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927B1 -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927B1
KR100383927B1 KR10-1999-0064673A KR19990064673A KR100383927B1 KR 100383927 B1 KR100383927 B1 KR 100383927B1 KR 19990064673 A KR19990064673 A KR 19990064673A KR 100383927 B1 KR100383927 B1 KR 10038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handle
link
pull handl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64470A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927B1/en
Priority to US09/733,796 priority patent/US6371549B2/en
Publication of KR2001006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4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9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에 설치된 풀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 게이트를 닫을 때 키가 작은 사람이 보다 용이하게 풀 핸들을 잡고 테일 게이트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테일 게이트에 형성된 풀 핸들이 테일 게이트가 열리면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가 작아도 테일 게이트를 닫는 동작이 불편하지 않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 handle installed in a tail gat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il gate pull handle for a vehicle configured to enable a shorter person to hold the pull handle more easily when closing the tail g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a tail gate pull handle for a vehicle configured such that the pull handle formed on the tail gate is lowered when the tail gate is opened, so that the closing of the tail gate is not inconvenient even if the user's height is small.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림 패널(54)의 내측면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관통공(1)이 형성된 제1베젤(2)과, 상기한 제1관통공(1)을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한 핸들(3)과, 상기한 핸들(3)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트림 패널(54)의 저면에 결합된 제2베젤(4)의 제2관통공(5)으로 승강되는 피스톤(6)과, 상기한 핸들(3)의 수평 방향 운동을 피스톤(6)에 전달하여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수단과, 상기한 핸들(3)이 트림 패널(54)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rim panel 54, the first bezel (2) having a first through hole (1) and the first through hole (1) The second through hole 5 of the second bezel 4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im panel 54 while interlocking with the handle 3 and the handle 3 that can slide in a penetrating state. An elevating piston (6), link means configured to transmit and elevat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andle (3) to the piston (6), and elasticity such that the handle (3) protrudes toward the trim panel (54).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 elastic means for applying.

Description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Tail gate pull handle for car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에 설치된 풀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 게이트를 닫을 때 키가 작은 사람이 보다 용이하게 풀 핸들을 잡고 테일 게이트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 handle installed in a tail gat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il gate pull handle for a vehicle configured to enable a shorter person to hold the pull handle more easily when closing the tail gat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하차등을 위해 다수의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원박스카(지프차량, 1톤 승합차량, 5도어 차량등)에는 차량 후방에 화물을 싣도록 테일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In general, a ca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oors to be opened and closed for getting on and off, such as one box car (Jeep vehicle, 1 ton van, 5 door vehicle, etc.) tail gate is installed to load cargo behind the vehicle Will be.

상기한 테일 게이트의 설치 상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의 후면인 루프 패널(R) 상단에 테일 게이트(50)가 힌지(51)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테일 게이트(50)를 개폐하면서 차량 후면에서 화물등을 수납/취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ail gate, as shown in FIG. 3, the tail gate 5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roof panel R, which is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B, by the hinge 51.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tail gate 50, it is possible to store / take out cargo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한 테일 게이트(50)의 내측면에는 테일 게이트(50)를 닫을 수 있도록 풀 핸들(52)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 인너 패널(53)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트림 패널(54)에 홈 형태로 풀 핸들(5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Here, the pull handle 5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ail gate 50 so as to close the tail gate 50,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tail gate inner panel 53 as shown in FIG. 5. The pull handle 52 is formed in the groove form in the trim panel 54 fixed to the groove.

즉, 상기한 테일 게이트(50)를 열게 되면 상기한 테일 게이트(50)가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게 되는 바, 상기한 테일 게이트(50)를 닫기 위해서 홈 형태의 풀 핸들(52)을 테일 게이트 트림 패널(54) 하부에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ail gate 50 is opened, the tail gate 50 is locat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In order to close the tail gate 50, the pull handle 52 having a groove shape trims the tail gate. It is to be formed under the panel 54.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홈 형상의 풀 핸들을 테일 게이트의 트림 패널에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비교적 키가 작은 사람이면 상기한 풀 핸들을 잡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한 풀 핸들을 잡고 테일 게이트를 당기는 것이 어렵게 됨으로써, 테일 게이트의 개폐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groove-shaped pull handle is formed in the trim panel of the tail gat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is a relatively short person, it is difficult to hold the pull handle as well as the pull handle to pull the tail gate. Since it becomes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that opening and closing of the tail gate becomes inconvenient.

즉, 상기한 풀 핸들의 높이가 일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한 테일 게이트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가 작다면, 상기한 풀 핸들을 잡기가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테일 게이트를 닫는 것이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height of the pull handle is a constant state, if the user's key is small in the open state of the tail gate, it is difficult to hold the pull handle, which is inconvenient to close the tail gate.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일 게이트에 형성된 풀 핸들이 테일 게이트가 열리면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가 작아도 테일 게이트를 닫는 동작이 불편하지 않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ll handle formed on the tail gate is lowered when the tail gate is opened, so that the tail gate for automobiles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tail gate is not inconvenient even if the user's key is small. To provide a full handle.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림 패널의 내측면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베젤과, 상기한 제1관통공을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한 핸들과, 상기한 핸들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트림 패널의 저면에 결합된 제2베젤의 제2관통공으로 승강되는 피스톤과, 상기한 핸들의 수평 방향 운동을 피스톤에 전달하여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수단과, 상기한 핸들이 트림 패널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rim panel, the first bezel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 handle which can slide in a state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the handle A piston which is lifted up and down by a second through hole of a second bezel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rim panel while interlocking with a movement of the linker; link means configured to transfer and mov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andle to the piston; And elastic means for applying elasticity to protrude toward the trim pane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tail gate pull handl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서 풀 핸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ull handle in FIG.

도3은 일반적인 테일 게이트 장착 자동차에서 테일 게이트에 풀 핸들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l handle is installed on the tail gate in a typical tail gate mounted vehicle,

도4는 도3에서 풀 핸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ull handle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5: 관통공 2: 제1베젤1, 5: through hole 2: first bezel

3: 핸들 4: 제2베젤3: handle 4: second bezel

6: 피스톤 7: 브라켓6: piston 7: bracket

8: 제1회전축 9: 제1링크8: 1st axis of rotation 9: 1st link

10: 제2회전축 11: 제3회전축10: second rotating shaft 11: third rotating shaft

12: 제2링크 13: 제4회전축12: 2nd link 13: 4th rotating shaft

14: 제5회전축 15: 제3링크14: fifth rotating shaft 15: third link

17, 18, 19: 스프링 B: 바디17, 18, 19: spring B: body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을 도시한 개략도와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트림 패널(54)의 내측면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관통공(1)이 형성된 제1베젤(2)과, 상기한 제1관통공(1)을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한 핸들(3)과, 상기한 핸들(3)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트림 패널(54)의 저면에 결합된 제2베젤(4)의 제2관통공(5)으로 승강되는 피스톤(6)과, 상기한 핸들(3)의 수평 방향 운동을 수직 방향 운동으로 전환·전달하여 피스톤(6)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수단과, 상기한 핸들(3)이 트림 패널(54)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1 and 2 are schematic and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ailgate pull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rim panel 54 and the first through-hole 1 formed thereon. Enga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im panel 54 while interlocking with the bezel 2, the handle 3 that can slide in a state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 and the handle 3 described above. The piston 6, which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second through hole 5 of the second bezel 4,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andle 3, are transferred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iston 6 is raised and lowered. It consists of a link means comprised so that the said handle 3 may apply elasticity so that the said handle 3 may protrude toward the trim panel 54 side.

상기한 링크 수단은 상기한 테일 게이트(50)의 인너 패널(53)에 설치된 브라켓(7)과, 상기한 브라켓(7)에 제1회전축(8)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L형으로 형성된 제1링크(9)와, 상기한 제1링크(9)와 일단이 제2회전축(10)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이 핸들(3)의 종단에 제3회전축(11)으로 연결된 제2링크(12)와, 상기한 제1링크(9)의 타단에 제4회전축(13)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한 피스톤(6)의 상단에 제5회전축(14)으로 연결된 제3링크(15)로 구성되어 있다.The link means is formed on the bracket 7 installed on the inner panel 53 of the tail gate 50 and the bracket 7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first rotation shaft 8 and formed in an L shape. The first link 9, the first link (9)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andle 3, the second link (11) 12) and a third link 15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9 by a fourth rotary shaft 13 a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iston 6 by a fifth rotary shaft 14. It is.

또한, 상기한 브라켓(7)과 제1링크(9)의 사이에는 상기한 제1링크(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spring 17 is provided between the bracket 7 and the first link 9 so that the first link 9 rotates clockwise.

상기한 탄성 수단은 상기한 제1베젤(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핸들(3) 종단에 결합되어 핸들(3)을 트림 패널(54) 방향으로 당기도록 설치된 스프링(18)과, 상기한 제2베젤(4)과 피스톤(6)의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6)을 돌출시키도록 탄성을 인가하는 스프링(19)으로 이루어진다.The elastic means has a spring 18,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bezel 2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handle 3 to pull the handle 3 in the direction of the trim panel 54, and A spring 19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ezel 4 and the piston 6 to apply elasticity to protrude the piston 6.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테일 게이트(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한 피스톤(6)이 바디(B)에 압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한 피스톤(6)이 상승된 상태인 바, 상기한 피스톤(6)에 연결된 제1, 2, 3링크(9, 12, 15)가 회전되면서 상기한 핸들(3)이 트림패널(54)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tail gate 50 is closed, the piston 6 is pressed against the body B, and thus the piston 6 is raised. In bar,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ks 9, 12 and 15 connected to the piston 6 are rotated, the handle 3 is moved into the trim panel 54.

이 상태에서 상기한 테일 게이트(50)를 열게 되면, 상기한 피스톤(6)을 압박하는 부분(바디)이 없기 때문에, 상기한 스프링(17, 18, 19)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6)이 하향 돌출된다.When the tail gate 50 is opened in this state, since there is no part (body) for pressing the piston 6, the piston 6 is caus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s 17, 18 and 19. It protrudes downward.

피스톤(6)이 하향 돌출되면 제 3링크(15)가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제 1링크(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제 2링크(12)는 상기 제 1링크(9)의 상단에 밀려져 핸들(3)을 트림패널(54)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When the piston 6 protrudes downward, the third link 15 is pulled downward to rotate the first link 9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second link 12 is an upper end of the first link 9. Pushes the handle 3 out of the trim panel 54.

핸들(3)이 트림 패널(54)의 외측으로 밀려진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테일 게이트(50)가 수직 이상으로 열렸을 때 상기한 핸들(3)이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한 테일 게이트(50)가 키 작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높이로 위치가 낮아진다는 것이다.The fact that the handle 3 is pushed out of the trim panel 54 substantially means that the tail gate 50 is short when the handle 3 protrudes downward when the tail gate 50 is opened vertically or more. The position is lowered to a height that can be grasped by the user.

즉, 상기한 테일 게이트(50)가 열렸을 때는 수직 높이 정도로 열리는 바, 상기한 테일 게이트(50)의 트림 패널(54) 부분(아랫부분)에서 핸들(3)이 돌출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한 테일 게이트(50)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가 되고, 이 핸들(3)을 잡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테일 게이트(50)를 닫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tail gate 50 is opened to a vertical height when the tail gate 50 is opened, since the handle 3 protrudes from the trim panel 54 portion (lower portion) of the tail gate 50, the above-described substantially The height of the tail gate 50 is lowered, and the user can easily close the tail gate 50 by holding the handle 3.

테일 게이트(50)가 닫히게 되면, 상기한 피스톤(6)이 다시 바디(B)에 의해 압박되면서 상향되고, 상기한 최초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tail gate 50 is closed, the piston 6 is pushed upward by the body (B) again, and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풀 핸들(52)은 테일 게이트(50)의 내면 트림 패널(54)에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테일 게이트(50)를 닫기 위해서는 테일 게이트(50)의 열림 높이보다 키가 커야 됐지만, 본원의 핸들(3)은 테일 게이트(50)보다 아래에 위치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사람이 보다 용이하게 테일 게이트(50)를 닫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ntional pull handle 52 is formed in the inner trim panel 54 of the tail gate 50, in order to substantially close the tail gate 50, it is taller than the opening height of the tail gate 50. Although should be large, the handle 3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below the tail gate 50, so that a shorter person can more easily close the tail gate 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를 열었을 때 상기한 테일 게이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핸들을 위치시키고 테일 게이트를 닫았을 때 테일 게이트에 밀착시킴으로써,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가 테일 게이트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position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ail gate when the tail gate is opened, and the close contact with the tail gate when the tail gate is closed allows a relatively short user to easily close the tail gate.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4)

트림 패널의 내측면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베젤과;A first bezel coupled to a lower side of an inner surface of the trim panel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herein; 상기한 제1관통공을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한 핸들과;A handle capable of sliding in a stat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트림 패널의 저면에 장착되고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베젤과;A second bezel mounted on a bottom of the trim panel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therein;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한 상태로 승강이동 가능한 피스톤과;A piston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while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 인너패널에 고정된 브라켓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체결된 L형의 제1링크와, 이 제1링크의 상단과 상기 핸들의 종단을 연결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하단과 상기 피스톤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3링크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과 핸들이 연동되도록 하는 링크수단 및;An L-shaped first link hinged to a bracket fixed to an inner panel, a second link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link to an end of the handle, a lower end of the first link, and a piston Link means for connecting the piston and the handle is made of a third link connecting the upper end; 상기 제1베젤과 핸들의 종단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을 트림 패널 외측방향(수평)으로 당겨주는 스프링과, 상기 제 2베젤과 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을 트림 패널 외측방향(수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A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ezel and the end of the handle to pull the handle in the trim panel outward (horizontal), and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bezel and the piston to push the piston in the trim panel outward (vertical) Tailgate pull handle for a vehicle composed of elastic means consisting of a spring. 삭제delete 제 1에 있어서, 상기한 브라켓과 제1링크의 사이에 이 제1링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2. The tailgate pull hand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ring for rotating the first link in a clockwise dir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first link. 삭제delete
KR10-1999-0064673A 1999-12-29 1999-12-29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KR100383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673A KR100383927B1 (en) 1999-12-29 1999-12-29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US09/733,796 US6371549B2 (en) 1999-12-29 2000-12-05 Tailgate pull handle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673A KR100383927B1 (en) 1999-12-29 1999-12-29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470A KR20010064470A (en) 2001-07-09
KR100383927B1 true KR100383927B1 (en) 2003-05-14

Family

ID=1963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673A KR100383927B1 (en) 1999-12-29 1999-12-29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9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164B1 (en) * 2007-12-13 2008-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ail gate handle for automobile
US10392851B2 (en) * 2017-03-10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ing a liftgate of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470A (en)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271B1 (en) tailgate fold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US11725433B2 (en) Electronic actuated tonneau cover striker assembly
KR870008726A (en) Sun roof devices for vehicles
CN1500672A (en) Door handle for vehicles
US6371549B2 (en) Tailgate pull handle of automobile
KR20090043127A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ail gate for vehicle
KR100383927B1 (en)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KR100380447B1 (en)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KR100376834B1 (en) Pull handle of tail gate for automobile
KR100461061B1 (en) Tail gate opening angle limiting apparatus in automobile
KR100348095B1 (en) a tail gate latch for vehicles
KR20060018350A (en) Tailgate for vehicles having an auxiliary door
KR0114068Y1 (en) Locking device for load-carrying vehicles rear gate
KR20210144239A (en) Tailgate for vehicle
KR200192419Y1 (en) The support structure of pacage tray
KR200156548Y1 (en) Stopper of a door for a vehicle
KR101624240B1 (en) Mounting structure of gas lifter for vehicle
KR200356212Y1 (en) Container structure for second floor capable of being loaded on truck
KR100392009B1 (en) Hinge arm assembly of trunklid for car
KR20020015470A (en) tailgate fold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KR20230124181A (en) An electronic key for a truck
JPH057875Y2 (en)
KR200162541Y1 (en) Door inside handle lever for hard top car
CN116001537A (en) Foldable automobile back door
JPS62244984A (en) Locking device for cove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