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625B1 -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625B1
KR100387625B1 KR10-2000-0073099A KR20000073099A KR100387625B1 KR 100387625 B1 KR100387625 B1 KR 100387625B1 KR 20000073099 A KR20000073099 A KR 20000073099A KR 100387625 B1 KR100387625 B1 KR 10038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drum
rotated
vehicle
sens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411A (ko
Inventor
송봉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6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되어 시트벨트가 감겨지게 되거나 풀리게 되는 드럼의 일측에 톱니가 형성되고 차체 진동시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시 볼 하우징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가 선회됨에 따라 그 타단에 형성된 폴이 상기 톱니의 간섭영역을 드나들면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에 있어서, 회전되는 드럼의 중심축에 스프링강 재질의 와이어를 추가 설치하여 시트벨트가 감기게 될시 와이어가 폴을 밀도록 하고 폴이 톱니의 간섭영역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일정이상의 차체 진동시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시에만 시트벨트가 록킹되도록 함으로써, 착좌자의 시트벨트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Sensor structure of seat bel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드럼의 중심축에 스프링강 재질의 와이어를 추가 설치하여 시트벨트가 감기게 될시 와이어가 폴을 밀도록 하고 폴이 톱니의 간섭영역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일정이상의 차체 진동시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시에만 시트벨트가 록킹되도록 한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시 2차 충돌의 방지 또는 그 충격의 완화를 꾀하면서 승객이 차체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허리부분 구속용의 랩 벨트와 어깨 구속용의 숄더 벨트가 조합되는 3점식 시트벨트가 적용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시 높은 안전성이 입증되어 운전자의 안전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장치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시트벨트가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구속높이로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사고시 승객의 피해를 줄이면서 활동에 제한을 주지 않는 시트벨트 자동 록킹장치 등이 개발되어 장착되고 있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시트벨트(1)가 감겨지게 되거나 풀리게 되는 드럼(12)의 일측에 톱니(14)가 형성되어 있고, 볼 하우징(22)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26)가 회전됨에 따라 그 타단에 형성된 폴(26a)이 상기 톱니(14)의 간섭영역을 드나들면서 상기 드럼(1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는 차체의 진동과 가속도, 기울기 등에 따라 볼 하우징(22)에 수납된 볼(24)이 작동레버(26)를 밀어 작동레버(26)가 선회됨으로써 폴(26a)이 드럼(12) 일측에 형성된 톱니(14)에 걸리게 되고, 이로써 드럼(12)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차체의 진동이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 등을 감지하는 센서수단(20)이 제공되어 주행 중의 차체 진동시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시 상기 작동레버(26)를 밀어 폴(26a)이 톱니(1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드럼(12)의 회전을 구속, 시트벨트(1)의 풀림을 막고 시트벨트를 록킹시키는 바, 상기 센서수단(20)은 일측이 개구된 볼 하우징(22)과, 상기 볼 하우징(22)에 수납되어 차체 진동시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시 상기 작동레버(26)를 밀어주는 볼(24)로 구성된다.
이때, 톱니(14)의 형상은 역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치형이 일방향으로 편향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으로 상기 폴(26a)이 톱니(14)의 간섭영역 내에 위치하게 될 때 시트벨트(1)의 풀림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드럼(12)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고, 시트벨트(1)의 감김시에는 폴(26a)이 톱니(14)의 간섭영역을 벗어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에서는 드럼(12)의 톱니(14)와 작동레버(26)의 폴(26a)이 근접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의 약한 진동에도 쉽게 록킹되는 문제가 있었다.특히, 트럭과 같이 험로 운행을 많이 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록킹문제가 빈번히 일어나게 된다.
위와 같이 톱니와 폴이 자주 록킹되면,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거동할 때, 예를 들면 라디오를 켠다거나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상체를 앞쪽으로 움직일 때, 시트벨트가 풀리지 않게 때문에 거동이 매우 불편하고, 또 운전 중 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시트벨트가 어느 정도 풀렸다 감겼다 해야 하는데, 위와 같은 록킹상태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구속되는 등 시트벨트의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운전자의 활동을 제한하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회전되는 드럼의 중심축에 스프링강 재질의 와이어를 추가 설치하여 시트벨트가 감기게 될시 와이어가 폴을 밀도록 하고 폴이 톱니의 간섭영역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일정이상의 차체 진동시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시에만 시트벨트가 록킹되도록 한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랴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벨트 10a : 센서 커버
11 : 스토퍼(stopper) 12 : 드럼
14 : 톱니 16 : 와이어
20 : 센서수단 22 : 볼 하우징
24 : 볼 26 : 작동레버
26a : 폴(pawl)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는 회전되어 시트벨트(1)가 감겨지게 되거나 풀리게 되는 드럼(12)의 일측에 톱니(14)가 형성되고 볼 하우징(22)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26)가 센서수단(20)에 의해 선회됨에 따라 그 타단에 형성된 폴(26a)이 상기 드럼(1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럼(12)의 회전시 일단부(16a)를 중심으로 동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와이어(16)가 장착되되 상기 일단부(16a)가 상기 드럼(12)의 중심축(12a)에 장착되고 타단부(16b)가 센서 커버(10a)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1)와 상기 폴(26a)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타단부(16b)가 상기 드럼(12)이 시트벨트(1)의 감김방향으로 회전될시 상기 폴(26a)이 상기 톱니(14)의 간섭영역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폴(26a)을 밀고 상기 드럼(12)이 시트벨트(1)의 풀림방향으로 회전될시 상기 스토퍼(11)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일단부(16a)는 상기 타단부(16b)가 일정정도 이상의 힘을 받게되면 중심축(12a) 상에서 미끄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는 회전되는 드럼(12)의 중심축(12a)에 스프링강 재질의 와이어(16)를 추가 설치하되, 시트벨트(1)의 감김과 풀림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16)는 일단부(16a)가 드럼(12)의 중심축(12a) 상에 고정되고 드럼(12)의 회전시 상기 와이어(16)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되, 일정정도 이상의 힘이 와이어(16)의 타단부(16b)에 가해지면 상기 중심축(12a) 상에서 상기 일단부(16a)가 미끄럼 접촉되어 회동을 멈추고 드럼(12)만이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시트벨트(1)가 감길시 드럼(12)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와이어(16)가 회전될 경우 상기 와이어(16)의 타단부(16b)는 폴(26a)을 도 2의 하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때 밀려난 폴(26a)은 톱니(14)의 간섭영역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톱니(14)의 간섭영역 외측으로는 상기 와이어(16)의 타단부(16b)가 걸리어 와이어(16)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11)가 센서 커버(10a)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1)가 풀릴시 드럼(12)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와이어(16)가 회전될 경우 일정정도 회전되다가 스토퍼(11)의 위치에서 회전을 멈추고, 상기 와이어(16)의 타단부(16b)와 상기 폴(26a)은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16)와 폴(26a)의 간섭작용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톱니(14)와 폴(26a)이 쉽게 록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예를 들면,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체를 움직이는 경우, 드럼(12)과 와이어(1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시트벨트는 움직임 정도에 따라 인출된다.이때의 와이어(16)는 스토퍼(11)에 걸려있게 된다.계속해서, 운전자가 상체를 움직인 후, 원래의 자세로 바로 잡으면, 이와 동시에 시트벨트는 인출되었던 만큼 재차 수납되면서 권취되는데, 이때 드럼(12)과 와이어(1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시트벨트를 권취하게 되고, 이때의 와이어(16)는 드럼(12)과 함께 회전되다가 작동레버(26)의 폴(26a)을 밀어내면서 걸려있게 된다.이렇게 작동레버(26)의 폴(26a)이 와이어(16)에 의해 밀려나면서 드럼(12)의 톱니(14)로부터 거리를 갖게 되므로, 차량 운행 중 진동 등에 의해 폴(26a)이 톱니(14)에 쉽게 록킹되지 않게 되며,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다시 상체를 움직여 시트벨트가 인출되면, 드럼(12)과 와이어(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작동레버(26)의 폴(26a)이 톱니(14)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둔 위치에 있다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기 때문에 시트벨트의 인출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따라서, 시트벨트의 풀림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의 거동이 제한받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일정이상의 차체 진동시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시에는 볼(24)이 작동레버(26)를 밀어 톱니(14)의 간섭영역 내로 폴(26a)이 위치되도록 하고, 시트벨트(1)가 풀리는 방향으로 드럼(12)의 회전을 구속하여 시트벨트(1)가 풀리는 것을 막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에 의하면 회전되는 드럼의 중심축에 스프링강 재질의 와이어를 추가 설치하여 시트벨트이 감기게 될시 와이어가 폴을 밀도록 하고 폴이 톱니의 간섭영역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일정이상의 차체 진동시나 급격한 기울기 변화시에만 시트벨트가 록킹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회전되어 시트벨트(1)가 감겨지게 되거나 풀리게 되는 드럼(12)의 일측에 톱니(14)가 형성되고 볼 하우징(22)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26)가 센서수단(20)에 의해 선회됨에 따라 그 타단에 형성된 폴(26a)이 상기 드럼(1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럼(12)의 회전시 일단부(16a)를 중심으로 드럼(12)과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와이어(16)가 장착되되, 상기 일단부(16a)가 타단부(16b)에서 일정정도 이상의 힘을 받게 되면 중심축(12a)상에서 미끄럼 접촉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16)의 일단부(16a)는 드럼(12)의 중심축(12a)에 장착되고 타단부(16b)는 센서 커버(10a)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1)와 상기 폴(26a)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타단부(16b)가 드럼(12)이 시트벨트(1)의 감김방향으로 회전될시 상기 폴(26a)이 톱니(14)의 간섭영역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폴(26a)을 밀고 상기 드럼(12)이 시트벨트(1)의 풀림방향으로 회전될시 상기 스토퍼(11)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2. 삭제
KR10-2000-0073099A 2000-12-04 2000-12-04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KR10038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099A KR100387625B1 (ko) 2000-12-04 2000-12-04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099A KR100387625B1 (ko) 2000-12-04 2000-12-04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411A KR20020043411A (ko) 2002-06-10
KR100387625B1 true KR100387625B1 (ko) 2003-06-18

Family

ID=2767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099A KR100387625B1 (ko) 2000-12-04 2000-12-04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7914A (zh) * 2018-07-20 2019-01-11 芜湖金安世腾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降噪音的汽车安全带卷收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160B1 (ko) 2016-05-25 2018-03-22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소음제거유닛을 포함하는 지능형 리트랙터
KR101803755B1 (ko) 2016-05-25 2017-12-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모드전환레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리트랙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7914A (zh) * 2018-07-20 2019-01-11 芜湖金安世腾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降噪音的汽车安全带卷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411A (ko) 200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382B1 (en) Vehicular seatbelt retractor
US7431340B2 (en) Restrictor/protector of passenger in vehicle
EP1211147B1 (en) Seatbelt retractor
JPH01307671A (ja) 加速度感応装置
JP497624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10024925A (ko) 안전 벨트 리트랙터
JP2007045317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CA1209973A (en) Acceleration sensor
US20080217458A1 (en) Hybrid vehicle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inertial locking system
KR100387625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US6386472B1 (en) Acceleration sensor assembly for a restraint retractor
KR100841887B1 (ko) 수축기
CA1048004A (en) Safety-belt retractor
US5451009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dual sensitivity
KR100471028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장치
US7568649B2 (en) Vehicle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control with suppressed Z-axis sensitivity
US6889930B2 (en) Seatbelt retractor of an automobile
US4065069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EP0542204B1 (en) Webbing retractor
KR101494695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로킹 장치
US5261624A (en) Safety belt system with noise inhibitor
US3999722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dual sensitive, commonly mounted, actuating mechanism
KR100384025B1 (ko) 차량용 시트벨트 웨빙의 록킹장치
US4310129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emergency locking mechanism
KR100384032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