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338B1 - 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 - Google Patents

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338B1
KR100392338B1 KR10-2000-0065974A KR20000065974A KR100392338B1 KR 100392338 B1 KR100392338 B1 KR 100392338B1 KR 20000065974 A KR20000065974 A KR 20000065974A KR 100392338 B1 KR100392338 B1 KR 10039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k
nonwoven fabric
mat
shee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36066A (en
Inventor
조춘남
Original Assignee
조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남 filed Critical 조춘남
Priority to KR10-2000-006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338B1/en
Publication of KR2002003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3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06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protect the underlying surface, e.g. temporary covers, disposable carpets, absorbent pads, wheelchair pads, hearth r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돗자리나 매트의 바닥설치면에 위치하는 돗자리나 매트의 저면측 부직포에 콜크가 접착되어있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서, 공지된 돗자리의 단위부재(원목, 대나무, 섬유질 압축강화목, 광석, 금속 등을 가공하여 돗자리의 부직포에 접착하는 작은 단위편재들)를 콜크부직포에 접착하고 테두리부재로 마감하여서 되는, 콜크의 뛰어난 보온, 단열, 방수, 방음의 효과와 우수한 탄력과 복원성 등의 기능적인 면과 콜크무늬 자체에서 풍기는 자연미와 고급스러움을 나무자리의 부직포에 적용하여 항상 아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콜크부직포 돗자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k nonwoven ma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cork nonwoven mat in which a cork is adhered to a mat or a bottom nonwoven fabric of a mat placed on a floor installation surface of various mats or mats. Cork's excellent insulation,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by attaching members (small unit materials that process wood, bamboo, fibre-reinforced hardwood, ores, metals, etc.) to the nonwoven fabric of matting, and finishing them with a cork nonwoven fabric I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ethod of cork non-woven fabric mat, which can produce a cozy indoor atmosphere by applying the functional aspect such as sound insulation effect and excellent elasticity and resilience, and natural beauty and luxury exudes from the cork pattern itself. It relates to a cork nonwoven mat manufactured by.

Description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Cork nonwoven ma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콜크부직포 돗자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하절기에 더위를 피하고 시원함과 쾌적함을 얻기 위하여 실내나 바닥에 왕골, 대나무, 원목, 무늬 목 접착판재 재질로 된 돗자리를 펴서 사용하는 예가 많은 바, 이와 같은 공지의 돗자리는 그 소재가 딱딱하고 단단한 나무(목재, 판재, 대나무, 왕골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나무를 재단하거나 일정 크기의 단위부재로 만들고 실로 엮거나 직물 또는 레쟈 부직포에 접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번호 실용신안 제1997-008013호(출원번호 실용신안 제1995-020081호)가 있으며, 공개번호 실용신안 제1995-000440호(출원번호 제1995-022609호) 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k non-woven ma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avoid heat in summer and to cool and comfortable, there are many examples of using a mat made of royal, bamboo, solid wood, and pattern wood adhesive plate material indoors or on the floor. The known mat is made of hard and hard wood (wood, board, bamboo, royal etc.), and the wood is cut or made into a unit of a certain size and weaved with thread or bonded to a fabric or leather nonwoven fabric. There is a public utility model No. 1997-008013 (application number Utility Model No. 1995-020081) previously filed and publish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published number Utility Model No. 195-000440 (Application number 1995-022609) Ho).

그 외 천연무늬목이나 대나무를 판재에 접착하여서 되는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번호 실용신안 제2000-0002147호(출원번호 제1998-12026호)가 있는 바,『목판의 표면과 저면에 동일한 수축력을 갖는 무늬목을 접착시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목판의 재질이 중밀도 섬유합판 또는 고밀도 섬유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있고, 특허출원 제1998-0017837호가 있는 바, 이는 나무자리에 있어서, MDF나 HDF 등에 무늬 목을 접착하여서 되는 돗자리용 목편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In addition, natural veneer or bamboo is adhered to the plate, and there is a publication number Utility Model No. 2000-0002147 (Application No. 1998-12026) previously filed and publish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adhering the veneer having the same shrinkage to th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wood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um-density fiber plywood or high-density fiber plywood, there is a patent application No. 1998-0017837 In wood seats, the use of wood chips for mats by adhering the pattern wood to MDF or HDF is increasing.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돗자리에 있어서, 단단한 소재를 이용하여 돗자리를 만들다 보니 돗자리를 바닥에 깔아 사용하면서 딱딱함으로 인하여 쉬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노약자나 어린이가 넘어질 경우 타박상 등의 부상을 입기 쉬웠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mat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e mat is laid on the floor, and the fatigue is felt due to the hardness while the mat is laid on the floor.

더우기 여름철에만 사용되었는바, 목재의 보온과 열 전도가 낮기 때문이다.Moreover, it was only used in summer, because of the low thermal insulation and heat conduction of wood.

반면, 콜크를 이용하는데 있어 일부 흡음판이나 그 복원성과 내부패성, 탈취효과 등의 효과를 이용하여 신발이나 바닥 재 또는 벽지로서도 일부분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나, 콜크를 흡음재, 단열재, 신발이나 바닥 재, 벽지 등으로 일부 이용되고 있고, 콜크의 특성상 두껍게 형성되므로 밀도와 강도가 약하며 그 표면이 긁힘이나 파손의 위험이 높고, 실내의 바닥에 직접 접착 또는 현가식으로 시공함으로서 파손이나 결함 등의 보수에 관한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시공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고가인 관계로 그 뛰어난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이용이 제한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use of cork is partly used as a shoe, flooring or wallpaper using the effects of the sound absorbing plate, its resilience, anti-decomposition and deodorizing effect, but the cork is a sound absorbing material, insulation, shoe, flooring, wallpaper It is used in part, etc., because it is thick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k, it has a low density and strength, and the surface has a high risk of scratches or breakage. It is difficult to manage, complicated to construct, time-consuming and expensive, so its use is limited despite its excellent uti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하여 딱딱한 소재로 이루어진 돗자리의 단위부재를 콜크부직포에 접착하여 사용 중 안락한 쿠션과 콜크의 자연발생적 기능을 십분 활용하고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돗자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t one time by adhering the unit member of the mat made of a hard material to the cork nonwoven fabric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natural cushioning function of the comfortable cushion and cork during use, cool in the summer and warm in the win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는 나무, 대나무, 원목 합성수지나 금속류, 광석류에 의해 제조되는 돗자리의 단위부재를 콜크부직포와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에 있어서, 열압 가열소성된 콜크집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편하여서 된 콜크시트와, 절편된 콜크시트의 일측에 도포층을 갖는 접착제상에 부착되는 부직포시트를 포함하고, 표면 상에 오픈포아 또는 세미오픈포아 도료 및 투명필름 중 어느 하나의 방수 코팅층을 갖으며, 방향제가 함유되어 처리된 콜크부직포와, 상기 콜크부직포상에 도포층을 갖는 접착제상에 부착되는 돗자리 단위부재와, 상기 콜크시트, 부직포시트 및자리 단위부재가 접착제를 포함하여 부착된 두께층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부재로 마감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rk nonwoven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k nonwoven mat made by contacting the unit member of the mat made of wood, bamboo, wood synthetic resin or metal, ore, with the cork nonwoven fabric, A cork sheet obtained by cutting a cork aggregate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a nonwoven fabric sheet attached to an adhesive having an application layer on one side of the sectioned cork sheet, the open pore or semi-open pore paint and transparent film on the surface Cork nonwoven fabric having any one of the waterproof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fragrance, treated with a mat unit member attached to the adhesive having a coating layer on the cork nonwoven fabric, the cork sheet, the nonwoven sheet and The seat uni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nished with a border member on the edge of the thickness layer attached including the adhesive.

또한, 본 발명은 콜크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콜크를 부직포에 접착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공정에 의해 콜크가 접착된 상태의 콜크부직포에 단위부재를 접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ep of manufacturing a cork, a step of adhering the cork to a nonwoven fabric, and a step of adhering the unit member to the cork nonwoven fabric in a state where the cork is adhered by the adher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콜크부직포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rk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확대 단면도이며,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k nonwoven mat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시도이고,Figure 3 is a process diagram for producing a cork nonwoven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rk nonwoven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단위부재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member of the cork nonwoven mat,

도 6은 제4도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절단한 일부분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k nonwoven fabric mat of FIG.

-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20: 콜크 22: 콜크집성체20: Cork 22: Cork aggregate

30: 접착제 30a: 멜라만수지 30c: 핫맬트 접착제30: adhesive 30a: melamine resin 30c: hot melt adhesive

50: 콜크부직포 50a: 부직포 51: 부직포시트 200: 단위부재50: cork nonwoven fabric 50a: nonwoven fabric 51: nonwoven fabric sheet 200: unit member

이하, 공지의 돗자리 단위부재의 제조 과정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known mat unit member will be omitted, 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콜크부직포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콜크부직포 돗자리의 일부 분해 사시 도이며, 도 5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단위부재의 사시 도이고, 도 6은 도 4의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절단한 일부분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k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k nonwoven mat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ocess drawing for producing a cork nonwoven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rk nonwoven fabric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rk nonwoven fabric mat member, and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k nonwoven fabric mat of FIG. 4.

- 제 1실시예 -First Embodiment

(콜크를 제조하는 공정 - S1)(Process for manufacturing cork-S1)

본 실시예의 콜크부직포(50)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콜크(2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S1)으로서, 콜크부직포(50)의 콜크(20)는 콜크 참나무의 수피 또는 콜크용 떡갈나무의 외피를 끓는 물에 삶아 단단한 외피 층을 제거한 후 음지에서 수개월동안 건조시켜서 만들어지며, 이것을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소성 성형하고 콜크 천연의 문양과 색상을 지닌 콜크집성체(22)를 만들거나, 콜크(20)를 분쇄하여 1~2mm 의 채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를 만들고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를 가열소성성형 하여 콜크집성체(22)를 제조한다.As a step (S1) for producing the cork 20 required to produce the cork nonwoven fabric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k 20 of the cork nonwoven fabric 50 is made of bark of the cork oak or of oak for the cork. The outer shell is boiled in boiling water to remove the hard outer layer and dried in the shade for several months.Then, it is placed in a metal mold and compressed into hot-baked plastics with hot or superheated steam. 22) or by crushing the cork (20) to make particles that can pass through 1 ~ 2mm of the sieve and put into a metal mold and compressed to hot-molded hot or superheated steam to produce a cork aggregate (22) do.

콜크(20)를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성형 하는데 있어서 콜크(20)를 가로로 적층하여 만든 것과 세로로 세워서 적층하여 가압한 것으로 콜크(20)의 결을 좁게나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금형의 크기로 콜크집성체(22)로부터 절편하여 얻어지는 콜크(20)의 넓이를 결정하고 금형의 모양과 형태에 따라서 콜크(20)의 외곽모양의 형태를 결정하게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When the cork 20 is put into a metal mold and compressed to be heated and plasticized by heat or superheated steam, the cork 20 is stacked horizontally and pressed vertically to press the laminate to narrow the grain of the cork 20. It is possible to form a wid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width of the cork 20 obtained by cutting from the cork aggregate 22 to the size of the mold, and determine the shape of the outer shape of the cork 20 according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mold To be an element.

즉 금형의 내부가 원형일 경우 외곽모양이 원형인 콜크(20)를 얻을 수 있으며, 접착시 배열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짜 맞춤식의 배열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요홈 부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inside of the mold is circular, the cork 20 having a circular shape may be obtained, and the groove may be formed to form a prefabricated arrangement structure in order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그리고, 첨가제의 종류를 다르게 함으로써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지닌 콜크(20)를 얻을 수 있게 된다.And, by changing the type of additives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rk 20 having a variety of patterns and colors.

예를 들면, 성형시 메라만수지(30b)에 함침하여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 것으로, 내수성이 강한 내수콜크를 만들 수 있으며, 요소나 페놀 등의 수지를 첨가하는 것으로 콜크(20)의 밀도나 강도 또는 탄성의 정도를 조절하여 만들 수도 있다.For example, during molding, it is impregnated into the Meraman resin 30b, put into a metal mold, and compressed and heated and molded by hot or superheated steam to create a water-resistant water resistant coke, and resins such as urea and phenol It can also be made by adjusting the density, intensity | strength, or degree of elasticity of the cork 20 by adding.

또는,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거나, 향기를 지속적으로 풍길 수 있는 향 재료를 첨가하여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현시키거나, 임의의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착색제나 염료를 첨가하여 임의의 색상을 얻을 수도 있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pursue additional functions by adding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bio-ceramic or ocher or jade, magnet, germanium and charcoal, or to continuously express the fragrance by adding a fragrance material which can continuously smell, Any color may be obtained by adding colorants or dyes to express the color.

상기의 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콜크집성체(22)를 대패와 같은 원리의 슬라이샤기나 로타리기로 절편하여 임의의 두께를 가진 콜크(20)를 얻는데 있어, 그 두께는 용도에 따라 달리하여 얻을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obtain the cork 20 having an arbitrary thickness by cutting the cork aggregate 22 produced by the above process into a slicing machine or a rotary machine of the same principle as the planer, the thickness may be obta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se. will be.

그 외,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고 콜크 천연의 문양과 색상을 지닌 콜크단위부재(200)를 만들거나, 콜크(20)를 분쇄하여 1~2mm 의 채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를 만들고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를 가열 소성 성형하여 콜크(20)를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나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데 있어서 성형시 단위부재(200)와 동일한 규격 과 유사한 형태가 되도록 된 분말콜크 단위부재(200)로 생성되어지게 한다.In addition, it is put into a metal mold and compressed and heated and molded by hot or superheated steam to make a cork unit member 200 having a natural pattern and color of cork, or by grinding the cork 20 to obtain a 1-2 mm shaft. The unit member is formed during molding by heating and plasticizing the cork 20 by inserting it into a metal mold and compressing it by heating and molding the hot or superheated steam by compression into a metal mold. It is to be produced by the powder cork unit member 200 to be similar in shape to the same standard and 200).

부가하여 콜크(20)를 섭씨 35°정도의 메라만수지(30a)와 요소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속에 24시간 정도 함침하여 콜크의 입자 속에 수지가 충분히 함침되게 후 탈수기를 이용하여 수지를 제거하여 금속의 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는 것으로 내수성이 강한 내수콜크(20)를 만들 수 있으며, 요소나 페놀 등의 수지를 첨가하는 것으로 콜크(20)의 밀도나 강도 또는 탄성의 정도를 조절하여 한다.In addition, the cork 20 was impregnated with a resin composed of the Meraman resin 30a and urea resin at about 35 ° C for about 24 hours to sufficiently impregnate the resin in the particles of the cork and then remove the resin by using a dehydrator. The water-resistant cork 20 can be made strong by heat and plastic molding by compression into a mold and hot or superheated steam, and the density, strength or elasticity of the cork 20 by adding a resin such as urea or phenol. To adjust.

상기의 각 콜크(20)의 특성상 그 구조와 밀도나 강도가 약한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콜크(20)를 콜크용 부직포(50a; 종이, 함침지, 염화비닐레자, 직물, 망사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두께가 매우 얇고 인 장력이 우수하고 박리가 없는 것)에 접착 하거나 각각의 작은 시트편재로 된 콜크단위부재(200)를 콜크용 부직포(50a)에 접착하여 보다 넓고 규격화되며 차후 가공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rk 20, its structure and density or strength is weak,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ork 20 made of cork non-woven fabric (50a; paper, impregnated paper, vinyl chloride, fabric, mesh, etc.) As a very thin thickness, excellent in tension and no peeling), or by attaching the cork unit member 200 made of each small sheet material to the nonwoven fabric 50a for cork, which is wider and more standardized, and further processed. It makes work easier.

(콜크를 부직포에 접착하는 공정 - S2)(Process of bonding cork to nonwoven fabric-S2)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는 공정(S2)으로서, 콜크(20)를 제조하는 제1공정(S1)에 의해 제조된 콜크(20)내지 천연의 콜크(20)를 접착제(30)가 도포된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고 프레스(6)로 압착하여 접착하여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콜크(20)를 적층하거나 분쇄하여 금형에 넣고 열기 또는 과열증기로 가열 소성 성형하여 콜크 집성체(22)를 만드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접착제나 안정제 등으로 인한 콜크(20)의 표면과 입자들 사이에 접착성 내지 점착성 물질이 함침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잔존 물로 인하여 열 압착할 때에 콜크(20)의 이완 내지 콜크(20)간의 박리가 발생 할 수 있다.As the step (S2) of adhering the cork 20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the cork 20 to the natural cork 20 manufactured by the first step S1 of manufacturing the cork 20 is bonded to an adhesive ( 30) is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to which the coating is applied, and is pressed and bonded by the press (6). The cork 20 is laminated or pulverized, placed in a mold, and heated and plasticized by hot or superheated steam to form the cork aggregate 22, and between the surface of the cork 20 and particles due to an adhesive or stabilizer added. When the adhesive to the adhesive material is impregnated, the residual water may cause the loosening of the cork 20 to the peeling between the corks 20 may occur.

또한 콜크(20)의 입자의 특성상 내부 공기의 팽창에 의한 콜크입자 구조가 파괴되거나, 콜크와 콜크간의 박리에 의한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부직포시트(51)의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냉압프레스로 압착하여 접착한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les of the cork 20, the structure of the cork particle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internal air is destroyed, or the swelling phenomenon occurs due to peeling between the cork and the cork, this problem is essentially prevented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In order to minimize deformation caused by heat, they are compressed by cold press.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기 위해서 부직포시트(51)를 접착제(30)가 펌핑되어져 있는 스프레다 롤러(5)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부직포시트(51)에 접착제(30)를 도포하게 된다.In order to adhere the cork 20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the adhesive 30 is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by pass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through the spreader roller 5 on which the adhesive 30 is pumped. Done.

이때에 사용되어지는 접착제(30)는 고형 분 함량이 48%이상의 초산비닐계 에멀젼본드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의 배합비는 에멀젼본드 8 멜라민 2 정도가 적당하며 도포 량에 있어서 70~90㎖/m2로 형성됨이 적당하다.At this time, the adhesive 30 used is a vinyl acetate-based emulsion bond having a solid content of 48% or more,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emulsion bond 8 melamine 2 is suitable and 70 ~ 90ml / m2 in the application amount It is suitable to form.

접착제(30)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거나, 임의의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착색 재나 염료를 첨가하여 임의의 색상을 얻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material, such as bio-ceramic, ocher or jade, magnets, germanium, charcoal, etc., to the adhesive 30, an additional color may be pursued, or a colorant or dye may be added to express an arbitrary color to obtain an arbitrary color. have.

이와 같은 접착제(30)가 도포된 부직포시트(51)위에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의 면적을 채울 수 있는 정도로 서로 맞붙어 배열하여 올려놓고 상기 접착제(30)의 수분이 증발되어 물성이 안정되고 접착제(30)의 건조나 경화의 반응이 시작되어 점착 건조(접착제가 건조 내지 경화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포되어진 접착제의 표면을 손으로 압착하였을 때 점착은 되나 접착재가 손에 묻어나지는 않는 상태)의 상태일 때에 프레스로 40초 동안 가압하여 일차 접착을 한후 접착제(30)가 완전히 건조되기까지 상기의 콜크부직포(50)를 다시 3시간 정도 가압하는 것으로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 지게된다.The cork 20 is placed on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to which the adhesive 30 is applied, so as to fill the area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so as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moisture of the adhesive 30 is evaporated. It is stable, and the reaction of drying or curing of the adhesive 30 starts and adhesive drying (which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is dried or cured. When the surface of the applied adhesive is pressed by hand, the adhesive is applied but the adhesive is buried in the hand. In the non-state) is pressed for 40 seconds with a press and then the primary adhesion is completed by pressing the cork nonwoven fabric 50 again for about 3 hours until the adhesive 30 is completely dried.

이때에 접착제(30)의 점착 건조 이전에 가압을 하게되면 접착제(30)의 자체수분에 의하여 콜크(20)가 겹치거나 늘어지게 되어 표면 층이 울게되고 또한 함수율이 높은 상태일 때에 접착되어진 콜크(20)는 차후 함수 율이 낮아질 경우 콜크(20)의 갈라짐이나 박리 내지 콜크부직포(50)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At this time, if pressure is applied before the adhesive drying of the adhesive 30, the cork 20 overlaps or sags due to self-moisture of the adhesive 30, so that the surface layer is crying and the cork adhered when the water content is high ( 20)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lowered later acts as a cause of deformation due to cracking or peeling of the cork 20 or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cork nonwoven fabric 50.

이상과 같이 가 접착 후 일정 시간 적치하고 이를 가압하는데 있어서 적치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작업 여건 등에 의하여 달라지게 되는바, 이는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충분히 감지할 수 있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of the deposition time after the deposition and the pressuriz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depends on the working conditions, etc., which can be sufficiently sen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의 프레스(6)로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는데 있어, 일부 열에 의하여 반응하지 아니하는 첨가제(열 경화성 수지 등)를 사용하여 제조된 콜크(20)일 경우에, 접착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열 압착하여도 무방하나 부직포시트(51)와 콜크(20)에 직접 전달되는 열원의 온도는 상기의 콜크 입자 구조가 파괴되거나, 콜크와 콜크간의 박리에 의한 부풀어오르는 현상 등을 막기 위하여 60°가 바람직하며, 콜크(20)의 특성상 입자가 굵거나 큼으로 인하여 콜크(20)의 표면에 다소의 엠보(요철)현상이 있게 되는데, 이처럼 함몰된 부분까지 완전하게 가압하기 위해선 콜크(20)위에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 올려놓고 가압함으로서 움푹 패인 부분까지도 접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cork 20 is attached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by the press 6, in the case of the cork 20 manufactured by using an additive (such as a thermosetting resin) that does not react with some heat, Although heat compression may be performed to shorten the adhesion tim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and the cork 20 may be such that the cork particle structure is destroyed or swells due to peeling between the cork and the cork. In order to prevent this, 60 ° is preferable,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cork 20, due to the thick or large particles, there is some embossing on the surface of the cork 20. By pressing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a sponge on the cork 20 and pressing, even the recessed portion may be easily bonded.

(단위부재와 콜크부직포를 접착하는 공정 - S3)(Process of bonding unit member and cork nonwoven fabric-S3)

공지의 돗자리용 단위부재를 핫멜트 접착제(30c;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열에 의해 용해, 도포된 후 냉각과정을 통해 짧은 시간에 접착을 나타내는 접착제)가 펌핑되어 있는 스프레다 롤러(5)에 통과시켜서 돗자리 단위부재(200)의 배면에 도포한 다음, 콜크부직포(50)와 접착하고 프레스(6)로 가압하여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 핫멜트 접착제(30c)가 완전히 반응되기까지의 약24시간을 가압하여 적재하는 것으로 코팅편재(200)와 콜크부직포(50)의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 지게된다.The matting unit member is passed through a spreading roller (5) on which a hot melt adhesive (30c; an adhesive which is dissolved and applied by heat us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n applied for a short time through a cooling process) is pumped. After coating on the back surface of the unit member 200, and then adhered to the cork non-woven fabric 50 and pressurized by the press (6) is made and then pressurized about 24 hours until the hot melt adhesive (30c) is completely reacted By loading, the coating material 200 and the cork nonwoven fabric 50 are completely bonded.

상기 접착제(30c)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할 수도 있을 것이며 열 가소성 접착제가 함침된 접착부직포를 코팅편재(200)와 콜크부직포(50)사이에 삽입하고 열압하여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unctional material, such as bio-ceramic or ocher or jade, magnets, germanium, charcoal, etc. may be added to the adhesive 30c to pursue additional functions, and the coated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a thermoplastic adhesive may be coated with the coating material 200 and cork. Adhesion may be made by inserting between the nonwoven fabrics 50 and hot pressing.

상기에 있어서 콜크부직포(50)의 콜크(20)가 접착된 면이 우드카페트(1)의 저면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단위부재(200)와 접착되어져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surface to which the cork 20 of the cork nonwoven fabric 50 is bonded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od carpet 1, and may be bonded to the unit member 200 to be formed inside.

또는 양면에 콜크(20)가 접착되어져 있는 콜크부직포(50)의 일면에 단위부재(200)를 접착하고 다른 일면 측은 우드카페트(1)의 저면에 드러나게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nit member 200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cork nonwoven fabric 50 to which the cork 20 is adhered to both sides, and the other side may be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od carpet 1.

상기의 공정으로 조립시 불특정 코팅편재(200)의 들고 나온 것을 재단 톱을 사용하여 커팅하는 것으로 마감재단하고, 우드카페트(1)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부(60)로 감싼 다음 미싱을 사용하여 재봉(70)한다.When assembling in the above process by cutting the cutting of the unspecified coating material (200) by using a cutting saw, the cutting foundation, wrapped around the edge of the wood carpet (1) with a rim (60) and then sewing using a sewing machine (70).

또는 재봉선을 따라 가장자리에 재봉 홈(80)을 형성하고 테두리부재(60)로 감싼 다음 미싱을 사용하여 재봉(70)하여 마감되어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콜크부직포 돗자리(1)가 제공된다.Alternatively, the corrugated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by forming a sewing groove 80 at an edge along the sewing line and wrapping it with an edge member 60 and then sewing 70 using a sewing machine.

- 제 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분말의 형태로 가공하여 콜크(20)와 함께 옥, 게르마늄, 세라믹 등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가진 분말과 함께 배합하고,Processed in the form of a powder and blended with the powder having a beneficial function to the human body, such as jade, germanium, ceramics, etc.,

부직포시트(51; 옥이나 숯, 게르마늄, 세라믹, 자석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바닥용 부직포)가 공지의 라미네이팅기의 이송부에 장착되고 그 스프레다 롤라(6)를 통과함으로서 우레탄 본드(30c; (폴리올(디올류), 디아소시아네이트, 쇄연장재, 용제, 기타첨가제 등으로 구성되어지는 본드)가 도포되고 섭씨60도의 건조실을 5초간 통과하여 우레탄본드(30c)의 점착건조가 진행될 때 상기 분말의 콜크(20)가 우레탄 본드(30c)상에 분사되어져 접착되어지고, 1차 소프트한 재질의 고무롤러에 의하여 가압된 후 2차 하드한 재질의 고무롤러에 의하여 가압되며 3차 스틸롤라에 의하여 가압된 후 상온의 건조실을 통과하고 접착되어진 콜크(20)외에 잔존하는 콜크(20)를 브러시와 바람으로 제거하고 4차 딱딱한 고무롤러로 가압하고 5차 표면의 온도가 80도로 설정된 스틸롤러를 통과하여 접착이 이루어진다.A nonwoven fabric sheet 51 (a floor nonwoven fabric containing jade or charcoal, germanium, ceramics, magnets, etc.) is mounted on a conveying part of a known laminating machine and passes through its spreader roll 6 to thereby form a urethane bond 30c. (Bonding consisting of polyols (diols), diasocyanates, chain extenders, solvents, other additives, etc.) is applied and the adhesive drying of the urethane bond 30c proceeds through a drying chamber at 60 degrees Celsius for 5 seconds. The powdered cork 20 is sprayed onto the urethane bond 30c and bonded to it, pressurized by a rubber roller of a primary soft material, and then pressed by a rubber roller of a secondary hard material and subjected to a tertiary steel roller. After pressurized by passing through the drying chamber at room temperature, the remaining cork 20 in addition to the adhered cork 20 is removed with a brush and wind, pressurized with a fourth hard rubber roll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fth surface is set to 80 degrees. By passing the steel roller is made adhesive.

또는 콜크(20) 내지 콜크단위부재(200)를 콜크용 부직포(50a)에 접착한 후 이것을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cork 20 to the cork unit member 200 may be adhered to the nonwoven fabric 50a for cork and then adhered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상기의 부직포시트(51)를 우드카페트(1)의 규격으로 먼저 재단하고 접착제(30)를 도포하여 프레스(6)나 고주파프레스(7)로 콜크(20)를 접착하여 콜크부직포(50)를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nonwoven fabric sheet 51 is first cut to the size of the wood carpet (1), and then the adhesive 30 is applied to the cork 20 by the press 6 or the high frequency press 7 to attach the cork nonwoven fabric 50. It may be manufactured.

이후 그 상부의 콜크(20)를 1차 220#입자의 페이퍼로 연마하고 2차 440#입자의 페이퍼로 연마하여 표면의 거친 부분과 요철부분을 연마기나 수작업을 하여 연마함으로서 표면에 있는 불순물, 오염 내지 잔존하는 콜크(20)를 제거하게 되며, 이때에 사용되어지는 우레탄본드(30c)나 염화 비닐레자에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내지는 옥, 자석, 게르마늄,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추구하여 제조되는 것을 실시할 수 있음도 가능하다.Then, the cork 20 on the upper part is polished with the paper of the first 220 # particles, and the paper of the second 440 # particles is polished, and the rough and uneven parts of the surface are polished by a grinder or by hand to remove impurities and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The remaining cork 20 is removed, and additional functions are added to the urethane bond 30c or vinyl chloride used at this time by adding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bio ceramics or ocher to jade, magnets, germanium, and charcoal.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what is manufactured in pursuit.

상기 콜크부직포(50)의 표면오염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콜크(20) 천연의 아름다운 무늬와 색상을 그대로 표현되게 하는 등 필요에 의하여 코팅층(40)을 할 수도 있을 것인데, 도료와 투명비닐 등의 방법이다.The coating layer 40 may be applied as necessary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cork nonwoven fabric 50 from surface contamination or scratches, and to express the beautiful pattern and color of the cork 20 as it is, such as paint and transparent vinyl. Way.

먼저 도료에 의한 코팅층(40)은 콜크부직포(50)를 가지고 그 상부의 콜크(20)를 200#~500#입자의 페이퍼 등으로 표면의 거친 부분과 요철부분을 연마기나 수 작업을 하여 연마함으로서 표면에 있는 불순물이나 침전물을 절삭하고 매끄럽게 다듬은 다음 아이솔레이터 도료(40a)로 1차 도장을 하고 공지 된 우레탄(40d)의 도료로 오픈포아 내지 세미오픈포아 도막으로 스프레이도장을 하되 콜크(20)의 특성상 유연성이 좋은 연성도료를 사용함이 좋다.First, the coating layer 40 by the paint has a cork nonwoven fabric 50 and the cork 20 of the upper part is polished by using a grinder or manual work to rough the rough and uneven parts of the surface with paper of 200 # ~ 500 # particles. After cutting and smoothing out impurities or deposits on the surface, first coating with isolator paint 40a and spray coating with open poa or semi-open pore coating with paint of known urethane 40d. It is good to use flexible paint with good flexibility.

상기의 1회 도장으로 원하는 정도의 도막이나 평활 도 내지 이루고자 하는 특성을 얻을 수 없을 때에는 수회 반복한다.The above coating is repeated several times when the desired degree of coating or smoothness cannot be obtained.

또는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름(40c)을 프레스(6)로 열압하거나 롤러로 압착하여 접착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도장의 효과를 얻는다.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vinyl chloride to transparent film 40c is pressed by a press 6 or compressed by a roller to obtain an effect as described above.

이는 도료가 따라가지 못하는 유연성과 부드러운 질감에 있다 할 것이고, 도막을 형성하고 있는 필름 내지 비닐(40c)이 표면으로부터의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완전히 차폐함으로서 그 색상이나 품질을 오랜 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작업의 간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This is due to the flexibility and soft texture that the paint cannot keep up with, and the film or vinyl 40c forming the coating film completely shields the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matter from the surface, and preserves its color or quality for a long time. The simplicity of work is very great.

또는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름(40c)을 접착하지 않고, 상기의 콜크부직포(50)위에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름(40c)을 올려놓고 미싱으로 재봉(70)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vinyl chloride to transparent film 40c may be adhered to the cork nonwoven fabric 50, but the transparent vinyl chloride to transparent film 40c may be placed on the sewing machine 70 by sewing.

도료에 의하여 코팅(40)을 하거나 투명염화비닐 내지 투명 필름(40c)을 프레스(6)로 열압하거나 롤러로 압착하여 접착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도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coating 40 may be applied by a paint, or the transparent vinyl chloride or the transparent film 40c may be pressed by a press 6 or compressed by a roller to obtain an effect of the above coating.

필요시 상기 공정을 반복하여 부직포시트(51)의 양면에 콜크(20)가 접착된 콜크부직포(50)를 제조한다.If necessary,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to produce a cork nonwoven fabric 50 having the cork 20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콜크부직포에 단위부재를 접착하여 돗자리를 만들므로 콜크가 가진 천연의 실내 위생성, 강력한 탈취력, 실내 습도조절, 흡음과 방음, 정전기 방지, 보온과 단열, 뛰어난 탄성, 방균성과 내 부패성과 강한 신축성 등에 더하여 상기의 콜크를 우드카페트에 활용하는데 있어서, 1입방인치의 콜크 속에는 2억개 정도의 세포들이 각각 수지 막에 싸여 밀집되어있고 부피의 절반이 공기로 차있어 매우 가벼운 것이 또한 특징이며, 사용 중 강한 압박을 받은 후에도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특성이 있어 사용 중 긁힘이나 눌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콜크의 특성인 부드러움과 탄성으로 인하여 피로감이 적고,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넘어지는 등의 사고에도 콜크의 탄성으로 그 충격을 줄여 부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을 것이며, 아파트 같은 층간의 소음을 콜크의 흡음 성으로 인하여 현저히 줄일 수 있음도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The unit member is attached to the cork nonwoven fabric to make a mat, so the natural hygiene of the cork, strong deodorizing power, indoor humidity control,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antistatic, heat insulation and insulation, excellent elasticity, antibacterial and anti-corrosive and strong elasticity, etc.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rk is used for wood carpets, and in one cubic inch of cork, 200 million cells are each packed in a resin film and filled with air, and half of the volume is filled with air.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even after being pressed,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such as scratches and squeezing during use, and it is less fatigue due to the softness and elasticity,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cork, and especially in accident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falling down. Cork's elasticity can reduce its impact and protect against injuries And 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ecause of the noise absorbing property of cork can also be called its features.

이처럼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친화인 소재를 이용하여 보다 건강하고 활력있는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고 항상 아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콜크부직포 돗자리를 얻을수 있다.Thus,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can meet the desire of the user to pursue a healthier and more vigorous life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nd can obtain a cork non-woven fabric mat that can always produce a cozy indoor atmosphere.

Claims (8)

나무, 대나무, 원목 합성수지나 금속류, 광석류에 의해 제조되는 돗자리의 단위부재를 콜크부직포와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콜크부직포 돗자리에 있어서,In the cork nonwoven fabric mat made by adhering the unit member of the mat made of wood, bamboo, wood synthetic resin, metals or ores with the cork nonwoven fabric, 열압 가열소성된 콜크집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편하여서 된 콜크시트(20)와, 절편된 콜크시트(20)의 일측에 도포층을 갖는 접착제(30)상에 부착되는 부직포시트(51)를 포함하고, 표면 상에 오픈포아 또는 세미오픈포아 도료 및 투명필름 중 어느 하나의 방수 코팅층(40)을 갖으며, 방향제가 함유되어 처리된 콜크부직포(50)와, 상기 콜크부직포(50)상에 도포층을 갖는 접착제(30c)상에 부착되는 돗자리 단위부재(200)와, 상기 콜크시트(20), 부직포시트(50) 및자리 단위부재(200)가 접착제(30, 30c)를 포함하여 부착된 두께층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부재(60)로 마감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The non-woven fabric sheet 51 attached to the adhesive sheet 30 having a coating layer on one side of the corrugated sheet, which is obtained by cutting the hot-rolled calcined cork aggregate into a predetermined size, A cork nonwoven fabric 50 having a waterproof coating layer 40 of any one of an open pore or semi-open pore paint and a transparent film on the surface, and containing a fragrance, and on the cork nonwoven fabric 50. The mat unit member 200 attached on the adhesive 30c having the coating layer, the cork sheet 20, the nonwoven sheet 50 and Cork non-woven fabric ma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unit member 200 is configured to finish with a border member 60 on the edge of the thick layer attached, including the adhesive (30, 30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직포(50)는 분말의 콜크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The cork nonwoven fabric m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k nonwoven fabric (50) is made by adhering powdered cork to a nonwoven fabric sheet (5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크부직포(50)의 양측면에 콜크시트(20)가 각각 접착되고, 상기 콜크시트(20)중 어느 하나의 콜크시트(20) 일면에는 돗자리 단위부재(200)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The cork sheet 20 is bonded to both sides of the cork nonwoven fabric 50, and the mat unit member 200 is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cork sheet 20 of the cork sheet 20. Cork nonwoven fabric mat characterized in that it bec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콜크(2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S1)과,Process (S1) for manufacturing the cork 20, 콜크(20)를 부직포시트(51)에 접착하는 공정(S2)과,Adhering the cork 20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51 (S2), 단위부재(200)와 콜크부직포(50)를 접착하는 공정(S3)으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 제조방법.Cork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member 200 and the cork non-woven fabric (50) bonding step (S3). 제 1항에 있어서, 돗자리 단위부재(200)와 콜크 부직포(50)를 접착하는 접착제는 열 가소성 핫맬트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크부직포 돗자리.The cork non-woven fabric mat of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for adhering the mat unit member 200 and the cork nonwoven fabric 50 is bonded with a thermoplastic hot malt.
KR10-2000-0065974A 2000-11-07 2000-11-07 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 KR100392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974A KR100392338B1 (en) 2000-11-07 2000-11-07 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974A KR100392338B1 (en) 2000-11-07 2000-11-07 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066A KR20020036066A (en) 2002-05-16
KR100392338B1 true KR100392338B1 (en) 2003-07-22

Family

ID=1969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974A KR100392338B1 (en) 2000-11-07 2000-11-07 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3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663A (en) * 2002-04-17 2003-10-23 장진기 Ma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60B1 (en) * 2007-05-14 2008-04-22 서봉각 Air mattress making method and mend method
US8541085B2 (en) * 2009-08-18 2013-09-24 Us Floors, Inc. Bamboo composite board and beam product
WO2011149370A1 (en) 2010-05-25 2011-12-01 Dyn Cork - Technical Industry, Lda. Cork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346692B1 (en) * 2012-09-17 2014-01-06 주식회사 엘앤제이 Manufacturing method of cork film, stationery and phone case using cork film
KR101362366B1 (en) * 2012-12-11 2014-02-13 주식회사 엘앤제이 Manufacturing method of cork film, stationery and phone case using cork fil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536U (en) * 1992-11-27 1994-06-14 宏 二見 Silk floor slip prevention and sleep mat
KR19980057889U (en) * 1997-02-11 1998-10-15 이정만 Flexible Excretion Health Mat
JPH11221137A (en) * 1997-12-03 1999-08-17 Hida Forest Kk Mat
KR20000000115A (en) * 1999-09-13 2000-01-15 김이교 Manufacture method of hypocaust b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536U (en) * 1992-11-27 1994-06-14 宏 二見 Silk floor slip prevention and sleep mat
KR19980057889U (en) * 1997-02-11 1998-10-15 이정만 Flexible Excretion Health Mat
JPH11221137A (en) * 1997-12-03 1999-08-17 Hida Forest Kk Mat
KR20000000115A (en) * 1999-09-13 2000-01-15 김이교 Manufacture method of hypocaust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663A (en) * 2002-04-17 2003-10-23 장진기 Ma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066A (en)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385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veneer element
JP6567555B2 (en) Single plate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single plate element
CN104002356B (en) There is the panelling based on fiber of wearing face
KR101750674B1 (en) Coated panel comprising foam or polyvinyl chlor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1616593B1 (en) Coated panel comprising foam or polyvinyl chlor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01998896B (en) Fibre based panels with a wear resistance surface
KR101679171B1 (en) Coated panel comprising foam or polyvinyl chlor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1988000134A1 (e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92338B1 (en) Cork mat and the manufacture method
KR100417536B1 (en) A functional interior board by the method and interior board manufacture method
KR100395305B1 (en) No formaldeyde wood carpet by the method and no formaldeyde wood carpet manufacture method
KR20080076180A (en) Structure of composite core for wood flooring
KR100395309B1 (en) Cork carpet by the method and cork carpet manufacture method
KR200345225Y1 (en) A functional interior board
KR100605534B1 (en) Paper Laminated Wooden Floor
JP2592976Y2 (en) Floor material
KR20090026555A (en) Carbonic wood mat using of carbonic w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10506Y1 (en) the wood mat with inlay pattern
JP400793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material
CZ26597A3 (en) Floor cover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KR101761534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straw or rice straw board having improved smoothnes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traw or rice straw board
KR100887214B1 (en) Mat using finish material
KR200343523Y1 (en) a wood carpet uses a wood block
KR100512920B1 (en) The wooden mat using wood patches into which resin soaked
KR20210153169A (en) Manufacturing process of 3D mesh cool mat and that's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