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031B1 -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031B1
KR100394031B1 KR10-2001-0034001A KR20010034001A KR100394031B1 KR 100394031 B1 KR100394031 B1 KR 100394031B1 KR 20010034001 A KR20010034001 A KR 20010034001A KR 100394031 B1 KR100394031 B1 KR 100394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witchboard
field relaxation
bracket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792A (ko
Inventor
김봉옥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0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완화 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반의 각 접점부에 설치되어 발생된 전계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배전반이 요구하는 상간 및 대지간의 절연거리를 대폭 단축하고, 이로 인해 배전반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된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환형의 본체(7)와, 상기 본체의 안쪽면에 설치된 ㄱ자 형태의 부스바(6)와, 터미널(2) 또는 케이블(3)의 부스바(3a)를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부스바(6)에 연통 형성된 한쌍의 볼트조립공(5a)(5b)과, 상기 본체(7)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반환형의 도어(8)와, 상기 본체(7) 및 도어(8)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잠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electric-field distributor for switchgear}
본 발명은 전계완화 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배전반 의 각 접점부에 설치되어 절연거리를 대폭 단축시킴으로써 배전반의 크기를 소형화하도록 된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기기나 회로를 감시 제어하기 위한 계기류, 계전기류, 계패기류 등을 1개소에 집중해서 설치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전기 계통뿐만 아니라 기계 계통까지도 포함하여, 예로서 빌딩의 전기설비, 기계설비의 감시, 제어 보호 등을 행할 수 있는 총괄 감시 제어반의 기능을 갖추도록 설계되기도 한다.
이러한 배전반 내에는 수, 변전설비의 인입구 개폐기로 전력 퓨즈 용단시 결상을 방지하고 자체 점검 및 보수에 용이하도록 통상 부하개폐기(LBS; Load Break Switch)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배전반 중 보편적으로 채택되는 기중절연 배전반의 경우를 예로 들면, 공기 중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간 및 대지간 절연거리를 충분히 이격시켜야 했으므로 전체 배전반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배전반이 차지하는 점유면적도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배전반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동일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하는 데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 여기서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기중절연 배전반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기중절연 배전반 내에 설치된 기중 부하개폐기(1)는 터미널(2)에 케이블(3)의 부스바(3a)를 취부시 절연거리를 대략 275mm정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로 조립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기중절연 배전반의 방식은 그 특성상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함이 절대적이었으므로 이를 포함한 배전반의 크기가 대형화됨이 불가피하고, 그에 따라 배전반이 차지하는 점유면적도 그만큼 커지게 되므로 상기 이유로 인해 건물 신축시에는 건축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므로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배전반의 각 접점부에 설치되어 발생된 전계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배전반이 요구하는 상간 및 대지간의 절연거리를 대폭 단축하고, 이로 인해 배전반의 크기를 소형화시키는 데 기여하도록 우수한 절연내력을 갖는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중절연 배전반에 케이블이 취부된 형상을 간략하게 보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퓨즈 1차측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퓨즈 2차측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전반에 전계완화 금구가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전반에 전계완화 금구가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볼트조립공 6 : 부스바
7 : 본체 8 : 도어
9 : 볼파지홈 10: 볼플런저
14: 퓨즈홀더 16: 가이드
18 : 가스 부하개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환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쪽면에 설치된 ㄱ자 형태의 부스바와, 터미널 또는 케이블을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부스바에 연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조립공과, 상기 본체의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반환형의 도어와, 상기 본체 및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잠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퓨즈 1차측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퓨즈 2차측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전반에 전계완화 금구가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보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전반에 전계완화 금구가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완화 금구의 요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용 전계완화 금구(4)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반환형의 본체(7) 안쪽면에는 ㄱ자 형태의 부스바(6)가 설치되고, 상기 부스바에는 부하개폐기 및 케이블을 볼트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볼트조립공(5a)(5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7)의 일단에는 반환형의 도어(8)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됨과 함께 상기 본체(7) 및 도어(8)의 힌지결합부 반대편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잠금수단이 설치되는데, 상기 잠금수단은 본체(7)의 일단에 ㄷ자 형태로 요설된 볼파지홈(9)과, 도어(8)의 힌지결합부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8)가 회동시 상기 볼파지홈(9)에 선택적으로 삽탈가능하도록 된 볼플런저(1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퓨즈 고정용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퓨즈의 1차측 단자를 고정하는 퓨즈 1차측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퓨즈의 2차측 단자를 고정하는 퓨즈 2차측 전계완화 금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퓨즈 1차측 전계완화 금구(11)는 앞서 설명한 케이블 고정용 전계완화 금구의 구성과 유사하여 부스바(6)에는 하나의 볼트조립공(5c)만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부스바(6)의 하방에는 퓨즈(12)의 1차측 단자(13)를 탄력적으로 삽탈할 수 있도록 퓨즈홀더(14)가 더 설치된 구조이다.
한편, 퓨즈 2차측 전계완화 금구(15)는 본체(7)의 안쪽면 상부에 2차측 단자(16)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퓨즈홀더(14)가 설치됨과 함께 그 하방에는 퓨즈홀더(14)에 끼워진 퓨즈(12)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17)가 일체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의 상부에는 케이블(3)의 부스바(3a)를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볼트조립공(5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기에 앞서,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소형 배전반의 설비에 유리한 가스 부하개폐기가 설치된 배전반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금구를 상기 가스 부하개폐기(가스 LBS)(17)에 설치하는 과정을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상기 가스 부하개폐기의 터미널(19)에 케이블 고정용 전계완화 금구(4)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계완화 금구(4)의 도어(8)를 열어 부스바(6)의 상부 볼트조립공(5a)을 통해 가스 부하개폐기(18)의 터미널을 볼트결합하고, 이와 함께 부스바(6)의 하부 볼트조립공(5b)에는 케이블(3)의 부스바(3a)를 볼트결합한 후 도어(8)를 닫으면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퓨즈(12)가 구비된 가스 부하개폐기의 경우, 상기 퓨즈(12)의 1, 2차측 단자(13)(16)에 각각 퓨즈 1차측 전계완화 금구(11) 및 퓨즈 2차측 전계완화 금구(15)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퓨즈 1차측 전계완화 금구(11)를 설치할 때에는 먼저, 퓨즈 1차측 전계완화 금구(11)의 도어(8)를 열어 가스 부하개폐기(18)의 터미널에 부스바(6)의 볼트조립공(5c)을 볼트결합한 뒤, 그 하방의 퓨즈홀더(14)에는 퓨즈(12)의 1차측 단자(13)를 끼워 결합하면 된다.
한편, 퓨즈 2차측 전계완화 금구(15)의 퓨즈홀더(14)에는 퓨즈(12)의 2차측 단자(16)를 끼워 결합함과 함께 가이드(17)의 볼트조립공(5d)에는 케이블(3)의 부스바(3a)를 볼트결합하면 된다.
여기서, 특히 상기 가이드(17)는 퓨즈홀더(14)에 끼워진 퓨즈(12)가 중력방향으로 미끄러져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계완화 금구는 도어가 본체로부터 개폐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되므로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반환형의 본체 및 도어가 하나의 완전한 환형을 이루도록 되고, 필요시에는 상기 도어를 간편히 개방하여 케이블이나 퓨즈의 설치 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금구가 설치되지 아니한 종래 배전반의 경우에는 상간 및 대지간의 절연거리를 275㎜정도로 유지하여야만 했으나, 본 발명의 전계완화 금구를 설치할 때에는 대략 210㎜의 절연거리만 확보해도 동일한 절연내력을 갖게 되므로 배전반의 크기 및 상기 배전반을 설치하기 위한 점유면적을 대폭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실험에 의해 금구 설치전과 금구 설치후의 금구주위의 생성된 전계를 대비하여 볼 때, 금구 주위에 생성된 전계가 완만하게 변화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전계완화 금구에 의해 퓨즈홀더, 부스바, 케이블 따위의 날카로운 도전부에서 발생된 전계가 곡면형상의 이상적인 평등전계로 변화된 사실을 입증한다.
본 발명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는 설치시 종래 배전반의 구성과 대비하여 동일한 절연내력을 가지면서도 상간 및 대지간의 절연거리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이에 따라 배전반 자체의 크기 및 상기 배전반이 차지하는 점유면적을 크게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전반 내 케이블의 설치 및 보수작업이 편리해지고, 배전반 설비에 따른 공사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2)

  1. 반환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쪽면에 설치된 ㄱ자 형태의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에 형성되어 터미널 또는 케이블의 부스바를 통전가능한 상태로 각각 볼트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볼트조립공과, 상기 본체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반환형의 도어와, 상기 본체 및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잠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볼파지홈과, 상기 볼파지홈에 삽탈되도록 도어 일측에 설치된 볼플런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KR10-2001-0034001A 2001-06-15 2001-06-15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KR100394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001A KR100394031B1 (ko) 2001-06-15 2001-06-15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001A KR100394031B1 (ko) 2001-06-15 2001-06-15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792A KR20020095792A (ko) 2002-12-28
KR100394031B1 true KR100394031B1 (ko) 2003-08-09

Family

ID=2770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001A KR100394031B1 (ko) 2001-06-15 2001-06-15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63B1 (ko) * 2002-03-22 2004-09-01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모선 전계완화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226A (en) * 1981-08-10 1983-10-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Junction box and connector arrangement
US4846738A (en) * 1988-07-25 1989-07-11 Cooper Industries, Inc. Fuseholder contact for Class CC rejection fuses
KR910012023U (ko) * 1989-12-27 1991-07-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븐 도어의 개폐장치
KR940004428Y1 (ko) * 1991-10-18 1994-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모콘 제어기기의 온도제어회로
KR960002981U (ko) * 1994-06-30 1996-01-22 주식회사 진광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차단부구조
KR19980034677A (ko) * 1996-11-08 1998-08-05 이종수 분전반 주개폐기 및 분기개폐기의 부스바 절연장치
JPH1167303A (ja) * 1997-06-30 1999-03-09 Whitaker Corp:The パネル取付型端子ブロック
US6030257A (en) * 1997-03-11 2000-02-29 Yazaki Corporation Fuse hold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226A (en) * 1981-08-10 1983-10-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Junction box and connector arrangement
US4846738A (en) * 1988-07-25 1989-07-11 Cooper Industries, Inc. Fuseholder contact for Class CC rejection fuses
KR910012023U (ko) * 1989-12-27 1991-07-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븐 도어의 개폐장치
KR940004428Y1 (ko) * 1991-10-18 1994-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모콘 제어기기의 온도제어회로
KR960002981U (ko) * 1994-06-30 1996-01-22 주식회사 진광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차단부구조
KR19980034677A (ko) * 1996-11-08 1998-08-05 이종수 분전반 주개폐기 및 분기개폐기의 부스바 절연장치
US6030257A (en) * 1997-03-11 2000-02-29 Yazaki Corporation Fuse holder
JPH1167303A (ja) * 1997-06-30 1999-03-09 Whitaker Corp:The パネル取付型端子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792A (ko) 200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1761B2 (en) Switch and disconnector apparatus for electric substations
EP2560177B1 (en) Solid insulated switchgear
KR20070008571A (ko) 캡슐화된 가스-절연식 개폐기 조립체
CA2147085A1 (en) Metal-enclosed gas-filled switchgear units
KR20080047556A (ko) 중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용 절연 바디
EP1226596B1 (en) Compact-structure three-pole apparatus for electric stations
US3983460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fuse assembly
KR100394031B1 (ko)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KR100715627B1 (ko)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CN110945613B (zh) 用于气体绝缘开关设备的隔离开关极
CN1205633C (zh) 配电网络用sf6-气体绝缘开关设备
KR950034950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0235038Y1 (ko) 전력선용 접지기구
KR200484888Y1 (ko) 진공전자접촉기의 퓨즈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
CN216085945U (zh) 环网柜的柜体和环网柜
KR19990017918U (ko) 가스절연부하 개폐기의 파워휴즈장치
KR200268194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의 고정접촉자 고정 장치
KR19980071321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EP1226640B1 (en) Line circuit-breaker device with side control
EP3716422A1 (en) Gas-insulated switchgear for electric distribution networks
KR200207988Y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직선 접지 개폐기 유니트와 부싱유니트의 일체화 구조
JP3237225B2 (ja) タンク形ガス遮断器
KR200491171Y1 (ko) 전계완화 실드
JP3393509B2 (ja) 主回路開閉装置
JPH0471305A (ja) 複合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