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629B1 - 휴대폰 충전 회로 - Google Patents

휴대폰 충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629B1
KR100389629B1 KR10-2000-0086363A KR20000086363A KR100389629B1 KR 100389629 B1 KR100389629 B1 KR 100389629B1 KR 20000086363 A KR20000086363 A KR 20000086363A KR 100389629 B1 KR100389629 B1 KR 10038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istor
resistor
diod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301A (ko
Inventor
현승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6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629B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도중 폰(phone)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폰(phone)신호의 입력전압과 관계없이 전류를 임계치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휴대폰 충전 회로에 관한 것으로, 입력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저항을 통해 콜렉터 단자로 입력받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2저항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와 상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3저항과; 상기 제 3저항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4저항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가 공통으로 묶여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저항을 통해 콜렉터 단자로 입력받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 사이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 1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폰 충전 회로{Charger circuit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도중 폰(phone)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폰(phone)신호의 입력전압과 관계없이 전류를 임계치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휴대폰 충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의 사용비용이 저렴해지고 주행중인 차량에서도 고품질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품질도 향상되고 있어 휴대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휴대폰의 기본적인 구성은 기지국과 휴대폰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다른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버튼들로 이루어진 키 패드부, 다이얼한 전화번호나 현재 이동 단말기의 기능설정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Display Unit)와, 키 패드를 보호하기 위한플립(flip),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와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폰의 통화 방법은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의 숫자를 조작하면 표시부에 착신측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표시부의 표시 상태가 올바른가가 판단되면 사용자는 통화 키(Send)를 누르면 상대방에게 호가 전달된다. 상대방과 호가 연결되면 휴대폰에 구성된 음성 입출력부인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 종류는 단순히 길쭉한 형상의 바(bar)형, 바형의 키 패드 부분에 뚜껑을 달아놓은 것 같은 플립형, 단말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부분과 키 패드 부분을 분리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한 폴더형이 있다.
휴대폰의 표시부로는 액정 표시 소자(LCD :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고 있으며, 표시부는 문자나 그림 등을 표시하여 현재 휴대폰의 상태나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휴대폰에서 스피커(speaker 또는 리시버(receiver))의 구동, 부저(buzzer)(또는 링거(ringer))의 구동, 표시부(LCD)의 구동 및 바이브레이터(Vibrator)의 구동 등 휴대폰의 외부에 노출되어 동작하는 구성요소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을 이용하였다.
즉, 일반적인 휴대폰의 조작 방법은 휴대폰의 파워 온 상태에서 표시부를 보면서, 메뉴(menu) 또는 설정(set up) 키 패드의 조작을 통해 리시버의 소리를 온/오프 상태로 제어하거나, 부저를 온/오프 하거나, 표시부의 표시 조건을 조절하거나, 바이브레이터를 구동시켰다.
이와 같은 휴대폰의 기본적인 동작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휴대폰의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며, 그와 같은 전원은 배터리에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그 설계에 따라 사용하는 충전기의 종류에는 2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휴대폰에 통화기능만 내장되어 외부에서 충전기능을 제어하는 TC(Travel Charger)이고, 다른 하나는 휴대폰의 내부에 충전 제어 기능이 내장되어 직류전원만 공급하여 주는 TA(Travel Adapter)가 그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상기 TA 타입의 휴대폰 충전 회로를 나타내고 있는데, 충전도중 폰(phone)신호가 "S"단자에 걸리면 상기 "S"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참조번호 R6으로 지칭되는 저항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 참조번호 Q1로 지칭되는 트랜지스터가 턴온동작하며, 그로 인해 참조번호 R1로 지칭되는 저항과 참조번호 R2,R3,R4로 지칭되는 저항들이 병렬저항으로 합성되어진다. 따라서, 전류레벨을 일정 임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
반면에, 충전도중 폰(phone)신호가 "S"단자에 걸리되 상기 "S"단자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참조번호 R2,R3,R4로 지칭되는 저항들에 의해 전류의 임계치 레벨이 결정되어진다.
이때, 상기 참조번호 R2,R3,R4로 지칭되는 저항들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의 임계치 레벨이 150㎃ 이상으로 콘트롤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충전되던 휴대폰에 과전류가 걸림에 따라 휴대폰에 상당한 손상을 주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도중 폰(phone)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폰(phone)신호의 입력전압과 관계없이 전류를 임계치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휴대폰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폰 충전 회로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 회로의 구성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회로의 특징은, 입력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저항을 통해 콜렉터 단자로 입력받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2저항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와 상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3저항과; 상기 제 3저항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4저항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가 공통으로 묶여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저항을 통해 콜렉터 단자로 입력받는 제 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 사이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 1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 회로의 구성 예시도로서,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참조번호 미부여)와,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저항(R7)을 통해 콜렉터 단자로 입력받는 제 2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와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2저항(R2)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단자와 상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3저항(R3)과, 상기 제 3저항(R3)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4저항(R4)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가 공통으로 묶여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제 7저항(R7)을 통해 콜렉터 단자로 입력받는 제 1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 사이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 1다이오드(D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충전도중 폰(phone)신호가 "S"단자에 걸리면 상기 "S"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참조번호 R6으로 지칭되는 저항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 참조번호 Q1로 지칭되는 제 1트랜지스터가 턴 온 동작하는 데 이때, 참조번호 D1로 지칭되는 제 1다이오드에 의해 상기 "S"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일정하게 상기 제 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어진다.
따라서, 전류는 참조번호 R6과 R3, 및 R4로 지칭되는 저항을 통해 흐르는 경로가 유지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충전도중 폰(phone)신호가 "S"단자에 걸리는 전압의 레벨에 관계없이 전류의 임계치 레벨이 5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 회로를 제공하면 충전도중 폰(phone)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폰(phone)신호의 입력전압과 관계없이 전류를 임계치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Claims (1)

  1. 입력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일단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저항을 통해 콜렉터 단자로 입력받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2저항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와 상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3저항과;
    상기 제 3저항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 4저항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가 공통으로 묶여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저항을 통해 콜렉터 단자로 입력받는 제 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 사이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 1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회로.
KR10-2000-0086363A 2000-12-29 2000-12-29 휴대폰 충전 회로 KR10038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363A KR100389629B1 (ko) 2000-12-29 2000-12-29 휴대폰 충전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363A KR100389629B1 (ko) 2000-12-29 2000-12-29 휴대폰 충전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301A KR20020058301A (ko) 2002-07-12
KR100389629B1 true KR100389629B1 (ko) 2003-06-27

Family

ID=2768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363A KR100389629B1 (ko) 2000-12-29 2000-12-29 휴대폰 충전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6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815A (ja) * 1989-08-31 1991-04-15 Nippon Densan Corp バッテリ充電器
JPH1127871A (ja) * 1997-07-03 1999-01-29 Sanyo Electric Co Ltd 充電装置
JP2000287375A (ja) * 1999-03-29 2000-10-1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二次電池の充電回路
KR20010098017A (ko) * 2000-04-27 2001-11-08 송문섭 휴대폰내의 배터리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815A (ja) * 1989-08-31 1991-04-15 Nippon Densan Corp バッテリ充電器
JPH1127871A (ja) * 1997-07-03 1999-01-29 Sanyo Electric Co Ltd 充電装置
JP2000287375A (ja) * 1999-03-29 2000-10-1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二次電池の充電回路
KR20010098017A (ko) * 2000-04-27 2001-11-08 송문섭 휴대폰내의 배터리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301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8286B1 (ja) バッテリ残量表示回路とこの回路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装置
CN102271011A (zh) 蓝牙耳机与充电底座的连接方法及装置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GB2281677A (en) Radio phone apparatus having compact cordless extension unit
GB2365692A (en) Wireless speaker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0389629B1 (ko) 휴대폰 충전 회로
KR20020014143A (ko) 외장 액세서리가 착탈가능한 휴대폰
JP2000358085A (ja) 携帯電話機の充電時における着信報知切替え方法と装置
JP3927738B2 (ja) 通信システム
JP200121148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充電状態報知方法
KR20040028170A (ko) 충전시 착신모드가 자동 전환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JP3185502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20009287A (ko) 정전압 및 정전류 제어 회로
KR100375508B1 (ko) 휴대폰 충전 회로
JPH08106926A (ja) 電池パック、充電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JP2000286929A (ja) 携帯電話用充電器
JPH07231293A (ja) 移動通信機のバッテリ充電方式
KR19990085489A (ko)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JP4296417B2 (ja) 電話端末装置
KR100389628B1 (ko) 복합 충전 회로
JP2002152078A (ja) 携帯電話機
JPS61111047A (ja) コ−ドレステレホン装置
JP2854602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49544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831362B1 (ko)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