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766B1 - 티브이의텔레텍스트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티브이의텔레텍스트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766B1
KR100393766B1 KR1019960039084A KR19960039084A KR100393766B1 KR 100393766 B1 KR100393766 B1 KR 100393766B1 KR 1019960039084 A KR1019960039084 A KR 1019960039084A KR 19960039084 A KR19960039084 A KR 19960039084A KR 100393766 B1 KR100393766 B1 KR 10039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reen
teletext
display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574A (ko
Inventor
문성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7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텍스트 표시 영역 및 추출할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설정하면 부분적으로 추출한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표시 라인 번호 또는 박스 비트등과 같은 페이지 속성을 변환하여 해당 설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표시 영역 및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창안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총 라인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화면상에 데이타가 표시되는 시작 위치를 입력하여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와,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화면의 지정 영역에 해당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중에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변경하면 상기에서 지정된 영역에 새로운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중에 총 라인수 또는 화면상에 데이타가 표시되는 시작 위치를 변경하면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
본 발명은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부분적으로 표시하여 티브이 영상과 텔레텍스트 문자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텔레텍스트 디코더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영상 신호(CVBS)를 디지탈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1)와,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1)의 디지탈 출력 신호에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분리하는 데이타 슬라이서(102)와,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저장하는 디램(105)과, 텔레텍스트 표시 모드 및 특정 페이지 변호를 제1 프로세서(111)에 입력시키는 키 입력부(112)와, 내부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데이타 슬라이서(102)에서 추출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디램(105)에 저장하고 버스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상기 제1 프로세서(111)와 데이타 송수신을 수행하여 텔레텍스트 모드의 설정을 판단하면 상기 디램(105)에서 원하는 페이지 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제2 프로세서(104)와, 문자의 폰트 데이타를 저장하는 캐릭터 롬(107)과, 상기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104)의 출력 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캐릭터 롬(107)의 폰트 데이타에 의거 해당 문자 데이타로 변환하는 문자 생성기(106)와 이 문자 생성기(106)의 출력 문자 데이타를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108)와, 이 디스플레이 메모리(108)의 출력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09)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일반적인 디코더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 영상 신호(CVBS)가 입력되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1)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되면 데이타 슬라이서(102)는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추출하여 내부 인터페이스(103)을 통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104)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프로세서(104)는 내부 인터페이스(103)을 통해 전송된 텔레텍스트스트 데이타를 디램(105)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키 입력부(112)에서 텔레텍스트 표시 모드가 설정되고 아울러 특정 페이지 번호가 지정되면 제1 프로세서(111)는 버스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제2프로세서(104)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프로세서(104)가 디램(105)에 저장된 페이지 데이타중 해당 페이지 데이타를 읽어 문자 생성기(106)에 출력하면 상기 문자 생성기(106)는 캐릭터 롬(107)에 저장된 폰트 데이타에 의거 해당 문자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문자 생성기(106)에서 생성된 문자 데이타는 디스플레이 메모리(108)에 저장되어진다.
이에 따라,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될 때 해당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메모리(108)에 저장된 텔레텍스트 데이타가 출력되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09)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면 복합 영상 신호와 혼합되어 화면상에 문자가 표시되어진다.
상기에서 텔레텍스트 데이타중 한 라인에 대한 데이타 포맷은 제2도와 같은데, CRI(= Clock Run-In)는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비트 동기를 맞추기 위한 비트이고, FC(= Framing Code)는 바이트 동기와 텔레텍스트 데이타임을 표시하기 위한 비트이다.
이러한 포멧의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디램(105)에 저장하는 경우 메거진(magizine)과 패킷 번호를 구별하여 페이지 단위로 제공하게 되며, 하나의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헤더 라인(X/O)을 포함하여 총 25 라인이 필요하다.
여기서, 메거진은 0∼7까지의 값으로 각 페이지의 '100'자리를 의미하며, 페킷 번호는 화면에 표시될 라인 번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1 싸이클 시간이 지나고 같은 위치에 데이타가 반복되어도 별도의 새로운 메모리 위치에 저장되지 않고 이전의 데이타 위치에 업데이트시킨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되는 라인 위치는 실제 메모리 영역의 라인 위치와 동일하며, 텔레텍스트를 표시할 때의 페이지 속성은 전적으로 전송되는 텔레텍스트 데이타에 의존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텔레텍스트 화면이 표시되면 일반 티브이 화면을 볼수 없어 방송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텔레텍스트 표시 영역 및 추출할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설정하면 부분적으로 추출한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표시 라인 번호 또는 박스 비트등과 같은 페이지 속성을 변환하여 해당 설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표시 영역 및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창안한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며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총 라인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화면상에 데이타가 표시되는 시작 위치를 입력하여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와,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화면의 지정 영역에 해당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중에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변경하면 상기에서 지정된 영역에 새로운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중에 총 라인수 또는 화면상에 데이타가 표시되는 시작 위치를 변경하면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면에 표시할 총 라인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와, 데이타의 라인 시작 위치부터 총 라인수를 합한 번호까지를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여 그 해당 번호의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중에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변경하면 해당 라인 번호와 동일한 영역을 표시 영역으로 하여 해당 라인 번호의 데이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총 라인수를 변경하면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텔레텍스트 디코더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도와 같은 종래의 블럭도에서 제2 프로세서(204)와 디스플레이 메모리(208) 사이에 포멧 변환부(213)를 부가하여 구성한다.
상기 포멧 변환부(213)는 제2프로세서(204)가 디램(205)에서 읽어 들인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라인 번호 또는 박스 비트를 화면의 표시 영역의 라인 번호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텔레텍스트 모드를 설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상태는 제4도의 예시도와 같다.
제4도(가)는 부분 텔레텍스트 표시 영역이 화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경우이고, 제4도(나)는 부분 텔레텍스트 표시 영역이 화면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로서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4도(다)는 노말 텔레텍스트 표시 모드로서 기존과 같이 화면에 모든 라인을 표시하는 경우이다.
즉 제4도와 같은 텔레텍스트 표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송 라인 번호의 변경 여부에 따라 2가지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하나의 모드는 전송 라인 번호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로서 박스 비트를 조정하여 표시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의 모드는 박스 비트가 고정된 경우로써 전송 라인 번호를 변경하여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먼저, 제3도에서 설명하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1)에서 복합 영상 신호(CVBS)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면 데이타 슬라이서(202)는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추출하여 내부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04)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204)는 내부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전송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디램(205)에 저장하게 된다.
이 후, 사용자는 텔레텍스트 표시를 원할 경우 키 입력부(212)에서 해당 표시 모드를 설정함과 아울러 특정 페이지 번호를 지정하고, 해당 표시 모드에 따른 표시 영역의 크기 및 표시 라인의 시작 번호등을 입력시키게 된다.
이때 키 입력부(212)의 출력을 점검하여 텔레텍스트 표시를 판단한 제1 프로세서(211)는 해당 설정 데이타를 버스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제2 프로세서(204)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204)는 디램(205)에 저장된 데이타중 키 입력부(212)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 데이타를 읽어 포멧 변환부(213)에 출력하는데, 상기 포멧 변환부(213)는 사용자가 부분 표시 모드를 설정한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서(204)에서 출력된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표시 라인 번호 또는 박스 비트를 변환하여 문자 생성기(206)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부분 표시 모드가 아닌 기존과 같은 노말 표시 모드를 설정한 경우 포멧 변환부(213)는 제2 프로세서(204)의 출력 데이타를 그대로 문자 생성기(206)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문자 생성기(206)는 포멧 변환부(213)에서의 입력 데이타를 캐릭터 롬(207)에 저장된 폰트 데이타에 의거 해당 문자 데이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될 때 해당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된 텔레텍스트 데이타가 출력되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09)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면 복합 영상 신호와 혼합되어 화면상에 문자가 표시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제5도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실시예로서 전송 라인 번호를 변경하는 경우는 별도의 박스 비트를 콘트롤할 필요가 없고 실제 메모리된 위치 데이타를 변경하게 된다.
즉, 텍스트 표시 부분은 고정되고 텔레텍스트 라인에 대한 번호만을 변경함으로써 스크롤(scroll) 업/다운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모드는 제5도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212)에서 화면상에 표시될 층 라인수를 입력하면 제1 프로세서(211)는 총 라인수가 "25"인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총 라인수가 "25"가 아니라면 제1 프로세서(211)는 부분 표시 모드의 설정과 화면상에 표시할 총 라인수를 제2 프로세서(204)에 알리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키 입력부(212)로 화면상의 표시 영역의 라인 시작 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제1 프로세서(211)에서 전송받은 제2 프로세서(204)는 영역의 라인 시작 번호에 총 라인수를 합한 후 "1"을 감산하여 영역의 라인 종료 번호를 산출하게된다.
여기서, 표시 영역의 라인 시작 번호는 "0"부터 (24 - 총 라인수 + 1)까지이다.
이 후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키 입력부(212)를 통해 입력하면 제1 프로세서(211)가 이를 제2 프로세서(204)에 알리게 된다.
여기서, 화면상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는 0~24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204)는 라인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한 후 디램(205)에서 시작 라인 번호와 라인 카운터의 값을 합한 값에 해당하는 라인의 데이타를 읽어 포멧 변환부(213)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포멧 변환부(213)는 제2 프로세서(204)가 디램(205)에서 읽어 전송한 데이타의 라인 번호를 사용가가 키 입력부(212)로 입력시킨 화면상에 표시할 시작 위치 번호로 변환하여 문자 생성키(206)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자 생성기(206)는 포멧 변환부(213)에서 전송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캐릭터 롬(207)에 저장된 폰트 데이타에 의거 해당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된 데이타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09)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화면상에 표시되어진다.
이 후, 제2 프로세서(204)는 라인 카운터를 "1" 증가시킨 후 라인 카운터의 값이 총 라인수와 같은지 비교하게 된다.
이때, 라인 카운터의 값과 총 라인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2 프로세서(204)는 시작 라인 번호와 현재의 라인 카운터의 값에 해당하는 번호의 데이타를 디램(205)에서 읽어 포멧 변환부(213)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멧 변환부(213)는 제2 프로세서(204)가 디램(205)에서 읽어 전송한 데이타의 라인 번호를 사용가가 키 입력부(212)로 입력시킨 화면상에 표시할 시작 위치 번호에 라인 카운터의 값을 합한 값의 번호로 변환하여 문자생성기(206)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문자 생성기(206)는 포멧 변환부(213)에서 전송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캐릭터 롬(207)에 저장된 폰트 데이타에 의거 해당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된 데이타는 디지탈/아날르그 변환기(209)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화면상에 표시되어진다.
이 후, 제2 프로세서(204)는 라인 카운터를 "1" 증가시킨 후 라인 카운터의 값이 총 라인수와 같은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현재 화면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키 입력부(212)에서 시작 라인의 번호를 변경하면 제1 프로세서(211)에서 이를 전송받은 제2 프로세서(204)는 디램(205)에서 해당 시작 라인 번호의 데이타를 읽어 포멧 변환부(213)부터 시작 라인 번호에 총 라인수를 합한 번호의 데이타까지를 포멧 변환부(213)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면상에는 이전에 표시된 데이타와는 다른 텔레텍스트 데이타가 표시되어진다.
이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역은 고정된 상태에서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번호만을 변경함으로써 스크롤 업/다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상의 표시 영역의 라인 시작 번호를 변경하면 이를 제1 프로세서(211)에서 전송받은 제2 프로세서(204)는 현재의 표시 영역의 라인 시작번호에 총 라인수를 합하여 ""을 감산함으로써 화면상의 표시 영역을 재설정하게 된다.
이 후, 제2 프로세서(204)가 디램(205)에서 라인 시작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타부터 총 라인수만큼 순차적으로 읽어 전송함에 따라 포멧 변환부(213)는 해당 데이타의 라인 번호를 화면상의 표시 영역의 라인 번호로 변환하여 문자 생성기(206)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전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텔레텍스트 데이타가 현재의 변경된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진다.
이는 텔레텍스트 데이타는 변경없이 화면상의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로, 상기와 같은 동작은 총 라인수를 "3", 라인 시작 번호를 "5"로 설정한 경우 제6도(가)와 같이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게 되며, 이때 라인 시작 번호를 "6"으로 설정하면 표시 영역을 고정한 상태에서 제6도(나)와 같이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로서 전송 라인 번호를 변경하는 경우는 기존의 혼합 모드와 유사하며 단지 화면상에 표시될 총 라인수만큼의 박스 비트 콘트롤을 추가하고 다음 라인을 보기 위해서는 커서를 업/다운함에 의해 실제 티브이 화면상의 텍스트 부분 영역이 업/다운된다.
이러한 모드는 제7도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212)에서 화면상에 표시될 총 라인수를 입력하면 제1 프로세서(211)는 총 라인수가 "25"인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총 라인수가 "25"가 아니라면 제1 프로세서(211)는 부분 표시 모드의 설정과 화면상에 표시할 총 라인수를 제2 프로세서(204)에 알리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키 입력부(212)를 통해 입력하면 제1 프로세서(211)가 이를 제2 프로세서(204)에 알리게 된다.
여기서, 화면상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는 0∼24증 하나이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204)는 라인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한 후 디램(205)에서 시작 라인 번호와 라인 카운터의 값을 합한 값에 해당하는 라인의 데이타를 읽어 포멧 변환부(213)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포멧 변환부(213)는 제2 프로세서(204)가 디램(205)에서 읽어 전송한 데이타를 문자 생성기(206)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자 생성기(206)는 포멧 변환부(213)에서 전송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캐릭터 롬(207)에 저장된 폰트 데이타에 의거 해당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된 데이타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09)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화면상에 표시되어진다.
이 후, 제2 프로세서(204)는 라인 카운터를 "1" 증가시킨 후 라인 카운터의 값이 총 라인수와 같은지 비교하게 된다.
이때, 라인 카운터의 값과 총 라인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2 프로세서(204)는 시작 라인 번호와 현재의 라인 카운터의 값에 해당하는 번호의 데이타를 디램(205)에서 읽어 포멧 변환부(213)를 통해 문자 생성기(206)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자 생성기(206)는 포멧 변환부(213)에서 전송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캐릭터 롬(207)에 저장된 폰트 데이타에 의거 해당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된 데이타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09)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화면상에 표시되어진다.
이 후, 제2 프로세서(204)는 라인 카운터를 "1" 증가시킨 후 라인 카운터의 값이 총 라인수와 같은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현재 화면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키 입력부(212)에서 커서 업/다운 키 예를 들어 다운키를 누르면 제2 프로세서(204)는 현재 표시된 데이타의 다음 라인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타부터 총라인수만큼의 데이타까지를 순차적으로 읽어 포멧 변환부(213)를 통해 문자 생성기(206)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자 생성기(206)가 제2 프로세서(204)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텔레텍스트 데이트를 캐릭터 롬(207)에 저장된 폰트 데이타에 의거하여 해당 문자로 변환한 후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208)에 저장된 데이타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09)에서 순차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어진다.
예로, 총 라인수를 "3"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11"로 입력한 경우 화면에는 제8도(가)와 같이 텔레텍스트 데이타가 표시되며, 이때 사용자가 커서 다운키를 한번 누르면 제8도(나)와 같이 표시되어진다.
즉, 총라인수와 화면상에 표시된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가 설정된 후 커서 업/다운 키를 누르면 화면상의 표시 영역과 텔레텍스트 데이타가 변경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중에 화면상에 표시할 총 라인수를 변경하면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5도 또는 제7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화면상에 표시될 총 라인수를 "25"로 입력한 경우 기존과 동일한 노말 표시 모드로 판단하여 제1 프로세서(211)는 제2 프로세서(204)에 노말 표시 모드임을 알리게 된다.
이에 따라, 포멧 변환부(213)는 제2 프로세서(204)어서의 전체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 라인 번호 또는 박스 비트의 변경없이 문자 생성기(206)에 전송함으로써 화면상에는 텔레텍스트 문자만이 표시되어진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텔레텍스트 표시 영역을 부분적으로 설정하여 티브이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볼 수 있으므로 특정 프로그램에 대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의 블럭도,
제2도는 일반적인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포맷을 보인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텔레텍스트 디코더를 보인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의 화면 상테를 보인 예시도.
제5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서 부분 표시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6도는 제5도의 과정에 따른 화면 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8도는 제7도의 과정에 따른 화면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202 : 데이타 슬라이서
203 : 내부 인터페이스 204,211 : 프로세서
205 : 디램(DRAM) 206 : 문자 생성기
207 : 캐릭터 롬 208 : 디스플레이 메모리
209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210 : 버스 인터페이스
212 : 키 입력부 213 : 포맷 변환부

Claims (6)

  1.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총 라인수를 입력하는 제1 단계와, 화면상에 데이타가 표시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제2 단계와, 화면상에 표시할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를 임의로 입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지정된 화면상의 영역에 라인 시작 번호부터 총 라인수만큼의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제4 단계와, 상기에서 커서의 업/다운에 의해 화면상에 표시될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라인 시작 번호가 변경되면 제4단계를 반복하여, 상기에서 지정된 표시 영역에 새로운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제5단계를 수행항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중에 총 라인수 또는 화면상에 데이타가 표시되는 시작 위치를 변경하면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총 라인수는 "1"부터 25"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면상에 데이타가 표시되는 시작 위치는 "0"부터 최대 (24-총 라인수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4단계는 화면상에 데이타가 표시되는 라인의 시작 번호에 라인 카운터의 값을 합산한 값으로 텔레텍스트 데이타의 라인 번호를 변경하여 화면상의 표시 영역과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
  6. 화면에 표시할 총 라인수를 입력하는 제1 단계와,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위치를 임의로 입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데이타의 라인 시작 위치부터 총 라인수를 합한 번호까지를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영역에 그 영역의 라인 번호와 동일한 라인 번호의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제4 단계와, 상기에서 커서를 업/다운하면 화면에 표시할 데이타의 라인 시작 위치를 변경함과 아울러 표시 영역을 재설정하여 해당 텔레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하는 제5단계를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표시 방법.
KR1019960039084A 1996-09-10 1996-09-10 티브이의텔레텍스트표시방법 KR10039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084A KR100393766B1 (ko) 1996-09-10 1996-09-10 티브이의텔레텍스트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084A KR100393766B1 (ko) 1996-09-10 1996-09-10 티브이의텔레텍스트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574A KR19980020574A (ko) 1998-06-25
KR100393766B1 true KR100393766B1 (ko) 2003-10-17

Family

ID=3742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084A KR100393766B1 (ko) 1996-09-10 1996-09-10 티브이의텔레텍스트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7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185Y2 (ko) * 1986-11-26 1991-06-06
KR940017845A (ko) * 1992-12-08 1994-07-27 이헌조 문자서비스 방송방식과 문자서비스 방법 수신장치
KR950010535A (ko) * 1993-09-10 1995-04-28 이헌조 티브이의 자막표시회로
KR950022839A (ko) * 1993-12-29 1995-07-28 김주용 고화질 텔레비젼에서의 문자 표시장치
KR950035340A (ko) * 1994-05-12 1995-12-30 곽희수 텔레비젼 프로그램 정보 방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KR101964915B1 (ko) * 2014-11-21 2019-04-02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스위칭 디바이스 및 스위칭 디바이스 어레인지먼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185Y2 (ko) * 1986-11-26 1991-06-06
KR940017845A (ko) * 1992-12-08 1994-07-27 이헌조 문자서비스 방송방식과 문자서비스 방법 수신장치
KR950010535A (ko) * 1993-09-10 1995-04-28 이헌조 티브이의 자막표시회로
KR950022839A (ko) * 1993-12-29 1995-07-28 김주용 고화질 텔레비젼에서의 문자 표시장치
KR950035340A (ko) * 1994-05-12 1995-12-30 곽희수 텔레비젼 프로그램 정보 방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KR101964915B1 (ko) * 2014-11-21 2019-04-02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스위칭 디바이스 및 스위칭 디바이스 어레인지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574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837B1 (ko) 더블스크린을 이용한 정보 및 외부신호 표시장치
US5876286A (en) Game apparatus for televi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766463B1 (en) Television receiver with superimposition of text and/or graphic patterns on the television picture
CN1076931C (zh) 在电视接收机的屏幕上显示文本或图形数据的方法和设备
EP0656727A1 (en) Teletext receiver
EP0818925A2 (en) Internet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and internet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JP4943279B2 (ja) Tvの副画面処理方法、tv受信機におけるpip処理方法、デジタルtvシステム及びtvの画像処理方法
JPH02152382A (ja) 文字放送受信装置
GB2244897A (en) Method of storing and editing data in a televis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3402533B2 (ja) 文字放送特殊再生装置及びテレテキスト放送特殊再生装置
KR100393766B1 (ko) 티브이의텔레텍스트표시방법
US5177598A (en) Multipage display apparatus of teletext receiving system
KR100381319B1 (ko) 텔레텍스트페이지전송방법, 텔레텍스트 페이지 전송국, 텔레텍스트 수신기
JPH0946657A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装置
KR100407978B1 (ko) 영상표시기기의 텔레텍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
JPS60257681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0666956B2 (ja) ハ−ドコピ−出力機能付静止画像表示装置
JPS6123713B2 (ko)
KR900001000B1 (ko) 텔레텍스트의 정보신호 출력 선택방법
JP2896049B2 (ja) Teletext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受像機に於ける文字情報番組の選択手段
KR100233529B1 (ko) Xds의 특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0173688B1 (ko) 텔리텍스트의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JPH09135386A (ja) テレビ放送用テロップ装置
EP0591880A2 (en) Receiver circuit of teletext signals with separate acquisition and visualisation functions
JP2000350110A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