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362B1 -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362B1
KR100831362B1 KR1020070012249A KR20070012249A KR100831362B1 KR 100831362 B1 KR100831362 B1 KR 100831362B1 KR 1020070012249 A KR1020070012249 A KR 1020070012249A KR 20070012249 A KR20070012249 A KR 20070012249A KR 100831362 B1 KR100831362 B1 KR 10083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connector
pho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케이스 커넥터, 상기 케이스 커넥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 결합하는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수신된 입력 신호를 소정의 메인 전화기 또는 엑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 케이스, 듀얼 폰, 케넥터

Description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cohesive and incohesive cellphone case for a dual phone suppor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휴대 단말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케이스 커넥터
120: 인터페이스 수단
130: 제1 결합 수단
140: 무선 신호 전송 모듈
150: 충전 수단
160: 수신 신호 전화 모듈
본 발명은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케이스와 연결된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통신 요금이 아닌 유무선 전화기의 통신 요금으로 전화 통화를 하여 통화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높은 보급률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발달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요즘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인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받아 제공하고 있으며, 주소록, 전화번호 등 다양한 메모 기능 등 기록 매체로써의 역할도 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비하여, 가정내 PSTN망을 이용한 유무선 전화기는 앞서 상술한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사용 빈도가 줄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은 PSTN망을 이용한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에 비하여 요금이 많이 들며, 이동 통신 기지국 미설치 지역이나 그 외 산간 지역에서는 그 통화 품질도 떨어지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 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전화기로 통화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전화기로 통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신 요금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소정의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케이스 커넥터, 상기 케이스 커넥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 결합하는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수신된 입력 신호를 소정의 메인 전화기 또는 엑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송수화 수단 등을 통하여 전송되는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PSTN망을 이용한 유무선 전화기나 인터넷망을 이용한 VOIP폰으로 통화함으로써 통화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내장된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케이스(100)는 케이스 커넥터(110), 인터페이스 수단(120), 제1 결합 수단(130), 무선 신호 전송 모듈(140)을 포함하며,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200)는 단말기 커넥터(210), 제2 결합 수단(220)을 포함한다.
우선 케이스 커넥터(110)는 휴대 단말기(200)의 단말기 커넥터(210)와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200)의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의 키패드 입력 정보, 통화 정보 등의 상기 휴대 단말기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케이스(100)측으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수단(120)은 케이스 커넥터(1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 전송 모듈(140)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수단이라 함은,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 따위를 서로 이어 주는 접속 수단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커넥터(110)과 무선 신호 전송 모듈(140)을 이어주어 상호간의 연결 고리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제1 결합 수단(130)은 휴대 단말기(200)를 케이스(100)에 결합할 경우, 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에는 이에 상응하는 제2 결합 수단(22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1 결합 수단(130)과 제2 결합 수단(220)을 자석으로 구성하되 서로 다른 극성으로 쌍을 이루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200)를 케이스(100)에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자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두 결합 수단(130)(220) 중 어느 하나를 자석으로 하고 하나는 자성에 영향을 받는 금속 물질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무선 신호 전송 모듈(140)은 인터페이스 수단(120)에 수신된 입력 신호를 소정의 메인 전화기 또는 엑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 등으로 전송한다.
상기 메인 전화기는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 본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과 연결된 통신 수단 또는 인터넷망과 연결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도 전화기의 본체를 일정한 위치에 두고 소정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 전송 모듈(140)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과 연결된 통신 수단 또는 인터넷망과 연결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케이스(100)는 소정의 외부 전원을 인가하여 별도의 전원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 수단의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수단(150)을 포함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을 케이스(100)에 결합할 경우, 충전 수단(150)의 전원이 케이스 커넥터(110)으로부터 단말기 커넥터(210)로 인가되어 휴대 단말기(200)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수신 신호 전환 모듈(130)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메인 전화기, 엑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 휴대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케이스(100)는 수신 신호 전화 모듈(130)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에서 수신 신호가 감지될 경우 휴대 단말기(200)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전화기, 엑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 등으로부터 수신 신호가 감지될 경우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과 연결된 통신 수단 또는 인터넷망과 연결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폰 등으로 통화 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와 휴대 단말기(2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렇듯, 휴대 단말기(200)를 케이스(100)에 결합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여 케이스(100)의 무선 신호 전송 모듈(140)에 의하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과 연결된 통신 수단 또는 인터넷망과 연결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폰 등처럼 사용함으로써, 통신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전화기로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전화기로 통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신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9)

  1.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케이스 커넥터;
    상기 케이스 커넥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 결합하는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수신된 입력 신호를 소정의 메인 전화기 또는 엑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화기, 엑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과 연결된 통신 수단 또는 인터넷망과 연결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넥터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 수단
    을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은 소정의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화기, 엑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 휴대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신호 전환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는 상기 케이스 커넥터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입력 정보는 키패드 입력 정보, 통화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제2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 수단은 상기 제2 결합 수단과 결합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20070012249A 2007-02-06 2007-02-06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083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49A KR100831362B1 (ko) 2007-02-06 2007-02-06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49A KR100831362B1 (ko) 2007-02-06 2007-02-06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362B1 true KR100831362B1 (ko) 2008-05-21

Family

ID=3966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249A KR100831362B1 (ko) 2007-02-06 2007-02-06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3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54A (ko) * 1994-07-12 1996-02-23 조병일 이동전화/무선전화 겸용 복합무선단말기
KR19990026195A (ko) * 1997-09-23 1999-04-15 신윤식 듀얼밴드 통신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25626A (ko) * 2001-09-21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와 무선랜의 통합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54A (ko) * 1994-07-12 1996-02-23 조병일 이동전화/무선전화 겸용 복합무선단말기
KR19990026195A (ko) * 1997-09-23 1999-04-15 신윤식 듀얼밴드 통신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25626A (ko) * 2001-09-21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와 무선랜의 통합단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9399B (zh) 蓝牙喇叭
US20070263804A1 (en) Telephone with ability to communicate with mobile phones
CN202178792U (zh) 蓝牙手机分离器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CN201042060Y (zh) 一种无线固定终端
KR20100065221A (ko) 휴대전화 단말기를 통한 유선전화 통화연결 방법과 그 장치
KR100831362B1 (ko) 듀얼 폰 지원을 위한 착탈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
CN201910827U (zh) 双网无绳子母电话机
JP3927738B2 (ja) 通信システム
CN201167342Y (zh) 一种具有蓝牙技术的固定电话机
CN105025543A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终端
JPH0799686A (ja) 無線電話装置
CN201869269U (zh) 一种高端多模无线系统终端
CN101888443B (zh) 一种有线和无线电话融合设备
CN204119311U (zh) 一种具有手机来电接听功能的无绳电话
JPH06311102A (ja) 移動機有線接続用アダプタシステム
CN202931394U (zh) 蓝牙手机电话转接器
TW200608759A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fixed telephone and a PHS mobile phone by means of an intercom communication function
KR100678108B1 (ko)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WO2009099216A1 (ja) 接続機器、コードレス電話親機及び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223843Y1 (ko) 충전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송수신전달장치
JP4296417B2 (ja) 電話端末装置
JP2009088835A (ja) 通信回線切替接続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KR200184934Y1 (ko)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JP2001103549A (ja) 携帯端末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