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849B1 -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849B1
KR100389849B1 KR1019960054509A KR19960054509A KR100389849B1 KR 100389849 B1 KR100389849 B1 KR 100389849B1 KR 1019960054509 A KR1019960054509 A KR 1019960054509A KR 19960054509 A KR19960054509 A KR 19960054509A KR 100389849 B1 KR100389849 B1 KR 10038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developing
developing roller
develo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035A (ko
Inventor
곽동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84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는 현상롤러가 구비된 현상기유니트와, 현상롤러가 감광드럼에 접촉 및 분리되도록 현상기유니트를 감광드럼 방향으로 진행 및 후퇴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현상기유니트는,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기와, 그 현상기가 소정간격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걸림턱이 형성된 현상기프레임을 포함하며, 이송수단은, 현상롤러를 감광드럼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제1걸림턱을 감광드럼의 역방향으로 강제로 잡아당기는 강제분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강제분리수단을 채용함으로써, 분리시간의 불균일이나 현상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감광매체로부터 현상롤러의 분리를 강제적으로 수행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원고로부터 또는 소정의 소스로부터 취득한 화상정보에 따라 감광매체, 예컨대 감광드럼을 노광하여 감광드럼에 보이지 않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그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제(토너)를 부착시켜 그 정전잠상이 드러나 보이도록 현상하여 그 현상된 화상을 기록지에 전사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게끔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대전롤러(30)와, 대전롤러(30)와 접촉되며 회전되는 감광드럼(20)을 구비하며, 이때 감광드럼(20) 및 대전롤러(30)는 가이드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20)에 근접되게 현상기유니트(50)가 설치되고, 현상기유니트(50)의 현상롤러(60)는 감광드럼(20)에 형성된 정전잠상(미도시)에 토너(미도시)를 공급한다. 이러한 현상기유니트(50)는 감광드럼 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현상기프레임(70)과, 그 현상기프레임(70)에 설치된 현상기(55)로 이루어진다. 상기 현상기유니트(50)는 현상기프레임(70)이 푸쉬부재(80)에 의해 밀리는 것에 의해 감광드럼(20) 방향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부재(80)는 현상기프레임(70)에 접촉되는 헤드(85)와, 그 헤드(85)를 지지하는 스프링(86)과, 상기 스프링(86)이 지지되는 베이스(87)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87)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현상시 및 현상완료시 감광드럼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인쇄기에 있어서, 현상시, 상기 푸쉬부재(80)의 베이스(87)가 감광드럼(20) 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86)에 지지되는 헤드(85)가 현상기프레임(70)에 접촉되어 바이어스를 가한다. 상기 현상기프레임(70)은 상기 헤드(85)에 밀리어 감광드럼(20) 방향으로 움직이고, 현상롤러(60)는 감광드럼(20)에 접촉되면서 현상이 진행된다.
한편, 현상이 완료되면, 상기 베이스(87)는 구동수단에 의해 후퇴하여 스프링(86) 및 헤드(85)를 후퇴시킨다. 상기 헤드(85)가 후퇴되면 현상기유니트(50)의 자중에 의하여 현상전의 초기 위치로 귀환되므로 현상롤러(60)는 감광드럼(20)에서 분리된다.
그런데, 상기 현상롤러(60)를 감광드럼(20)에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현상기프레임(70) 및 현상기(55)로 이루어진 현상기유니트(50)의 자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분리시간을 불균일하게 하여 다음 현상시 현상시간을 지연된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60)을 감광드럼(20)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기 푸쉬부재는 현상기유니트(50)의 하면에 바이어스를 가하게 된다. 이러한 바이어스는 현상기(55)를 통하여 현상롤러(60)로 전달되므로 현상롤러(60)의 운동이 불균일하다. 따라서, 현상롤러(60)와 감광드럼(20) 사이의 현상압력이 일정치 못하게 되어 화상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감광드럼으로부터 현상롤러를 강제 분리시켜 분리시간의 불균일 및 현상시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상롤러와 감광드럼 사이의 현상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III-III'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가이드프레임120 ... 감광드럼
130 ... 대전롤러150 ... 현상기유니트
153 ... 현상기프레임153a ... 제1걸림턱
155 ... 현상기160 ... 현상롤러
200 ... 강제구동수단210 ... 캠부재
210a ... 회전축250 ... 로드부재
250a ... 캠면접촉부250b ... 제2걸림턱
260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는 현상롤러가 구비된 현상기유니트와, 상기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 및 분리되도록 상기 현상기유니트를 상기 감광드럼 방향으로 진행 및 후퇴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유니트는,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기와, 그 현상기가 소정간격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걸림턱이 형성된 현상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현상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제1걸림턱을 감광드럼의 역방향으로 강제로 잡아당기는 강제분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리수단은, 회전축에 결합된 캠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감광드럼 반대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캠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캠부재(210)의 캠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캠면접촉부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감광드럼 방향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기프레임의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을 가지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로드부재에는 그 로드부재를 상기 감광드럼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가이드프레임(110)에 대전롤러(130)가 설치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20)이 상기 대전롤러(130)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20)에 근접되게 현상기유니트(150)가 설치되며, 이 현상기유니트(150)는 감광드럼(120)에 접촉되는 현상롤러(160)를 구비하여서 상기 정전잠상(미도시)에 토너(미도시)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현상기유니트(150)는 현상기프레임(153)과 현상기(155)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상기(155)는 현상기프레임(153)에 대해 소정간격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현상기(155)의 전방의 현상기프레임(153)의 일측 지점에는 제1걸림턱(1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기유니트(150)는 후술할 로드부재(250)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감광드럼 방향으로 진행 또는 후퇴된다.
본 발명에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현상롤러(160)를 상기 감광드럼(12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그 현상롤러(160)가 마련되는 상기 현상기유니트(150)를 상기 감광드럼 역방향으로 강제 구동시키는 강제구동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강제구동수단(200)은 회전되는 회전축(210a)에 결합된 캠부재(210)와, 그 캠부재(210)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로드부재(250)를 구비한다. 상기 캠부재(210)는 그 회전반경이 각각 다른 것으로 회전축(210a)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캠부재(210)가 회동됨에 따라 움직이는 로드부재(250)는 그 일측에 상기 캠부재(210)의 캠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캠면접촉부(250a)가 마련되어 있다. 그 로드부재(250)의 타측에는 로드부재(250)가 감광드럼 방향으로는 진행할 때, 현상기(155)에 접촉되고, 감광드럼 역방향으로 후퇴할 때, 상기 현상기프레임(110)의 제1걸림턱(153a)에 걸리는 제2걸림턱(25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드부재(250)의 내부에는 스프링(26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로드부재(250)가 캠부재(210)에 의해 밀리지 않을 때 상기 로드부재(250)는 감광드럼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즉, 로드부재(250)가 감광드럼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로드부재의 타측단부는 현상기(155)를 밀게되고, 감광드럼 역방향으로 후퇴되면 그 타측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2걸림턱(250b)는 현상기프레임(153)의 제1걸림턱(153a)을 잡아당기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상시, 상기 캠면접촉부(250a)가 캠부재(21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로드부재(250)은 현상기유니트(150)를 감광드럼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이 상태에서 현상기유니트(150)의 현상롤러(160)는 감광드럼(120)에 접촉되고 현상이 진행된다.
현상완료시, 상기 현상롤러(160)를 감광드럼(120)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강제구동수단(200)이 가동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축(210a)이 회전되어 캠부재(210)가 회전된다. 캠부재(210)가 회전되어 회전축(210a)으로부터 큰 반경의 캠면이 서서히 상기 캠면접촉부(250b)에 접촉됨에 따라 로드부재(250)는 서서히 감광드럼 역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그러면, 로드부재(250)의 제2걸림턱(250b)이 현상기(155)에서 분리되고, 좀더 분리되면, 그 제2걸림턱(250b)가 제1걸림턱(153a)에 걸리게 되어 결국 제1걸림턱(153a)을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기프레임(153)이 당겨지면서 결국 현상기(155)를 감광드럼 역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현상롤러(160)를 감광드럼(120)으로부터 강제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현상롤러(160)는 현상기유니트(150)가 강제적으로 감광드럼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강제 분리되므로, 종래 현상기유니트의 자중에 의하여 분리되던 구조에 비해 분리시간의 불균일로 인한 현상시간지연이 없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160)를 감광드럼(120)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기 현상기유니트(150) 전체를 감광드럼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아니고, 현상기(150)만을 진행시키는 구조이므로 종래 구조보다 현상롤러(160)와 감광드럼(120) 사이의 현상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여 화상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현상롤러를 현상 드럼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현상기유니트를 강제적으로 감광드럼 역방향으로 이송시켰다. 따라서, 종래 현상기프레임 및 현상기유니트의 자중에 의해 현상롤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시켰던 것보다 더욱 확실하게 현상롤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시간의 불균일로 인한 현상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를 감광드럼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현상기유니트 전체를 감광드럼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아니고, 현상기만을 진행시키는 구조이므로 현상롤러와 감광드럼 사이의 현상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되는 현상롤러가 구비된 현상기유니트와, 상기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 및 분리되도록 상기 현상기유니트를 상기 감광드럼 방향으로 진행 및 후퇴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유니트는,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기와, 그 현상기가 소정간격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걸림턱이 형성된 현상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현상롤러를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제1걸림턱을 감광드럼의 역방향으로 강제로 잡아당기는 강제분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리수단은,
    회전축에 결합된 캠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감광드럼 반대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캠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캠부재의 캠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캠면접촉부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감광드럼 방향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기프레임의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을 가지는 로드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에는 그 로드부재를 상기 감광드럼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19960054509A 1996-11-15 1996-11-15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038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509A KR100389849B1 (ko) 1996-11-15 1996-11-15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509A KR100389849B1 (ko) 1996-11-15 1996-11-15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035A KR19980036035A (ko) 1998-08-05
KR100389849B1 true KR100389849B1 (ko) 2004-03-19

Family

ID=3742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509A KR100389849B1 (ko) 1996-11-15 1996-11-15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1269B (zh) * 2016-12-24 2024-05-14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显影单元以及包含该显影单元的处理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035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581B1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
KR100673494B1 (ko) 화상 형성 장치
US4357098A (en)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US5027152A (en) Image-forming machine having a process unit detachably mountable on a movable supporting and guiding means
US5303010A (en) Doctor blade mounting structure
US4639749A (en) Printing apparatus
KR100389849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3778200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4416532A (en) Latching and tensioning mechanism for closed-loop belt supporting capstan
JP3086074B2 (ja) 給紙装置
US7024136B2 (en) Method for extending the lifetime of an endless belt
JP3317994B2 (ja) プロセスユニット
JP4084517B2 (ja) 画像形成装置
JP3196238B2 (ja) 定着装置
EP0387035B1 (en) Sheet positioning device
JPS60177371A (ja) 複写装置等における現像装置の逃避装置
JPH03200981A (ja) 連続記録紙を用いたプリンタの記録紙退避促進機構
KR100219660B1 (ko) 프린터용 감광벨트 제거장치
JP2856951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83121A (ja) 画像形成装置
JP48374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751299B2 (ja) 画像形成装置のブレードクリーニング装置
JPH0546016A (ja) 層規制装置
JP2960084B2 (ja) 像形成装置
JP2942376B2 (ja) 連続記録紙を用いるプリンタの記録紙退避促進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