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255B1 -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255B1
KR100395255B1 KR10-2000-0038665A KR20000038665A KR100395255B1 KR 100395255 B1 KR100395255 B1 KR 100395255B1 KR 20000038665 A KR20000038665 A KR 20000038665A KR 100395255 B1 KR100395255 B1 KR 100395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oupled
brake band
mounting plate
ge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605A (ko
Inventor
박선후
임기현
김남권
정의식
이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00019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118Y1/ko
Priority to KR10-2000-0038665A priority patent/KR1003952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팅 플레이트(110);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로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세탁조(103)가 결합되는 회전튜브(122), 상기 회전튜브(122)의 하단으로 결합되는 기어 하우징(121),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상기 기어 하우징(121)을 설치하는 캠 하우징(112), 상기 회전튜브(122)에 끼워져 교반기(102)와 결합되면서 타단은 구동축(124)과 결합되는 수직축(123)이 구비된 기어 어셈블리(120); 하단에 피동풀리(107)가 볼팅 결합된 상기 구동축(124)의 외주면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모터(104)로 인한 상기 피동풀리(107)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 하우징(121) 및 상기 구동축(124)에 선택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 일부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레버 어셈블리(150)에 의해 벌려지고 좁혀지면서 상기 기어 하우징(121)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제어하는 브레이크 수단; 및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상기 기어 하우징(121)에 회동 작동되도록 인접 설치되는 레버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클러치 어셈블리는 각 클러치가 정확히 맞물릴 수 있고,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제 1브레이크 밴드 및 제 2브레이크 밴드로 정확한 제동력을 발휘된다.

Description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DRIVE APPARATUS OF AGITATOR AND WASAHER BASKET FOR AUTOMATIC WASHER}
본 발명은 세탁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러치가 정확히 맞물릴 수 있는 클러치 어셈블리와, 정확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탁기는 모터와 교반기/세탁조 사이에 직접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이러한 세탁기에는 클러치 메카니즘과 브레이크 메카니즘이 설치된다.
클러치 메카니즘은 세탁기가 교반모드일 때 내부의 세탁조는 정지하는 반면 교반기는 작동되고, 물의 배출이나 회전모드일 때 내부의 교반기와 세탁조는 함께 회전된다. 이 구동장치가 사용된 종래의 세탁기는 클러치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갖는 스프링 클러치 또는 스플라인 클러치를 포함한다. 클러치 맴버는 모터 샤프트에 수직으로 움직이면서 세탁조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거나 한다.
브레이크 메카니즘은 세탁시 세탁조가 관성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1990년 11월 13일자로 제프리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635,129호에는 클러치 메카니즘이 구비된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
도 7에서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교반기(11)가 내부로 수직 설치된 세탁조(10)를 포함한다. 세탁조(10)는 세탁통(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튜브(10a)는 세탁조(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세탁통(12)의 바닥을 통과한다. 수직축(37)은 교반기(11)의 하단과 연결되어 회전튜브(10a)로 끼워진다. 회전튜브(10a)의 하부에는 기어 어셈블리(20)와 결합된 제 1허브(13)가 설치된다. 기어 어셈블리(20)에는 마운팅 플레이트(14)가 하부에 위치된다. 마운팅 플레이프(14)에는 클러치 어셈블리(30)가 설치된다.
클러치 어셈블리(30)는 캠 하우징(31), 클러치 슬라이더(32), 레버 아암(33) 및 엑츄에이터(도시안됨)가 포함된다. 클러치 슬라이더(32)는 이면에 제 1기어부(32a)가 형성되어 캠 하우징(31)의 상부로부터 안착된다. 엑츄에이터의 구동력은 레버 아암(33)이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레버 아암(33)과 일체로 결합된 클러치 슬라이더(32)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조이다. 피동풀리(34)에는 제 1기어부(32a)와 상응한 제 2기어부(34a)가 일측 표면으로 형성된다.
세탁 모드의 경우(도 8), 엑츄에이터는 온되어 레버 아암(33)을 일측 방향으로 당겨준다. 이에, 클러치 슬라이더(32)는 캠 하우징(31)의 내부에서 하강하여 제 1기어부(32a)가 제 2기어부(34a)가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때 모터(16)의 구동력은 밸트(17)에 의해 구동풀리(36)로부터 피동풀리(34)로 전달되며, 피동풀리(34)의 회전력은 구동축(37a), 수직축(37)을 매개로 교반기(11)에 전달되어 세탁 기능을 수행한다.
탈수 모드의 경우(도 9), 엑츄에이터(도시안됨)는 온되어 레버 아암(33)을 타측 방향으로 당겨준다. 클러치 슬라이더(32)는 캠 하우징(31)의 내부로부터 상승하여 제 1기어부(32a)가 제 2기어부(34a)와 이탈된 상태가 된다.이에 따라 모터(16)의 구동력은 밸트(17), 구동풀리(36) 및 피동풀리(34)에 전달되어 회전력이 발생된다. 피동풀리(34)의 회전력은 클러치 어셈블리(30), 기어 어셈블리(20), 제 1허브(13), 회전튜브(10a)를 거쳐 교반기(11)에 대한 동력전달은 차단된 반면, 세탁통(12)을 회전시킴으로써 탈수 기능을 수행한다.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개방 뚜껑이 열리면, 제 1허브(13)는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제동력이 가해져 회전이 정지된다.
그러나 클러치 어셈블리(30)의 경우, 수지로 된 피동풀리(34)는 제 2기어부(34a)가 상면으로 일체 성형했기 때문에 반복 사용으로 변형이 발생하거나, 밸트의 장력이 커서 피동풀리(34)가 구동축(37a)에 정확히 결합되지 않고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슬라이더(32)의 제 1기어부(32a)와 피동풀리(34)의 제 2기어부(34a)가 정확히 맞물리지 않고 헛돌거나 마모가 발생하여 구동이 원활하지 않는 등의 문제와 함께, 제 1기어부(32a)와 제 2기어부(34a)가 톱날형 치형상으로 일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밖에 었기 때문에 탈수시 회전 방향의 제약이 따랐다.
1990년 1월 9일자로 더글라스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891,959호에는 브레이크 메카니즘이 구비된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0a, 도 10b는 브레이크 어셈블리(4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a에는 제 2허브(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브라켓(42)(42a)들은 브레이크 밴드(44)의 충돌로 인해 지주(43)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및 제 2브라켓(42)(42a)들의 회전은 브레이크 밴드(44)의 제 1단부(44a)가 피봇핀(45)으로 하여금 지주(43)의 중심과 방사상 배열될 때까지 계속된다. 피봇핀(45)은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으로부터 효과적인 제동력을 얻게 된다. 반면에, 제 2허브(4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1 및 제 2브라켓(42)(42a)들은 역시 제 2허브(41)에 대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브레이크 밴드(44)의 제 2단부(44b)가 도 10b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지주(43)의 중심과 방사상 배열이 될 때까지이다. 그 지점에서 피봇핀(45)은 허브(41)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부터 효과적인 제동을 한다.
또한 브레이크 어셈블리(40)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제 2허브(41)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모두 제어할 수 있지만, 이는 교반기가 좌,우 270도 정도로 정,역회전을 반복할 경우에는 제동력을 원활히 얻을 수 있지만, 교반기가 좌로 3회,우로 3회 이상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할 경우에는 브레이크 밴드(44)와 접촉하는 기어 하우징의 표면이 손상되는 등 제동력을 원활히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클러치가 정확히 맞물릴 수 있는 클러치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확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로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세탁조가 결합되는 회전튜브, 상기 회전튜브의 하단으로 결합되는 기어 하우징,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상기 기어 하우징을 설치하는 캠 하우징, 상기 회전튜브에 끼워져 교반기와 결합되면서 타단은 구동축과 결합되는 수직축이 구비된 기어 어셈블리; 하단에 피동풀리가 볼팅 결합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모터로 인한 상기 피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 하우징 및 상기 구동축에 선택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기 기어 하우징에 회동 작동되도록 인접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수단; 및 상기 기어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 일부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레버수단에 의해 벌려지고 좁혀지면서 상기 기어 하우징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제어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탁기 원리를 구체화한 세탁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클러치 어셈블리, 레버 어셈블리 및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클러치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른 세탁모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클러치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른 탈수모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브레이킹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비-브레이킹 상태를 보인 평명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한 예를 보인 것으로, 클러치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의 세탁기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클러치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른 세탁모드를 보인 단면도; 및
도 9는 도 7에서 클러치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른 탈수모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는 세탁기에 채택된 종래의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보인 것으로, 도 10a는 허브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이고, 도 10b는 허브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세탁기 101 : 세탁통
102 : 교반기 103 : 세탁조
104 : 모터 105 : 구동풀리
106 : 밸트 107 : 피동풀리
108 : 개방 뚜껑 109 : 서스펜션장치
C : 컨트롤 C1 : 컨트롤 콘솔
110 : 마운팅 플레이트 120 : 기어 어셈블리
121 : 기어 하우징 122 : 회전튜브
123 : 수직축 124 : 구동축
130 : 클러치 어셈블리 131 : 상부 클러치
132 : 외측 스플라인 133 : 제 1스프링
134 : 클러치 슬라이더 135 : 내측 스플라인
136 : 플렌지 137 : 하부 클러치
138 : 보조 스플라인 140 : 브레이크 어셈블리
141 : 제 1브레이크 밴드 142 : 제 2브레이크 밴드
143 : 힌지 브라켓 144 : 제 2스프링
150 : 레버 어셈블리 151 : 몸통
152 : 브레이크 작동아암 153 : 클러치 작동아암
154 : 구동아암
이하,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한 세탁기(100)를 설명한다. 세탁기(100)는 개방 뚜껑(108)을 갖는 외부 캐비넷(108a)이 구비된다. 개방 뚜껑(108)은 세탁액을 공급받도록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세탁통(10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세탁통(101)의 내부에는 세탁조(103)와 수직축 교반기(102)가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세탁물을 받는다. 모터(104)는 세탁물을 진동 및 회전하도록 교반기(102)와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역시 교반기(102)와 함께 세탁조(103)가 선택적으로 동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세탁통(101), 세탁조(103), 교반기(102) 및 모터(104)의 어셈블리는 서스펜션 장치(109)에 설치된다. 다수의 컨트롤(C)은 일련의 세탁, 건조, 세탁액 배출 단계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컨트롤 콘솔(C1)에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서 마운팅 플레이트(110)로부터 기어 어셈블리(120), 클러치 어셈블리(130), 브레이크 어셈블리(140) 및 레버 어셈블리(150)가 전체적으로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하부에는 캠 하우징(112)에 의해 기어 어셈블리(120)가 설치된다.
기어 어셈블리(120)는 회전튜브(122), 기어 하우징(121), 수직축(123) 및 구동축(124)을 포함한다. 회전튜브(122)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그 선단으로 세탁조(103)가 설치된다. 기어 하우징(121)은 동시 회전되도록 회전튜브(122)의 하단에 결합된다. 수직축(123)은 회전튜브(122)의 하부로부터 끼워져 상부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부분에는 교반기(102)가 설치되어 동시 회전된다. 구동축(124)은 수직축(123)의 하단에 결합된다.
구동축(124)의 회전시, 구동축(124)과 결합된 수직축(123)이 함께 회전되고, 수직축(123)과 결합된 교반기(102)는 회전하여 세탁조(103)내의 세탁물을 저어주는 반면, 기어 하우징(121)의 회전시, 이와 함께 결합된 회전튜브(122)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튜브(122)는 세탁조(103)를 회전시킨다.
클러치 어셈블리(130)는 상부 클러치(131), 제 1스프링(133), 클러치 슬라이더(134) 및 하부 클러치(137)가 포함된다. 상부 클러치(131)는 구동축(124)에 끼워져 스플라인 결합된다. 제 1스프링(133)은 상부 클러치(131)가 덮어지도록 구동축(124)에 끼워져 상단이 기어 하우징(121)의 이면과 접촉된다. 클러치 슬라이더(134)는 구동축(124)에 끼워져 상부 클러치(131)와 결합된다. 이때, 상부 클러치(131)의 외측 스플라인(132)에는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내측 스플라인(135)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하부 클러치(137)는 구동축(124)의 끝단에서 피동풀리(107)와 함께 볼팅 고정된다. 외측 스플라인(132), 내측 스플라인(135) 및 보조 스플라인(138)의 치형은 각각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슬라이더(134)는 제 1스프링(133)의 힘에 의해 항상 피동풀리(107)의 방향으로 하강하고, 이때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내측 스플라인(135)은 상부 클러치(131)의 외측 스플라인(132) 및 피동풀리(107)의 하부 클러치(137)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에, 피동풀리(107)의 회전력은 클러치 슬라이더(134)에 의해 하부 클러치(137)와 함께 상부 클러치(131)를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강제 상승시, 클러치 슬라이더(134)는 그 상부의 제 1스프링(133)을 압축하면서 기 접촉되어 있던 하부 클러치(137)의 보조 스플라인(138)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이에 피동풀리(107)의 회전력은 상부 클러치(131)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140)는 제 1브레이크 밴드(141), 제 2브레이크 밴드(142), 힌지 브라켓(143) 및 제 2스프링(144)을 포함한다. 제 1브레이크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는 일부는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일직선상으로 형성한다.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반원형 끝부분은 서로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 브라켓(143)에 의해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설치된다.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직선상 끝부분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이격된다.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분은 기어 하우징(121)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반면,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끝부분은 제 2스프링(144)으로 결합한다.
한편,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플렌지(136)는 바깥 둘레가 상측으로 갈수록 반호상으로 구부러지고, 클러치 작동아암(153)은 플렌지(136)의 아래로 쉽게 끼워지도록 경사면(153a)을 선단에 형성한다. 즉, 클러치 작동아암(153)의 경사면(153a)은 플렌지(136)와 하부 클러치(137) 사이에 끼워질 때 플렌지(136)의 구부러진 부분을 따라 쉽게 끼워진다.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는 제 2스프링(144)의 인장력에 의해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분이 기어 하우징(12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즉, 제 2스프링(144)은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타단을 동시에 잡아 당기면,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는 힌지 브라켓(143)으로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반원형 부분이 기어 하우징(121)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레버 어셈블리(150)는 몸통(151)에 브레이크 작동아암(152)과 클러치 작동아암(153)을 일체로 형성한다. 몸통(151)은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브레이크 작동아암(152)은 몸통(151)의 상단에 일체로 돌출되어 그 양단이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부분 사이에 위치된다. 클러치 작동아암(153)은 몸통(151)의 하단에 "ㄱ"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선단이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플렌지(136)의 하부에 끼워진다. 몸통(151)의 일측에는 동기모터(도시안됨) 및 배수밸브(도시안됨)가 연결된 구동아암(154)이 일체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세탁조와 교반기의 구동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세탁 모드의 경우, 작업자는 컨트롤 콘솔(C1)의 컨트롤(C)을 눌러 탈수 모드를 선택한다. 그 컨트롤(C)은 구동풀리(105)가 회전되도록 모터(104)를 구동한다. 구동풀리(105)의 회전력은 밸트(106)에 의해 피동풀리(107)로 전달된다.
이때, 컨트롤(C)의 온 신호는 동기모터(도시안됨)를 동작시킨다. 구동아암(154)은 동기 모터(도시안됨)의 구동력으로 당겨져 몸통(151)과 함께 클러치 작동아암(15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클러치 작동아암(153)은 그 선단 부분이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플렌지(136)의 하부로부터 끼워지고, 그 끼워진 두께 만큼, 클러치 슬라이더(134)는 상부 클러치(131)로 이동한다. 즉, 클러치 슬라이더(134)는 하부 클러치(137)의 보조 스플라인(138)과 결합된 상태로 있다가 이격된 상태로 된다.
앞서와 같이, 회전 상태인 피동풀리(107)의 회전력은 상부 클러치(131)에 전달되지 않는다. 다만, 회전력은 구동축(124) 및 수직축(123)으로만 전달되어 교반기(102)만을 회전시켜준다.
이와 동시에, 도 5에서와 같이 몸통(151)의 브레이크 작동아암(152)의 양단은 각각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일직선상 부분을 밀어 기어 하우징(121)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있다가, 브레이크 작동아암(15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로부터 각각 떨어진다. 이에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제 2브레이크 밴드(142)는 제 2스프링(144)에 의해 서로 잡아 당겨져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반원형 부분은 기어 하우징(1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얻는다.
이와는 반대로, 도 4에서와 같이 탈수 모드의 경우, 작업자는 컨트롤 콘솔(C1)에서 탈수 기능에 해당되는 콘트롤(C)을 눌러 모터(104)를 구동시키게 된다. 모터(104)는 구동풀리(105) 및 밸트(106)를 거쳐 피동풀리(107)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동기모터(도시안됨)는 앞서 설명한 것과는 달리 구동아암(154)을 밀어준다. 구동아암(154)의 회전은 몸통(151)과 함께 하단의 클러치 작동아암(153)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클러치 작동아암(153)의 선단은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플렌지(136)의 바로 아래에 끼워져 받쳐준 상태로 있다가,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클러치 슬라이더(134)는 바로 상부의 제 1스프링(133)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 클러치(137)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과정에서,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내측 스플라인(135)은 상부 클러치(131)의 외측 스플라인(132)은 물론 하부 클러치(137)의 보조 스플라인(138)과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피동풀리(107)의 회전력은 교반기(102)와 세탁조(103)를 동시 구동하게 된다. 하나는 세탁 모드에서와 같이 구동축(124), 수직축(123)을 통해 교반기(102)를 회전시키면서, 다른 하나는 클러치 슬라이더(134)에 의해 하부 클러치(137), 상부 클러치(131), 기어 하우징(121)을 거쳐 회전튜브(122)에 결합된 세탁조(103)가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특히, 구동아암(154)과 연결된 배수밸브가 열려 세탁수가 배수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구동아암(154)과 일체인 몸통(151)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몸통(151)의 상부로 형성된 브레이크 작동아암(152)양단의 굴곡진 부분은 제 1브레이크 밴드(141)와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일직선 부분의 내측을 각각 밀어준다. 이에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제 2브레이크 밴드(142)는 일측의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제 2브레이크 밴드(142)는 일측으로 결합된 제 2스프링(144)을 인장시키면서 벌어진다. 이에 제 1브레이크 밴드 및 제 2브레이크 밴드(142)는 기어 하우징(121)과 접촉된 상태로 있다가 이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는 도 6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클러치 어셈블리는 기어 하우징과 피동풀리 사이의 구동축에 동축적으로 끼워진 상부 클러치와 하부 클러치의 외주면에 각각 스플라인을 형성하고, 이들 스플라인에는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되도록 클러치 슬라이더를 결합함으로써, 클러치 슬라이더와 결합하도록 된 하부 클러치는 피동풀리의 변형과는 관계 없이 클러치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어 정확한 말물림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력을 정확히 교반기 및 세탁조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클러치 및 하부 클러치에 형성된 각각의 스플라인은 양방향으로 동력 전달이 가능한 치형을 갖고 있기 대문에 탈수 모드시 회전 방향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기존의 밴드 브레이크가 아닌, 일측의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제 1브레이크 밴드와 제 2브레이크 밴드가 회전 작동하여 기어 하우징에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됨으로써, 제 1브레이크 밴드와 제 2브레이크 밴드는 일단의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함에 따라, 기어 하우징을 양편에서 정확히 잡아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어 하우징의 회전수가 높더라도 보다 정확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실시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6)

  1.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마운팅 플레이트(110);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로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세탁조(103)가 결합되는 회전튜브(122), 상기 회전튜브(122)의 하단으로 결합되는 기어 하우징(121),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상기 기어 하우징(121)을 설치하는 캠 하우징(112), 상기 회전튜브(122)에 끼워져 교반기(102)와 결합되면서 타단은 구동축(124)과 결합되는 수직축(123)이 구비된 기어 어셈블리(120);
    하단에 피동풀리(107)가 볼팅 결합된 상기 구동축(124)의 외주면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모터(104)로 인한 상기 피동풀리(107)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 하우징(121) 및 상기 구동축(124)에 선택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
    상기 기어 하우징(121)의 외주면을 감싸 일부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레버수단에 의해 벌려지고 좁혀지면서 상기 기어 하우징(121)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제어하는 브레이크 수단; 및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상기 기어 하우징(121)에 회동 작동되도록 인접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구동축(124)의 하단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외주면 하단에 외측 스플라인(132)이 형성되는 상부 클러치(131);
    상기 상부 클러치(131)가 외부에서 감싸지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 1스프링(133);
    상기 제 1스프링(133)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12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중앙에는 둘레를 따라 플렌지(136)가 돌출되고, 내벽에는 상기 외측 스플라인(132)과 결합되도록 내측 스플라인(135)이 형성되는 클러치 슬라이더(134); 및
    상기 상부 클러치(131)의 상기 외측 스플라인(132)의 외경과 상응한 보조 스플라인(138)을 표면으로 형성하고, 그 보조 스플라인(138)이 상기 외측 스플라인(132)과 함께 상기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내측 스플라인(135)과 결합되는 하부 클러치(137)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중심이 되어 접혀지면서 상기 기어 하우징(121)을 양방향으로 감싸도록 일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제 2브레이크 밴드(142);
    상기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상기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힌지 결합 부분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143);
    상기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상기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직선상으로 형성된 끝부분 사이를 교차하여 설치된 제 2스프링(14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수단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볼팅 결합되어 회전되는 몸통(151);
    상기 몸통(151)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되어 몸통(151)에 회전력을 가하는 구동아암(154);
    상기 몸통(151)의 상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과 타단이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직선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내측을 각각 반대로 밀어 벌려주는 브레이크 작동아암(152); 및
    상기 몸통(1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상기 플렌지(136)의 아래 부분으로부터 끼워져 상기 클러치 슬라이더(134)를 상승시키는 클러치 작동아암(15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작동아암(152)은 제 1브레이크 밴드(141) 및 제 2브레이크 밴드(142)의 내벽을 따라 볼록하게 구부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슬라이더(134)의 플렌지(136)는 바깥 둘레가 상측으로 갈수록 반호상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클러치 작동아암(153)은 상기 플렌지(136)의 아래로 쉽게 끼워지도록 경사면(153a)을 선단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KR10-2000-0038665A 2000-07-06 2000-07-06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KR100395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390U KR200207118Y1 (ko) 2000-07-06 2000-07-06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KR10-2000-0038665A KR100395255B1 (ko) 2000-07-06 2000-07-06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665A KR100395255B1 (ko) 2000-07-06 2000-07-06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390U Division KR200207118Y1 (ko) 2000-07-06 2000-07-06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605A KR20020004605A (ko) 2002-01-16
KR100395255B1 true KR100395255B1 (ko) 2003-08-21

Family

ID=196766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390U KR200207118Y1 (ko) 2000-07-06 2000-07-06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KR10-2000-0038665A KR100395255B1 (ko) 2000-07-06 2000-07-06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390U KR200207118Y1 (ko) 2000-07-06 2000-07-06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71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0854B2 (ja) * 2013-11-14 2017-10-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605A (ko) 2002-01-16
KR200207118Y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237B2 (en) Multiple directional clutch for a washing machine
AU646360B2 (en) Automatic washer basket and agitator drive system
US5842358A (en) Power system of clothes washing machine
JP2001162087A (ja) 洗濯機
KR100395255B1 (ko) 세탁기용 교반기와 세탁조의 구동장치
GB2324310A (en) Washing machine transmission
GB2322636A (en) Improvements in washing machine clutches
US5551262A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CA1119011A (en) Automatic washer spin delay mechanism
US4387580A (en) Automatic washer energy absorbing spin delay mechanism
JP3609288B2 (ja) 洗濯機
KR200207117Y1 (ko) 세탁기의 브레이크 메카니즘
KR200207116Y1 (ko) 세탁기의 클러치 메카니즘
JP3704376B2 (ja) 洗濯/脱水転換ブレーキメカニズムを備えた洗濯機
KR20020011781A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JPH0838788A (ja) 洗濯機の排水装置
KR950014318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JPS589570Y2 (ja) ドラム式洗濯機
KR950007079B1 (ko) 전자동세탁기의 구동장치
KR95000567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소음방지 장치
KR950007076B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95000368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JPH0316630Y2 (ko)
KR950007075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JP3564316B2 (ja) 脱水兼用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