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358B1 -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358B1
KR100395358B1 KR10-2001-0025925A KR20010025925A KR100395358B1 KR 100395358 B1 KR100395358 B1 KR 100395358B1 KR 20010025925 A KR20010025925 A KR 20010025925A KR 100395358 B1 KR100395358 B1 KR 10039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detic
cultivation
tomato
stag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799A (ko
Inventor
임재욱
이상우
서명훈
이수연
심상연
Original Assignee
경기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기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1-002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3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Abstract

본 발명은 토마토 양액재배시 토마토의 주지를 아래 방향으로 유인하여 2단 또는 3단 적심재배하고 제1본엽과 제3본엽 사이에서 발생한 측지 중 세력이 강한 하나를 선택하여 위로 유인하여 4단 적심재배함으로써 노동력 절감은 물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여 단기간에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배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THE UNTRICULTURE FOR TOMATO USING INDUCED DIRECTION OF BRANCHES}
본 발명은 토마토 양액재배시 토마토의 주지를 아래 방향으로 유인하여 2단 또는 3단 적심재배하고 제1본엽과 제3본엽 사이에서 발생한 측지 중 세력이 강한 하나를 선택하여 위로 유인하여 4단 적심재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토마토는 특성상 정아우세성이 약한 작물로서 재배품종의 대부분이 측지가 많이 발생되는데 측지를 정지해주지 않을 경우 과번무하게되어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의 균형이 깨지면서 결과성이 떨어지고 또한 통기성이 나빠져 과실의 상품성이 저하된다. 측지는 엽액(葉液)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잎의 중늑(中肋)에서도 발생하며 때로는 화경에서도 측지가 발생하기도 한다.
종래 토마토 정지법에 대한 연구는, 외국의 경우 1대 가꾸기를 포함하여 측지를 이용한 2대 가꾸기 및 연속적심재배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주지재배의 경우 4단에서 적심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저단재배는 시설내의 공간 활용도가 낮고 단위 면적당 생산성도 낮은 실정이다. 그러나 단위 면적당 수량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단재배를 하여 화방수를 증가시키면 주지가 길어짐에 따라 착과성이 떨어지고 과실비대가 불량하게 되기도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모모타로 계통의 일본 토마토는 세력이 왕성하여 이상경 발생이 많은데, 일본에서는 주지이외에 측지를 3개까지 키워서 재식본수를 줄여 육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였다(암뢰이기(岩瀨梨己), 1995; 이상우 등, 1998). 그러나 이러한 측지를 유인하는 과정에서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 및 선단부위의 가지가 매우 약하여 잘못하면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이러한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고설 양액재배 베드를 설치하여 토마토의 주지를 아래 방향으로 유인하여 2단 또는 3단 적심재배하고 제1본엽과 제3본엽 사이에서 발생한 측지 중 세력이 강한 하나를 선택하여 위로 유인하여 4단 적심재배함으로써 노동력 절감은 물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여 단기간에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에 관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에 관한 생육도의 사진 도면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마토 양액재배방법에 있어 토마토의 줄기를 주지하향하도록 적심재배함과 더불어 소정의 본엽의 위치에서 측지를 상향하도록 적심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마토 줄기의 주지하향의 유인은 2단 또는 3단 적심재배하고, 토마토 줄기의 측지상향의 유인은 4단 적심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마토 줄기의 측지상향 유인은 제1본엽과 제3본엽 사이에서 발생한 측지 중 세력이 강한 하나를 선택하여 위로 유인하여 4단 적심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 및 도표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 및 도표에 내재된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측지상향 주지하향재배기술 시험 및 재배결과
본 발명의 시험은 경기도 농업기술원의 유리온실에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2년간 실시하였다. 토마토 재배 품종으로서는 '모모타로 T93'(Lycopersicum esculentum Mill.)을 사용하였으며, 베드와 베드 사이를 160㎝로 설정하였고 주간을 20㎝로 하였으며, 스티로폼 베드를 지상 1m 위에 설치하여 하향 유인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배지는 펄라이트를 이용하였다. 양액은 야마자키 토마토 전용액을 점적단추와 점적핀을 이용하여 주당 하루 1L에서 2.5L 정도를 8∼12회 나누어 공급하였다. 특히 주지 1화방 착과 후 측지의 초세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액공급량을 주당 2L까지 증가시켰다. 1999년에는 2월 22일에 최아시켜 4월 20일 정식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1월 7일 파종하여 3월 4일 정식하였다.
하향 유인한 주지 또는 측지는 토마토가 비대하면서 무게에 의하여 아래로 향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상향 유인한 주지 또는 측지에 유인줄을 매어 인위적으로 위쪽으로 유인하였다. 측지의 유인은 제1본엽과 제3본엽 사이에서 발생한 측지 중 세력이 강한 하나를 선택하여 유인하였으며 적심은 화방 상위엽 2매를 남기고 적심하였다.
1999년 시험에서는 주지와 측지를 유인함에 있어 주지를 하향 유인하였을 때와 측지를 유인할 경우 수량과 품질의 차이를 조사하려고 4가지 처리를 하였다. 주지상향 4단적심, 주지하향 4단적심, 주지상향 4단적심+측지하향 3단적심, 측지상향 4단적심+주지하향 3단적심하여 처리효과를 보았다. 2000년에는 주지상향 유인 4단적심, 측지상향 유인 4단적심+주지하향 유인 1단적심, 측지상향 유인 4단적심+주지하향 유인 2단적심, 측지상향 유인 4단적심+주지하향 유인 3단적심의 처리를 두어 적정 적심 단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시험구는 완전임의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토마토재배에 있어서 적심, 호르몬처리, 수확 등의 작업의 편리성과 수광성, 통기성 등의 환경조건을 개선하려면 주지나 측지를 상/하 방향으로 유인하여야 한다. 종래, 관행적 유인은 주지나 측지를 상향 방향으로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일본 M식수경연구소에서 개발한 하향 2단적심 재배는 아래로 주지를 늘어뜨려 유인하는 방법으로써 2화방까지 결과시켜 수확하는 방법이었다. 2화방 이상이 달리면 수경재배이기 때문에 뿌리가 견고하게 고정이 되어있지 않아 토마토 무게를 이기지 못해 뿌리가 뽑힐 가능성이 있다.
1999년 시험결과, 주지하향 4단적심에서도 배지에 뿌리가 활착이 되어 충분히 토마토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주지하향 4단적심 재배에서 주지상향 유인에 비하여 생육이 다소 떨어지고(표 1), 수확 시기가 지연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상품수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95% 수준이었다(표 2). 또한 주지상향 4단적심하고 측지하향 3단적심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량이 13% 증가되었으나 측지의 생육이 떨어졌으며 낙화가 심하여 주당 측지의 평균 상품수량이 0.37㎏으로 저조하였다(표 3). 이것은 주지가 윗방향으로 자라면서 측지의 수광상태가 나빠져 낙화의 주요인으로 생각된다. 결국 측지를 하향 유인할 경우에는 그에 따른 보광을 해 주어야만 측지에서의 낙화와 과실비대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측지를 상향 유인하고 주지를 하향 유인할 경우에는 측지와 주지에서 낙화가 적어 상품수량도 관행구에 비하여 58% 증수되었다. 측지상향 4단적심+주지하향 3단적심 유인구에서 측지의 생육은 하향 유인한 주지에 비하여 좋았으며 과실중량도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생육현황은 측지를 키운 경우 주지만 유인한 경우보다 생육이 다소 떨어졌다. 주지와 측지를 유인한 경우에는 측지를 하향 유인하였을 때 생육이 나빴으며 측지를 상향 유인하였을 때에는 다소 생육이 좋았다. 따라서, 생육이 좋았고 상품수량이 가장 높은 유인법은 주지하향 유인 3단적심 후 측지상향 유인 4단적심 처리였다. 이 처리구에서는 상품수량이 증가되는 우수한 점이 있었으나, 측지에서 수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다소 수확이 지연되는 결과를 보였다.
2000년 시험에서는 주지하향+측지상향 유인에서 측지는 4단적심하였을 때 수확이 지연되지 않는 주지의 적정 적심단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지상향 유인 4단적심, 측지상향 유인 4단적심+주지하향 유인 1단적심,측지상향 유인 4단적심+주지하향 유인 2단적심, 측지상향 유인 4단적심+주지하향 유인 3단적심의 처리를 실험하였다. 생육상황을 보면 주지상향 관행재배에 비하여 상향 유인한 측지는 하향 유인한 주지의 적심단수가 많아질수록 경경, 엽장, 엽폭이 다소 작았다(표 4). 이것은 영양분이 측지로 이동이 다소 적어져 발생한 듯 하다. 따라서 측지를 유인하면서 양액 공급량을 늘리지 않으면 측지의 초세가 급속히 약화될 수 있으므로 양액을 충분히 공급하여야 한다. 주지하향 유인에서 착과 단수가 높을수록 상품수량은 증가하였고 측지상향 유인(4단)+주지하향 유인(3단)처리에서 관행구에 비하여 58% 증수되었으나 처리별 당도 차이는 없었다(표 5). 측지유인구에서 측지의 생육은 하향 유인한 주지에 비하여 다소 좋았으며 과실중량도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표 6). 따라서 뿌리에서 흡수한 양분은 주로 상향 유인한 측지로 이동하는 것 같았다. 관행재배와 비교시 측지 유인에서는 수확기간이 크게 연장되지 않았으며 거의 동일한 시기에 수확을 마칠 수 있었다. 또한 주지의 착과 단수가 높을수록 관행재배에 비하여 측지의 상품수량은 초기에는 다소 떨어졌으나 후기로 갈수록 차이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주지에서의 과실의 착과 후 비대시 상대적으로 측지로의 영양분의 전류가 적어 수량이 떨어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주지에서 과실의 비대가 어느 정도 되면 측지에서의 상품수량도 증가되는 것 같았다. 따라서 주지하향 유인과 측지상향 유인 재배에서 측지의 상품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주지의 착과 비대기에 양액의 공급량을 늘려 측지의 초세를 강하게 해야 한다. 또한 주지하향 3화방은 1999년 시험에서는 수확기가 다소 연장되었으나 2000년 시험에서는 수확기가 연장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생육상황을 비교해보면 1999년 시험에서의 주지와 측지의 경경 및 엽장, 엽폭은 2000년 시험에 비하여 약화되었다. 따라서 측지의 수량을 늘리고 수확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양액의 공급량을 늘려 측지의 생육이 약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토마토 측지 상·하향 유인시 처리별 생육상황의 비교
처리내용 엽장(㎝) 엽폭(㎝) 경경(㎜) 절간장(㎝)
주지상향 4단적심 13.4 a* 40.4 a 44.9 a 8.1 a
주지하향 4단적심 13.6 a 39.7 a 43.3 ab 7.5 a
주지상향 4단적심+측지하향 3단적심 11.0 b 33.4 b 38.1 ab 7.6 a
측지상향 4단적심+주지하향 3단적심 10.8 b 31.8 b 37.9 b 7.5 a
* DMRT at 5% level
토마토 측지 상·하향 유인시 과실수량 및 품질비교
처리내용 주당수령(㎏/주) 상품과중(㎏/주) 과실중(g/개) 상품수량(㎏/10a) 수량지수 당도(Bx°)
주지상향(4단) 2.46 c* 2.37 c 165 a 5,320 c 100 6.2 a
주지하향(4단) 2.38 c 2.25 bc 159 a 5,070 c 95 5.9 a
주지상향(4단)+측지하향(3단) 2.82 b 2.67 b 162 a 6,001 b 113 6.2 a
측지상향(4단)+주지하향(3단) 3.24 a 3.05 a 160 a 6,873 a 129 6.1 a
* DMRT at 5% level
측지 유인시 측지와 주지의 생육상황 및 수량비교
처리내용 구 분 경경(㎜) 엽장(㎝) 엽폭(㎝) 과실중(g/개) 상품수량(㎏/주) 당도(Bx。)
주지상향(4단)+측지하향(3단) 주지(상향4단) 12.8 a* 40.1 a 36.1 a 161 a 2.30 a 6.2 a
측지(하향3단) 8.9 c 35.5 b 30.0 b 139 b 0.37 d 5.9 a
측지상향(4단)+주지하향(3단) 주지(하향3단) 11.8 ab 38.2 ab 31.4 ab 160 a 1.83 b 6.2 a
측지(상향4단) 11.1 b 38.9 a 32.5 ab 138 b 1.22 c 6.1 a
* DMRT at 5% level
토마토 측지상향 유인과 주지하향 유인시 주지의 적심단수에 따른 생육
처 리 경경(㎜) 엽장(㎝) 엽폭(㎝) 절간장(㎝)
주지상향 유인(관행 4단적심 재배) 14.6 a* 46.0 46.5 6.7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1단적심) 13.9 a 46.9 45.2 6.2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2단적심) 12.4 a 43.9 42.5 6.6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3단적심) 11.9 b 41.8 41.8 6.5
* DMRT at 5% level
토마토 측지상향 유인과 주지하향 유인시 주지의 적심단수에 따른 수량 및 품질
처리내용 주당수량(g/주) 상품과중(g/주) 과실중(g/개) 상품수량(㎏/10a) 수량지수 당도(Bx°)
주지상향 유인(관행 4단적심 재배) 3,276 c* 3,166 d 180 5,700 d 100 5.6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1단적심) 3,777 b 3,686 c 183 6,628 c 116 5.7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2단적심)
4,730 a 4,608 b 185 8,294 b 146 5.9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3단적심) 5,066 a 4,992 a 187 8,986 a 158 5.8
* DMRT at 5% level
토마토 측지상향 유인과 주지하향 유인시 주지의 적심단수에 따른 주지와 측지에서의 수량 및 품질비교
처리내용 구분 경경(㎜) 엽장(㎝) 엽폭(㎝) 과실중(g/개) 상품수량(㎏/주) 당도(Bx°)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1단적심) 측지 14.7 a* 48.3 a 46.0 a 182.7 ab 2.68 a 5.7
주지 13.1 b 45.7 ab 44.3 ab 184.3 ab 1.01 d 5.5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2단적심) 측지 12.8 b 45.3 ab 44.7 ab 200.7 a 2.85 a 6.0
주지 12.1 b 42.3 ab 40.7 ab 170.7 b 1.76 c 5.7
측지상향(4단적심)+주지하향(3단적심) 측지 12.1 b 43.7 ab 43.7 ab 199.7 a 2.67 a 5.8
주지 11.4 b 40.6 b 40.0 b 173.7 b 2.32 b 5.6
* DMRT at 5% level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나 도면에 기재된 내용에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효과는,
첫째, 노동력 절감은 물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여 토마토 재배에 들이는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둘째, 토마토의 생육이 우수하고 품질이 우수한 과실을 다량 수확하여 단기간에 상품의 수량 및 품질을 극대화하여 농가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토마토 양액재배방법에 있어서,
    토마토의 줄기를 주지하향하도록 적심재배함과 더불어 소정의 본엽의 위치에서 측지를 상향하도록 적심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마토 양액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지하향의 유인은 3단적심 재배하고, 상기 측지상향의 유인은 4단적심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마토 양액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지하향의 유인은 2단적심 재배하고, 상기 측지상향의 유인은 4단적심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마토 양액재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지상향의 유인은 제1본엽과 제3본엽 사이에서 발생한 측지 중 세력이 강한 하나를 선택하여 위로 유인하여 4단적심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재배방법.
KR10-2001-0025925A 2001-05-11 2001-05-11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 KR10039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925A KR100395358B1 (ko) 2001-05-11 2001-05-11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925A KR100395358B1 (ko) 2001-05-11 2001-05-11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799A KR20020086799A (ko) 2002-11-20
KR100395358B1 true KR100395358B1 (ko) 2003-08-27

Family

ID=2770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925A KR100395358B1 (ko) 2001-05-11 2001-05-11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27B1 (ko) 2015-05-28 2016-07-07 박선범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27B1 (ko) 2015-05-28 2016-07-07 박선범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799A (ko)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863B2 (ja) 葡萄栽培方法
CN102711441B (zh) 在支撑物上具有立杆形式树冠之榛树的栽培
JP5364163B2 (ja) 緑色光照射を利用した果菜類の栽培方法
JP2013252086A (ja) 鉢植えブドウの製造方法
CN110800539B (zh) 一种苹果实生苗提早结果的枝条培养方法
JP2007014295A (ja) 育苗方法
KR100395358B1 (ko) 토마토의 주지하향 측지상향 양액재배방법
CN106922397B (zh) 一种培育易分枝性一品红的方法
Nestby et al. Effect of plant type and delayed planting on growth and yield parameters of two short day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cultivars in open field
CN108157002A (zh) 南方鲜食葡萄一年三批次挂果的培育方法
De et al. Organic production of Cymbidium orchids
JP4974213B2 (ja) 植物活力剤
CN104322269B (zh) 野生嘉兰百合鲜切花驯化栽培方法
Gao et al. Growing tomatoes in the home garden
Carlen et al. Genotype, environment and cultivation systems: what will berry production be like in the future?
Talavera et al. Acclimatization, rooting and field establishment of micropropagated papaya plants
CN114190251B (zh) 一种促进满天星侧芽增殖的诱导方法
MULIH FACULTY OF AGRICULTURE AND VETERINARY MEDICINE
Mangan et al. Developing sustainable production practices for new tropical vegetables for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CN107211713B (zh) 一种棚室无限生长型番茄吊绳栽培方法
Scagel Using mycorrhizal fungi during the propagation of woody horticultural crops
Hernández-Hernández Atypical Flowering of Vanilla planifolia in the Region of Junín, Peru
RU2203533C2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Gao et al. Growing blueberries in the home garden
Bobomurodov et al. METHODS OF USING AND DETERMINING THE YIELD OF MULBERRY LEA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