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469B1 - 확성기유닛및확성기유닛이제공된장치 - Google Patents

확성기유닛및확성기유닛이제공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469B1
KR100383469B1 KR1019960701703A KR19960701703A KR100383469B1 KR 100383469 B1 KR100383469 B1 KR 100383469B1 KR 1019960701703 A KR1019960701703 A KR 1019960701703A KR 19960701703 A KR19960701703 A KR 19960701703A KR 100383469 B1 KR100383469 B1 KR 10038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udspeaker
mounting surface
loudspeaker uni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470A (ko
Inventor
페트루스 마리아 판뎬 틸라트 마르티누스
후베르투스 미카엘 마리 에버스 빌헬무스
아드리아누스 안토네타 나스 요하네스
드 보우 더크
키르만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96070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19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연속적인 공간(17)을 에워싸고 있는 벽(20, 28, 29)들로 구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있는 장치(1). 벽들 중 제 1 벽(20)은 개구(25)를 가지고 있고, 그 공간에서 멀리 떨어진 제 1 벽의 외부면(20a)은 개구 주위에 장착 표면(23)을 가지고 있다. 확성기(30)는 공간 외부에 위치해 있으며 그 개구를 밀폐시키는 방식으로 장착 표면 위에 장착되어져 있다. 그 장착 표면(23)은 공간(17)을 향해 돌출해 있는 제 1 벽(20)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챔버(21)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챔버는 확성기(30)의 적어도 상당 부분이 그 챔버에 위치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Description

확성기 유닛 및 확성기 유닛이 제공된 장치
본 발명은 연속적인 공간을 에워싸고 있는 벽들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확성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및, 공간 외부에 배치되고 개구를 밀폐시키는 방식으로 장착 표면상에 장착된 확성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벽들 중 제 1 벽은 개구를 가지며, 상기 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 1 벽의 외부측에서, 상기 개구 주위에 장착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장치는 유럽특허 EF-A-0,342,117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기존의 장치는 TV 수신기의 캐비닛 안에 배열된 확성기 유닛을 갖는 TV 수신기이다. 그 확성기 유닛은 하우징과 확성기를 포함하며, 이 확성기는 벽에서 완전히 돌출되는 방식으로 그 하우징의 평평한 벽의 외부 표면에 장착된다. 종래 장치의 단점은 확성기 유닛에 의해 저주파수 음향재생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규정된 형태의 장치를 개선하여 저주파 음향 재생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장착 표면이,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 1 벽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챔버 내에 위치하는 것과 확성기의 적어도 상당부분이 그 챔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챔버의 크기(dimension)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단들에 의해 그 장치내부의 공간은 확성기 유닛의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부피를 최대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 부피를 최대화시키는 것은 저주파 음향재생을 향상 시켜준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제 1 벽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의 챔버의 크기가 이 방향에서의 확성기의 크기에 대응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수단의 결과로서 하우징 내의 챔버는 확성기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깊게 되어 있어서, 제 1 벽이 장치내의 평평한 벽에 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장착 표면이 하우징의 제 2 벽과 인접해 있고, 하우징의 제 2 벽은 제 1 벽과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단은 배선 목적을 위해 확성기에 대해 보다 양호한 접속을 제공한다. 이것은 확성기가 챔버 내에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음향 공진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공진들은 소위 방사 음향의 콜로레이션(coloration)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방해 요소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장착 표면이 하우징의 제 3 벽과 접해 있으며, 제 3 벽은 제 1 및 제 2 벽과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챔버에서 발생하는 음향 공진들, 결과적으로 음향의 콜로레이션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저주파 재생을 위해 알맞은 기존의 확성기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확성기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확성기 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확성기 유닛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실시예들은 도식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그 도면들은 임의의 스케일로 도시되어 있고, 이것은 항상 동일하지는 않는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즉, 본 발명의 경우에는 TV 수신기(1)를 도시하고 있다. 이 TV 수신기(1)는 캐비닛(3), 화상 튜브(5), 전자 회로(7) 및 확성기 유닛(10)을 포함한다. 상기 확성기 유닛(10)은 캐비닛(3)안에 완전히 수용되어지며, 그 음향을 TV 수신기(1) 내부로 방사한다. 캐비닛(3)은 음향이 캐비닛(3)을 통해 나타나는 개구들(apertures;9)을 가지며 그 개구들을 통해 음향은 캐비넷(3)으로부터 발생된다. 확성기 유닛(10)은 저주파를 재생시키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러한 저주파를 위해서, 확성기 유닛(10)은 포인트 소스(point source)로서 동작한다. 이것은 음향이 개구들(9)을 통해 모든 방향으로 쉽게 전파해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확성기 유닛(10)이 캐비닛(3) 내부에 위치해 있다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제 2 도는 확성기(30)와 하우징(11)으로 구성된 기존의 확성기 유닛(10)을 도시하고 있다. 이 하우징(11)은 공간(17)을 에워싸고 있는 다수의 벽들(20, 28, 29)을 포함한다. 제 1 벽(20)은 개구(25)를 가지고 있으며, 개구(25) 주위의 제 1 벽의 내부측에서 제 1 벽은 확성기(30)가 장착된 장착 표면(도시않됨)을 가지고 있다. 이 확성기(30)는 공간(17) 내부에 완전히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져 있다. 확성기 유닛(10)은 저주파 재생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위 베이스-리플렉스포트(bass-reflex port)로서 작용하는 포트(15)를 구비한다. 확성기(30)는 공간(17) 내부에 위치된 전기 접속 단자(31)들을 갖는다. 확성기(30)는 단자(31)들에 연결된 배선(33)에 의해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그 배선은 공간(17) 내부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리드-스루(lead-through) 개구(18)를 통해 빠져나와야 한다. 이 방식으로 배선(30)을 설치하는 것은 번거러우며, 더욱이, 리드-스루 개구(18)는 "히싱(hissing)"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히 밀봉되야 한다. 이 히싱은 확성기(30)가 동작중일 때, 고속으로 개구(18)를 통해 강제적으로 나오게 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 유닛(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확성기(30)는 공간(17) 외부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제 1 벽(20)의 외부면(20a)의 장착 표면(23) 위에 장착된다. 이 장착 표면(23)은 공간(17)을 향하고 있는 제 1 벽(20)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챔버(2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챔버(21)는 확성기(30)의 적어도 상당 부분이 챔버(21) 내에 위치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양호하게는, 제 1 벽(20)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있는 챔버(21)의 크기(h)는 이 방향에 있는 확성기(30)의 크기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챔버(21)는 확성기(30)를 완전히 수용할 만큼 크다. 이것은 TV 수신기내의 캐비닛(3)의 평평한 벽에 확성기 유닛(10)을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캐비닛(3)안의 공간은 공간(17)의 최대 체적을 얻기 위해 최적 수준으로 사용되므로, 저주파 음향재생을 향상시킨다. 공간(17)의 외부에 확성기(30)를 장착하게 되면, 배선(33)이 하우징(11)의 벽을 통해 빠져나올 필요가 없어진다. 또 다른 장점은 확성기(30)가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확성기 유닛(10)이 수명이 다된 후에 쓰레기로 처리될 때에 단순히 다른 물질들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 유닛(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 표면(23)은 제 2 벽(28)과 접해 있다. 결과적으로 챔버(21)는 두 면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장점은 단자(31)들에 쉽게 접속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33)이 확성기(30)의 접속 단자들(31)에 좀더 간단하게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완전한 확성기 유닛(10)이 TV 수신기(1)내에 장착될 때, 확성기(30)의 장착 후에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만들어 준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 유닛(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장착 표면(23)이 제 2 벽(28)과, 제 3 벽(29)에 접해 있으며, 그 벽들은 다른 하나와 접해 있고, 두 벽은 제 1 벽과 접해 있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챔버(21)는 측벽(side wall;27)이 다른 하나와 마주보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진이 발생하는 음향 공간을 더이상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음향의 콜로레이션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확성기(30)의 역 장착(inverted mounting)은 중간 주파수 재생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것은 TV 수신기(1)가 중간 주파수와 고 주파수에 대해서 독립된 확성기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점이 된다. 이 경우, 확성기 유닛(10)에 의한 중간 주파수 재생은 바람직스럽지 못한 방법으로 이러한 독립된 확성기 유닛들에 의해 만들어진 중간 주파수의 재생을 간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설명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여러가지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장착 표면(23)은 공간(17)의 체적을 더욱 최대화시키기 위해 제 1 벽(20)과 관련하여 경사지게 만들어 질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11)의 형태는 장치(1) 내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에 맞추어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어 모니터나 오디오 장치가 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장치(1)에 사용되는 확성기 유닛(10)에 있어서:
    - 연속 공간(17)을 에워싸고 있는 다수의 벽들(20,28,29)을 갖는 하우징(11)으로서, 상기 벽들(20,28,29) 중 제 1 벽(20)은 상기 연속 공간(17)을 향해 돌출하여 챔버(21)를 형성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돌출부분은 상기 연속 공간(17)으로의 개구(25)를 가지며, 상기 연속 공간(17)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분의 외측 상에서, 상기 제 1 벽(20)에 평행하게 확장되는 장착 표면(23)을 제공하고, 상기 장착 표면(23)은 상기 챔버(21)내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25)를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11)과;
    - 확성기(30)가 상기 연속 공간(17)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개구(25)를 밀폐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장착 표면(23) 상에 장착된 확성기(30)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21)는, 상기 확성기(30)의 적어도 상당 부분이 상기 챔버(21)내에 위치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상기 제 1 벽(20)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챔버의 크기(dimension: h)는 이 방향에서의 상기 확성기(30)의 크기에 대응하는, 확성기 유닛(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표면(23)은 상기 다수의 벽들(20, 28, 29) 중 제 2 벽(28)과 접해 있고, 상기 제 2 벽(28)은 상기 제 1 벽(20)과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유닛(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표면(23)은 상기 하우징(11)의 다수의 벽들(20, 28, 29) 중 제 3 벽(29)에 접해 있고, 상기 제 3 벽(29)은 상기 제 1 벽(20)과 상기 제 2 벽(29)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유닛(10).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서 청구된 상기 확성이 유닛(10)이 제공되는, 장치(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모니터인, 장치(1).
KR1019960701703A 1994-08-02 1995-07-28 확성기유닛및확성기유닛이제공된장치 KR100383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202232 1994-08-02
EP94202232.8 1994-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470A KR960705470A (ko) 1996-10-09
KR100383469B1 true KR100383469B1 (ko) 2003-07-22

Family

ID=821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703A KR100383469B1 (ko) 1994-08-02 1995-07-28 확성기유닛및확성기유닛이제공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71304A (ko)
EP (1) EP0722650B1 (ko)
JP (1) JP3737109B2 (ko)
KR (1) KR100383469B1 (ko)
DE (1) DE69527501T2 (ko)
WO (1) WO1996004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0954A (en) * 1996-01-02 2000-10-10 Carver; Robert W. High back-emf, high pressure subwoofer having small volume cabinet, low frequency cutoff and pressure resistant surround
CA2263177A1 (en) 1996-08-12 1998-02-19 Robert W. Carver High back emf, high pressure subwoofer
US6546298B1 (en) * 1998-06-17 2003-04-08 Micron Technology, Inc. Speaker apparatus and a computer system incorporating same
US7113607B1 (en) * 1998-09-03 2006-09-26 Mullins Joe H Low frequency feedback controlled audio system
US6438249B1 (en) 2000-02-15 2002-08-20 Soundtube Entertainment, Inc Open back acoustic speaker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8762A (en) * 1981-11-26 1985-12-17 Stig Carlsson Loudspeaker
KR930017155U (ko) * 1991-12-06 1993-07-29 대우전자 주식회사 Tv의 스피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4729A (en) * 1963-09-24 Stereophonic sound reproducing loudspeaker system
SE387511B (sv) * 1973-08-24 1976-09-06 S Carlsson Hogtalare for anvendning vid sterofonisk ljudatergivning, samt av tva sadana hogtalare bestaende hogtalarpar
US3982607A (en) * 1975-01-28 1976-09-28 Evans Arnold D Loudspeaker cabinet having an integrally constructed horn
US4509615A (en) * 1980-02-04 1985-04-09 Hruby John O Multi-chamber enclosure for loudspeakers
EP0040281A1 (en) * 1980-05-20 1981-11-25 Lady Bea Enterprises, Inc. Loudspeaker and enclosure system with digital encoding phase shifted crossover network and self contained digital power drive system, and a modular method of utilizing moulded inserts
JPS6162495U (ko) * 1984-09-29 1986-04-26
US5359664A (en) * 1992-03-31 1994-10-25 Richard Steuben Loudspeaker system
DE4220637A1 (de) * 1992-06-24 1994-01-05 Nokia Deutschland Gmbh Lautsprecheranordnung für Fernsehgeräte
US5278361A (en) * 1993-02-05 1994-01-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Loudspeak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8762A (en) * 1981-11-26 1985-12-17 Stig Carlsson Loudspeaker
KR930017155U (ko) * 1991-12-06 1993-07-29 대우전자 주식회사 Tv의 스피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503639A (ja) 1997-04-08
EP0722650A1 (en) 1996-07-24
DE69527501D1 (de) 2002-08-29
KR960705470A (ko) 1996-10-09
US5771304A (en) 1998-06-23
DE69527501T2 (de) 2003-03-06
EP0722650B1 (en) 2002-07-24
WO1996004764A1 (en) 1996-02-15
JP3737109B2 (ja)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165B1 (ko) 다이폴지향특성을 지닌 스피커장치
FI78806C (fi) Anordning foer stereofonisk ljudaotergivning i en televisionsmottagare.
JP3449571B2 (ja) 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スピーカシステム
EP0451885B1 (en) Audio or video apparatus with in-built loud-speaker
KR100333306B1 (ko) 텔레비전세트
EP0519509B1 (en) Woofer module for use in a television set
EP0748116A1 (en) Speaker apparatus of a television receiver
US3473625A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and loudspeaker assembly
KR100383469B1 (ko) 확성기유닛및확성기유닛이제공된장치
US5956412A (en) Loudspeaker case structure for video display appliances
US6205229B1 (en) Television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vibration of speaker
KR100732167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영상기기
JP3473279B2 (ja) スピーカ装置
US6204830B1 (en) Monitor having base with sound reproducing element for providing sound frequencies at self-resonant frequency
KR100372265B1 (ko) 스피커
KR100218095B1 (ko) 텔레비젼용 스피커 시스템
KR19990019909U (ko) 텔레비젼용 스피커
KR200217562Y1 (ko) 텔레비전용스피커장치
KR200223442Y1 (ko) 웨이브 가이드 필터
JP3816016B2 (ja) バスレフ型スピーカー装置
KR900011298Y1 (ko) 스피커
KR19990019906U (ko) 텔레비젼용 스피커
KR960010577Y1 (ko) 스피커 고정장치
KR20000002047U (ko) 진동흡수가 용이한 스피커장치
KR19990013901U (ko) 모니터의 마이크로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