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479B1 - 침전식 세정집진기 - Google Patents

침전식 세정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479B1
KR100395479B1 KR10-2001-0019768A KR20010019768A KR100395479B1 KR 100395479 B1 KR100395479 B1 KR 100395479B1 KR 20010019768 A KR20010019768 A KR 20010019768A KR 100395479 B1 KR100395479 B1 KR 10039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edimentation
dust collector
settling
se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103A (ko
Inventor
최종진
Original Assignee
최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진 filed Critical 최종진
Priority to KR10-2001-001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4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식 세정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세정집진기(4)내에 수개의 차단판(28)(30)(32)을 형성하여 공기의 진행거리가 연장되게 하고, 그 아래에는 망체(6)를 갖는 침전물 수집실(8)로부터 각기 침전탱크(10)(12)(14)를 갖는 수개의 침전실(16)(18)(20)이 차례로 형성된 침전조(22)를 설치하여 각실을 배수관(40)(42)(44)으로 연통되게 하고, 세정집진기(4)와 1차침전실(16) 사이에는 유입관(46)을 형성하고 침전탱크(10)(12)(14)는 망체(6)를 연장하고 또 고압송풍기가 부설된 주관(54)과의 사이에 흡입관(56)(58)(60)을 연결하여 에어리프트를 구성하고, 세정집진기(4)의 펌프(36)는 3차침전실(20)과 연결설치하여 사용된 세정수가 수개의 침전실(16)(18)(20)을 단계적으로 통과하면서 깨끗이 정수되게 하고 정수시 발생된 침전물들은 에어리프트에 의해 망체(6)내에 수집처리되게 하여 세정수를 반복적으로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전식 세정집진기{Sedimentary washing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침전식 세정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율을 높이고 또 사용된 세정수로부터 침전물을 걸러내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세정집진기는 그 자체로서도 집진기능을 만족하나 대부분 사이클론 집진기와 연결하여 입자가 작고 가벼운 분진이나 먼지등을 집진하는 2차집진기로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에 세정집진기는 단순히 집진실 내에 공급펌프와 연결된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도록 한 것으로서, 사이클론 집진기에 의해 1차집진된 공기가 세정수가 분사되는 집진실의 길이에 따라 정상적인 흐름으로 통과하면서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공기의 흐름이 빨라 집진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는 집진실을 길게 형성하고 또 분사노즐을 보다 촘촘히 형성해 주어야 하므로 용량이 커지게 되고 또 필요로 하는 분사노즐의 갯수증가로 제조경비가 상승하게 되며 분사노즐의 갯수가 늘어난만큼 세척수의 공급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사용된 세척수는 필터방식 내지는 침전방식의 여러종류의 정수장치를 이용하여 정수후 재사용토록 하고 있으나 이제껏 개발된 정수장치는 정수능력이 떨어지고 또 세정집진기는 짧은 시간에 다량의 침전물이 발생되므로 필요로 하는 세척수량과 비례하는 정수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는 이 역시 용량을 크게 할 수 밖에 없어 제조경비의 상승요인이 되고 또 정수가 반복될수록 정수능력의 현격한 저하 현상으로 세척수의 교체주기가 짧아 결국 다량의 세척수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수자원의 낭비가 심하고 버려지는 다량의 세척수는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집진기와 침전조의 용량을 최소화 하여 제조경비를 줄일수 있도록 하면서도 집진율을 높여 줄수가 있고 또 세정수의 반복되는 사용에도 상시깨끗이 정수해 줄 수 있는 침전식 세정집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세정집진기 내부에 수개의 차단판을 형성하여 공기의 진행거리가 연장되게 하고, 그 아래에는 박스형의 망체를 갖는 침전물수집실과 각기 침전탱크를 갖는 수개의 침전실을 차례로 설치하여 1차침전실로 유입된 세정수가 배수관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넘쳐 흐르면서 세정수에 포함된 침전물이 침전되게 하고 침전된 침전물은 에어리프트에 의해 침전물 수집실의 망체에 수집처리되게 하며 정수된 물은 3차침전실로부터 펌프의 펌핑으로 분사노즐을 통하여 집진기 내에 재분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이때 침전물 수집실로 유입된 침전물은 슬러지로서 침전물은 박스형 망체에 수집되어 인력이나 장비의 도움으로 수시로 처리되고 망체에 의해 여과된 세정수는 배수관을 통하여 1차침전실로 넘쳐흐르게 하거나 또는 수중펌프로 강제배출시켜 재사용토록 하며 3차침전실에는 수위조절장치를 갖도록 할 경우 상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해 줄 수가 있다.
또한 동절기 결빙 내지는 동파가 예상될 경우 침전물 보관실을 포함하는 각 침전실에 히터를 부설하여 결빙 내지는 동파를 사전에 예방해 주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분사노즐 (4)--세정집진기
(6)--망체 (8)--침전물 수집실
(10)(12)(14)--침전탱크 (16)(18)(20)--침전실
(22)--침전조 (24)--흡입관
(26)--배기관 (28)(30)(32)--차단판
(34)--공급관 (36)--펌프
(38)--걸름망 (40)(42)(44)--배수관
(46)--유입관 (50)--수중펌프
(54)--주관 (56)(58)(60)--흡입관
도 1은 본 발명은 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다수의 분사노즐(2)을 갖는 세정집진기(4) 아래에 박스형 망체(6)를 갖는 침전물 수집실(8)과 각기 침전탱크(10) (12)(14)를 갖는 수개의 침전실(16)(18)(20)로 구성되는 침전조(22)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에 있어 세정집진기(4)는 좌우로 긴 원통형으로서, 그 일측 상부에는 흡입관(24)이 돌출형성되고 타측 상부에는 배기관(26)이 돌출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기 집진실의 일부를 차단하는 수개의 차단판(28)(30)(32)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지그재그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분사노즐(2)을 연결하는 공급관(34)은 3차침전실(20)로부터 정수된 세정수를 공급받는 펌프(36)와 연결구성한다.
상기 세정집진기(4) 아래의 침전조(22)는 망체(6)를 갖는 침전물 수집실(8)로부터 각기 침전탱크(10)(12)(14)를 갖는 수개의 침전실(16)(18)(20)을 차례로 형성하고 2차침전실(18) 내에는 걸름망(38)을 갖도록 하고 침전물 수집실(8)과 각 침전실(16)(18)(20)을 구획하는 벽체 상부에는 배수관(40)(42)(44)을 연결하여 만수에 의한 단계적인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중 1차침전실(16)은 세정집진기(4)와의 사이에 유입관(46)을 연결형성하고 동절기 외부에 노출될 경우 각 실에는 히터(도시안됨)를 설치하여 동결내지는 동파가 방지되게 한다.
상기에 있어 침전물 수집실(8)은 상부에 개폐판을 형성하여 망체(6)의 교체가 가능토록 하고 1차침전실(16)과의 사이에 갖는 배수관(40)에 수중펌프(50)를 연결하여 강제배수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수개의 침전실(16)(18)(20)은 각기 벽체의 일면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침전탱크(10)(12)(14)를 고정설치하여 배수관(40)(42)(44)을 통하여 유입된 세정수가 침전탱크(10)(12)(14) 내에 1차유입되어 침전되면서 가득차게 되면 침전실(16) (18)(20) 내에 넘쳐흘러 침전실을 가득 채우도록 하고, 가득찬 세정수는 배수관(40)(42)(44)을 따라 침전실을 단계적으로 넘쳐 흐르도록 하며 펌프(36)를 연결하는 3차침전실(20)에는 가급적 수위조절장치(52)를 갖도록 하여 상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개의 침전실(16)(18)(20)이 갖는 침전탱크(10)(12)(14)의 하부에는 각기 침전물 수집실(8)의 망체(6) 내부로 연장되는 주관(54)과의 사이에 흡입관 (56)(58)(60)을 연결하고 상기 흡입관(54)에는 고압송풍기(62)를 연결하여 에어리프트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수위조절장치에 의해 침전조(22)는 상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고 펌프(36)의 펌핑작동으로 분사노즐(2)을 통하여 세정수가 분사되는 세정실 내부를 사이클론 집진기에 의해 1차집진된 공기가 흡입관(24)으로 유입되어 배기관(26)으로 배출되면서 집진기 내에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이나 먼지등이 집진된다.
다만 이때 세정실의 흡입관(24)으로 유입된 공기는 원통체로서 좌우로 긴 세정기를 곧바로 통과하지 못하고 수개의 차단판(28)(30)(32)에 의해 그 흐름이 지그재그로 이루어져 진행거리가 연장되므로 세정기의 전체길이에 비해 세정능력은 더욱 향상되고 따라서 세정기의 용량과 분사노즐(2)의 사용갯수를 줄이면서도 원하는 세정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세정집진기(4)의 집진작업으로 발생된 침전물을 포함하는 세정수는 유입관(46)을 통하여 1차침전실(16)의 침전탱크(1)내에 곧바로 배출되어 침전물은 침전되고 상기 침전탱크(10) 내에 세정수가 가득차게 되면 넘쳐흘러 1차침전실(16)을가득 채우게 된다.
1차침전실(16)을 가득 채운 물은 배수관(44)을 따라 2차침전실(18)의 침전탱크(12) 내로 넘쳐흘러 침전물의 2차침전이 이루어지고, 이 역시 침전탱크로부터 넘쳐흐른 세정수가 2차침전실(18)을 가득 채우게 되면 걸름망(38)에 의해 부유물이 걸러진 상태에서 배수관(44)을 따라 3차침전실(20)의 침전탱크(14) 내로 넘쳐흘러 침전물의 3차침전이 이루어지고 3차침전탱크(20)를 넘쳐 흐른 세정수는 부유물과 침전물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여 3차침전실(20)을 가득 채우게 되고 3차침전실(20)을 가득 채우고 있는 정수된 세정수는 펌프(36)의 펌핌으로 세정집진기(4)의 분사노즐(2)을 통하여 분사되어 세정작업에 재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단계의 침전실(16)(18)(20)에 의한 세정수의 정수로 각 침전실(16) (18)(20)의 침전탱크(10)(12)(14)에는 침전물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침전물들은 그 발생량에 따라 에어리프트를 간헐적으로 작동시케 주게 되면 주관(54)으로부터 작용하는 고압으로 각 침전탱크(10)(12)(14)를 연결하는 배출관에는 강한 흡입력이 작용하여 쌓여있던 침전물들이 배출관과 주관을 따라 침전물 수집실(8)의 망체(6) 내에 수집된다.
이때 망체(6)에 수집되는 침전물들은 슬러지 상태로서 침전물을 제외한 수분은 망체로부터 배출되어 침전물 수집실(8)을 가득 채우게 되고 이는 수중펌프(50)에 의한 강제배출 내지는 배수관(40)을 통하여 1차침전실(16)의 침전탱크(10) 내에 넘쳐흘러 단계적인 침전을 통하여 세정수로 재사용하게 된다.
또한 침전물 수집실(8)의 망체(6) 내에 침전물이 가득차게 되면 주기적으로인력내지는 장비의 도움으로 수거하여 처리해 주면 되고, 또 누수로 인한 세정수의 부족시 3차침전실(20)이 갖는 수위조절장치는 공급관을 개방시켜 세정수를 보충해 주게 되며 동절기 외부에서의 사용시에는 히터(48)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동파가 방지되므로 한번 보충된 세정수는 교체없이 오래도록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클론 집진기에 의해 1차집진된 공기가 세정실 내에 갖는 수개의 차단판(28)(30)(32)에 의해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세정실이 갖는 길이에 비해 진행거리가 연장되게 하므로서 세정기의 용량 및 분사노즐(2)을 줄일 수 있어 제조경비가 절감되고 또 사용된 세정수는 침전조(22)가 갖는 수개의 침전실 (16)(18)(20)을 단계적으로 통과하면서 깨끗이 정수되고 정수시 발생되는 침전물들은 에어리프트에 의해 침전물 수집실(8)의 망체(6) 내에 수집되고 수집된 침전물은 주기적으로 처리해 주도록 하므로서 침전조(22)의 용량을 줄이면서도 사용된 세정수를 신속하고 깨끗이 정수시켜 줄수가 있어 침전조(22)의 제조경비 또한 줄일 수가 있고 세정수는 반복적으로 오래도록 사용할 수가 있어 수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가 있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흡입관(24)과 배기관(26)을 갖고 또 내부에는 펌프(36)와 연결된 다수의 분사노즐(2)을 갖는 세정집진기에 있어서, 세정집진기(4) 내부에 수개의 차단판(28) (30)(32)을 형성하고, 그 아래에는 망체(6)를 갖는 침전물 수집실(8)로부터 각기 침전탱크(10)(12)(14)를 갖는 수개의 침전실(16)(18)(20)이 차례로 형성된 침전조(22)를 설치하여 각 실을 배수관(40)(42)(44)으로 연결하고, 세정집진기(4)와 1차침전실(16) 사이에 유입관(46)을 형성하고, 각 침전실의 침전탱크(10) (12)(14)와 고압송풍기가 부설된 주관(54)과의 사이에는 흡입관(56)(58)(60)을 연결하여 에어리프트를 구성하고 펌프(36)는 3차침전실(20)과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식 세정집진기.
KR10-2001-0019768A 2001-04-13 2001-04-13 침전식 세정집진기 KR10039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768A KR100395479B1 (ko) 2001-04-13 2001-04-13 침전식 세정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768A KR100395479B1 (ko) 2001-04-13 2001-04-13 침전식 세정집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385U Division KR200239396Y1 (ko) 2001-04-13 2001-04-13 침전식 세정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03A KR20020079103A (ko) 2002-10-19
KR100395479B1 true KR100395479B1 (ko) 2003-08-25

Family

ID=2770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768A KR100395479B1 (ko) 2001-04-13 2001-04-13 침전식 세정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4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094A (en) * 1973-12-11 1976-07-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e gas scrubber
WO1988001533A1 (en) * 1986-08-25 1988-03-10 Sibley John R Pulsating flow scrubber attachment
KR910002531Y1 (ko) * 1989-06-24 1991-04-2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고압수 분무에 의한 분진의 집진 처리장치
KR940020302U (ko) * 1993-02-23 1994-09-15 문숙현 공기 정화기
JPH09253440A (ja) * 1996-03-25 1997-09-30 House Foods Corp 多室湿式集塵装置
KR19980014703A (ko) * 1996-08-14 1998-05-25 김광호 습식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094A (en) * 1973-12-11 1976-07-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e gas scrubber
WO1988001533A1 (en) * 1986-08-25 1988-03-10 Sibley John R Pulsating flow scrubber attachment
KR910002531Y1 (ko) * 1989-06-24 1991-04-2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고압수 분무에 의한 분진의 집진 처리장치
KR940020302U (ko) * 1993-02-23 1994-09-15 문숙현 공기 정화기
JPH09253440A (ja) * 1996-03-25 1997-09-30 House Foods Corp 多室湿式集塵装置
KR19980014703A (ko) * 1996-08-14 1998-05-25 김광호 습식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03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049B1 (ko) 초기우수 정화장치
CN105625545B (zh) 一种基于分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处理系统
KR100524151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US7540954B2 (en)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CN109183698A (zh) 一种洗扫车污水循环装置及其污水处理方法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US2981416A (en) Apparatus for the cleaning of filtering equipment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TWI696488B (zh) 可逆洗浮床式反向污水處理系統及其處理方法
CN108380012A (zh) 等离子净化机用水幕预处理系统以及油烟净化方法
RU115776U1 (ru)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ливневых стоков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взвешенных частиц
KR101130569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비점오염물 제거장치
CN204952378U (zh) 过滤池
KR101764398B1 (ko)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488613B1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CN209123408U (zh) 一种水污染治理沉淀池
CN207761000U (zh) 具有沉淀和过滤功能的在线处理系统
JP4122492B2 (ja) 工場廃水処理装置
KR100395479B1 (ko) 침전식 세정집진기
KR200239396Y1 (ko) 침전식 세정집진기
CN212926414U (zh) 一种雨水泵站截油截污装置
KR20230065482A (ko)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CN210127143U (zh) 一种用于河道废水的多级吸附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