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679B1 - 외부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강재보 및 그제작방법과 그 강재보에 의한 교량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강재보 및 그제작방법과 그 강재보에 의한 교량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679B1
KR100392679B1 KR10-2002-0026590A KR20020026590A KR100392679B1 KR 100392679 B1 KR100392679 B1 KR 100392679B1 KR 20020026590 A KR20020026590 A KR 20020026590A KR 100392679 B1 KR100392679 B1 KR 100392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don
steel
deflection
fixed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800A (ko
Inventor
박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박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7138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926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박대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Publication of KR2002004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이나 보도육교 또는 건축물의 보나 지붕의 보 등에 활용되는 강재보 및 그 제작방법과 그 강재보에 의한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4개의 부재, 즉 저강도 탄성재인 강형재(I형강, 이를 변형한 제작빔 또는 이들을 조립한 조립빔이나 조립상자형 빔;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강형재는 I-Beam으로 사용키로 함)와, 고강도 탄성재인 텐던(Tendon)(강봉이나 강선 또는 strand)과, 편향부재(Deviator)그리고 정착부(Anchorage)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들 4개 부재의 상호 결합관계를 보면, I빔(I-Beam)에는 그 하단 양단부 부근에 정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하단 중앙부에 수직상의 편향부재가 부착 고정되어 있고, 텐던은 I빔(I-Beam)과 평행하게 소정의 편심거리(Δ)를 두고 정착부에 정착되어 있으며, 편향부재는 I빔(I-Beam)과 텐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면서 부착 고정된 I빔(I-Beam)과는 달리 텐던(Tendon)과는 비부착 상태로 자유롭게 분리되어 있으며, 편향부재의 길이는 I빔(I-Beam)과 텐던(Tendon)이 평행하게 유지하고 있는 편심거리(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클 정도이다.
본 발명의 외부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강재보는 재하 하중에 의하여 1단계 거동인 상향 솟음(Camber) 거동과, 2단계 거동인 하향 처짐 거동의 순으로 거동 메카니즘(Mechanism)이 이루어지고 있다.

Description

외부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강재보 및 그 제작방법과 그 강재보에 의한 교량 시공 방법{Assembly tension beam for prestressing tendon, and method for making steel girder and for constructing the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이나 보도육교 또는 건축물의 보나 지붕의 보 등에 활용되는 강재보 및 그 제작방법과 그 강재보에 의한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량 등의 구조물 가설의 경제성을 극대화하고, 가설 구조물의 안정성을 최대화하며 이와 동시에 시공성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외부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강재보를 창안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합성보(예, 프리플랙스 보, PSC 보 등)의 구조역학상의 한계(장대화의 한계, 재하 하중 수용 능력의 한계, 프리스트레스 손실량 보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PSC))란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위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내력(內力)을 준 콘크리트'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력에 의해 교량의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미리 인위적으로 콘크리트에 준 응력을 프리스트레스(Prestress)라고 하며,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을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이라 한다.
본 발명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도 프리스트레싱과 관련이 있으면서 역학적으로 독특한 구조형태를 이루고 있는 새로운 개념의 프리스트레스트 조합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기술적 특징 및 역학적 특징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싱의 관점에서는 프리플렉스 보와, 그리고 구조형태의 관점에서는 교량 보수 기술과 가장 가깝게 그 유사점이 엿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이 둘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과 본 발명의 강재보와의 차이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겠으며, 그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도 도출이 될 것이기 때문에 그런 다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개념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리플렉스(Preflex) 합성보(도4)에 대하여 살펴보면,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인장에 강한 I형 강재와, 압축에 강한 콘크리트를 합성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역학적 특성을 갖는 보로서 프리스트레싱은 I형 강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되는 I형 강재의 인장측 플랜지(즉, 하부 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압축응력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것이다. 재하 하중에 의한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거동 메카니즘을 살펴보면,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역학적 특성상 재하 하중에 대하여 상향으로 솟은 캠버(Camber)의 범위 내에서만 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캠버(Camber)=0 에서 최대의 재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재하 하중이 최대 재하 하중보다 커져서 캠버(Camber)=0 이하로 처지게 되면,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하부 콘크리트에 인장응력이 작용되어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균열상태에 이르면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파괴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결점으로는 프리플렉스 합성보는캠버(camber) = 0 이하에서는 더 이상 재하 하중을 받을 수 없다는 구조역학상의 한계때문에 장대화의 한계 및 재하 하중 수용능력의 한계에 문제점이 있고, 또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I형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일체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분리가 불가능하여 시공 후 프리스트레스 손실량 보정이 곤란하다는 결점이 있다.
다음으로 교량 보수 기술(도5)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보의 노후화로 인하여 내구성이 저하되어 그 처짐이 허용의 범위를 벗어나 거의 파괴직전에 이른 보를 대상으로 하여 그 측면부에 인장력을 가한 강선이 보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향력으로 작용되도록 한 강선 배치를 한 것으로서, 강선의 수직 상향력에 의하여 단순히 처진 상태의 보를 보강해 주고자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교량 보수 기술은 보의 처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보다는 임시적으로 조치하는 수단에 불과하며, 이렇게 배치된 강선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처진 보에는 전혀 프리스트레스의 개념이 도입될 수도 없고, 또 그럴만한 기술적 여지도 전혀 없는 것이므로 프리스트레스 도입은 처음부터 불가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교량 보수 기술은 외관과 형태가 본 발명과 비슷하게 보일지는 모르나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기술도, 보의 장대화를 위한 기술도 아닌, 단지 파괴위험 수준에 이른 처진 보를 긴장력과 강선배치에 의하여 임시적으로 지지해주는 기술에 불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와는 기술 본질상 전혀 상이한 것이므로 이는 본 발명과 비교하여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Preflex, PSC)의 구조역학상의 한계와, 이로부터 파생되는 장대화의 한계 및 재하 하중의 수용능력의 한계, 그리고 시공 후 손실량 보정이 자유롭지 못한 한계성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있고,
둘째, 상기의 한계성을 극복하는 것을 포괄하면서도 전혀 새로운 개념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를 탄생시키고자 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중 편향부재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와 재하 하중과의 거동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a) : 강형재 (I-beam)(b) : 본 발명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에 프리스트레싱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도(c) : 텐던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한 상태도(캠버량 e1 발생)(d-1) : 최대하중(Wmax) 재하시의 1단계 거동 상태도(e1=0)(d-2) : (Wmax +△W) 하중 재하시 2단계 거동 상태도(처짐량 e2 발생)(e) : 재하 하중이 제거된 상태도((c)의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프리플렉스(Preflex) 빔 거동을 나타내는 설명도.(a) : 강형재 (I-Beam)(b) : 솟음치(e) 도입(c) :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d) : 하중 재하시 거동 한계
도 5는 종래의 교량 보수보강을 나타내는 설명도.(a) : 노후화된 교량(처짐 e 발생)(b) : 인장력(T)에 의한 수직 상향력(V) 발생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강형재(I-Beam) 11 : 복부판
12 : 상부플랜지 13 : 하부플랜지
20 : 편향부재(Deviator) 21 : 상판부재
22 : 편향부 기둥부재(H형강) 23 : 이탈 방지 부재
24 : 하단면
30 : 정착부(Anchorage)
40 : 텐던(Tendon; 긴장재)e1 : 솟음에 의한 간격 (e1) △ : 편심길이(△)T : 인장력(T) V : 수직 상향력(V)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이 추구하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를 통해서 한꺼번에 모두 다 해결되는 것이므로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의 기술적 구성과 거동 메카니즘(Mechanism) 등을 시작으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는 4개의 부재, 즉 저강도 탄성재인 강형재(I형강, 이를 변형한 제작빔 또는 이들을 조립한 조립빔이나 조립상자형 빔;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강형재는 I-Beam으로 사용키로 함)(10)와, 고강도 탄성재인 텐던(강봉이나 강연선 또는 strand)(40)과, 편향부재(Deviator)(20) 그리고 정착부(Anchorage)(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4개 부재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I빔(I-Beam)(10)에는 그 하단 양단부 부근에 정착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하단 중앙부에 수직상의 편향부재(20)가 부착 고정되어 있고, 텐던(40)은 I빔(I-Beam)(10)과 평행하게 소정의 편심거리(Δ)를 두고 정착부(30)에 정착되어 있으며, 편향부재(20)는 I빔(I-Beam)(10)과 텐던(40)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면서 부착 고정된 I빔(I-Beam)(10)과는 달리 텐던(40)과는 비부착 상태로 자유롭게 분리되어 있으며, 편향부재(20)의 길이는 I빔(I-Beam)(10)과 텐던(40)이 평행하게 유지하고 있는 편심거리(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클 정도이다. (도1)
본 발명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의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거동관계를 도3과 함께 살펴보면, 텐던(40)을 프리스트레싱 하면, 양단 정착부(30)에 의하여 텐던(40)의 인장력이 I빔(I-Beam)(10)에 전달되면서 I빔(I-Beam)(10)에 솟음이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I빔(I-Beam)(10)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편향부재(20) 역시 솟음치 만큼 텐던(40)으로부터 이격된다.
역학적 특징으로는 텐던(40)의 인장력과 I빔(I-Beam)(10)의 압축력으로 인하여 내력 모멘트 커플이 발생하는 점에 있다.
이제, 외부 프리스트레싱 된 강재보가 재하 하중에 의하여 어떻게 거동되는가에 대한 그 거동 메카니즘을 도3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는 재하 하중에 의하여 1단계 거동인 상향 캠버(Camber) 거동과, 2단계 거동인 하향 처짐 거동의 순으로 거동 메카니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상향 캠버(Camber) 거동에서는 상부 재하 하중은 텐던(40)과 I빔(I-Beam)(10)에 의하여 이루어진 캠버(Camber)(e1) 범위 내에서만 지지되고, I빔(I-Beam)(10)이 수평이 된 상태, 즉 캠버(Camber)=0에서 최대 재하 하중(Wmax)을 지지하게 되며, 편향부재(20)는 캠버(Camber)=0(e1=0)에 이르는 동안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상태이다.
상부 재하 하중(Wmax+ΔW)이 최대 재하 하중(Wmax)을 넘어서게 되면, 2단계 하향 처짐 거동이 일어나게 되면서 I빔(I-Beam)(10)은 캠버(Camber)=0 이하(e2)로 처지게 되고, 이와 함께 편향부재(20)는 텐던(40)을 하향으로 누르게 되어 내리 눌린만큼 텐던(40)에는 추가인장력이 도입되고, 추가인장력을 도입 받은 고강도 텐던(40)은 다시 편향부재(20)를 통해 상향 수직력을 I빔(I-Beam)(10)에 전달하여 이를 떠받치는 방향으로 힘을 증가시키므로 I빔(I-Beam)(10)의 내하력이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단계 및 2단계 거동 메카니즘을 I빔(I-Beam)(10)의 하부플랜지(13)(즉, 인장 플랜지)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1단계 상향 캠버(Camber) 거동에서는 하부 플랜지(13)가 압축응력을 유지하다가 2단계 하향 처짐 거동에 이르면 I빔(I-Beam)(10)의 하부플랜지(13)는 인장응력으로 전환되는 역학 관계를 이루고 있어 I빔(I-Beam)(10)의 하부 플랜지(13)는 상부 재하 하중의 크기에 따라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으로 순환되는 역학적 특성을 지닌 거동 메카니즘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 1단계 및 2단계 거동 메카니즘을 편향부재(20)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1단계 상향 캠버(Camber) 거동(e1)에서는 캠버(Camber)=0 인 위치에서만 편향부재(20)가 텐던(30)과 접면하게 되고, 캠버(Camber)(e1)가 주어져 있는 동안에는편향부재(20)는 I빔(I-Beam)(10)의 중앙부 하단에 매달린 채 텐던(40)과 이격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고, 2단계 하향 처짐 거동(e2)에서는 텐던(40)과 접면되기 시작한 편향부재(20)가 상부 재하 하중에 의하여 텐던(40)을 아래로 누르면서 추가적인 인장력을 텐던(40)에 전달하게 되고, 텐던(40)에 전달된 추가적인 인장력은 다시 편향부재(20)를 통해 I빔(I-Beam)(10)이 처지는 것을 저지하는 힘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대응된 두 힘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에는 내하력이 그만큼 증진되는 방향으로 거동 메카니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는 거동 메카니즘이 프리플렉스, PSC 합성보와는 달리 2단계 하향 처짐 거동에서도 상부 재하 하중을 받을 수 있는 역학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재하 하중의 수용능력이 기존의 프리플렉스, PSC 합성보에 비하여 훨씬 클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그만큼 장대화가 가능하고 경제적인 시공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의 거동 메카니즘을 중심으로 설명하였고, 이제부터는 중요한 세부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편향부재(20)에 대하여 알아보면, 편향부재(20)는 2단계 하향 처짐 거동에서 고강도 텐던(40)의 인장력을 상향의 수직력으로 전환하여 I빔(I-Beam)(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편향부재(20)의 하단면(24) 형상은 고강도 텐던(40)이 수직하중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에서의 최소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만약, 텐던(40)이 편향부재(20)를 통해 아래로 눌려서 최소곡률반경에 도달하였는데 편향부재(20)의 하단면(24)이 수평면이었다면, 반복 하중을 받는 텐던(40)이 편향부와 닿은 모서리 부분에서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적어도 그 하단면(24)의 형상을 텐던(40)의 최소곡률반경이 되게 한 것이다.
I빔(I-Beam)(10)의 하단 중앙부에 편향부재(20)의 상판부재(21)를 고정 시키는 방식에 있어서는 I빔(I-Beam)(10)의 하부 플랜지(13)와 편향부재(20)의 상판부재(21)에 구멍을 뚫어 고장력 볼트로 고정시키는 것이 용접에 의한 것보다 유리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편향부재(20)는 도2에서와 같이 상부에는 상판부재(21), 하부는 측면에 이탈방지부재(23)와 하단면(24)의 곡선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기둥부재(22)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다음으로 2단계 하향 처짐 거동에 있어서 편향부재(20)의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텐던(40)과 편향부재(20)가 있는 경우에는 편향부재(20)에서만 I빔(I-Beam)(10)과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구조 역학적으로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모멘트의 손실이 없고, 오히려 텐던(40)의 긴장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텐던(40)만 있고 편향부재(20)가 없는 경우에는 I빔(I-Beam)(10)과 텐던(40)의 편심거리(20) 만큼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모멘트 감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만큼 내력 모멘트의 감소가 있게 된다.
동일 크기의 부재 및 동일 하중의 조건하에서 실험한 결과에 의하면 일반 구조용 I형강재 보다는 편향부재(20)를 설치한 I빔(I-Beam)(10)의 내하력이 약 50% 이상 증가됨을 알 수 있었고, 편향부가 없고 텐던(40)만 있는 I빔(I-Beam)(10) 보다는 30~40% 정도의 내하력 증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는 부착식 강재 합성보와는 달리 I빔(I-Beam)(10) 상의 정착부(30)에 텐던(40)이 비부착 조립식으로 정착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후에도 프리스트레스 손실 보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의 설명을 다음과 같은 역학적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① 텐던(40)에서의 인장력과 I빔(I-Beam)(10)에서의 압축력으로 인한 모멘트 커플이 발생하고,
② 프리스트레싱은 I빔(I-Beam)(10)의 인장 플랜지(13)에서의 항복을 지연시킨다.
③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I빔(I-Beam)(10)의 하부플랜지(13)에서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순환하게 된다.
④ 고강도 텐던(40)으로 저강도 I빔(I-Beam)(10) 강재를 대체함으로서 경제적으로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⑤ 텐던(40)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함으로서 생기는 결과로 구조물의 부정정여력(Redundancy)이 증가하고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로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는 텐던에프리스트레싱을 시키지 않은 상태까지는 공장에서 제작이 가능하며, 이렇게 제작된 강재보를 교각 위에 거치 시킨 후 현장에서 텐던에 프리스트레싱 함으로서 공장 규격화되어 생산된 강재보를 현장에서 프리스트레싱 작업을 더해 교량 가설을 완성하는 시공 방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는 텐던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함으로서 플랜지(13)의 항복을 지연시키므로 장대화가 가능하고, 부정정여력(Redundancy)이 향상되어 강재보의 안전성이 확보되며, 또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공장에서 규격화 및 표준화가 가능한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 기술에 의하면, 교량이나 보도육교 또는 건축물의 보나 지붕의 보 등에 활용되는 강재보를 발명함으로서 교량 등의 구조물 가설의 경제성을 극대화하고, 가설 구조물의 안정성을 최대화하며 이와 동시에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기존 기술과는 달리 구조 역학상의 한계(장대화의 한계, 재하 하중 수용능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정착부(30)와 텐던(40)의 연결이 완전 고정이 아닌 조립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 중에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량 보정 또는 교량 등급의 상향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내하력의 확보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시에는 편향부(20) 없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결론적으로는 편향부가 있는 경우, 같은 크기의 부재와 같은 크기의 하중 하에서, 편향부가 없는 강형재에 비해 30~40% 정도의 내하력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동일 주형의 두께와 높이를 기준으로 하면 훨씬 높아진 내하력을 보유하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뿐만 아니라 교량 빔의 경우 그 길이를 더 연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교각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등 건설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외관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저강도 탄성재인 강형재(10)와, 고강도 탄성재인 텐던(40)과, 편향부재(20) 그리고 정착부(30)로 이루어지고, 강형재에는 그 하단 양 단부 부근에 정착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하단 중앙부에 편향부재(20)가 부착 고정되어 있고, 텐던(40)은 편심거리(Δ)를 두고 강형재와 평행하게 정착부(30)에 정착되며, 편향부재(20)는 강형재(10)와 텐던(40) 사이에 위치되어 편심거리(Δ)와 거의 동일할 정도의 길이를 갖으면서 텐던(40)과는 비부착 상태로 이루어진 구성이며, 텐던(40)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
  2. 제1항에 있어서, 강형재는 I빔(I-Beam)(10)이고, 편향부재(20)의 하단면(24)형상은 고강도 텐던(40)이 수직하중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에서의 최소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
  3. 제2항에 있어서 편향부재(20)의 하단면(24)의 양측면에 텐던(40) 이탈방지 부재(23)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I빔(I-Beam)에 부착되는 편향부재(20)의 상단부의 고정은 고장력 볼트로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
  5. 저강도 탄성재인 강형재(10)와, 고강도 탄성재인 텐던(40)과, 편향부재(20) 그리고 정착부(30)로 이루어지고, 강형재에는 그 하단 양 단부 부근에 정착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하단 중앙부에 편향부재(20)가 부착 고정되어 있고, 텐던(40)은 편심거리(Δ)를 두고 강형재(10)와 평행하게 정착부(30)에 정착되며, 편향부재(20)는 강형재와 텐던(40) 사이에 위치되어 편심거리(Δ)와 거의 동일할 정도의 길이를 갖으면서 텐던(40)과는 비부착 상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재하 하중에 의하여 상향 캠버(Camber) 거동과 하향 처짐 거동이 일어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
  6. 저강도 탄성재인 강형재(10)와, 고강도 탄성재인 텐던(40)과, 편향부재(20) 그리고 정착부(30)로 이루어지고, 강형재에는 그 하단 양 단부 부근에 정착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하단 중앙부에 편향부재(20)가 부착 고정되어 있고, 텐던(40)은 편심거리(Δ)를 두고 강형재와 평행하게 정착부(30)에 정착되며, 편향부재(20)는 강형재와 텐던(40) 사이에 위치되어 편심거리(Δ)와 거의 동일할 정도의 길이를 갖으면서 텐던(40)과는 비부착 상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재하 하중에 의하여 I빔(I-Beam)(10)의 하부 플랜지(13)가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으로 순환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프리스트레싱 강재보
  7. 저강도 탄성재인 강형재(10)와, 고강도 탄성재인 텐던(40)과, 편향부재(20) 그리고 정착부(30)로 이루어지고, 강형재에는 그 하단 양 단부 부근에 정착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하단 중앙부에 편향부재(20)가 부착 고정되어 있고, 텐던(40)은 편심거리(Δ)를 두고 강형재와 평행하게 정착부(30)에 정착되며, 편향부재(20)는 강형재와 텐던(40) 사이에 위치되어 편심거리(Δ)와 거의 동일할 정도의 길이를 갖으면서 텐던(40)과는 비부착 상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교각 위에 거치한 후 텐던(40)에 프리스트레싱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2002-0026590A 2001-08-31 2002-05-14 외부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강재보 및 그제작방법과 그 강재보에 의한 교량시공 방법 KR100392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654A KR20010088998A (ko) 2001-08-31 2001-08-31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KR1020010053654 2001-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800A KR20020041800A (ko) 2002-06-03
KR100392679B1 true KR100392679B1 (ko) 2003-07-31

Family

ID=197138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654A KR20010088998A (ko) 2001-08-31 2001-08-31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KR10-2002-0026590A KR100392679B1 (ko) 2001-08-31 2002-05-14 외부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강재보 및 그제작방법과 그 강재보에 의한 교량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654A KR20010088998A (ko) 2001-08-31 2001-08-31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889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5041A1 (en) * 2004-12-13 2006-06-22 Leton Bridge Co., Ltd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0977855B1 (ko) 2009-10-06 2010-08-25 박용민 Pss 거더
KR101200589B1 (ko) 2011-04-25 2012-11-12 이종란 볼트 조임력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재 보의 제작방법
KR101402184B1 (ko) * 2012-05-14 2014-06-03 주식회사 네비엔 긴장재 거치부재를 이용한 합성 거더의 제조방법
KR20180051164A (ko) 2016-11-08 2018-05-16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766A (ko) * 2002-08-30 2003-08-27 박대열 연속 절곡 긴장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KR100530024B1 (ko) * 2003-03-18 2005-11-22 노윤근 프리플렉스 h형 빔에 상하부 커버 플레이트 및 긴장재정착장치를 설치한 슬래브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슬래브 보강 시공방법
KR100758994B1 (ko) * 2007-03-14 2007-09-17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354A (ja) * 1989-07-14 1991-02-28 Tokyu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に於けるプレストレス構法および梁貫通ケーブル用スリーブ
KR19990016592A (ko) * 1997-08-18 1999-03-15 장석윤 현장연결부를 갖는 단순 및 연속 복합프리스트레스합성빔의 제조방법
KR19990068800A (ko) * 1999-04-02 1999-09-06 박대열 조립식장력강재보
KR20000012533A (ko) * 1999-12-10 2000-03-06 김근택 정착블록이 부착된 피에스씨빔 및 그연속화 공법
JP2000290926A (ja) * 1999-04-02 2000-10-17 Ps Corp 外ケーブルを用い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354A (ja) * 1989-07-14 1991-02-28 Tokyu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に於けるプレストレス構法および梁貫通ケーブル用スリーブ
KR19990016592A (ko) * 1997-08-18 1999-03-15 장석윤 현장연결부를 갖는 단순 및 연속 복합프리스트레스합성빔의 제조방법
KR19990068800A (ko) * 1999-04-02 1999-09-06 박대열 조립식장력강재보
JP2000290926A (ja) * 1999-04-02 2000-10-17 Ps Corp 外ケーブルを用い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桁
KR20000012533A (ko) * 1999-12-10 2000-03-06 김근택 정착블록이 부착된 피에스씨빔 및 그연속화 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5041A1 (en) * 2004-12-13 2006-06-22 Leton Bridge Co., Ltd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0977855B1 (ko) 2009-10-06 2010-08-25 박용민 Pss 거더
KR101200589B1 (ko) 2011-04-25 2012-11-12 이종란 볼트 조임력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재 보의 제작방법
KR101402184B1 (ko) * 2012-05-14 2014-06-03 주식회사 네비엔 긴장재 거치부재를 이용한 합성 거더의 제조방법
KR20180051164A (ko) 2016-11-08 2018-05-16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998A (ko) 2001-09-29
KR20020041800A (ko) 200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615B2 (en)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US7047704B1 (en)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lti-step tension prestressed girder
KR100555249B1 (ko) 강성보강과 단면강성을 증대시킨 등단면의 압연강재 i형강재빔과 변단면의 강판제작 i형 강재빔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0392679B1 (ko) 외부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강재보 및 그제작방법과 그 강재보에 의한 교량시공 방법
KR100823448B1 (ko) 면진성이 향상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연속화 구조 및 그 공법
KR100871831B1 (ko) 휨 하중이 미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설 교량 및 그제작 공법
KR100950027B1 (ko) 교량용 합성거더
KR102066355B1 (ko) 측면 좌굴을 최소화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200297321Y1 (ko)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보
KR20090003807A (ko)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구비한 연속 지점부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KR200358339Y1 (ko) 프리스트레싱 구조물
KR20060032968A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KR200360711Y1 (ko) 가설 교량 주거더의 단면계수 및 단면 2차 모멘트를증대시키는 에이취 형강과 티 형강을 조합한 시공법에따른 가설 교량의 구조
KR20080087250A (ko) 연속교의 프리스트레싱 장치
KR200305665Y1 (ko) 편향부 및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일체형 거더
KR100437258B1 (ko) 활절라멘교의 보수보강방법
KR20090003590U (ko) 선압축보를 합성한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거더
CN212742151U (zh) 一种梁端预应力钢束结构
KR102471342B1 (ko)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KR101167152B1 (ko) 장경간 교량용 거더
KR10246819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428360Y1 (ko) 프리스트레스 빔
KR20090081865A (ko) 지점부 이동에 의한 강합성 빔 제작방법
KR20090090903A (ko) 프리스트레스 강 거더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514

Effective date: 2005052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126

Effective date: 200505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000255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126

Effective date: 200505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30000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514

Effective date: 200505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5228;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0002011;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28

Effective date: 200606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522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28

Effective date: 20060623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710

Effective date: 200610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30000201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710

Effective date: 20061013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