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844B1 -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 Google Patents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844B1
KR100391844B1 KR10-2000-0087057A KR20000087057A KR100391844B1 KR 100391844 B1 KR100391844 B1 KR 100391844B1 KR 20000087057 A KR20000087057 A KR 20000087057A KR 100391844 B1 KR100391844 B1 KR 10039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ceramic dielectric
circular patch
patch antenna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921A (ko
Inventor
이택경
문진섭
Original Assignee
문진섭
이택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섭, 이택경 filed Critical 문진섭
Priority to KR10-2000-008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8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전율의 세라믹 유전체를 사용하여 패치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고, 이중 프루브 급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대역특성을 만족하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는 비유전율이 높은 세라믹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설치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과, 유전체 기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원형 패치, 유전체 기판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접지판 및 상기 홀을 통해 삽입됨과 더불어 원형 패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전체 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비유전율을 갖는 세라믹 유전체를 이용하고, 90。 위상차의 이중 급전 구조를 사용하여 광대역 특성을 구현하고, 또한 원하는 대역에서 낮은 축비의 원편파를 구현함으로써 넓은 반전력 빔폭과 글로벌 측위 시스템/ 글로벌 항행 위성 시스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의 원형 패치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Circular Patch Antenna Using a Ceramic Dielectric}
본 발명은 자동항법장치 등에 상용되는 고주파 수신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유전율의 세라믹 유전체를 사용하여 패치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고, 이중 프루브 급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대역에서 낮은 축비의 원편파를 구현하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이나 자동차, 비행기 등의 이동체를 대상으로 그 위치를 제공하도록 된 자동항법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항법장치는 일반적으로 지구의 일정 궤도상을 비행하고 있는 인공위성, 즉 글로벌 측위 시스템(Global Postioning Satalite :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하여 이동체에 대해 현재의 위치를 제공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자동항법장치는 GPS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에 따른 GPS와의 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소정의 연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판정하게 된다.
또한 러시아에서는 적절한 장비를 장착한 사용자들이 정확한 위치, 속도 및 시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글로벌 항행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이하 "GLONASS"라 함)을 운용하고 있다. GLONASS는 높은 정확성과 가용성을 제공하며 항법 커버리지는 연속적이고 전세계적이며 모든 기상에서 가능하다. 3차원 위치와 속도 결정은 GLONASS 위성에 의해 송신된 통과시간 측정과 RF 신호의 도플러 효과에 기초를 두고 있다. 각 위성들로부터 나온 항법 메시지는 위성좌표, 속도벡터 성분, GLONASS시스템 시간 정정 및 위성상태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서 최근 미국의 위치 정보 시스템인 GPS의 기능을 보완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러시아의 GLONASS를 함께 이용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GPS/GLONASS 통합 수신기에서는 두 시스템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GPS의 선택적 가용성(Selective Availability)에 의한 오차를 줄이고, 적절한 위성배치를 선택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기존의 GPS 수신용 안테나는 모노폴, 헬리컬,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등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그 중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는 소형, 경량으로서 대량생산이 용이하므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좁은 대역폭 특성을 갖는 단점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서 테프론이나(Tefron), 렉솔라이트(Rexolite), PTEE(Polytetrafluo roethylene) 등의 유전체로 이루어진 유전체 기판(1)의 상면에는 소정의 도전 금속으로 이루어진 방사 패치(2)가 설치되고, 이 패치(2)와 대향되는 유전체 기판(1)의 하면에는 도전 금속으로 이루어진 접지판(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치(2)에는 그 일측면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그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소정의 수신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피드점(Feed point : 21)이 설치되면서, 이 피드점(21)과 상기 패치(2)는 피드라인(22)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피드점(21)에 대해 소정의 전원을 가하게 되면, z방향으로 Quasi-TEM 모드가 진행되게 되고, 여기서 상기 패치(2)의 길이(L)를로 하게 되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누설전계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누설전계는 패치(2)로부터 접지판(3)으로의 방향과 접지판(3)으로부터 패치(2)로의 방향을 갖는 것이 상호 존재하여 서로 상쇄되고, 수평성분은 서로 동위상이 되어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슬롯(23,24)이 소정의 거리, L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가 같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 슬롯(23,24) 사이의 복사전계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즉, 상술한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에 의하면, 소정 크기의 유전체 기판상에 안테나를 실현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체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좁은 대역폭 특성을 갖고 있으며, 안테나의 크기를 일정 이하로 축소할 수 없는 단점이 있게 된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GPS 안테나는 단일 프로브 급전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구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유전율이 매우 높은 세라믹을 사용하여 유전체의 크기 25*25정도, 레이돔을 포함한 크기가 50*50정도로서 소형이지만, 반사계수 및 축비에 관한 주파수 대역은 약 20 MHz 정도로서 협대역 특성을 나타낸다.
GPS와 GLONASS 공용 시스템(L1)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는 1,565~1.621 MHz(대역폭 56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여야 하며, 수신신호는 우선회 원형편파(RHCP)로서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축비 특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GPS/GLONASS 통합 수신용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을 얻기 위하여 개구면 결합 방식에 의하여 급전하고, 접지면과 패치 사이의 유전체는 공기층으로 하였고, 또한 브랜치 라인 결합기를 이용하여 십자 개구면에 편파간 위상이 90。 차이가 나는 신호를 공급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낮은 축비의 원편파를 구현하였으나, 패치의 크기가 76.5*76.5로서 기존의 GPS용 안테나에 비하여 크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유전율의 세라믹 유전체를 사용하여 패치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고, 이중 프루브 급전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넓은 대역에서 낮은 축비의 원편파를 구현함으로써 두 시스템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유전체 두께에 따른 안테나의 임피던스의 비교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원편파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회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윌킨슨 전력분배기의위상 측정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프루브 급전과 이중 프로브 급전에 의한 안테나의 반사 손실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선로의 길이 변화에 대한 축비 계산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유전체 구조의 변화에 의한 축비 계산결과 비교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면 구조의 변화에 대한 축비 계산결과 비교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전체 기판 2 : 방사 패치
3 : 접지판 21 : 피드점
22 : 피드라인 23, 24 : 슬롯
h ,: 기판의 두께,: 비유전율
d : 원형패치로부터 프루브까지의 거리 k1, k2 :급전회로의 가로,세로 길이
a ; 원형 패치의 반경 r : 급전 프푸브의 지름
b1,b2 : 유전체 기판의 가로, 세로 길이 Z0 : 선로 임피던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는 비유전율이 높은 세라믹을 주성분으로 한 세라믹 유전체 기판과, 세라믹 유전체 기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원형 패치, 세라믹 유전체 기판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접지판 및 원형 패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핀과, 원형 패치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있는 프루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라믹 유전체 기판은 네 모서리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a는 3차원 입체모양을 나타내고, 도 2b는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세라믹 유전체의 비유전율은이며, 높이는 h, 크기는이고, g는 절단된 모서리 길이이다. 급전방식은 이중 프루브 급전을 하며, 두 개의 프루브에 가해지는 신호는 서로 90。의 위상차가 있고 크기가 같은 신호가 공급된다. 두께이고 비유전율인 기판의 아랫쪽은 급전회로로서 두 급전점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이며, 윗쪽은 접지면이다. 프루브 급전을 위한 접지면의 홀은 직경이 r이며, 홀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신호의 결합이 증가하지만 두 급전점 간의 격리도가 나빠지므로 홀 위치와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패치의 형태는 원형으로서 반경은 a이며, 급전 프루브의 위치는 패치의 중심으로부터 d 만큼 떨어져 있다.
프루브 급전에 의한 원형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기본 모드인모드에 의해 다음 수식에 의해 근사화된다.
[=1.84188 : 1차 베셀 함수의 미분이 영이 되는 가장 작은 값
c : 자유공간의 전파속도
: 패치의 끝부분에서 발생하는 프린징(fringing) 효과를 고려한 패치의 실효 반경 ]
원형 패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실효반경에 반비례하고, 유전체 비유전율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실효반경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얻어진 계수들을 사용하여 비유전율, 기판 두께, 패치 반경 등으로부터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전체의 높이 h가 커지면 안테나의 실효반경도 증가한다. 수학식 1에서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공진주파수를 고정시키면,은 서로 반비례인 관계로서 안테나의 패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유전체의 비유전율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 및 패치에서 세라믹 유전체의 유전율은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21인 높은 유전율의 유전체를 사용한다. 유전체 상의 원형 패치는 완전도체로서 수학식 1에 의하여 유전체의 비유전율이 높을수록 반경은 작아지며, 원형패치의 반경은 a= 11.4mm로 정해진다. 원형패치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라믹 유전체의 크기는= 29.5*29.5이다. 유전체의 모서리 부분은 안테나의 외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단을 하고, g= 4mm이다. 프루브의 급전 위치는 안테나의 복사저항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계산을 통하여 패치 중심으로부터 급전점까지의 거리 d= 7mm로 하였으며, 접지면의 홀 직경은 r= 0.4mm이다.
세라믹 유전체의 두께는 입력 임피던스의 크기와 대역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도 3은 유전체 두께를 변화시키면서 안테나 임피던스 값의 변화를 1.4GHz ~ 1.8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관측한 도면이다. 세 개의 곡선에서 1.4GHZ 근방의 주파수에서는 유도성 리액턴스 영역에 있지만 주파수 1.8 GHz 근방에서는 용량성 리액턴스로 나타난다. 유전체 두께 h= 4.7mm인 안테나는 h= 5.1mm에 비하여 도표의 중심을 회전하는 원의 크기가 커져서 대역폭이 넓어지지만 전체적으로 임피던스 정합이 약하게 이루어지고 중심의 주파수에서 반사계수가 커진다. h= 5.1mm인 경우에는 대역폭이 좁고 중심 주파수에서 유도성 리액턴스값이 증가하여 정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유전체 두께가 5.1mm일 때 대역폭과 반사계수가 적절함을 알 수 있다. h= 5.1mm인 경우에 계산된 안테나의 반사손실 특성은 도 4에서 이중급전 구조에 대한 특성으로 도시하였다. -15dB 대역폭은 약 250MHz로서 광대역 특성을 보이며 GPS/GLONASS 공용 수신 대역이 안테나의 -15dB 대역폭 중심에 오도록 설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1.602GHz에서의 원편파 특성을 도시하였다. 우선회 원형편파(RHCP)가 좌선회 원형편파(LHCP)보다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E-plane의 빔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광대역에서 원편파 특성을 얻기 위해서 두 개의 프루브에 서로 90。의 위상차가 나도록 신호를 공급한다. 급전회로는 기판의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입력단자의 신호를 분배기를 이용하여 크기가 같은 두 개의 신호로 분리한 다음 선로의 길이를 조정하여 위상차가 나타나도록 한다. 하나의 신호를 크기가 같은 두 신호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T분배기나 윌킨슨 전력 분배기, 하이브리드나 결합선로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T분배기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나 두 출력 선로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한쪽 선로에서 반사된 신호가 다른쪽 선로로 전달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안테나의 입력 정재비파(VSWR)가 높아지며, 특히 편파 방향을 방해하여 축비가 나빠지는 결과가 초래되므로 도 6과 같이 윌킨슨 전력 분배기를 사용하여 크기가 같은 두 개의 신호로 분리한 다음 선로의 길이에 의하여 90。 위상차를 구현한다.
도 5을 보면, 선로의 임피던스= 50이며, 입력단자로 공급되는 신호는 단자 1과 단자 2로 균등하게 나누어 진다. 분리용 저항 100에 의해 단자 1과 단자 2는 서로 결합되지 않으며 각 단자들 간의 관계는 다음의 수식 S파라미터 행렬식으로 표현된다.
두 개의 프루브 단자에 가해지는 신호들의 위상차는 중심주파수에서 정확히 90。의 차이가 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윌킨슨 전력분배기로부터 각각의 프루브 위치까지의 거리의 차이(-)는/4가 되도록 설계한다. 여기서는 중심주파수에서 선로상의 파장을 나타낸다. 이중급전 원편파 안테나에서 양호한 축비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두 프루브에 가해지는 신호의 크기가 같아야 하고 위상차가 정확해야 한다. 윌킨슨 전력 분배기를 이용하여 도 6과 같은 급전회로를 제작하여 사용주파수 대역에서 특성을 측정한다. 기판의 비유전율은=2.17, 두께=0.508 mm, 선로길이는 각각 6mm와 42mm로 한다. 다음 표 1은 입력단자와 단자 1 및 단자 2 사이의의 진폭을 측정한 결과이며, 각각의 단자에 나타나는 신호의 크기를 보여준다.
Frequency[GHz] Port 1[dB] port 2[dB]
1.565 -3.170 -3.175
1.575 -3.142 -3.149
1.590 -3.069 -3.078
1.602 -3.106 -3.161
1.622 -3.123 -3.140
단자 2의 투과계수는 단자 1의 투과계수에 비하여 손실이 약간 크며, 그 이유는 선로길이보다/4 만큼 길기 때문에 선로상의 감쇠에 의한 전력손실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주파수 대역내에서 두 단자의 출력은/4의 선로길이 차에도 불구하고 거의 같은 크기로 나타나며, -3dB 근방의 값을 가진다.
도 6은 입력단자와 단자 1 및 단자 2 사이의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주파수에서 단자 1과 단자 2의 위상을 측정한 다음 두 신호간의 위상차를 계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들을 살펴보면 두 단자간의 위상차는 90。근방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Frequency[GHz] Port 1()[degrees] Port 2()[degrees] 위상차(-)[degrees]
1.565 -117.08 153.06 89.86
1.575 -118.05 151.52 90.43
1.590 -118.92 150.03 91.05
1.620 -119.93 148.19 91.88
1.622 -121.64 145.48 92.88
고유전율 세라믹 유전체를 사용한 패치 구조에서 이중 프루브 급전을 이용할 경우 단일 프로브 급전시 보다 대역폭이 확장되는데 도 7은 도 2의 구조에서 단일 급전과 이중급전에 의한 반사손실의 주파수특성을 계산한 것이다. 단일 급전의 경우 -15dB 반사손실 대역폭은 27MHz로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만족하지 못하나 이중 프로브 급전에 의한 반사 손실대역폭은 242MHz로서 광대역 특성을 나타낸다.
원편파 안테나의 축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에 공급되는 두 개의 직교하는 신호사이에 위상차가 정확히 90。가 되어야 한다. 두 신호 사이의 위상차는 급전선로의 길이의 차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8에는 ()의 변화에 대한 축비의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36mm일 때는 도 7에서의 결과와 같이 두 신호의 위상차가 중심 주파수에서 90。이므로 축비 특성이 2dB 이하로 양호하게 나타난다. 그러나=37mm로서 1mm커진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에서는 축비가 좋아지지만 높은 주파수의 축비가 나빠진다. 또한= 35mm로서 짧아진 경우에는 반대로 나타난다.
축비는 두 신호의 위상차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지만 안테나 구조의 비대칭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도 9는 세라믹 유전체 구조의 변화에 의한 축비 계산치를 나타내고 있다. 정사각형 구조의 축비가 직사각형 구조의 것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세라믹 유전체의 비유전율이 높으므로 두 축 사이의 길이가 약간의 오차를 가지는 직사각형에 대해서도 축비가 상당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안테나의 축비는 유전체 뿐만 아니라 접지면의 비대칭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도 10은 접지면 구조의 변화에 대한 축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도 비대칭 접지면의 축비가 대칭형 접지면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약 4dB 정도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양호한 축비의 원편파를 구현하기 위해서 두 급전점의 위상차 뿐만 아니라 유전체 및 접지면의 대칭성을 유지하게 한다.
이로써 도 9 및 도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칭성 세라믹 유전체 및 접지면을 사용함으로써 반사손실 특성 및 낮은 축비특성을 만족하고 소형의 GPS/GLONASS 수신 안테나에 적합하도록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는 높은 비유전율을 갖는 세라믹 유전체를 이용하고, 90。 위상차의 이중 급전 구조를 사용하여 광대역 특성을 구현하고, 또한 원하는 대역에서 낮은 축비의 원편파를 구현함으로써 넓은 반전력 빔폭과 글로벌 측위 시스템/ 글로벌 항행 위성 시스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의 원형 패치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글로벌 측위 시스템(GPS) 신호와 글로벌 항행 위성 시스템(GLONASS)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고주파 수신용 광대역 패치 안테나에 있어서,
    비유전율이 높은 세라믹으로 구성되고 모서리가 절단된 세라믹 유전체 기판과,
    상기 세라믹 유전체 기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원형 패치와,
    상기 세라믹 유전체 기판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아래에 위치하여 입력단자의 신호를 분배기를 이용하여 크기가 같고 90°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신호로 분리되도록 선로의 길이를 조정하는 급전회로와,
    상기 원형 패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핀과,
    상기 원형 패치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단자핀을 통하여 상기 원형 패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글로벌 측위 시스템 및 상기 글로벌 항행 위성 시스템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가능하도록 한 이중 프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유전체는 비유전율이 21이고, 5.1mm의 높이와 29.5*29.5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패치의 반경은 11.4mm 이며,
    급전 프루브의 위치는 상기 원형패치의 중심으로 부터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회로에 사용된 기판은 비유전율이 2.17이고, 0.508mm의 두께를 가진 테플론 기판이고, 50*5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6. 삭제
KR10-2000-0087057A 2000-12-30 2000-12-30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KR10039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057A KR100391844B1 (ko) 2000-12-30 2000-12-30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057A KR100391844B1 (ko) 2000-12-30 2000-12-30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921A KR20020058921A (ko) 2002-07-12
KR100391844B1 true KR100391844B1 (ko) 2003-07-16

Family

ID=2768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057A KR100391844B1 (ko) 2000-12-30 2000-12-30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87B1 (ko) 2013-01-23 2014-08-22 주식회사 아모텍 초광대역 패치 안테나
KR20200121479A (ko) * 2019-04-16 2020-10-2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배열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914B1 (ko) * 2005-08-03 2007-06-27 (주)파트론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의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2237A (ja) * 1992-10-29 1994-05-31 Nippon Avionics Co Ltd パッチアンテ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2237A (ja) * 1992-10-29 1994-05-31 Nippon Avionics Co Ltd パッチアンテナ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제테크노정보연구소 "이동통신안테나시스템" p202-205, 2000.07.15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87B1 (ko) 2013-01-23 2014-08-22 주식회사 아모텍 초광대역 패치 안테나
KR20200121479A (ko) * 2019-04-16 2020-10-2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배열 안테나
KR102416433B1 (ko) 2019-04-16 2022-07-0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배열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921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75B1 (ko) 스터브 기생소자를 갖는 적층형 세라믹 원형편파 안테나
US3971032A (en) Dual frequency microstrip antenna structure
US8269686B2 (en) Dual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US5786793A (en) Compact antenna for circular polarization
US7642979B2 (en) Wave-guide-notch antenna
CA2615539C (en) Leaky wave antenna with radiating structure including fractal loops
JP4964294B2 (ja) マルチバンド逆l字状アンテナ
US4803494A (en) Wide band antenna
US20110115676A1 (en) Compact Multipath-Resistant Antenna System with Integrated Navigation Receiver
JPH1056322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給電円筒形スロット・アンテナ
CN113745849B (zh) 单频圆极化定位天线和可穿戴设备
CN106486741A (zh) 一种空气贴片微带天线
Rohrdantz et al. Ka-band antenna arrays with dual-frequency and dual-polarized patch elements
KR101409768B1 (ko) 다중대역 gps안테나
US20240048182A1 (en) High-performance probe for near-field antenna measurement
KR100391844B1 (ko) 세라믹 유전체 원형 패치 안테나
KR101105443B1 (ko) Gps용 세라믹 패치 안테나
KR101948443B1 (ko) 독립적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패드 간접급전 구조를 갖는 이중대역 패치 안테나
JP2002094323A (ja) 円偏波アンテナ装置
Berg et al.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lly-fed dual circularly polarized GNSS antenna
Murugan et al. Design of wideband circularly polarized capacitive fed microstrip antenna
Maqsood et al. Dual-ban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s for GNSS remote sensing onboard small satellites
JP3189809B2 (ja) パッチアンテナおよびその特性調整方法
JP3181326B2 (ja) マイクロストリツプアンテナ、およびアレーアンテナ
US6181277B1 (en) Microstrip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