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758B1 -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758B1
KR100389758B1 KR10-2000-0039445A KR20000039445A KR100389758B1 KR 100389758 B1 KR100389758 B1 KR 100389758B1 KR 20000039445 A KR20000039445 A KR 20000039445A KR 100389758 B1 KR100389758 B1 KR 10038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ebral
composition
hours
cerebral ischemic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908A (ko
Inventor
손낙원
강철훈
조정원
Original Assignee
조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원 filed Critical 조정원
Priority to KR10-2000-003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7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발명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중대뇌동맥 폐쇄에 의하여 발생하는 뇌허혈 손상을 억제하여, 뇌허혈성 질환 치료에 유용하다.

Description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Sophora subprostrata for curing cerebral ischemic damage}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뇌혈관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두근추출물을 포함하는 중풍 등 뇌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중풍은 우리사회의 주요 사망원인 중의 하나이다. 중풍을 비롯한 뇌 질환에 대한 치료는 뇌신경세포의 재생이 어렵다는 조직학적 특성상 치료보다는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뇌허혈이 발생되면 신경세포의 탈분극이일어나고, 시냅스의 글루타메이트가 유리되어 세포외 글루타메이트 농도가 증가한다. 또한 ATP의 감소로 인한 능동수송의 역전은 세포외 글루타메이트의 축적을 가속시킨다. 세포외 글루타메이트의 축적은 양이온의 세포 내 과유입을 초래하는데, Ca의 세포내 유입이 증가하여 특히 Ca 의존성 프로테아제, 리파제와 각종 모듈레이터의 활동이 촉발된다. 결국 프리 레디컬이 생산되어 세포벽 등 세포구조물을 파괴하여 신경세포가 죽게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뇌조직의 대사와 혈류의 조절인자이며, NMDA 수용체-매개 신경독성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나이트릭 옥사이드(NO)가 뇌허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프로틴 카이네이즈 C(이하"PKC"라 함)는 세포 내 신호전달계에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써 뇌허혈에 의한 세포사의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으며, 저체온법에 의한 뇌신경세포 보호효과는 PKC의 활동의 억제와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도 보고된 바 있다.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세포외로부터 칼슘-흡수를 줄여줌으로써 얻어지는 신경방어 효과에 관한 연구가 있어왔다. ATP와 크레아틴 인산의 상용율을 감소시키는 칼슘 길항베들이나 칼슘 채널 차단제들, 신경세포 독성을 일으키는 NMDA(N-methyl-D-aspartate)또는 흥분 아미노산의 길항제들에 의한 뇌허혈 발생의 억제효과들도 예시되어 왔다(Sauter et al.,Neurochemistry, 9:211-236,1998; Siesjo BK et al., J.Cereb blood Metab,9:127-140,1989).
일반적으로, 현재까지 뇌허혈성 질환에 관한 치료약으로는 티크로피딘(ticlopidine), 시로스타졸(cilostazole) 또는 프로스타시크린(prostacycline)과 같은 혈소판 응집 억제제나 항트롬빈제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는 종종 두통, 심계항진 및 간에 부담을 주는 등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적은 뇌허혈성 질환에 관한 치료 및 예방용 약제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한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뇌허혈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뇌허혈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쥐 내의 관상 절개를 나타낸 그림으로, 원의 크기와 세포수는 현미경(x200)으로 측정하였다.
도 2는 이간(interaural)선에서 2mm에서 12mm 뇌절편내의 뇌허혈 손상 면적을 나타낸 그림으로, 대조군은 중대뇌동맥이 폐쇄된 쥐이고, SS군은 중대뇌동맥 폐쇄 후 광두근추출물을 투여한 쥐이다.
도 3은 TTC 염색된 뇌 절편내의 뇌허혈 손상 면적을 나타낸 그림으로, A와 B부분 각각은 일련의 쥐 뇌 관상절개를 나타낸다. 뇌에 손상이 없는 정상부위는 TTC에 의해 짙은 분홍색으로 염색되고, 뇌허혈손상된 면적은 흰색으로 염색된다. A는 중대뇌동맥이 폐쇄된 대조군의 2mm 두께의 관상 절개이고, B는 광두근 추출물이 투여된 2mm 두께의 관상 절개를 보여준다. B에서는 A에 비하여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흰 뇌허혈손상 면적의 크기가 감소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4는 각 군의 총 뇌허혈체적을 나타낸 그림으로, 대조군은 중대뇌동맥이 폐쇄된 쥐이고, SS군은 중대뇌동맥 폐쇄 후 광두근추출물을 투여한 쥐이다. 대조군의 값과 비교하여 SS군은 유의성을 갖는다(☆☆;P〈0.01).
도 5는 대뇌피질의 신경세포에 대한 사진으로, 각각은 중대뇌동맥 폐쇄 후 대뇌피질을 크레실 바이올렛으로 염색한 것이다. A는 정상 대뇌피질의 신경세포이고, B는 대조군으로, 중대뇌동맥이 폐쇄된 대뇌피질이고, C는 광두근이 투여된 군의 대뇌피질을 보여준다. A에 비하여 B의 신경세포는 위축되고, 세포가 손실된 것을 볼 수 있다. C의 신경세포는 B에 비하여 세포의 크기나 수가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수조내에서 각 군의 유영패턴을 나타낸 그림으로, A는 정상군의 유영형태이고, B는 대조군의 유영형태이다. +는 유영시작 점을 나타낸다.
도 7은 수조내에서 각 군들의 시간에 따른 유영 총거리를 나타낸 그림으로, 오차 바는 평균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도 8은 수조내에서 각 군들의 시간에 따른 좌측회전각도를 나타낸 그림으로, SS군이 대조군의 값에 비해 유의성을 갖는다(P〈0.05).
도 9는 시간에 따른 각 군들의 좌측방향 전환횟수를 나타낸 그림으로, SS군이 대조군의 값에 비해 유의성을 갖는다(P〈0.05).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두근은 친수성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물을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산제, 과립,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액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와 같은 단위투여용 또는 수회 투여용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투여할 수 있으며, 20mg/kg이하의 경우는 효과가 관측되지 않으며 500mg/kg이상일 경우 구토 등 부작용이 관측될 수 있어서, 하루에 체중 1kg 당 20mg 내지 500mg 으로 1 내지 수회에 걸쳐 투여할 수 있다. 특정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두근(Sophora subprostrata)은 한의학에서, 청열해독, 소종리인(消腫利咽)의 효능으로, 두진해독, 폐암 등의 증상에 사용되어 온 약물이며,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항암작용도 밝혀져 많은 종류의 암종을 치료하며, 조기의 인후암과 폐암에 일정한 치료효과가 보고되어 왔다. 광두근의 성분 중 마트린(matrine)은 안전한 눈 염증치료제이며, 진통제로도 효과가 있으며, 심혈관계에 작용하여 저혈압, 서맥증 및 부정맥에 효과가 알려져있다.
한편, 실험동물에 뇌허혈을 유발시키는 방법은 혈관을 폐쇠하여 전 뇌허혈을 유발하는 방법과 국소 뇌허혈을 유발하는 방법이 있다. 국소 뇌허혈은 폐쇠부위에 따라 중대뇌동맥의 근위부 폐쇄와 원위부 폐쇠가 있으며, 폐쇠방법에 따라 최대 3시간까지 폐쇠하는 일시적 폐쇄와 1일 이상 폐쇄하는 영구적 폐쇄가 있다. 일시적 폐쇄와 영구적 폐쇄 모두 세포사의 기전은 다르지만 6시간에서 72시간까지의 손상정도와 손상된 신경세포 수의 경우에 거의 유사하다. 중대뇌동맥의 근위부를 폐쇄하는 방법의 하나인 혈관내봉합사삽입술(intraluminal method)은 수술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수술에 의한 대뇌손상이 없으며, 대뇌피질과 기저핵에 모두 뇌허혈 손상이 일어난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은 코이주미(Koizumi)등이 처음 제안하여, 나가사와(Nagasawa)등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제아 론가(Zea Longa) 등은 임상과 유사한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개선시켰다. 코이주미의 방법은 내경동맥에 직접 봉합사를 삽입하여 측부 순환에 의해서만 혈액의 재관류가 가능하다. 반면에 지아 론가 등의 방법은 외경동맥을 통해 내경동맥에 봉합사를 삽입하여 재관류시 완전한 혈액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 대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라나 이 방법만으로는 뇌허혈 유발에 있어, 재현성이 적으며, 수술 성공률이 낮다. 이에 베레이에브 등은 혈관내 삽입할 봉합사에 폴리-L-라이신 코팅을 하여 흰쥐의 종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뇌허혈을 유발하였음을 보고하였다.
일시적 중대뇌동맥 폐쇄의 경우가 보다 임상상황과 유사하지만 중대뇌동맥의 영구적 폐쇄방법은 흰쥐의 종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한 부위와 크기의 뇌허혈이 유발되고, 대뇌피질 뿐만 아니라 기저핵 부분에도 광범위하게 뇌허혈이 발생하여, 뇌허혈 손상에 따른 운동실조가 일어나 행동생리학적 평가가 용이하다.
중대뇌동맥을 영구폐쇄한 동물모델에서 TTC염색상 뇌허혈 손상 면적의 크기는 6시간에서 최대가 되고, 9시간에서 24시간 사이에서는 변화가 없으며, 기저핵의 측면부가 대뇌피질보다 뇌혈류가 낮게 나타난다.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시간은 뇌허혈발생 후 3시간에서 6시간까지라고 하였다. 신경세포의 괴사는 선조체 부위에서 먼저 발생하고, 대뇌피질로 퍼져나가며, 뇌허혈 발생 후 첫 6시간 동안은 위축과 부종같은 급성변화가 생기고, 6시간에서 12시간에서 괴사와 같은 지발성 변화가 관찰된다. 따라서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뇌허혈발생 초기 수 시간 내의 처치가 필요하다.
뇌허혈 실험동물 모델을 사용한 새로운 약물의 평가에 있어, 조직학적, 신경학적 및 행동학적 연구들이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흰쥐에 중대뇌동맥 폐쇄에 의한 뇌허혈을 유발하고 광두근추출물을 뇌허혈 초기에 경구투여한 다음 뇌허혈 유발 24시간 후에 자세반사와 자유유형을 통한 운동기능 실조의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뇌조직에서 트리페닐 테트라졸리움 클로라이드(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TTC)염색에 의하여 뇌허혈 손상면적을, 크레실바이올렛(cresyl violet)염색에 의하여 뇌허혈 손상면적을, 크레실바이올렛 염색에 의하여 신경세포의 변화를 관찰한 바 뇌허혈 손상 초기에 광두근이 뇌신경세포 보호작용을 보이는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대한실험동물센터에서 구입한 체중 180g 전후의 스프라그-다우레이(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다. 물과 펠렛사료(제일사료주식회사, 대전)는 자유롭게 먹도록 하였으며, 사육실 내의 온도는 21∼24℃,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낮과 밤의 주기는 각각 12시간으로 하였다. 실험실 환경에 2주간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으며, 실험시의 흰쥐체중은 250∼300g이었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물의 조제 및 투여
광두근(Sophora subprostrata) 600g을 5,000ml 라운드 플라스크에 넣고, 3,000ml의 정제수를 가하여 냉각기가 부착된 전탕기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포로 여과한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물추출 98.0g을 얻었다. 약물의 투여는 실험동물의 체중 100g 당 광두근 10.9mg을 2ml의 물에 녹여, 중대뇌동맥 폐쇄시점으로부터 1시간과 4시간 후에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실시예 2: 뇌허혈 손상 면적 및 체적 관찰
1) 뇌허혈 손상의 유발
중대뇌동맥 폐쇄에 의한 뇌허혈 손상 유발방법 중 제아 론가 등의 혈관내봉합사삽입술을 채택하였다. 수술의 모든 과정은 그 방법을 따랐으나, 보다 광범위하고, 일정한 뇌허혈 유발을 위해, 베레이에브 등이 사용한 폴리-L-라이신 코팅법과 영구폐쇄방법을 시행하였다.
수술과정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체중 250∼350g 사이의 건강한 흰쥐를 크로랄 하이드레이트 350mg/kg을 복강 주사하여 마취한 후 수술용 현미경(Carl Zeiss, Zeiss, Germany)하에서 먼저 전경부의 근육을 정리하여 혈관을 노출시킨 후 의경동맥과 총경동맥을 잘 정리하였다. 후두동맥과 상갑상동맥을 전기 응결제(electric coagulator;Ellman, Dento-Surg 90 FFP, USA)를 사용하여 절단하였다. 외경동맥의 원위부는 결찰하고, 수술실(5-0 실크 봉합용실)로 고정고리를두 개 만들어 놓은 후, 내경동맥과 총경동맥은 수술실(3-0실크 봉합용실)과 동맥 클램프를 사용하여 혈행을 완전 차단하였다. 미세수술가위로 외경동맥의 혈관벽을 약간 절제한 후 0.1%w/v의 폴리-L-라이신 용액(Sigma)로 코팅한 봉합사(4-0 나일론 봉합용실, Ethilon, Brazil)을 18-20mm 정도 삽입하였다. 전경부의 피부를 봉합, 소독하고 마취에서 깨어난 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였다.
혈관내 봉합사삽입술을 시행한 21마리 중 12마리는 대조군으로 하고, 9마리는 수술 후 1시간과 4시간에 광두근 물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5마리는 위의 과정 중 혈관내봉합사 삽입과정만을 제외한 수술을 시행하여 가짜(sham)군으로 하였으며, 모든 실험군에서 수술과 중대뇌동맥의 폐쇄는 우측만을 시행하였다.
2) 뇌허혈 손상 면적 및 체적의 측정
뇌허혈 유발 24시간 후에 실험동물에 20% 크로랄 하이드레이트를 복강내 주사하여 희생하여 단두하였다. 곧 뇌를 적출한 후 랫 브레인 메트릭스(ASI,USA)를 이용하여, 랫 브레인 애틀러스(atlas)의 인터아우랄(interaural) 디스턴스(distance)에 따라 2mm 두께의 6개의 뇌절편을 만들었다. 이 6개의 뇌절편을 2% TTC(Sigma)용액에 넣어 37℃ 인큐베이터(대일랩)에서 30분간 염색을 시행하였다. 염색이 끝난 각각의 뇌절편은 카메라(Nikon)로 촬영한 후 스캐너(Epson)로 스캔하여 컴퓨터(맥킨토시)에 입력한 다음 영상분석용 "NIH Image"스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 뇌절편에서 뇌허혈 손상면적을 측정하였다. 뇌허혈손상면적(A)은 부종에 의하여 손상면적이 늘어난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먼저 정상측 대뇌반구의 면적(B)을 측정하고, 손상 측 대뇌반구 정상조직 면적(C)을 측정한 다음 정상 측 대뇌반구 면적에서 손상 측 대뇌반구의 정상조직의 면적을 감하는 방법(A=B-C)으로 계산하였다. 총뇌허혈 손상체적은 아래 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중대뇌동맥을 폐쇄한 대조군에서는 뇌허혈 손상이 인터아우럴 12mm에서 2mm 절편까지 모두 나타났으며, 가장 뇌손상이 큰 절편은 10∼8mm 절편이었다. 약물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도 뇌허혈손상이 나타나는 양상은 대조군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도 2참조). TTC 염색된 조직에서 붉게 보이는 부위는 정상조직이며 희게 보이는 부위는 뇌허혈이 생긴 조직이다. 광두근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육안적 관찰로도 흰 부위가 줄여듬을 알 수 있다(도 3참조).
대조군에서는 뇌허혈 손상 면적이 인터아우럴 12mm에서 2mm 절편까지 각각 2mm 간격 절편에서 19.9±3.0mm2, 28.8±3.3mm2, 26.6±3.9mm2, 20.7±4.7mm2, 9.7±2.1mm2및 6.3±1.8mm2을 나타냈으며, 광두근투여군은 각각 11.9±4.1mm2, 20.7±4.8mm2, 13.5±4.1mm2, 6.3±2.2mm2, 2.1±1.7mm2및 0.3±0.9mm2로 유의성(P〈0.05 또는 P〈0.01)있는 뇌허혈 발생의 억제를 나타내었다. 중대뇌동맥을 폐쇄한 대조군의 뇌허혈 손상 체적은 244.3±21.8mm3이었다. 광두근 투여군은 110.4±28.9mm3으로 매우 유의한 (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도 4참조).
실시예 3: 뇌허혈 손상부위 신경세포의 관찰 및 측정
TTC 염색된 각각의 뇌절편은 카르노이(Carnoy)용액에 40분간 고정하고, 80%에탄올에서 TTC를 제거한 후 탈수, 투영을 거쳐 파라핀 포매하여 8㎛두께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1%의 크레실바이올렛 용액에 25분간 염색하였다. 각각의 조직절편은 광학현미경(Olympus,JAPAN)으로 200배율 하에서 뇌허혈손상부위에 나타나는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면서 컴퓨터(맥킨토시)에 영상을 입력하였다. 입력된 영상을 "NIH Image"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인터아우럴 6mm 절편 중 대뇌피질부위의 일정면적(320㎛ x 466㎛)내에서 20㎛2이상의 크기를 갖는 신경세포의 수와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뇌허혈손상을 입지 않은 정상적인 대뇌피질에서 나타나는 신경세포수는 204±2.1개였고, 그 크기는 75.2±1.1㎛2였다(도 5의 A면). 중대뇌동맥을 폐쇄한 대조군에서의 신경세포 수는 105.6±17.4개였고, 그 크기는 34.3±2.1㎛2였다. 이는 정상부위의 신경세포 수와 크기를 비교해보면 현저한 감소를 하였다(도 5의 B면). 광두근 투여군에서의 신경세포수는 201.5±12.3개였고, 그 크기는 56.3±3.4㎛2로 광두근 투여로 신경세포의 손상이 각각 유의하게(P〈0.01, P〈0.001)억제되었다(도 5의 C면).
실시예 4: 자유유영 양상의 관찰 및 측정
뇌허혈 손상이 유발된 실험동물에 대한 행동생리학적 평가는 모리스 워터 메이즈(Morris water maze)를 응용하였다. 원형수조에 높이 42cm로 물을 채우고 1kg의 탈지분유를 풀어 수조 내의 색깔을 동일하게 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물의 온도는 22±2℃로 유지하였다. 수조의 주변은 카메라, 실험대, 컴퓨터, 의자 등 공간단서들을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실험기간동안 실험자의 위치 또한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실험과정은 중대뇌동맥 폐쇄 후 3시간, 6시간, 9시간 및 24시간에 각각 1회 자유유영을 시행하면서, 운동기능 실조 및 행동특징 등을 관찰하였다. 각 동물들은 유영직전 두정부에 인식 스티커를 부착하고 일정한 방향을 향하여 60초 동안 자유유영을 시키면서 CCD 카메라로 추적하여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저장된 60초간의 유영자료는 폴리트랙(샌디에고 인스트류먼즈)를 이용하여 60초간의 총유영거리, 좌측회전각도, 좌측방향전환횟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상군과 가짜군(sham)의 경우 실험동물이 주로 수조의 벽면을 타고 움직이거나 반대측 벽면을 향해 직진하는 성향을 가진 반면 중대뇌동맥을 폐쇄한 대조군은 좌측으로 작은 동심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행동양상을 보였다(도 6참조). 유영총거리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총 거리가 모든 군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모든 군에서 각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도 7참조).
좌측회전각도는 중대뇌동맥을 폐쇄한 대조군이 3시간, 6시간, 9시간 및 24시간에서 가짜군에 비해 각각 31.2, 16.2, 25.6 및 26.2%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유의한(P〈0.05 또는 P〈0.01)차이를 나타내었다. 광두근투여군은 대조군에 대하여 3시간에서 좌측회전각도가 21.1% 감소하여 유의한 효과(P〈0.05)를 나타내었다(도 8참조).
좌측회전수는 중대뇌동맥을 폐쇄한 대조군에서는 3시간, 6시간, 9시간에서 가짜군에 비해 각각 37.8, 17.9 및 20.2%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1), 광두근투여군이 3시간에서 대조군에 대하여 20.0%감소하여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으며, 9시간에서는 10.2%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도 9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1) 뇌허혈 유발 24시간에서 뇌허혈 손상부위의 면적 및 체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2) 뇌허혈 유발 24시간에서 대뇌피질에서 신경세포 수의 손상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신경세포의 위축 또한 유의하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3) 뇌허혈 유발 3시간에서 좌측회전횟수와 좌측회전각도가 유의하게 회복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중대뇌동맥 폐쇄에 의하여 발생하는 초기의 뇌허혈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2)

  1. 활성성분으로 유효량의 광두근 추출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광두근 추출물의 유효량이 20mg 내지 500mg/kg 체중/일인 뇌허혈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000-0039445A 2000-07-11 2000-07-11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치료용 조성물 KR10038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445A KR100389758B1 (ko) 2000-07-11 2000-07-11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445A KR100389758B1 (ko) 2000-07-11 2000-07-11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908A KR20020005908A (ko) 2002-01-18
KR100389758B1 true KR100389758B1 (ko) 2003-07-02

Family

ID=1967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445A KR100389758B1 (ko) 2000-07-11 2000-07-11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7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364A (ja) * 1983-07-26 1985-02-12 Kayoko Tomiyama 血管強化作用を有する健康食品の製造方法
KR101159332B1 (ko) * 2004-09-03 2012-06-2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확장가능한 미디어의 분산형 스트리밍을 위한 시스템 및방법
KR101220312B1 (ko) * 2012-06-28 2013-01-10 태성전장주식회사 써미스터 온도센서용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제조된 써미스터 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364A (ja) * 1983-07-26 1985-02-12 Kayoko Tomiyama 血管強化作用を有する健康食品の製造方法
KR101159332B1 (ko) * 2004-09-03 2012-06-2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확장가능한 미디어의 분산형 스트리밍을 위한 시스템 및방법
KR101220312B1 (ko) * 2012-06-28 2013-01-10 태성전장주식회사 써미스터 온도센서용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제조된 써미스터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908A (ko) 200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983B2 (en) Methods to protect skeletal muscle against injury
US20100266532A1 (en) Methods for inhibiting scarring
EP1782815B1 (en) Compound for use in the diagnosis of cns acute damage
US20170151200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ies
US20160158166A1 (en) Methods of reducing brain cell apoptosis
KR20010101218A (ko) 진세노사이드 Rb₁을 함유하는 뇌세포 또는 신경세포보호제
WO2017082707A1 (ko) 비강 투여를 통한 뇌졸중 치료용 조성물
Pedersen et al. Cell death in the injured brain: roles of metallothioneins
EP3320901B1 (en) Dimethylaminomicheliolid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ulmonary fibrosis
KR100389758B1 (ko) 광두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뇌허혈성 질환치료용 조성물
TWI327473B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 cerebrovascular disease and a method for increasing expression of erythropoietin
BR112020000115A2 (pt) sais farmaceuticamente aceitáveis de polipeptídeos e uso dos mesmos
WO2005014007A1 (es) Compuest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desmielinizantes y autoinmunes
CN105963287B (zh) 复方组合物及其医药用途
CN105878470A (zh) 一种清开灵药物组合物
CN112353794A (zh) 一种治疗脑梗死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20210088775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1795193B1 (en) Histidine for suppressing brain tissue necrosis attributed to long-time ischemia
Hashizume et al. Effect of the free radical scavenger MCI-186 on spinal cord reperfusion after transient ischemia in the rabbit
CN106518972B (zh) 含有磷酸化酪氨酸的多肽、其应用及药物组合物
KR101023171B1 (ko)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5232499A (zh) 3,4-二羟基苯甲醛制备治疗或/和预防脑缺血再灌注损伤的药物的用途
KR20210140711A (ko)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안정성이 높은 망간 과산화물 디스뮤타아제의 용도
Grehn et al. Neuroprotection in Glaucoma
Zhao et al. THE THERAPEUTICAL POTENTIAL OF GABAPENTIN COMBINED WITH DIOSCOREA OPPOSITA THUNB EXTRACTS ON A MURINE MODEL OF VASCULAR DEMENTIA BY MODULATING P2RX7 RECEP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