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602B1 - 어린이용 학습구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학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602B1
KR100387602B1 KR10-2000-0066045A KR20000066045A KR100387602B1 KR 100387602 B1 KR100387602 B1 KR 100387602B1 KR 20000066045 A KR20000066045 A KR 20000066045A KR 100387602 B1 KR100387602 B1 KR 10038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nit
children
recogni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724A (ko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10-2000-006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6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각 학습에 더하여 동적 기능을 부여하여 어린이들로 하여금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 킬 수 있는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게 한 어린이용 학습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학습구 본체의 어느 일직선 방향에서 만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학습물 인식체의 감지센서들에 의해, 학습구 본체의 상면에 놓여지는 어린이의 지능 개발과 학습을 위한 문자,숫자 및 동식물 그림 등의 표시된 학습물의 인식부를 인식할 시, 이때의 감지신호가 학습구 본체에 내장된 제어부에 입력되어 이미 저장된 해당 학습물의 표시부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시청각에 더하여 학습물 인식체의 이동에 따른 동적인 효과를 더부여하여 어린이들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에의한 학습 력 증대와 아울러 두뇌를 골고루 계발 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게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어린이용 학습구{A Tranning Implement For Children}
본 발명은 문자, 숫자 및 동식물 등의 그림을 효과적으로 학습함에 사용하는 어린이용 학습구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이동물체로 하여금 학습물에 표시된 문자,숫자 및 그림 등의 학습 내용을 인식하게 하면서 그 와 관련된 내용을 다양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하여, 어린이들로 하여금 학습효과를 높일수 있는 흥미를 유발되게 한 어린이용 학습구에 관 한 것이다.
종래부터 어린이들의 지능 개발과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형태의 교습구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중 하나의 교습구가 임의의 문자, 숫자 혹은 각종 동식물 모양을 본 따서 그대로 만들거나 이를 표시한 교습용 카드를 판이나 혹은 벽면 등에 걸거나 부착하여 놓고 학습하면서 학습 효과를 높이도록 한 학습구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학습구는 부착 판에 기 설치된 못 등에 학습 구를 걸어놓고 학습을 하거나 혹은 그 부착 판에 대해 금속 혹은 플라스틱 자석이나 매직 테잎을 매개체로 하여 부착 시켜놓고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前者)의 못을 이용하여 학습구를 걸 수 있도록 한 방법은 부착판에 설치되는 못으로 인하여 부착 판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고, 또 걸게되는 카드형 학습 구의 개수에 따라서 부착 판에 대하여 일일이 못을 박지 않으면 안 되는 불편이 있고, 사용에 따른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다.
또한 자석을 이용하여 교습 구를 부착하면서 학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금속제의 부착 판과 더불어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의 교습용 카드자체를 자석으로 구성해야만 하는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고,특히 제품 구성의 한계로 제작단가의 상승 요인이 되게 하는 폐단도 있다. 또 매직 테잎을 이용하여 교습구를 부착시킨 상태로 학습을 하게 되는 경우, 자석에 비하여 제작상의 편리한 점은 있지만, 이 역시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의 교습용 카드의 후면마다 벨크로 테잎을 봉제 작업이나 혹은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작업상의 불편함으로, 이역시 제품의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게 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벨크로 테잎을 이용하여 만든 경우에는 교습구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벨크로 테잎의 부착력이 약해져서, 카드를 부착판으로부터 쉽게 떨어지게 하는 문제를 유발하고, 결과적으로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학습의 흥미를 잃게 하여 학습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게하고 있다. 특히 상기 교습구들은 눈에 의한 시청각 교습만을 목적으로 하여 제작된 것들이기 때문에 두뇌의 조화있고, 균형 있는 개발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교습카드 내용을 기기로 판독하여 음성으로 발성하도록 한 학습 장치가 있으나, 이는 별도의 판독 기기로서 일일히 학습 인식 부를 감지하게 한 복잡한 구성으로, 제작단가가 고가로 되는 문제와 아울러 어린이들이 쉽게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로 학습 력을 저하되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본 출원과 동일 출원이 출원번호 제 00-42,225로 특허 출원한 "어린이용 학습구"가 있다. 그러나 이 출원은 이동체(슬라이더)가 학습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게 구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동체를 경사면에 위치하는 과정에서 학습 혹은 이동체의 이동에 단절이 발생되어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에 흥미를 떨어지게 하는 우려가 있고,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학습구 상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시킨 인식체에 의한 학습물의 감지시 이를 음성으로 출력되게 한 것에 의해, 학습물 자체의 시각 및 이 학습내용의 감지로 출력되는 청각에 더하여 인식체의 이동에 의한 호기심 유발로 높은 학습력을 얻게하고, 시청각 및 이동물체에 의한 균형있는 두뇌 및 지능 계발을 할 수 있게 한 어린이용 학습 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학습구에의 학습물의 구획 칸을 가변성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게 한 어린이용 학습구를 제공 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학습 물에 관련된 내용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되게 하여 학습효과를 배가시킨 어린이용 학습 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결 화하여 경제성을 갖게 한 어린이용 학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린이용 학습 구는 청구항1의 발명과관련된 어린이의 지능 개발과 학습을 위한 문자,숫자 및 동식물 그림의 표시부를 갖는 학습구에 있어서, 표시부와 아울러 그 표시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가 설치된 카드나 책형상의 학습물; 상부는 상기 학습물을 소정 각도로서 경사지게 위치시킬수 있는 받침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장방 형상의 학습구 본체; 상기 학습구 본체에서 상기 받침면의 안내홈을 따라 학습물 위를 이동할수 있게 위치되어 상기 학습물의 인식부를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학습물의 인식부와의 대면 부위에는 상기 인식부를 인식하기 위한 감지센서들이 설치된 소정 형상의 학습물 인식체; 상기 학습구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어 상기 학습물 인식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 상기 학습구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른 상기 학습물 인식체의 이동 과정에서 감지 센서들에 의한 인식부의 감지 신호 입력시 이미 저장된 해당 학습물의 표시부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하게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학습물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에서 학습구 본체의 받침면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벽면을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벽면에는 상기 학습물을 이동되지 않게 수용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획칸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칸들은 학습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할 수 있게 상기 경사 벽면으로부터의 분리되게 설치한 구획부재로부터 형성됨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에서 구획부재는 상기 경사벽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대해 그 구획부재를 끼움 결합한 것에 의해, 상기 구획부재들을 상기 경사벽면으로부터 분리 결합가능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에서 학습물 인식체는 어린이들로부터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동 식물이나 차량과 같은 특정 사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하여 분리 가능하게 만든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저벽부에서 거리를 두고 돌설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간; 상기 안내간의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케이스의 저벽부를 관통 형성한 안내공을 통해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제어장치를 연결하여 감지신호를 주고 받을수 있도록 한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저벽부의 안내간과의 인접부위에는 상기 안내홈에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로울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안내홈과의 인접위치에서 그 안내홈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학습구 본체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 일 부위가 상기 학습물 인식체의 저벽면에 일체로 고정된 무단상의 이송벨트; 상기 이송 벨트의 양단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구 본체의 수용 공간의 벽체에 회전되게 축 지지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 어느 일측의 로울러와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그 로울러와 전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모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학습물 제어장치는 상기 학습구 본체의 수용공간에 착탈되게 설치되며, 중앙처리부(CPU)와, 상기 학습물의 인식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에상기 학습물의 학습내용 감지신호를 제어하기위한 상기 센서들로 이루어진 학습내용 인식 감지부와, 상기 학습물의 내용과 관련된 내용이 저장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는 롬 팩의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일정 모드로서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중앙처리부측으로 입력하는 버튼들로 된 버튼 조작부 및 학습내용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버튼 조작부는 상기 학습구 본체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며, 학습 물의 한가지의 내용만을 반복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반복 버튼과, 학습물의 전 내용을 계속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자동 버튼과, 학습물에 표시된 어느 한가지의 내용만을 읽어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읽기 버튼과, 학습 물과 관련된 내용을 질문과 응답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게임용 버튼과, 볼륨 버튼 및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구성은 시청각 학습에 더하여 동적 기능을 부여하여 어린이들로 하여금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호기심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학습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 부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1의 Ⅰ-Ⅰ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인식체의 구동 부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된 학습물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학습구의 또다른 사용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학습물 12a,12b: 표시부
14a,14b : 인식부 100 : 학습구 본체
102 : 경사벽면 106 : 안내홈(溝)
108 : 수용공간 110a,110b : 구획칸
112a,112b : 구획부재 113 : 끼움홈
115 : 끼움돌기 200 : 학습물 인식체
240 : 구동장치 280 : 감지센서
300 : 제어장치 310 : 롬팩 저장부
320 : 제어부(CPU) 340 : 버튼조작부
360 : 음성출력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학습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학습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 부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학습구는 책상이나 혹은 바닥에올려 놓고 사용할수 있도록 한 학습구 본체(100)과, 상기 학습구 본체(100)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크고 작은 카드형의 학습물들(10a,10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드형 학습물들(10a,10b)에는 어린이의 지능 개발과 학습을 위한 문자,숫자 및 동식물 그림 등의 표시부들(12a,12b)과, 그 표시부들(12a,12b)를 인식할수 있도록 한 인식부들(14a,14b)가 도면에서 보아 상부에 설치되어있다. 상기 카드형 학습물들(10a,10b)의 인식부들(14a,14b)는 후술하는 학습물 인식체(200)에 의해 인식시 상기 학습구 본체(100)에 내장된 제어장치(300)로 하여금 상기 카드형 학습물들(10a 10b)에 표시된 내용을 출력하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카드형 학습물들(10a,10b)이 위치되는 상기 학습구 본체(100)은 대략 장방 형체를 이루게 형성되는데, 상부는 소정각도의 경사벽면(102)를 이루게 하고 있다.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상부를 경사벽면(102)를 이루게 형성한 이유는 상기 학습구 본체(100)에 놓여지는 상기 카드형 학습물들(10a,10b)을 피로감이 없이 보다 안정적인 최적의 상태로 볼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경사벽면(102)에는 상기 카드형 학습물들(10a,10b)을 미끄러 짐이 없도록 수용지지 하기 위한 구획칸들(110a,110b)이 상기 카드형 학습물들(10a,10b)을 수용하거나 이탈 시킴을 쉽도록 하기위해 상단부를 개구 시킨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획칸들(110a,110b)는 상기 경사 벽면(102)에 설치된 가로 및 세로방향의 구획부재들(112a ~ 112e)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구획부재들(112a ~ 112e)중 세로방향 구획부재들(112a~112d)는 상기 경사 벽면(102)에 놓여지게 되는 학습물들(10a,10b)의 크기에 따라 가변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경사 벽면(102)으로부터 분리되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세로방향 구획부재들(112a~112d)의 분리 구성은 상기 경사벽면(102)에 형성된 끼움홈(113)에 대해 구획부재들(112a~112d)의 돌기 (115)를 끼움 결합한 구성에 의해, 상기 구획부재들(112a~112d)을 상기 경사벽면 (102)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하면서 상기 구획칸들(110a,110b)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세로방향 구획부재(112d)는 상기 구획칸들(110a,110b)중에서 상기 구획칸(110b)를 형성하기 위해 분리한 것을 보관하는 것을 표시 한 것으로, 상기 구획칸(110b)를 상기 구획칸(110a)과 같은 좁은 칸을 이루게 하기 위해서는 보관하고 있던 상기 세로방향 구획부재(112d)를 사용하여 경사 벽면(102)의 끼움홈(113)에 결합 시키면 된다.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구획칸들(110a,110b)에 놓여지는 학습물들(10a, 10b)에 형성된 인식부들(14a,14b)는,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상기 경사벽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106)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학습물 인식체 (200)에 의해 인식된다. 상기 학습물의 인식체(200)에 의해 인식된 내용은 제어장치(300)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알기 쉬운 음성으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장치(300)은 상기 학습구 본체(100)에 내장된 제어부(320)과,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상면으로 조작이 쉽게 설치된 버튼 조작부(340)과, 상기 학습물들(10a,10b)에 표시된 표시부들(12a,12b)의 내용이 저장되어 상기 학습구 본체 (10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위치된 롬팩 저장부(310) 및 출력부(360)으로 이루어 져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340)은 학습 물들(10a,10b)의 어느 한가지의 내용만을 반복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반복 버튼(341)과, 학습물의 전 내용을 계속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자동 버튼(342)과, 학습물에 표시된 어느 한가지의 내용만을 읽어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읽기 버튼(343)과, 학습 물과 관련된 내용을 질문과 응답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게임용 버튼(344)와, 음성을 녹음할 수 있게 하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녹음 버튼(345)과, 볼륨 버튼(346) 및 전원 버튼(347), 모우터 구동버튼(348)과, 표시창(349) 및 그밖에 기능 버튼(349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게임용 버튼(344)를 조작시에는 도면 표시한 학습물들(10a,10b)이외에 별도의 게임용 학습물을 올려 놓아야 하는데, 참고로 6개가 하나의 세트로 된 학습물에는 하나씩의 게임용 학습물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기능 버튼조작부(340)의 각 버튼들(341~349)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게 되면, 후술하는 감지센서(280)에 의해 감지된 학습내용들(14a,14b)나 이와 관련된 내용을 상기 제어부(320)은 상기 버튼들(341~349)에 의해서 설정된 각 기능별로 출력하게 끔 제어한다. 이에 대한 것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에서 학습물 인식체(200)에 대한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및 도 4를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300)에 대한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각각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부호(20)은 전원(DC)접속용 잭을 표시한 것이다.
도 3은 도1의 Ⅰ-Ⅰ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인식체의 구동 부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학습물 인식체(200)은 학습구 본체(100)의 안내 홈(106)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도 1표시의 학습물들(10a,10b)의 인식체들(14a,14b)를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학습물 인식체(200)은 어린이들로부터 호기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동 식물이나 차량과 같은 특정 사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학습물 인식체(200)은 특정 형상을 이루게 만든 케이스(2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10)은 내부의 정비나 소제를 위해 분리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10)을 거북이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일 예로들어 표시 하였다. 상기 케이스(210)내의 바닥부에는 다수개의 감지센서(280)이 설치하여 도 1표시의 제어장치(300)의 제어부(320)측으로 전선(282)을 통하여 접속하고 있다. 상기 전선(282)는 상기 케이스(210)의 저벽부를 관통 형성한 안내공(212)을 통해 상기 감지센서(280)과 상기 제어부(320)를 연결하여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280)은 학습물들(10a,10b)의 인식부들(14a,14b)를 감지하여 인식하며,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20)측으로 입력되어 그 감지센서 (280)으로 하여금 이미 저장된 해당 학습물들(10a,10b)의 표시부(12a,12b)(도 1참조)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버튼 조작부(340)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하게 제어한다.
또 상기 케이스(210)의 바닥부에는 상기 안내홈(10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게 한 안내간들(214a,214b)가 소정 길이를 이루게 돌설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걸림턱들(215a,21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간들(214a,214b)는 상기 인식체(200)의 케이스(210)을 상기 안내홈(106)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걸림턱들(215a,215b)는 상기 인식체(200)이 상기 안내홈(106)으로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분리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인식체(200)의 상기 안내홈(106)을 통한 왕복 이동은 구동장치(240)에 의해서 실행된다. 상기 구동장치(240)은 상기 학습구 본체(100)에 형성된 수용 공간(108)과 그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장치(240)에서 이동벨트(241)은 무단상(無端狀)으로 상기 안내홈(106)과의 인접위치에서 그 안내홈(106)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일 부위는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반면, 일부위는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수용공간(108)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수용공간(108)내에 소정거리를 두고 회전되게 축지지된 로울러들(242a,242b)에 그 로울러들(242a,242b)와 같이 회전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동벨트(241)위로 상기 인식체(200)의 케이스(210)이 위치되며, 상기 이동벨트(241)과 같이 상기 인식체(200)의 케이스(210)을 일체로 이동 시키기 위해 상기 인식체(200)의 케이스(210)은 상기 이동벨트(241)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이동 벨트(241)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상기 로울러들(242a,242b)중 어느 하나의 로울러(242a)는 상기 학습구 본체(100)의 수용 공간(108) 설치된 구동모우터(244)에 전동체인(246)을 통하여 계합됨에 의해 상기 구동 모우터(244)의 구동력이 상기 이동벨트(241)측으로 전동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우터 (244)의 구동력은 상기 전동체인(246)을 통하여 상기 로울러들(242a,242b)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이동벨트(241)의 이동을 실행하게 됨에 의해, 상기 안내홈(106)을 따라서 상기 인식체(200)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실행되게 한다.
상기 인식체(200)의 이동이 상기 안내홈(106)의 어느 일단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구동 모우터(244)의 구동은 역회전 되면서 상기 인식체(200)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하면서 상기 인식체(200)의 연속적인 왕복이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러한 모우터의 단속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부호 (216)은 상기 인식체(200)의 이동을 보다 자유롭게 하기 위한 안내 로울러를, (218)은 이송 벨트(241)에 대한 안내부재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전선(282)의 길이는 상기 인식체(200)에 대한 이동의 방해를 받지 않게 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한 길이를 이루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인식체(200)의 구동장치(240)은 상기 인식체(200)을 구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구성이외에 다른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된 학습물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로서, 기 설명한 도 1을 참조하면서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장치(300)은 학습구 본체(100)의 수용공간(108)에(도3참조) 내장되며, 인식체(200)의 감지센서(28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버튼 조작부(340)에 의한 설정모드에 의해 학습물들(10a,10b)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장치(300)은 CPU로 이루어진 제어부(320)과, 학습 물들(10a, 10b)의 인식부들(14a,14b)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20)에 학습물들 (10a,10b)의 학습내용 감지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학습내용 인식 감지센서(280)와, 상기 학습물들(10a,10b)의 내용과 관련된 내용이 저장되며 상기 감지센서(280)의 감지 신호에따라 상기 제어부(320)에 의해 학습물들(10a,10b)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는 롬팩 저장부(ROM)(310)과, 그 저장부(310)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일정 형태로서 출력하는 신호를 제어부(320)측으로 입력하는 버튼 조작부(340)및 스피커로 된 음성 출력부(36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에는 도 3표시의 구동장치(240)이 연결되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20)에 의한 구동장치(240)의 구동 제어는 당해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버튼조작부(340)의 전원 버튼(347) 및 모우터 구동버튼 (348)을 "온"위치로 조작하면, 전원공급에 의한 상기 인식체(200)의 구동장치 (240)의 모우터(244)와 로울러들(242a,242b)의 구동으로 이동벨트(241)가 구동되며 (도3 및 도4 참조), 상기 이동벨트(241)의 구동은 그 이동벨트(241)에 일체로 부착된 상기 인식체(200)을 상기 안내홈(106)을 따라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인식체(200)의 이동은 학습구 본체(100)의 구획칸들(110a,110b)에 기 재치한 학습 물들(10a,10b)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된다. 상기 인식체(200)이 학습물들(10a,10b)를 경유시 상기 인식체(200)은 인식부들(14a,14b)를 경유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인식체(200)의 저부에 장착된 감지 센서(280)은 인식부들(14a,14b)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의 감지신호는 케이블 전선(282)를 통해 제어장치(300)의 CPU로 이루어진 제어부(320)로 입력되고, 그 CPU(320)는 롬팩 저장부(310)에 저장된 학습내용 중 그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학습 표시부(12a) 혹은 (12b)내용 만을 독출하여 음성출력부(360)을 통하여 출력하게 제어하며, 기 감지된 어느 하나의 학습물(10a)로부터 음성 출력이 완료되면, 상기 인식체(200)은 중앙처리부(390)의 제어에 의해 그 다음의 학습물들(10a,10b)로 진행되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하게된다. 상기에서 인식체(20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식부(14a) 혹은 (14b)를 인식하여 이에 대한 표시부(12a) 혹은 (12b)에 대한 내용을 출력하는 동안에는 상기 인식체 (200)의 이동은 상기 제어부(320)에 의해 일시적으로 중지되게 제어되는데, 상기 한 구동체(200)의 이동을 진행을 제어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다.
또한 상기 인식체(200)이 상기 안내홈(106)의 어느 단에 도달되면 구동모우터(244)의 역회전으로 다시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또 사용자가 읽기 버튼(343)으로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320)은 인식체(200)으로 하여금 상기와 같이 학습물들(10a,10b)에 표시된 어느 한가지의 표시부들(12a)혹은 (12b)의 내용 만을 읽어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 사용자가 상기 버튼 조작부(342)에서 예컨대, 반복버튼(341)을 누르게 되면 어느 학습물들(10a,10b)로부터 감지된 내용을 반복하여 출력하고, 또한 게임용 버튼(343)을 조작하게 되면 학습물들(10a,10b)와 관련된 내용에서 어느 하나를 찾아보라고 자체적으로 질문을 하게 되고, 이때 인식체(200)이 해당 학습 물들 (10a,10b)의 위치 여부에 따른 감지 신호가 센서(감지부)(280)을 통하여 중앙제어부(320)측으로 입력이 되면 정답 여부가 출력된다.
또한 그밖에 기능 버튼(349a)는, 상기 실시예의 인식체(200)이 이동되면서 상기 학습물들(10a,10b)의 인식부들(14a,14b)를 감지시 출력하게 하는 구성과는 달리, 학습물들(10a,10b)에 기 표시된 번호를 상기 기능버튼(349a)를 선택하게 되면,상기 제어부(320)로 하여금 번호를 인식케 하여 상기 롬팩 저장부(310)에 그 번호에 상응하는 기 저장된 학습 내용을 출력하게 한다. 상기 표시창(349)는 기능 버튼(349a)에 의하여 입력되는 번호를 사용자들이 쉽게 볼수 있도록 표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학습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 도로서, 도 1표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도 1내지 도 5의 일 실시예와는 카드형 학습물들 (10a,10b)를 책(30)으로 구성한 것만이 다를 뿐 그 밖에 구성이나 작용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부호(32)는 표시부를, (34)는 인식부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또 상기 학습구에 적용된 제어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기술로서 일예로 설명한 것일 뿐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형태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구 위를 왕복 이동되게 설치한 인식체에 구비된 감지부에 의해 학습물의 인식부를 감지하여 이를 음성으로 출력되게 한 것에 의해, 기존의 시청각 학습에 더하여 구동체의 이동에 의한 호기심 유발로 학습 력을 높일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서는 균형있는 두뇌 및 지능 계발의 효과를 갖게 한다. 또 간결한 구조에의해 경제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어린이의 지능 개발과 학습을 위한 문자,숫자 및 동식물 그림의 표시부를 갖는 학습구에 있어서,
    표시부와 아울러 그 표시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가 설치된 카드나 책형상의 학습물 ;
    상부는 상기 학습물을 소정 각도로서 경사지게 위치시킬수 있는 받침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장방 형상의 학습구 본체;
    상기 학습구 본체에서 상기 받침면의 안내홈을 따라 학습물 위를 이동할수 있게 위치되어 상기 학습물의 인식부를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학습물의 인식부와의 대면 부위에는 상기 인식부를 인식하기 위한 감지센서들이 설치된 소정 형상의 학습물 인식체;
    상기 학습구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어 상기 학습물 인식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학습구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른 상기 학습물 인식체의 이동 과정에서 감지 센서들에 의한 인식부의 감지 신호 입력시 이미 저장된 해당 학습물의 표시부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하게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학습물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학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구 본체의 받침면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벽면을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벽면에는 상기 학습물을 이동되지 않게 수용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획칸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칸들은 학습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할 수 있게 상기 경사 벽면으로부터의 분리되게 설치한 구획부재로부터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어린이용 학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경사벽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대해 그 구획부재를 끼움 결합한 것에 의해, 상기 구획부재들을 상기 경사벽면으로부터 분리 결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어린이용 학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물 인식체는 어린이들로부터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동 식물이나 차량과 같은 특정 사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하여 분리 가능하게 만든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저벽부에서 거리를 두고 돌설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간; 및
    상기 안내간의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케이스의 저벽부를 관통 형성한 안내공을 통해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제어장치를 연결하여 감지신호를 주고 받을수 있도록 한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어린이용 학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벽부의 안내간과의 인접부위에는 상기 안내홈에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로울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어린이용 학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안내홈과의 인접위치에서 그 안내홈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학습구 본체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 일 부위가 상기 학습물 인식체의 저벽면에 일체로 고정된 무단상의 이송벨트;
    상기 이송 벨트의 양단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구 본체의 수용 공간의 벽체에 회전되게 축 지지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
    어느 일측의 로울러와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그 로울러와 전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모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어린이용 학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물 제어장치는 상기 학습구 본체의 수용공간에 착탈되게 설치되며, 중앙처리부(CPU)와, 상기 학습물의 인식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에 상기 학습물의 학습내용 감지신호를 제어하기위한 상기 센서들로 이루어진 학습내용 인식 감지부와, 상기 학습물의 내용과 관련된 내용이 저장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는 롬 팩의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일정 모드로서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중앙처리부측으로 입력하는 버튼들로 된 버튼 조작부 및 학습내용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어린이용 학습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작부는 상기 학습구 본체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며, 학습 물의 한가지의 내용만을 반복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반복 버튼과, 학습물의 전 내용을 계속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자동 버튼과, 학습물에 표시된 어느 한가지의 내용만을 읽어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읽기 버튼과, 학습 물과 관련된 내용을 질문과 응답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게임용 버튼과, 볼륨 버튼 및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어린이용 학습구.
KR10-2000-0066045A 2000-11-08 2000-11-08 어린이용 학습구 KR10038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045A KR100387602B1 (ko) 2000-11-08 2000-11-08 어린이용 학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045A KR100387602B1 (ko) 2000-11-08 2000-11-08 어린이용 학습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234U Division KR200230873Y1 (ko) 2000-11-08 2000-11-08 어린이용 학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724A KR20020035724A (ko) 2002-05-15
KR100387602B1 true KR100387602B1 (ko) 2003-06-18

Family

ID=1969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045A KR100387602B1 (ko) 2000-11-08 2000-11-08 어린이용 학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93A (ko) * 2002-06-17 2003-12-31 고종택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US9126122B2 (en) * 2011-05-17 2015-09-08 Zugworks, Inc Doll companion integrating child self-directed execution of applications with cell phone communication, education, entertainment, alert and monitoring systems
KR102098839B1 (ko) * 2018-11-01 2020-04-08 주창수 콘텐츠카드인식을 이용한 다목적 멀티 학습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130U (ko) * 1992-12-17 1994-07-25 양정자 유아용 그림카드 학습구
KR200208499Y1 (ko) * 2000-07-22 2001-01-15 고종택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22851Y1 (ko) * 1998-11-30 2001-05-15 이동현 학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130U (ko) * 1992-12-17 1994-07-25 양정자 유아용 그림카드 학습구
KR200222851Y1 (ko) * 1998-11-30 2001-05-15 이동현 학습기
KR200208499Y1 (ko) * 2000-07-22 2001-01-15 고종택 어린이용 학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724A (ko) 200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7233B2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KR101088406B1 (ko) 유아교육시 로봇을 이용한 양방향 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U2006226156B2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US8852058B1 (en) Interactive finger ladder
CN101500666B (zh) 用于学习的游戏装置
KR100387602B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30873Y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08499Y1 (ko) 어린이용 학습구
US3683516A (en) Educational devices
KR100366067B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18191Y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0008349A (ko) 어린이용 학습구
KR20220069783A (ko) 코딩 원리 학습용 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200279384Y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0091361A (ko) 어린이용 학습구
Hamre Affective education through the art of animation theatre
KR200244044Y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90196Y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100309268B1 (ko) 어린이용 음성 교습구
KR19990079730A (ko) 대화식 음성 교습구
KR20230021534A (ko) 유아교육용 코딩시스템 블럭인식장치
CN218447045U (zh) 一种用于创客教育和跨学科教学的模拟投篮装置
CN112293940B (zh) 一种应用于学前教育的导读装置
Weir LEGO-Logo: A vehicle for learning
KR101407594B1 (ko) 교육용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의 콘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