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102B1 - 퍼지제어를이용한반광및코크스비율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퍼지제어를이용한반광및코크스비율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102B1
KR100395102B1 KR10-1998-0052141A KR19980052141A KR100395102B1 KR 100395102 B1 KR100395102 B1 KR 100395102B1 KR 19980052141 A KR19980052141 A KR 19980052141A KR 100395102 B1 KR100395102 B1 KR 10039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light
coke
half ligh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533A (ko
Inventor
김용균
고흥철
김동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5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1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6Particulat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75Regulation of the charge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M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OF THE CHARGES OR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 F27M2003/00Type of treatment of the charge
    • F27M2003/04Sinter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반광빈의 레벨 변동시 퍼지제어기를 이용한 반광절출보정량을 결정하고, 회귀분석결과를 적용하여 코크스절출량을 동시에 보정하여 조업안정과 소결광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체반광빈의 반광레벨을 레벨상한치에서 최대레벨까지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제1입력처리부와, 상기 자체반광빈의 반광레벨을 레벨하한치에서 공빈레벨까지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제2입력처리부와, 상기 자체반광빈의 반광레벨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이상이면 상기 제1입력처리부의 출력을 선택하고 기준값 이하이면 제2입력처리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입력변수로 출력하는 입력선택부와, 소결공정의 조업지식을 근간으로 작성된 제어규칙에 따라서 상기 입력선택부로부터 인가된 입력변수로부터 반광절출량을 증가/감소량을 결정하는 추론치를 생성하는 퍼지제어부와, 상기 퍼지제어부로부터의 추론치에 따라서 반광절출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반광보정량에 대한 전회 반광빈의 총 반광량 비율로 반광보정비율을 산출하는 반광보정비율산출부와, 상기 반광보정비율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반광보정비율에 따라 코크스보정비율을 산출하는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ETURN FINE AND COKE RATIO USING PUZZY CONTROL}
본 발명은 소결공정에서 반광 절출량 및 코크스의 절출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반광빈의 레벨이 조업 조건상 목표레벨과 편차발생시 퍼지제어기를 이용한 반광절출보정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소결광 품지안정을 위해 회귀분석결과를 적용하여 코크스절출량을 동시에 보정하여 조업안정과 소결광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광을 제조하는 공정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저장호퍼(1∼4)로부터 제공되는 주원료인 철광석(Ore)과 부원료인 석회석, 규석 및 사문암과 연료로써 사용되는 코크스(coke)와 함께, 자체반광빈(5)로부터 공급되는 한번 소성과정을 거친 반광(return fine)은 이송벨트(160)에 실려 혼합기(7)로 공급되고, 혼합기(7)는 상기 원료들을 혼합하여 배합원료로서 장입호퍼(9)에 제공하고, 상기 배합원료는 상기 장입호퍼(9)로부터 소결기(10)로 공급되어 소성되어지고, 상기 소결기(10)로부터 배출되는 소결광은 파쇄기(11)에 의해 파쇄되고, 스크린(12,14)를 거쳐 최종적으로 5.0mm이상의 소결광만이 고로로 제공된다.
이때, 고로에 공급되기에 적합하지 않는 작은 입도를 갖는 반광은 스크린(14)에서 걸려져 반광빈(5)에 저장된 후, 소결원료로서 사용되지만, 일단 소성되어진 것이기 때문에, 주원료인 철과석과는 그 성상이 다르다. 따라서, 반광의 사용비율이 변동에 따라 배합원료의 성상이 달라지고 실수율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광비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광발생량은 사용원료조건 및 소성상태의 변동에 따라 단기적으로 변동되어 반광빈(5)내의 반광저장레벨은 변동이 심하다. 그러므로, 발생율이 변동하는 반광을 저장하는 반광빈(5)은 그 저장용량에 제한이 있고, 이러한 제한용량을 초과시키지 않으면서 연속적인 조업을 하기 위해서는, 역으로 반광절출량을 저장레벨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반광빈(5)의 저장레벨을 제한범위 이내로 제어하면서 코크스의 절출비율도 조절하여야 하다.
그런데, 종래의 자체반광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광리턴라인을 통하여 회수되어 반광빈(5)에 장입된 후, 반광빈(5)의 하부에 형성된 두 대의 절출기(22,23)에 의해서 절출되어 정량절출 제어에 의해 절출된 주원료, 부원료 및 열원인 코크스와 배합되어 배합원료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두 대의 반광절출기(22.23)의 절출량은 운전자가 수시로 반광빈(5)의 재고레벨을 감시하면서, 수동으로 조업패턴에 알맞게 설정하면, 설정된 절출량이 절출되도록, 제1,2반광절출기(22,23)의 전단에 설치된 로드셀(29)에 의해 검출된 원료의 단위무게에 펄스제너레이터(28)에 의해 검출된 이송속도를 연산부(36)에서 곱하여 원료절출총량을 계산하고, 제1,2반광절출기(22,23)의 후단에 설치된 로드셀(31)에 의해 검출된 배합원료단위무게와 펄스제너레이터(30)로부터 검출되는 이송속도를 연산부(37)에서 곱하여 배합원료의 총량을 계산하고, 다음의 연산부(38)에서 상기 연산부(36,37)로부터 입력된 배합원료총량에서 원료절출총량을 빼어 반광의 절출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1차반광제어부(40)에서 상기 연산부(38)에 의해 계산된 반광절출량과 원료의 비율을 비교분석하여, 반광절출량의 목표설정값을 출력하면,제1,2이차반광제어부(42,43)에서 각각 태코제너레이터(26,27)로부터 인가된 절출기모터의 속도값과 목표값을 비교분석한 출력값으로 사이리스터회로(46,47)를 제어하며, 이에 절출기모터(24,25)의 구동이 제어되면서, 절출량이 조정된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종래의 코크스 절출량 제어도 상기 반광절출제어와 마찬가지로, 운전자가 전체원료량 및 반광량을 입력하면, 반광비율기(64)에서 설정된 원료량 및 고로반광에 대한 코크스비율에 따라서 코크스목표절출량을 설정하고, 제1,2코크스절출제어기(62,63)에 각각 분리입력시킨다. 상기, 제1,2코크스절출제어부(62,63)는 각각 연산부(60,61)에서 구해진 제1,2코크스호퍼(3,4) 각각의 코크스 실제절출량을 목표값과 비교분석하여 사이리스터회로(65,66)을 제어하고, 이에, 모터(52,53)의 회전속도가 조정되면서, 코크스절출량이 조정된다.
그러나, 소결광의 연속생산시 불규칙적으로 달라지는 반광량에 따라 반광빈의 레벨변화가 심한데, 종래에는 항시 운전자가 반광빈의 재고상태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고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운전자가 재고상태에 따라서 수동으로 절출량을 조절하며, 반광량 조절시 그에 맞게 코크스의 절출량도 수동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반광량 변동이 심할 경우, 반광빈내의 재고를 예측하지 못하여 소결광의 품질이 악화되거나, 설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체반광빈의 레벨이 조업 조건상 목표레벨과 편차발생시 퍼지제어기를 이용한반광절출보정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소결광 품지안정을 위해 회귀분석결과를 적용하여 코크스절출량을 동시에 보정하여 조업안정과 소결광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소결공장의 공정흐름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2는 종래의 자체반광 절출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3는 종래의 코크스 절출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를 보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5a,b는 본 발명에 의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의 상세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압변환부 200 : 제1입력처리부
300 : 제2입력처리부 400 : 입력선택부
500 : 퍼지제어부 600 : 반광보정량산출부
700 : 반광보정비율산출부 800 :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
5 : 자체반광빈 3,4 : 제1,2코크스저장호퍼
21 : 반광레벨검출기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자체반광빈과 코크스저장호퍼로부터의 반광절출량 및 코크스절출량을 제어하는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체반광빈의 현재반광레벨이 레벨상한치를 넘어서는 경우, 레벨상한치에서 최대레벨까지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제1입력처리부와,
상기 자체반광빈의 현재 반광레벨이 레벨하한치를 넘어서는 경우, 레벨하한치에서 공빈레벨까지의 밴분율로 나타내는 제2입력처리부와,
상기 자체반광빈의 반광레벨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레벨상한치를 벗어나는 경우 제1입력처리부의 출력을 선택하고, 레벨하한치를 벗어나는 경우 제2입력처리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퍼지제어부에 입력변수로 출력하는 입력선택부와,
소결공정의 조업지식을 근간으로 작성된 제어규칙에 따라서 상기 입력선택부로부터 인가된 입력변수로부터 반광절출량을 증가/감소량을 결정하는 추론치를 생성하는 퍼지제어부와,
상기 퍼지제어부로부터의 추론치로부터 반광절출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반광보정량에 대한 전회 반광빈의 총 반광량 비율로 나누어 반광보정비율을 산출하는 반광보정비율산출부와,
반광절출량과 코크스절출량이 일정 비율을 유지하도록 상기 반광보정비율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반광보정비율에 따라 코크스보정비율을 산출하는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종래 구성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의 구성만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는 상기 자체반광빈(5)에 설치되어 반광량을 계측하는 반광레벨검출기(21)의 출력값을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평활화하는 전압변환부(100)와, 상기 전압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된 반광레벨 측정값을 레벨상한치에서 최대레벨까지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제1입력처리부(200)와, 상기 전압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된 반광저장레벨 측정값을 레벨하한치에서 공빈레벨까지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제2입력처리부(300)와, 상기 전압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반광저장레벨 측정값이 기준범위 이상이면 상기 상기 제1입력처리부(200)의 출력을 선택하고 기준범위 이하이면 상기 제2입력처리부(300)의 출력값을 선택하여 입력변수로 출력하는 입력선택부(400)와, 소결공정의 조업지식을 근간으로 작성된 제어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선택부(400)에서 출력된 입력변수로부터 반광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는 추론치를 생성하는 퍼지제어부(500)와, 상기 퍼지제어부(500)로부터 생성된 추론치를 조업지식에 의해 결정된 소정 수식에 대입하여 반광보정량을 산출하는 반광보정량산출부(600)와, 상기 반광보정량산출부(600)로부터 산출된 반광보정량과 전회 반광빈의 총량으로부터 반광비율의보정값을 산출하는 반광보정비율산출부(700)와, 상기 반광보정비율산출부(700)로부터 산출된 반광보정비율에 따라 소결광이 소정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코크스비율 보정값을 산출하는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8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광보정비율산출부(700)로부터 산출된 반광보정비율은 반광절출량제어장치의 반광비율을 설정하는 반광비율기(39)에 반광비율 보정값으로 인가되고, 상기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800)로부터 산출된 코크스보정비율은 코크스절출량제어장치의 코크스비율을 설정하는 코크스비율기(64)에 코크스비율 보정값으로 인가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로, 반광이 입조되는 반광빈(5)의 반광저장레벨은 반광레벨검출기(21)에 의해서 검출되고, 상기 반광빈(5) 레벨값은 전압변환부(100)에 의해서 소정범위의 전압신호로 변환되면서, 순간적인 헌팅(hunting)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평활화된다.
상기 평활화는( L(tau ) :현재레벨, L(t) :일정기간동안의 평균레벨,:샘플링주기, α:가중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평활화된 반광빈의 레벨은 퍼지제어부(500)의 입력변수로써 변환되는데, 현재 레벨이 제어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제어대상에 속하지 않으므로, 입력변수는 50%가 된다. 그리고, 상한 레벨을 초과했을 경우 현재레벨은 제1입력처리부(200)에 의해서 다음의 수학식1과 같이 레벨상한치에서 최대레벨까지에 대한 백분율로 변환된다.
그리고, 측정레벨이 레벨하한치 이하일 때는 상기 제2입력처리부(300)에서 공빈레벨을 고려하여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른 퍼지제어 입력변수로 변환된다.
그리고, 입력선택부(400)에 의해 상기 수학식1 또는 수학식2에 의해 변환된 입력변수가 퍼지제어부(500)에 입력되는데, 상기 측정된 반광저장레벨이 기준레벨(예를들어, 반광빈의 총보유가능레벨의 50%)보다 높을 때는 상기 제1입력처리부(200)로부터 출력된 입력변수가 퍼지제어부(500)에 입력되고, 상기 측정된 반광저장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낮을 때는 상기 제2입력처리부(300)로부터 출력된 입력변수가 퍼지제어부(500)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변수가 인가되면 제2단계로 퍼지제어부(500)에서 입력된 레벨로부터 조업경험에 의해 작성된 제어규칙에 의해 반광절출 보상량을 결정하기 위한 추론치를 생성한다. 즉, 50% 이상의 값이 입력되면 추론치는 반광절출량을 증가(+)방향으로, 반대의 경우에는 감소(-)방향으로 보정하도록 결정된다. 이때, 작성된 제어규칙에는 레벨의 증,감 경향도 포함되어 추론치에 영향을 준다.
그 다음 제3단계로는, 반광보정량산출부(600)에서 퍼지제어부(500)로부터 출력된 추론치를 반광보정량으로 환산하는데, 이는 다음의 수학식3에 의하여 환산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최대 반광 보정량이고, 반광빈 총 보유레벨의 1%에 대응하는 반광량을 기준으로 레벨리미트에 대한 최적제어범위인 ±6% 범위의 량으로서 적용시험결과를 분석하여 수식화한 것이다.
그 다음 제4단계는, 반광보정비율산출부(700)에서 상기 반광보정량산출부(600)에서 결정된 반광보정량을 반광비율 보상값으로 변환하는 것인데, 이는으로 계산되는 것으로, 상기 식은 원료배합비 계산시 적용되는 기본식이다.
그리고, 제5단계는,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800)에서 상기 반광보정비율산출부(700)로부터 출력되는 반광절출보상비율에 따라 소결광 품질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코크스의 절출보상비율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는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된다.
이 수식은 조업실적 데이터를 기준으로 회귀분석한 결과식을 제어 목적에 맞게 변환시킨 것으로, 조업 지식(know how)를 포함하며, 상기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Y : 코크스절출보상비율, X : 반광절출보상비율, α:코크스보정비율기준치/코크스보정을 위한 기준반광비율, β≒0 이다.)
이상과 같이 설정된 반광절출비율 보상값은 반광비율기(39)로 입력되고, 상기 반광비율기(39)는 입력된 반광절출보상비율을 보상하여 반광절출비율 설정값을 일차반광제어부(40)에 인가하고, 상기 일차반광제어부(40)는 연산된 반광의 실제절출량과 상기 설정된 반광절출비율을 비교하여 반광비율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반광비율은 비율분리기(41)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의 절출기(22,23)를 제어하는 제1,2이차반광제어부(44,45)로 인가되고, 상기 제1,2이차반광제어부(44,45)는 설정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제1,2절출기모터(24,25)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정된 코크스보상 비율은 코크스비율기(64)에 입력되고, 상기 코크스비율기(64)는 입력된 보상비율에 따라 보정된 코크스절출 비율을 설정하여 제1,2코크스절출제어부(62,63)에 분리입력하고, 상기 제1,2코크스절출제어부(62,63)는 각각 코크스절출량과 코크스절출 설정량을 비교분석하여 모터(52,53)를 제어함에 의해 반광량변동에 따라 코크스절출량을 보상조정한다.
이하,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업자는 조업조건상 요구되는 목표레벨, 레벨제어범위 및 공빈레벨을 입력하여, 자체반광빈(5)의 제어목표인 레벨상한치와 레벨하한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소결광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반광은 반광빈(5)에 입조되고, 이에따라 달라지는 반광빈(5)의 레벨은 반광레벨검출기(21)에 의해 측정되고, 전압변환부(100)에 의해 소정의 평활화된 전압신호로 변환된 후, 제1,2입력처리부(200,300)에 의해 퍼지제어부(500)의 입력변수로 변환된다.
상기 제1입력처리부(200)는 감산기(210)로 반광빈(5)의 총보유가능량, 즉 레벨 100%값에서 레벨상한치를 감산하고, 감산기(220)로 반광빈(5)에 설치된 반광레벨검출기(21)에 의해 측정된 현재 저장레벨측정값에서, 레벨상한치를 뺀 후, 승산기(230)로 50[%]을 곱하여 출력하고, 제산기(240)에 의해 상기 승산기(230)의 출력값을 상기 감산기(210)의 출력값으로 나눈다. 그리고, 가산기(250)로 상기 제산기(240)의 출력값에 50[%]를 더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입력처리부(300)는 감산기(310)로 레벨하한치에서 반광빈(5)내의 반광부착량을 나타내는 공빈레벨만큼 감산하고, 감산기(320)로 레벨하한치에서 상기 반광레벨검출기(21)에 의해 측정된 실제 반광레벨을 감산하고, 승산기(330)로 상기 감산기(320)의 출력에 50[%]를 곱하고, 제산기(340)에 의해 상기 승산기(330)의 출력값을 상기 감산기(310)의 출력값으로 나누어 그 몫을 출력한다. 그리고, 감산기(350)에 의해 50[%]에서 상기 제산기(340)에서 산출된 몫을 감산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입력선택부(400)는 상기 제1입력처리부(200)와 제2입력처리부(300)중 하나의 출력값을 선택하여 퍼지제어부(500)로 출력한다. 상기 선택제어는 비교기(410)에 의해 레벨선택 설정값과 상기 반광레벨검출기(21)에 의해 측정된 반광레벨을 비교하여, 선택스위치(420)가 측정레벨이 설정레벨보다 높을 때는 상기 제1입력처리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변수를 퍼지제어부(500)로 출력하고, 측정레벨이 설정레벨보다 낮을 때는 상기 제2입력처리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변수가 퍼지제어부(500)로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퍼지제어부(500)는 조업지식을 근간으로 작성된 제어규칙에 의해 반광보정량을 결정할수 있는 추론치를 생성한다.
그리고, 반광보정량산출부(600)는 상기 수학식3에 상기 퍼지제어부(500)로부터 출력된 추론치를 대입하여 반광보정량을 산출한다. 즉, 감산기(610)로 50[%]에서 추론치를 감산하고, 제산기(620)로 반광보정량의 최대값을 50[%]로 나누어 1[%]당 반광보정량을 계산하고, 승산기(630)로 상기 감산기(610)의 출력과 상기 제산기(630)의 출력을 곱하여, 반광보정량으로 출력한다.
상기 반광보정량산출부(600)에서 산출된 반광보정량은 반광비율산출부(700)로 입력되어, 전회 반광빈의 총량에 대한 반광보정량의 비율로서 출력된다.
이렇게 상기 반광비율산출부(700)로부터 출력되는 반광비율 보정값은 자체반광의 제1,2절출기(22,23)의 절출량을 제어하는 일차반광절출제어부(40)로 인가됨과 동시에,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800)로 인가된다.
상기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800)는 입력된 반광보정비율값에 따라서 상기 수학식 4와 같이 코크스보정비율 설정치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승산기(810)로 상기 반광보정비율과 코크스보정비율기준치를 곱하고, 상기 승산기(810)의 출력값을 코크스보정을 위한 기준반광비율로 나누어 코크스비율 보정값으로서 제1,2코크스절출기(48,49)의 절출량을 제어하는 제1,2코크스절출제어부(62,63)에 인가한다.
상기 반광비율 보정값을 인가받은 일차반광절출제어부(40)와 코크스비율 보정값을 인가받은 제1,2코크스절출제어부(62,63)는 입력된 비율 보정값에 따라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제1,2반광절출기(22,23) 또는 제1,2코크스절출기(48,49)의 절출량을 제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광 및 코크스 비율 제어장치를 적용하면, 소결공정에서, 반광 발생량이 변동하더라도 적절하게 자체반광빔의 반광저장량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반광절출량의 변동에 따라 코크스의 절출비율을 자동조정함에 의해 소결광의 품질을 좋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더하여, 운전자가 관리할 필요없이 반광절출량 및 코크스절출량이 자동조절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안정조업을 유지하며 균일한 품질의 소결광이 생산되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높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체반광빈과 코크스저장호퍼로부터의 반광절출량 및 코크스절출량을 제어하는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체반광빈의 현재반광레벨이 레벨상한치를 넘어서는 경우, 레벨상한치에서 최대레벨까지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제1입력처리부와,
    상기 자체반광빈의 현재 반광레벨이 레벨하한치를 넘어서는 경우, 레벨하한치에서 공빈레벨까지의 밴분율로 나타내는 제2입력처리부와,
    상기 자체반광빈의 반광레벨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레벨상한치를 벗어나는 경우 제1입력처리부의 출력을 선택하고, 레벨하한치를 벗어나는 경우 제2입력처리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퍼지제어부에 입력변수로 출력하는 입력선택부와,
    소결공정의 조업지식을 근간으로 작성된 제어규칙에 따라서 상기 입력선택부로부터 인가된 입력변수로부터 반광절출량을 증가/감소량을 결정하는 추론치를 생성하는 퍼지제어부와,
    상기 퍼지제어부로부터의 추론치로부터 반광절출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반광보정량에 대한 전회 반광빈의 총 반광량 비율로 나누어 반광보정비율을 산출하는 반광보정비율산출부와,
    반광절출량과 코크스절출량이 일정 비율을 유지하도록 상기 반광보정비율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반광보정비율에 따라 코크스보정비율을 산출하는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 비율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처리부는 다음 식에 의해 측정레벨을 변환하고,
    ,
    상기 제2입력처리부는 다음 식에 의하여 측정값을 입력변수로 변환하고,
    ,
    상기 반광보정비율산출부는 하기 식
    에 의해, 반광보정량을 산출한 후, 산출된 반광보정량에 대한 전회 반광총량의 비율로 반광보정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코크스보정비율산출부는 식에 의해 코크스보정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 비율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제어장치는
    자체반광빈의 반광레벨을 계측하는 반광레벨검출기와,
    상기 반광레벨검출기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평활화하는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제어를 이용한 반광 및 코크스비율제어장치.
KR10-1998-0052141A 1998-12-01 1998-12-01 퍼지제어를이용한반광및코크스비율제어장치 KR10039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141A KR100395102B1 (ko) 1998-12-01 1998-12-01 퍼지제어를이용한반광및코크스비율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141A KR100395102B1 (ko) 1998-12-01 1998-12-01 퍼지제어를이용한반광및코크스비율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533A KR20000037533A (ko) 2000-07-05
KR100395102B1 true KR100395102B1 (ko) 2003-10-17

Family

ID=1956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141A KR100395102B1 (ko) 1998-12-01 1998-12-01 퍼지제어를이용한반광및코크스비율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753A (ko) * 2002-11-28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반광 발생량 측정 시스템
KR101038862B1 (ko) * 2003-10-21 2011-06-02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공정에서의 자체반광 절출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753A (ko) * 2002-11-28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반광 발생량 측정 시스템
KR101038862B1 (ko) * 2003-10-21 2011-06-02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공정에서의 자체반광 절출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533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945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oller mill
CN113844864B (zh) 振动给料控制系统、方法、色选机、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3314614A (en) Analog computer grinding control
CN113359465B (zh) 一种烧结配料成分智能控制的系统及方法
US603310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ixing of raw materials for cement
KR100395102B1 (ko) 퍼지제어를이용한반광및코크스비율제어장치
CN111301764B (zh) 一种配方烟各组份均匀掺配的方法
EP0488318B1 (en) Control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terial charging at top of blast furnace
US3697003A (en) Grinding mill method and apparatus
KR100896626B1 (ko) 코크스 오븐 호퍼의 레벨을 이용한 정량 절출 제어장치
KR100370573B1 (ko) 정량불출기의 불출량 조정장치
KR200285935Y1 (ko) 코크스 파쇄기의 공급량 제어장치
US11384986B2 (en) Open arc condition mitigation based on measurement
JP2608968B2 (ja) 副原料の切り出し量制御方法
KR100905624B1 (ko) 소결 열원용 원료 정량절출 제어장치
US4931212A (en) Process for continuous regulation of the power with which pastes intended for the fabrication of carbonaceous agglomerates are mixed
SU1389847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процессом измельчени материалов в мельнице
KR101027279B1 (ko) 소결공정에 있어서의 상부광 레벨 제어 장치
JPH06158125A (ja) 原料切出し秤量制御方法
KR20020048205A (ko) 소결기 장입원료의 밀도 관리 장치
CN113564288B (zh) 一种高炉槽下振筛控制方法
RU2066757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одачи угольных комбайн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SU1011261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многостадийным процессом дроблени
KR960013918B1 (ko) 롤러밀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20030038922A (ko) 고로설비의 장입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