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965B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965B1
KR100384965B1 KR10-2000-0070931A KR20000070931A KR100384965B1 KR 100384965 B1 KR100384965 B1 KR 100384965B1 KR 20000070931 A KR20000070931 A KR 20000070931A KR 100384965 B1 KR100384965 B1 KR 10038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onnection
lock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157A (ko
Inventor
임순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0-007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9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연결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수파이프(20)의 단부에는 연결구(30)와 이 연결구(30)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록커(37)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구(30)는 수파이프(20)의 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34)와, 이 결합부(34)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대경부로부터 소경부로 직경이 점진 축소되는 절두원추부(切頭圓錐部;32)와, 이 절두원추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가이드리브(36)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록커(37)는 일부분이 절단되어 그 절단된 양단부가 일정간격 이격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나선형 가이드리브(36)의 비틀림각도로 비틀림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두원추부(32)에 결합되어 연결구(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나선형 가이드리브(36)를 따라 소경부측에서 대경부측으로 회전 이동되어 그 외경이 탄성적으로 확장되면서 암파이프(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록킹되게 된다. 이러한 장치는 암파이프(10) 내측에 연결구(30) 및 연결록커(37)가 임의 위치로 이동되어 수파이프(20)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므로 임의로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연결된 두 파이프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연결할 때에는 클램프로 두 파이프의 각 단부를 조임하여 연결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파이프(1)(2)의 각 단부 내,외주면에 나사탭(1a)(2a)을 형성하여서 상호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나사탭(1a)(2a)의 일부분이 손상되면 그 기능이 저하될 뿐더러, 암,수파이프(1)(2)의 각 단부에 나사탭(1a)(2a)을 형성하여 연결함으로써 연결되는 파이프의 길이는 각 암,수파이프(1)(2)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제한되게 된다. 즉 예컨대, 암,수 파이프(1)(2)로 두 벽사이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두 벽사이의 간격에 맞추어서 암,수파이프(1)(2)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연결하여야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암,수파이프를 연결할 때에 임의로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암,수파이프가 연결된 후에도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암,수파이프의 연결전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암,수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연결장치에 채용되는 연결록커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연결장치에 채용되는 연결구의 측면도,
도 6은 연결록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연결구와 수파이프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연결구와 수파이프와의 다른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암파이프 20...수파이프
30...연결구 31...가이드선단부
32...절두원추부 35...스토퍼
36...가이드리브 37...연결록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수파이프와 중공의 암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키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수파이프의 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대경부로부터 소경부로 직경이 점진 축소되는 절두원추부와, 이 절두원추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가이드리브를 가지는 연결구;와
절두원추부에 결합되고 연결구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나선형 가이드리브를 따라 소경부측에서 대경부측으로 회전 이동되어 그 외경이 탄성적으로 확장되면서 암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연결록커;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두원추부의 단부에는 그 외주면이 암파이프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는 가이드선단부가 더 형성되어서, 수파이프가 암파이프 내로 진입될 때 진입이 원활하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연결록커와 수파이프와의 간섭이 경감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연결록커는 일부분이 절단되어 그 절단된 양단부가 일정간격 이격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나선형 가이드리브의 비틀림각도로 비틀림되어 형성되며, 연결록커의 중심부 내주면에 여유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두원추부의 단부에 연결록커의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형성되어서, 연결록커가 풀림위치에서 나선형 가이드리브에 압입되는 형상을 방지하였다.
한편, 연결구에는 암,수파이프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을 형성하여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경우 연결록커의 외주면에 암파이프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연결장치는 수파이프의 단부에 마련된 연결구와 연결록커에 의해서 암파이프의 임의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수파이프(20)와 중공의 암파이프(10)를 상호 연결시키는 본 발명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파이프(20)의 단부에는 연결구(30)와 이 연결구(30)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록커(3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30)는, 도 3 및 도 5참조, 수파이프(20)의 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34)와, 이 결합부(34)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대경부로부터 소경부로 직경이 점진 축소되는 절두원추부(切頭圓錐部;32)와, 이 절두원추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가이드리브(36)로 이루어져 있다. 참조번호 33은 수파이프(20)의 단부에 지지되는 결합턱이다.
연결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파이프(20)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30)의 결합부(234) 내주면에 나사부(234a)를 형성하여서 수파이프(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330)와 수파이프(20)를 관통해서 연결되는 연통공(330a)(20a)을 형성하여서 결합핀(90)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절두원추부(32)의 단부에는 그 외주면이 암파이프(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는 가이드선단부(31)가 더 형성되어서, 수파이프(20)가 암파이프(10)내로 진입될 때 진입이 원활하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연결록커(37)와 수파이프(20)와의 간섭이 경감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절두원추부(32)의 단부에는 연결록커(37)의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35)가 형성되어서, 연결록커(37)가 풀림위치에서 나선형 가이드리브(36)에 압입되는 형상을 방지하였다.
한편, 상기 연결록커(37)는, 도 4a 및 도 4b 참조, 일부분이 절단되어 그 절단된 양단부가 일정간격 이격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가이드리브(36)의 비틀림각도로 비틀림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두원추부(32)에 결합되어 연결구(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나선형 가이드리브(36)를 따라 소경부측에서 대경부측으로 회전 이동되어 그 외경이 탄성적으로 확장되면서 암파이프(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록킹되게 된다.
여기서, 연결록커(37)의 중심부 내주면에는 여유홈(37a)이 형성되어서, 연결록커(37)가 나선형 가이드리브(36)의 비틀림각도로 비틀려져 형성될 때 연결록커(37) 자체가 우그러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파이프(20)의 단부에 압입 고정된 연결구(30)를 선두로 암파이프(10) 내부에 진입시키다. 이때 연결록커(37)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두원추부(32)의 소경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연결록커(37)의 외경은 암파이프(10)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서 진입시 암파이프(10)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이프의 연결길이를 조정하면서 임의 위치에 연결구(30)가 위치되도록 하고, 수파이프(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연결록커(3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두원추부(32)의 대경부측으로 나선형 가이드리브(36)를 따라 회전 이동되게 되며, 동시에 점차로 연결록커(37)의 외경이 탄성적으로 확장되게 되어서 암파이프(1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연결구(130)에 암,수파이프(10)(20)를 연통시키는 관통공(139)을 형성하여서 유체가 흐를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록커(37)의 외주면에 암파이프(10)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재(37b)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고정나사(40)는 암,수파이프(10)(20)의 결합길이가 길어질 경우 암,수파이프(10)(20)의 직경차이에 따른 오차간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나사로서, 연결구(30) 및 연결록커(37)의 고정과 함께 암,수파이프(10)(20)의 연결상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경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첫째, 본 발명 파이프 연결장치는 암파이프(10) 내측에 연결구(30) 및 연결록커(37)가 임의 위치로 이동되어 수파이프(20)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므로 임의로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 파이프 연결장치는 암,수파이프가 연결된 후에도 유체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Claims (7)

  1. 수파이프와 중공의 암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키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파이프의 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대경부로부터 소경부로 직경이 점진 축소되는 절두원추부와, 이 절두원추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가이드리브를 가지는 연결구;와
    상기 절두원추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나선형 가이드리브를 따라 상기 소경부측에서 대경부측으로 회전 이동되어 그 외경이 탄성적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암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연결록커;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원추부의 단부에 그 외주면이 상기 암파이프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는 가이드선단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록커는 일부분이 절단되어 그 절단된 양단부가 일정간격 이격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가이드리브의 비틀림각도로 비틀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록커의 중심부 내주면에 여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원추부의 단부에 상기 연결록커의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파이프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에 상기 암,수파이프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록커의 외주면에 상기 암파이프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00-0070931A 2000-11-27 2000-11-27 파이프 연결장치 KR10038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931A KR100384965B1 (ko) 2000-11-27 2000-11-27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931A KR100384965B1 (ko) 2000-11-27 2000-11-27 파이프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13U Division KR200223978Y1 (ko) 2000-11-30 2000-11-30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157A KR20020041157A (ko) 2002-06-01
KR100384965B1 true KR100384965B1 (ko) 2003-05-28

Family

ID=1970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931A KR100384965B1 (ko) 2000-11-27 2000-11-27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586B1 (ko) * 2009-01-14 2017-05-11 에스티엑스 핀란드 오와이 선박용 배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2085A2 (en) * 1987-05-18 1988-11-23 Cooper Industries, Inc. Tubular connector
KR900016725A (ko) * 1989-04-13 1990-11-14 로버트 제이. 에드워즈 플러그리테이너
US5149149A (en) * 1992-01-16 1992-09-22 Wu Wen C Pipe connecting device with bayonet and interlocking bushing structure
KR960018319A (ko) * 1994-11-26 1996-06-17 배순훈 파이프(pipe) 이음구조
KR960018320A (ko) * 1994-11-26 1996-06-17 배순훈 파이프 이음구조
KR200223978Y1 (ko) * 2000-11-30 2001-05-15 임순애 파이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2085A2 (en) * 1987-05-18 1988-11-23 Cooper Industries, Inc. Tubular connector
KR900016725A (ko) * 1989-04-13 1990-11-14 로버트 제이. 에드워즈 플러그리테이너
US5149149A (en) * 1992-01-16 1992-09-22 Wu Wen C Pipe connecting device with bayonet and interlocking bushing structure
KR960018319A (ko) * 1994-11-26 1996-06-17 배순훈 파이프(pipe) 이음구조
KR960018320A (ko) * 1994-11-26 1996-06-17 배순훈 파이프 이음구조
KR200223978Y1 (ko) * 2000-11-30 2001-05-15 임순애 파이프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586B1 (ko) * 2009-01-14 2017-05-11 에스티엑스 핀란드 오와이 선박용 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157A (ko) 200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2724Y2 (ko)
WO2001079739A3 (en) Screw on connector
US4252346A (en) Connection for transition from a cutting ring joint or similar to a flange joint
US5398218A (en) Connection of a band to a watch case
CA2298901A1 (en) Integral joint for the connection of two pipes
PL202872B1 (pl) Łącznik szybko złączny
WO2004042264A3 (en) Plastic-lined metal-encased tubing segment connector system
WO2001035010A3 (en) Control line coupling and tubular string-control line assembly employing same
KR10038496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CA2324456A1 (en) Two-step, differential diameter wedge threaded connector
KR200223978Y1 (ko) 파이프 연결장치
WO2002035128A3 (en) Threaded pipe joint
EP1394458A1 (en) Joint for high pressure fluid
TW200526879A (en) Threaded member and connecting device that uses the threaded member
US20230143867A1 (en) Tube coupling
US6945703B2 (en) Optical connector
US7478970B2 (en) Shaft clamping mechanism
DE602004019769D1 (de) Nicht stauender verbinder
CN208537801U (zh) 一种接头的束状型光缆
KR101735914B1 (ko) 탭가이드 기구
KR19990068311A (ko) 콘넥터
KR960006614Y1 (ko) 파이프의 연결구조
US20230141879A1 (en) Tube coupling
KR970003279Y1 (ko) 크로스 아암 고정구조
CN111725672B (zh) 一种接头连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