.
또한, 지지레일(1)(1') 하부의 회수레일(7)(7') 단부에 장착된 연결로드(8)의 중간부에는 절곡판상의 스토퍼(71)가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그 스토퍼(71)의 단부에는 무게추(72)가 장착되어 무게추(72)의 자중에 의해 항상 입설되게 형성된 빈파렛트 역진방지장치(7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 및 구성에 의한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파렛트 회수장치는 평행으로 이격 형성된 지지레일(1)(1')의 내측 중간부에 고정형성된 횡설보(2)가 결합되어 있고, 그 횡설보(2)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분할된 일측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롤러(3)(3')가 그 지지레일(1)(1')에 장착되어 자유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분할된 타측에는 별도의 지지판(4)이 장착되어 그 지지판(4)의 양 변부에 다수의 회전롤러(5)(5')가 장착되게 하되, 전기한 지지레일(1)(1')의 회전롤러(3)(3')와 연속되게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레일(1)(1')에 장착된 회전롤러(3)(3')는 고정형 롤러로서 그 회전롤러(3)(3')의 상부에 안치되는 파렛트(9)를 지지하면서도 그 회전롤러(3)(3')의 회전에 의해 파렛트(9)가 일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타측 지지판(4)의 양변부에 장착된 다수의 회전롤러(5)(5')는 전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파렛트(9)를 지지 또는 이동되게 하면서도, 지지판(4)의 전체 회전하강에 의해 안치된 파렛트(9)를 역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활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지지레일(1)(1')은 고정된 회전롤러(3)(3') 측보다 지지판(4)에 고정된 회전롤러(5)(5') 측이 보다 낮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지지레일(1)(1')이 일측으로 경사된 형태를 취하게 하므로서, 파렛트(9) 및 파렛트 상부의 물류박스(10)의 자중에 의해 하강 경사상의 측부로 파렛트(9)가 자동으로 이동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된 회전롤러(3)(3')측의 단부에서 별도의 포트리프트(11)를 이용하여 물류박스(10)가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9)를 진입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단 진입된 파렛트(9)는 그 지지레일(1)(1')에 고정된 회전롤러(3)(3')의 자유회전 및 경사면에 의해 그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작용에 의해 물류박스(10)가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9)는 지지판(4)의 상부 및 고정레일(1)(1')의 단부측에 각각 2개가 안치되어 보관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관상태에서 사용자는 필요에 의해 적정수량의 물류박스(10)를 출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전기한 파렛트(9)의 진입방향이 아닌 타측방향에서 선입고된 물류박스(10)를 먼저 출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출고작업에 의해 하나의 파렛트(9)에 적재된 물류박스(10) 모두를 출고하게 되면 그 파렛트(9)는 비어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를 제거하고, 그 후측의 새로운 파렛트(9)를 진입시켜 출고작업을 연속진행하여야 하는 것인데, 이러한 빈 파렛트(9)의 제거 또는 회수작업을 아래와 같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의 도시와 같이 지지레일(1)의 단부에 장착된 작동레버(23)를 파렛트(9)의 전진 반대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면, 그 지지판(4)이 회전축(6)에 의해 단부가 하강하며 회전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되는 것인데,
그 작동레버(23)는 반드시 필요에 의해서만 작동되어야 물류박스가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9)가 리턴되는 문제점이 없을 것이므로, 도 9 또는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은 스위치봉(24) 및 스위치판(26)에 의해서 사용자가 반드시 그 스위치봉(24)을 조작하여야만 작동레버(23)의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인데,
그 작동레버(23)가 힌지 고정된 브라켓(21)의 측부에 장착된 스위치봉(24)을 밟으면 그 스위치봉(24)이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스위치봉(24)의 단부는 스위치판(26)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스위치봉(24)의 단부는 스위치판(26)의 삽입공(25)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위치봉(24)이 상승된 상태에서 작동레버(23)를 밀게 되면 작동레버(23)와 함께 회전하는 스위치판(26)의 상부가 그 스위치봉(24)에 걸려 회전할 수 없게 되고, 반대로 스위치봉(24)을 밟은 상태에서 작동레버(23)를 밀게 되면 그 스위치판(26)의 삽입공(25)으로 스위치봉(24)의 단부가 삽입되므로 작동레버(23)의 회전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위치봉(24)을 밟은 상태에서 작동레버(23)를 밀게 되면작동레버(23)의 하단부에 연결된 스위치로드(28)를 잡아당기게 되는 것이며, 스위치로드(28)의 작동에 의해 스위치로드(28)의 단부에 장착된 회전레버(27)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레버(27)가 회전하게 되면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이 회전레버(27)의 상하부에 스프링(30)(30')에 의해 대칭되게 이격 형성된 단속판(29)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즉, 전기한 스위치로드(28)를 회전레버(27)의 힌지점 하부에 장착하면 스위치로드(28)의 작동에 따라 회전레버(27)와 단속판(29)이 동시에 도면 도시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단속판(29)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횡설보(2)의 일측 하부에 장착된 돌출턱(32)과 단속판(29) 단부의 걸림턱(31)이 해제되며 지지판(4)이 회전축(6)을 축점으로 하강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다시 작동레버(23)를 잡아당겨 지지판(4)을 상승시키면 그 단속판(29)의 걸림턱(31)과 횡설보(2)의 돌출턱(32)이 괘지되면서 그 괘지력에 의해 지지판(4)이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스위치봉(24)에 의한 안전장치 이외에도 그 회전레버(27) 및 단속판(29)이 스프링(30)(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스프링(30)(30')의 장력을 조절하므로서, 지지판(4)의 상부에서 가압하는 하중이 클때에는 그 단속판(29)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또다른 안전장치를 추가한 것인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기한 스위치로드(28)의 작동에 의해 회전레버(27)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스프링(30)(30')을 인장시키고, 인장된 스프링(30)은 복원력에 의해 타측의 단속판(29)을 잡아당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단속판(29)의 작동은 그 상부의 지지판(4)을 포함한 전체 하중과 비례하여 작동될 것이므로, 만약 단속판(29)의 걸림턱(31)과 횡설보(2)의 돌출턱(32)이 상부 하중에 의해 서로 괘지된 괘지마찰력보다 스프링의 인장력이 크다면 단속판(29)이 작동되며 지지판(4)을 하강시킬 수 있을 것이며, 상부 하중에 의한 괘지마찰력이 스프링의 인장력보다 크다면 단속판(29)은 작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즉, 지지판(4) 및 회전롤러(5)(5'), 빈 파렛트(9) 등을 포함한 회전체의 하중에 의한 괘지력만이 그 걸림턱(31) 및 돌출턱(32)에 걸리는 경우에는 스프링(30)의 인장력에 의해 그 단속판(29)을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스프링(30) 장력을 설정하며, 그 지지판(4)의 상부 및 파렛트(9)의 상부에 물류박스(10) 등이 적재되어있는 상태에서는 하중이 증가하므로 걸림턱(31) 및 돌출턱(32)에 걸리는 괘지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일정구간만큼 인장되는 스프링(30)의 인장력에 의해서는 단속판(29)을 작동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착오에 의해 스위치봉(24)을 밟은 채로 작동레버(23)을 밀었다 하더라도 그 파렛트(9) 상부에 물류박스(10)가 적재된 경우에는 스프링(30)의 장력에 의해 단속판(29)을 작동시키지 아니하므로 보다 안전한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이중의 안전장치에 의해 완전히 비워진 상태의 파렛트(9)가 발생하면 작동레버(23)를 작동시켜 지지판(4) 및 파렛트(9)가 회전축(6)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판(4)의 회전과 동시에 지지레일(1)(1')의 일측 저면에 형성된 회수레일(7)(7')의 일측단이 상승되며 서로 그 단부가 일치되며 경사상의 연장구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인데,
전기한 지지판(4)의 단부와 회수레일(7)(7')의 단부에는 각각 그 지지각(12)을 중심으로 장착된 회전아암(13)의 연결로드(14)(14')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판(4)의 일측단이 하강하면 지지판(4) 측의 연결로드(14)가 하강하며 회전아암(13)의 일측을 압압 하강시키고, 이와 동시에 타측이 상승하는 회전아암(13)은 그 연결로드(14')에 의해 회수레일(7)(7')의 일측단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판(4)의 일측은 하강하고 지지레일(7)(7')의 일측은 상승하게 되므로 결국 지지판(4)과 회수레일(7)(7')은 연속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지지판(4) 상부의 빈 파렛트(9)는 그 회전롤러(5)(5')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지지레일(7)(7') 상에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빈 파렛트(9)의 이동이 종료된 이후에는 다시 빈 파렛트(9)의 자중에 의해 지지레일(7)(7')의 상승된 부분이 하강하며 도 15의 도시와 같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레일(7)(7')의 수평작용에 따라 그 연결로드(14)(14') 및 회전아암(13)의 회전에 의해 지지판(4)을 상승시키려는 힘을 갖게 되고, 이 힘은 작동레버(23)를 잡아당겨 그 지지판(4)을 상승시켜 원상태로 복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고정장치 및 파렛트 검출장치를 보인 일부 확대사시도로서,
횡설보(2)의 일측에 브라켓(42)에 의해 회전가능케 고정된 회전레버(43)는 그 상부에 별도의 축점을 형성하여 이에 걸림홈(44)이 형성된 슬라이딩바(45)의 단부를 결합하고, 그 회전레버(43)의 고정축에는 상향 절곡 형성된 절곡판(41)을 형성하여 되는 것이며, 전기한 걸림홈(44)이 위치한 횡설보(2)에는 걸림봉(47)을 형성하여 절곡판(41)이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그 걸림홈(44)과 걸림봉(47)이 서로 계지되어 있는 것이며, 전기한 슬라이딩바(45)의 하부와 브라켓(42)의 하부를 스프링(46)에 의해 탄설하므로서 그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바(45)가 항상 후퇴하려는 힘 즉, 절곡판(41)이 항상 상향 절곡된상태를 유지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빈 파렛트(9)를 회수레일(7)(7')측으로 이동시킨 지지판(4)은 그 작동레버(23)를 잡아당겨 지지판(4)의 단부가 횡설보(2)측의 돌출턱(32)에 걸리게 하여 고정시키려는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ㄹ"자형 절곡판(61)에 의한 파렛트 검출장치(60)가 작동하여 그 슬라이딩바(45)의 걸림홈(44)이 걸림봉(47)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므로서, 물류박스(10)가 적재된 하중의 파렛트(9)가 그 지지레일(1)(1')의 경사면을 따라 지지판(4)측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계작동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7의 도시와 같이 "ㄹ"자형 절곡판(61)은 그 하부의 연장리브(63)와 브라켓(62)이 스프링(64)에 의해 탄설되어 있으므로 그 절곡판(61)의 상부에 어떠한 하중체도 없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그 절곡판(61)이 상승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지지판(4)이 상승하는 과정에는 그 상부에 파렛트(9)가 없는 것이므로 절곡판(61)은 지지판(4)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로 상승하는 것이다.
따라서, 절곡판(61)이 상승하면서 그 후측단부가 슬라이딩바(45)의 단부와 당접되며 슬라이딩바(45)의 단부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며, 슬라이딩바(45)의 상승회전에 의해 슬라이딩바(45)의 걸림홈(44)이 그 걸림봉(47)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후 이동이 자유로워진 슬라이딩바(45)는 그 파렛트(9)의 하중에 의해 전진하게 되는 것이며, 전진과 동시에 파렛트(9)를 지지하고 있던 절곡판(41)이 파렛트(9)의 전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파렛트(9)의 전진과 동시에 도 18의 도시와 같이 절곡판(41)이 회전하게 되고, 절곡판(41)이 회전함에 따라 그 슬라이딩바(45)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 19의 도시와 같이 그 절곡판(41)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계속 파렛트(9)는 이동되는 것이며, 도 20의 도시와 같이 파렛트(9)의 단부가 "ㄹ"자형절곡판(41)에 이르러서는 그 절곡판(41)의 경사면을 따라 절곡판(41)의 스프링(64)을 압압하여 절곡판(41)이 지지판(4)에 함몰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판(4) 상부로 이동된 파렛트(9)는 다시 역진하여 후진하지 말아야 할 것이므로 이때에는 그 횡설보(2)에 형성된 무게판(51)에 의해 파렛트(9)가 후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1의 도시와 같이 파렛트(9)가 이동하는 도중에는 파렛트(9)가 무게판(51)을 압압하여 회전되게 한 다음 이동되므로 마찰이나 저항없이 자연스럽게 이동이 가능하지만, 도 22의 도시와 같이 일단 파렛트(9)의 단부가 그 무게판(51)을 완전히 통과한 이후에는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하부가 무거운 무게판(51)이 수직으로 입설되는 것이다.
이렇게 입설된 상태에서는 파렛트(9)가 후진하더라도 무게판(51)의 하부가 횡설보(2)에 걸려 회전되지 못하므로 역진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23의 도시와 같이 회수레일(7)(7')의 단부에 장착된 연결로드(8)의 중간부에도 전기한 바와 같은 역진 방지장치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물류박스(10)가 적재된 상태가 아닌 빈 파렛트(9)의 역진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즉, 도 24의 도시와 같이 빈 파렛트(9)가 전진 이동되면 그 파렛트(9)의 하중에 의해 스토퍼(71)의 경사면이 눌리며 무리없이 빈 파렛트(9)가 이동되는 것이며, 빈 파렛트(9)의 단부가 스토퍼(71)를 통과하고 난 이후에는 스토퍼(71) 하부에장착된 무게추(72)의 하중에 의해 스토퍼(71)가 입설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토퍼(71)의 입설작용에 의해 빈 파렛트(9)가 후진되더라도 그 스토퍼(71)에 걸려 더이상 후퇴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지지레일(1)(1')의 중간부와 회수레일(7)(7')의 단부에 압축실린더(16)를 장착하므로서, 그 회수레일(7)(7')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그 상승력을 압축실린더(16)에 저장하고 있다가, 회수레일(7)(7')이 하강하는 시점 즉, 작동레버(23)를 잡아당겨 지지판(4)을 상승시키고자 할때에는 그 압축력이 압축실린더(16)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판(4)의 상승을 도우므로 보다 용이한 지지판(4)의 상승에 의한 복귀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물류의 순환 및 파렛트 회수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며, 출고되는 물류박스(10)는 각 파렛트 랙(18)의 층마다 형성된 콘베이어 밸트(17)에 올려져 출고장으로 집하된 후 출고지로 배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은 작업순서 및 작용에 의한 본 발명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는 복수 횡상의 파렛트 랙 설계가 가능하므로 예비 물품의 비축이 보다 용이함은 물론 물품의 공급이 원활하고, 입고와 동시에 출고작업이 가능하므로 보다 신속한 입고 또는 출고작업이 가능하며, 입고 및 출고 작업 영역이 전혀 다르므로 안전사고 예방효과가 크고 작업이 단순하며, 극히 소수의 인원만으로도 다량 다품종의 물류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다품종의 물류 출고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인건비의 대폭 감소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중간부에 회전아암(13)이 결합된 지지각(12)에 의해 이격 형성된 양측 지지레일(1)(1')의 중간부에는 횡설보(2)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그 내부공간이 양측분할되게 하여, 일측내부에는 회전롤러(3)(3')가 연속형성되게 하고, 내부 타측에는 별도의 지지판(4) 양측에 전기한 회전롤러(3)(3')와 연속되게 또다른회전롤러(5)(5')를 형성하며,
    그 지지판(4)은 지지레일(1)(1') 단부의 회전축(6)에 의해 하향 회전되게 하되, 작동레버(21) 및 회전판(22)에 의한 단속장치(20)에 의해 지지판(4)이 회전 및 고정되게 하고,
    전기한 횡설보(2)에는 절곡판(41)에 의한 위치고정장치(40)와, 무게판(51)에 의한 역진방지장치(50)를 장착하며, 이와 대향되는 지지판(4)의 단부에는 또다른 절곡판(61)에 의한 파렛트검출장치(60)를 장착하며,
    양측 지지레일(1)(1')의 일측 하부에는 수직보(15)에 의해 일측이 힌지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수레일(7)(7')을 장착하되, 회수레일(7)(7')의 단부에 연결로드(8)를 장착하고, 그 연결로드(8)에 또다른 스토퍼(71)에 의한 빈파렛트 역진방지장치(70)를 장착하며, 전기한 회전아암(13)의 양단에는 연결로드(14)(14')를 장착하여 이를 각각 회수레일(7)(7')의 일측면과 지지판(4)의 일측면에 연결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단속장치(20)는 일측 지지레일(1)의 단부에 브라켓(21)에 의해 힌지 장착된 작동레버(23)와, 브라켓(21) 일측에 상하 작동하는 스위치봉(24)과, 삽입공(25)을 형성하고 전기한 작동레버(2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위치판(26)과, 작동레버(21)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지지판(4) 타측하부의 회전레버(27)의 중간부에 연결된 스위치로드(28)와, 회전레버(27)의 전측에 걸림턱(31)이 형성된 단속판(29)과, 회전레버(27) 및 단속판(29)의 상하부에 탄설된스프링(30)(30')과, 횡설보(2)의 일측 하부에 돌출형성된 돌출턱(32)을 형성하여 작동레버(21)의 회전에 의해 단속판(29)의 걸림턱(31)이 횡설보(2)의 돌출턱(32)과 괘지 또는 이탈되며 지지판(4)이 하향회전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위치고정장치(40)는 횡설보(2)의 타측에 브라켓(42)에 의해 회전레버(43) 및 절곡판(41)을 장착하고, 그 회전레버(43)의 선단에는 저면에 걸림홈(44)이 형성된 판상의 슬라이딩바(45)의 단부를 힌지결합하며, 그 걸림홈(44)이 위치한 횡설보(2)의 상부에는 걸림봉(47)을 형성하고, 슬라이딩바(45)의 하부중간과 브라켓(42)의 하부를 스프링(46)에 의해 탄설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역진방지장치(50)는 횡설보(2)의 상부 일측에 절곡판상의 무게판(51)을 힌지축(52)에 의해 회전가능케 형성하되, 힌지축(52)의 상부보다 하부의 무게를 더 무겁게 형성하여 자중에 의해 힌지축(52) 상부에 경사상으로 입설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파렛트 검출장치(60)는 "ㄹ"자형 절곡판(61)을 지지판(2)에 장착된 브라켓(6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되, 절곡판(61)의 하부에는 연장리브(63)를 형성하여 그 연장리브(63)의 단부와 브라켓(62)의 선단을 스프링(64)에의해 탄설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빈파렛트 역진방지장치(70)는 회수레일(7)(7') 단부에 장착된 연결로드(8)의 중간부에 절곡판상의 스토퍼(71)가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그 스토퍼(71)의 단부에는 무게추(72)가 장착되어 무게추(72)의 자중에 의해 항상 입설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지지레일(1)(1')의 중간부와 회수레일(7)(7')의 단부에 압축실린더(16)를 장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KR10-2001-0007696A 2001-02-16 2001-02-16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KR10039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96A KR100396125B1 (ko) 2001-02-16 2001-02-16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96A KR100396125B1 (ko) 2001-02-16 2001-02-16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14U Division KR200229331Y1 (ko) 2001-02-16 2001-02-16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231A KR20020067231A (ko) 2002-08-22
KR100396125B1 true KR100396125B1 (ko) 2003-09-03

Family

ID=2769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696A KR100396125B1 (ko) 2001-02-16 2001-02-16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77B1 (ko) * 2011-03-03 2011-07-19 이상철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CN108946006A (zh) * 2018-06-04 2018-12-07 江苏六维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步入式物料周转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511A (ja) * 1993-01-25 1994-08-09 Daifuku Co Ltd ピッキング用自動倉庫
JPH06278845A (ja) * 1993-03-29 1994-10-04 Nkk Corp パレット搬送装置
KR950003712U (ko) * 1993-07-12 1995-02-17 민창기 벽돌 및 블럭 적재기의 파레트 운반궤도차 회수 장치
US6186725B1 (en) * 1999-05-25 2001-02-13 Konstant Products, Inc. Container pick and return system
KR200229331Y1 (ko) * 2001-02-16 2001-07-19 이시영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511A (ja) * 1993-01-25 1994-08-09 Daifuku Co Ltd ピッキング用自動倉庫
JPH06278845A (ja) * 1993-03-29 1994-10-04 Nkk Corp パレット搬送装置
KR950003712U (ko) * 1993-07-12 1995-02-17 민창기 벽돌 및 블럭 적재기의 파레트 운반궤도차 회수 장치
US6186725B1 (en) * 1999-05-25 2001-02-13 Konstant Products, Inc. Container pick and return system
KR200229331Y1 (ko) * 2001-02-16 2001-07-19 이시영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231A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8474B2 (en) Object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11794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items
US6325586B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S62255302A (ja) 重力式貯蔵装置
US7780019B2 (en) Cantilever pallet cart
US4846627A (en) Storage and handling installation for palletized goods
CN111605942A (zh) 一种物流仓储库房及其装卸货方法
CN114873133A (zh) 一种立体仓储系统及其货物搬运方法
KR100396125B1 (ko)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CA2944671A1 (en) A multi-storey goods storage arrangement
KR200229331Y1 (ko) 물류 적재창고의 물류 순환을 위한 파렛트 회수장치
CN211632594U (zh) 一种物流仓储用快速移动货架
CN214398392U (zh) 胚布仓储装置
CN216735884U (zh) 一种用于仓储物流移动搬运货架
CN214877535U (zh) 一种智能仓储物流台车
CN209554069U (zh) 限位装置和使用该限位装置的立体仓储系统
CN112849882A (zh) 胚布仓储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373435U (zh) 一种可调节式拣货小车
RU2369309C1 (ru) Стелла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ярусного склада высокоплотного хранения поддонов с грузом, совмещенная с транспортными путями для грузоперемещающих устройств
CN209554076U (zh) 龙门式仓储货架
KR101252785B1 (ko) 슬라이딩 카트가 구비된 물류 창고용 화물 적재장치
CN216834786U (zh) 一种笼式托盘
CN214454039U (zh) 一种物流仓库货架
JPH0610210U (ja) 物品保管棚のスライド式物品入出庫機構
KR20110101520A (ko) 자동물류용 소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