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958B1 -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958B1
KR100382958B1 KR10-1998-0039583A KR19980039583A KR100382958B1 KR 100382958 B1 KR100382958 B1 KR 100382958B1 KR 19980039583 A KR19980039583 A KR 19980039583A KR 100382958 B1 KR100382958 B1 KR 10038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kirting
bending
liquid adhes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803A (ko
Inventor
박윤서
Original Assignee
박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서 filed Critical 박윤서
Priority to KR10-1998-0039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9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6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레받이용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레진원료를 길이가 길고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연접하여 설치된 수개의 로울러를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는 장폭의 시트원단을 제조하는 카렌다 가공공정과, 상기 카렌다 가공공정에서 제조된 장폭의 시트원단의 표면 전체에 인쇄무늬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그라비야 인쇄공정과, 상기 그라비야 인쇄공정을 거친 장폭의 시트원단을 굽도리의 규격에 맞추어 세절하여 인쇄무늬가 형성된 다수의 굽도리 원단을 제조하는 스리팅 가공공정과, 상기 스리팅 가공공정에 의하여 세절된 각각의 굽도리 원단의 이면부 상,하단부위에 상,하부 절곡홈을 절삭해내는 절곡홈 가공공정과, 상기 절곡홈 가공공정을 거친 굽도리 원단의 이면부 상단부위에 형성된 상부 절곡홈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액상접착제 주입공정과, 상기 접착제 주입공정에서 액상접착제가 주입된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위를 이면측으로 절곡시켜 상부 절곡홈의 상,하 양면이 서로 맞닿으면서 액상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게 함과 동시 상기 액상접착제를 냉각시켜 고체화시키는 상단부위 절곡공정으로 굽도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본 발명은 걸레받이용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바닥재를 시공한 방안의 벽면 아랫단에는 걸레받이용으로 굽도리를 설치하고 있으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굽도리는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좁은 폭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 굽도리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 분말원료(101)를 압출기(102)에 투입하여 액상으로 녹이면서 압출시키는 방법으로 굽도리와 동일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굽도리 원단(200)을 압출성형한 다음 열전사로울러(103)를 이용하여 상기 압출기(102)에서 압출성형되는 굽도리 원단(200) 표면에 전사필름(201)에 인쇄된 전사무늬(202)를 가열점착시켜주는 방법으로 굽도리를 제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압출성형방법은 압출기(102) 자체에서 합성수지 분말원료(101)를 액상으로 녹이면서 압출하여야 하므로 압출속도가 매우 느리며, 또한 종래의 압출기(102)는 통상 한 장의 굽도리 원단(200)을 압출성형하기 때문에 한 대의 압출기(102)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당 굽도리를 제조하는 량이 매우 저조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곧 굽도리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압출기(102)로 압출성형된 굽도리 원단(200)에 열전사로울러(103)로서 전사무늬(202)를 전사할 경우에는 가격이 고가인 전사필름(201)이 굽도리 생산량과 동일하게 소요되며, 또한 전사무늬(202)가 굽도리 원단(200)의 표면에만 점착될 뿐이며 도 13과 같이 굽도리 원단(200)의 상단면(200a)은 열전사로울러(103)가 밀착되자 않아 전사무늬(202)를 전사시킬 수 없기 때문에 굽도리 원단(200)의 상단면(200a)에 전사무늬(202)를 전사시키기 위한 별도의 열전사로울러가 필요하게 되는데 굽도리 원단(200)의 상단면(200a)은 아주 협소한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굽도리 원단(200) 자체가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협소한 단면적으로 된 상단면(200a)에 전사무늬를 전사시키는 문제를 쉽게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합성수지 레진원료를 장폭의 시트원단으로 제조하는 카렌다(CALENDER) 공법을 이용하여 단위시간당 굽도리 원단의 제조량을 수배 내지 수십배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굽도리 원단의 상단에 표면과 동일한 인쇄무늬를 형성시켜 품질의 향상을 꾀하면서 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합성수지 레진원료를 길이가 길고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연접하여 설치된 수개의 로울러를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는 장폭의 시트원단을 제조하는 카렌다 가공공정과;
상기 카렌다 가공공정에서 제조된 장폭의 시트원단의 표면 전체에 인쇄무늬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그라비야 인쇄공정과;
상기 그라비야 인쇄공정을 거친 장폭의 시트원단을 굽도리의 규격에 맞추어 세절하여 인쇄무늬가 형성된 다수의 굽도리 원단을 제조하는 스리팅(SLITTING) 가공공정과;
상기 스리팅 가공공정에 의하여 세절된 각각의 굽도리 원단의 이면부 상,하 단부위에 상,하부 절곡홈을 절삭해내는 절곡홈 가공공정과;
상기 절곡홈 가공공정을 거친 굽도리 원단의 이면부 상단부위에 형성된 상부 절곡홈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액상접착제 주입공정과; 및
상기 접착제 주입공정에서 액상접착제가 주입된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위를 이면측으로 절곡시켜 상부 절곡홈이 액상접착제를 감싸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접착되게 함과 동시 상기 액상접착제를 냉각시켜 고체화시키는 상단부위 절곡공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적인 수단으로서,
기대의 일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롤상으로 감겨있는 굽도리 원단을 기대의 진입단쪽으로 공급하는 공급보빈과;
상기 기대의 고정레일 상,하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보빈에서공급되는 굽도리 원단을 이송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와;
상기 기대의 진입단측 이송 콘베이어상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분을 상기 고정레일의 일측에 돌출된 가이드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보조 캐터필러와;
상기 기대의 고정레일 위에서 회전이송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의 상부측 상면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된 채 굽도리 원단의 이면을 압착하여 이송 콘베이어벨트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굽도리 원단을 이송시키는 메인 캐터필러와;
상기 메인 캐터필러의 연동 체인기어측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분에 상부 절곡홈을 절삭가공하는 제1 원형톱과;
상기 제1 원형톱에 의하여 절삭가공된 상부 절곡홈에 액상접착제를 주입시키는 접착제 분사노즐과;
상기 제1 원형통과는 반대편에 설치되어 굽도리 원단의 하단부분에 하부 절곡홈을 절삭가공하는 제2 원형톱과;
상기 고정레일의 중간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접착제 분사노즐에 의하여 액상접착제가 주입된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분을 상방을 향해 절곡시키기 위하여 경사진 안내면과 소정각도로 기립된 절곡마감면이 마련되어 있는 절곡레일과;
상기 절곡레일의 상방에 설치되며, 상부 절곡홈에 주입된 액상접착제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바람을 송풍시키는 바람공급구와; 및
상기 기대의 진출단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캐터필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을 롤상으로 감아주는 권취보빈;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중 카렌다 가공공정과 그라비아 인쇄공정으로 장폭의 시트원단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제조된 장폭의 시트원단을 스리팅 가공공정으로 세절하여 다수의 굽도리 원단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절곡홈 가공공정에서부터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위를 절곡시키는 공정을 나타내기 위한 제조장치의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5의 C-C선 및 D-D선 단면도로서,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위를 절곡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최종공정인 양면테이프 부착공정에 의하여 완성된 굽도리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으로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굽도리 단면도.
도 12는 종래 기술의 제조 공정도.
도 13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굽도리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통로울러 11 : 시트원단
12 : 인쇄로울러 13 : 인쇄무늬
14 : 권취보빈 16 : 스리팅 톱날
17 : 굽도리 원단 17a : 상단부분
17b,17d : 상,하부 절곡홈 17c : 하단부분
18 : 양면테이프 2 : 기대
21 : 공급보빈 22 : 권취보빈
23 : 고정레일 24 : 가이드면
25,26 : 구동 및 연동 로울러 27 : 이송 콘베이어벨트
3 : 보조 캐터필러 4 : 메인 캐터필러
41 : 구동 체인기어 42 : 연동 체인기어
43 : 이송체인 44 : 커버체
45 : 메인 모터 5 : 제1 원형톱
51 : 모터 52 : 축수부
54 : 조절나사봉 56,65,81 : 커버체
6 : 접착제 분사노즐 61 : 가열탱크
62 : 펌프 63 : 공급호스
7 : 절곡레일 8 : 제2 원형톱
9 : 바람공급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중 카렌다 가공공정과 그라비야 인쇄공정으로 장폭의 시트원단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제조된 장폭의 시트원단을 스리팅 가공공정으로 세절하여 다수의 굽도리 원단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절곡홈 가공공정에서부터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위를 절곡시키는 공정을 나타내기 위한 제조장치의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5의 C-C선 및 D-D선 단면도로서,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위를 절곡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최종공정인 양면테이프 부착공정에 의하여 완성된 굽도리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으로 제조된 다른 실시예의 굽도리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레진원료를 이용하여 장폭의 시트원단을 제조하는 카렌다 가공공정과, 상기 카렌다 가공공정에서 제조된 장폭의 시트원단의 표면에 여러 가지의 무늬를 선택적으로 연속해서 인쇄시키는 그라비야 인쇄공정과, 상기 그라비야 인쇄공정으로 거친 장폭의 시트원단을 굽도리의 규격에 맞추어 등분하여 세절하는 스리팅 가공공정과, 상기 스리팅 가공공정에 의해 다수개로 세절된 각각의 굽도리 원단을 개별적으로 가공하여 굽도리 원단의 이면 상,하부에 절곡홈을 형성시키는 절곡홈 가공공정과, 액상접착제 주입공정과, 상단부위 절곡공정 및 양면테이프 부착공정으로서 굽도리를 제조하는 것인데, 이하 각 공정별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렌다 가공공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수개의 원통로울러(1)를 연속적으로 연접설치한 다음 합성수지 레진원료(10)를 상기한 원통로울러(1) 사이로 통과시키는 수단으로 장폭의 시트원단(11)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카렌다 가공공정은 비닐장판지 등과 같은 바닥재를 제조하는 카렌다 공법과 같으며, 상기한 수개의 원통로울러(1)들은 간격조절이 가능하여 시트원단(11)의 두께를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트원단(11)의 두께를 굽도리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그라비야 인쇄공정은 도 2와 같이 상기한 카렌다 가공공정에서 제조되는 장폭의 시트원단(1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인쇄로울러(12)에 인쇄잉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한 시트원단(11) 표면에 인쇄무늬(13)를 인쇄하는 것이며, 이렇게 그라비야 인쇄공정을 거친 장폭의 시트원단(11)은 필요에 따라 표면에 양각, 음각의 요철면을 형성시키는 엠보싱공정을 거친 후 권취보빈(14)에 일정 길이만큼씩 감긴 후 다음 공정인 스리팅 가공공정으로 옮겨진다.
다음 스리팅 가공공정으로 옮겨진 장폭의 시트원단(11)은 굽도리의 폭과 일치하는 폭으로 등분 세절된다. 즉, 도 3과 같이 권취보빈(14)에서 풀려나가는 시트원단(11)은 하나의 구동축(15)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스리팅 톱날(16)들에 의하여 동일한 폭으로 세절되면서 보빈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한 장의 시트원단(11)으로다수의 굽도리 원단(17)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스리팅 가공공정에 의하여 세절되어 제조된 다수의 굽도리 원단(17)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굽도리 제조장치에 옮겨져 소정의 가공공정을 통해 굽도리로 완성되는 것인데, 상기한 굽도리 제조장치는 여러 가지의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즉, 레이저빔을 이용한 장치, 고주파 및 초음파를 이용한 장치, 전기열을 이용한 장치 또는 화학약품을 이용한 장치 등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현실적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실현 가능성이 있고 실용화에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인 기계적인 구성수단을 이용한 것을 실시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굽도리 원단(17)을 가공하여 굽도리를 완성상태로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주요 구성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기대(2)의 일측에는 굽도리 원단(17)이 권취된 공급보빈(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가공이 완료된 굽도리를 되감아주는 권취보빈(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대(2)의 상면에는 고정레일(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레일(23)의 일측에는 가이드면(2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기대(2)의 진입단측과 진출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및 연동로울러(25)(26)에 무한궤도상으로 된 이송 콘베이어벨트(27)가 연설되는데,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27)의 좌,우 양단 중 일단은 상기 고정레일(23)의 상면 일측에 돌출된 가이드면(24)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대(2) 일측의 진입단쪽에는 보조 캐터필러(Caterpillar : 3)가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 캐터필러(3)는 굽도리 원단(17)에 밀착된 채 굽도리 원단의 이송작동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무한궤도상의 회전체인(31)과 상기 회전체인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체인의 회전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캐터필러(3) 자체는 공급보빈(21)을 향한 부분은 가이드면(24)과의 간격이 넓고 굽도리 원단의 이송방향을 향한 부분은 가이드면(24)과의 간격이 좁은 상태가 되게 경사지게 설치하므로서 상기 보조 캐터필러(3)는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을 가이드면(24)쪽으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도록 하므로서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이 가이드면(24)에 밀착되면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한 보조 캐터필러(3)는 도시하지 않은 조절고정구에 의하여 경사각도를 임의 조절할 수 있고 또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기대(2)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캐터필러(3) 다음 단계에는 메인 캐터필러(4)가 길게 설치되는데, 상기 메인 캐터필러(4) 역시 양쪽의 구동 및 연동 체인기어(41)(42)에 이송체인(43)이 무한궤도상으로 연설되며, 상기 이송체인(43)의 하측부분은 수개의 스프링에 의하여 하방으로 일정 압력을 주는 체인 가이드레일(35)에 의하여 굽도리 원단(17)의 이면 중심부분을 압착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굽도리 원단(17)이 이송 콘베이어벨트(27) 위에 밀착된 채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도 7 참조), 한편 이송체인(43)의 상측부분과 구동 및 연동 체인기어의 양측부분은 가이드 커버체(44)에 의하여 은폐되어 있다.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27)의 구동로울러(25)와 캐터필러(4)의 구동 체인기어(41) 각각은 기대(2)의 저부에 설치된 메인 모터(4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27)와 메인 캐터필러(4)를 동일한 속도비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캐터필러(4) 일측의 연동 체인기어(42)에 근접한 위치에는 제1 원형톱(5)이 설치되며, 또 상기 제1 원형톱(5)은 고정레일(23)의 가이드면(24)에 근접한 위치에서 굽도리 원단(17)의 일단 즉, 상단부분(17a)을 절삭가공하여 상부 절곡홈(17b)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원형톱(5)은 기대(1)에 설치된 모터(51)의 동력으로 회전작동을 하도록 구성되며, 또 상기 제1 원형톱(5)의 축수부(52)는 수직지지대(53)의 조절나사봉(54)에 의하여 상,하로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원형톱(5)에 의하여 절삭가공되는 상부 절곡홈(17b)의 가공깊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원형톱(5)의 다음 단계에는 접착제 분사노즐(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 분사노즐(6)은 기대(2) 저부에 설치된 접착제 가열탱크(61)에서 가열되어 액화된 접착제를 펌핑하는 펌프(62)로부터 액상접착제(64)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호스(63)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접착제 분사노즐(6)은 액상접착제(64)를 일정량씩 상부 절곡홈(17b)에 주입하도록 구성된 것인데, 상기 접착제 분사노즐(6)에서의 분사량은 굽도리 원단(17)의 이송속도와 제1 원형톱(5)에 의하여 절삭가공된 상부 절곡홈(17b) 의 폭과 깊이 등을 고려하여 알맞는 량을 분사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 분사노즐(6)의 다음 단계에는 절곡레일(7)이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절곡레일(7)은 경사진 안내면(71)과 수직상으로 된 절곡마감면(72) 및 이송 콘베이어벨트(27)을 안내하는 안내홈(73)으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경사진 안내면(71)의 선단 바닥면은 안내홈(73)속으로 안내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27)의 상면과 일치하는 상태(도 8 참조)에서 상향으로 점차로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절곡마감면(72)의 수직 꼭지점과 만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경사진 안내면(71)과 절곡마감면(72)은 가이드면(24) 보다 안쪽으로 진입된 상태이다. 즉,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17a)을 상부 절곡홈(17b)를 기준점으로하여 수직상태로 절곡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가이드면(24)을 벗어나 이송 콘베이어벨트(27) 안쪽으로 진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상기한 제1 원형톱(5)과 접착제 분사노즐(6)의 반대쪽에는 제2 원형톱(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원형톱(8)은 굽도리 원단(17)의 하단부분(17c)를 절삭가공하여 하부 절곡홈(17d)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절곡홈(17d)은 굽도리를 시공할 때 하단부분(17c)이 굽도리의 표면방향을 향해 소정의 필요한 각도로 절곡되게 하여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곡레일(7)의 상방에는 상부 절곡홈(17b)에 주입된 액상접착제(64)를 냉각시켜주는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구(9)가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람공급구(9)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을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17a)을 향해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원형톱(5)과 제2 원형톱(8)이 상,하부 절곡홈(17b)(17d)를 절삭가공할 때 발생되는 절삭톱밥을 한곳으로 모아 집진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본 발명에서는 기대(2) 상방의 적당한 위치에 흡입팬(55)을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원형톱(5)과 제2 원형톱(8) 각각의 주위를 커버체(56)(81)로 덮어준 다음 상기 커버체(56)(81)와 상기 흡입팬(55)을 흡입호스로 연결시켜주는 구성으로서 절삭가공시 발생되는 절삭톱밥이 흡입팬(55)으로 흡입되어 별도로 준비된 집진탱크에 집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접착제 분사노즐(6)의 주위도 커버체(65)로 커버하여 절삭톱밥이 상부 절곡홈(17b)으로 주입되는 액상접착제(64)에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 커버체(56)(81)(65)들은 내부가 투시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 등으로 구성하여 절삭가공 상태 및 액상접착제의 주입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합성수지 바닥재를 시트원단으로 하여 굽도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는 기존의 바닥재 원단을 스리팅 가공공정으로 굽도리의 규격으로 세절한 다음 그 세절된 굽도리원단(170)을 제조장치로 옮긴 다음 이송 콘베이어벨트(27)로 이송시키는 방법으로 굽도리원단(170)의 상,하단부분(171)(172)을 절삭가공하는 것인데,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원형톱(5)과 제2 원형톱(8)을 폭이 넓은 톱날을 사용하므로서 도 11과 같이 상,하단부분(171)(172)을 절삭가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단부분(171)은 좁은 폭으로 절삭가공하되 표면층인 상지부분(171a)은 남아있고 발포층인 하지부분(171b)만 평면절삭하여 제거하는 것이며, 하단부분(172)은 넓은 폭으로 절삭가공하되 상지부분(172a)은 남아있게 하고 하지부분(172b)만 평면절삭가공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굽도리를 제조하는 것이며,제1 원형톱(5)으로 상단부분(171)의 하지부분(171b)을 평면절삭가공하여 제거한 후의 가공공정은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단부분(170)의 상지부분(171a)이 소정각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액상접착제(64)에 의해 접착되게 하므로서 굽도리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원리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카렌다 가공공정에서는 합성수지 레진원료를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장폭의 시트원단(11)을 제조하며, 이렇게 제조되는 장폭의 시트원단(11)은 그라비야 인쇄공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인쇄로울러(12)에 의하여 그 표면에 인쇄무늬(13)가 인쇄된 후 엠보싱 가공에 의해 엠보싱이 형성된 상태에서 권취보빈(14)에 일정길이로 감겨진다.
상기와 같이 권취보빈(14)에 감격진 장폭의 시트원단(11)은 스리팅 가공공정으로 옮겨진 후 다수의 스리팅 톱날(1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굽도리의 규격으로 등분되어 세절되면서 각각의 보빈에 감겨지는데, 이렇게 스리팅 톱날(16)에 의해 세절된 시트원단이 곧 굽도리 원단(17)이 되는 것이며, 또한 굽도리 원단(17)이 감기는 보빈이 바로 공급보빈(21)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개의 공급보빈(21)에 감겨진 굽도리 원단(17)은 스리팅 가공공정 이후의 공정으로서 절곡홈 가공공정 내지 상단부위 절곡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장치로 옮겨져 가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보빈(21)은 기대(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채 굽도리 원단(17)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기대(2)의 고정레일(23) 상면에 설치된 이송 콘베이어벨트(27)의 진입단측으로 공급되는 굽도리 원단(17)은 메인 캐터필러(4)의 이송체인(43)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는데, 상기한 굽도리 원단(17) 자체는 금속판과 달리 유연한 재질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이송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공급보빈(21)에서 공급되는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17a)이 고정레일(23)의 가이드면(24)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지 못하고 가이드면(24)에서 이격된 상태로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보조 캐터필러(3)에 의하여 확실하게 조정되어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17a)이 가이드면(24)에 항시 밀착된 메인 캐터필러(4)로 이송된다.
즉, 보조 캐터필러(3)는 가이드면(24)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 채 그 체인(33)이 굽도리 원단(17)의 이면에 얹혀진 상태하에서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27)와 메인 캐터필러(4)에 의하여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17)을 따라 회전작동될 때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17) 자체를 가이드면(24)쪽으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17a)은 가이드면(24)에 항시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단부분(17a)이 가이드면(24)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어 메인 캐터필러(4)로 진입된 굽도리 원단(17)은 이송체인(43)에 의하여 똑바르게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단부분(17a)이 가이드면(24)에 밀착된 상태로서 메인 캐터필러(4)에 진입되어 이송체인(43)에 의하여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17)은 제1 원형톱(5)을 통과할 때 절삭가공되어 상부 절곡홈(17b)이 형성되는데, 이때 제1 원형톱(5)의 주위는 투명한 재질로 된 커버체(56)로 커버되어 있으므로 상부절곡홈(17b)이 절삭가공될 때 발생되는 절삭톱밥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흡입팬(55)으로 흡인되어 집진탱크(도시 없음)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제1 원형톱(5)에 의하여 절삭가공되면서 이송되는 상부 절곡홈(17b)에는 접착제 분사노즐(6)에서 분사되는 액상접착제(64)가 적정량으로 주입되면서 절곡레일(7)로 이송되는 것이며, 상기 접착제 분사노즐(6) 주위도 커버체(65)로 커버되어 있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부 절곡홈(17b)에 주입된 액상접착제에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액상접착제(64)가 주입된 상태로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17a)이 절곡레일(7)의 경사진 안내면(7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상향절곡되어 절곡마감면(72)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직각상태로 절곡되는데, 이와 같이 절곡레일(7)에 의해 절곡되는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17a)은 상부 절곡홈(17b)에 의하여 절곡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상태가 됨과 더불어 절곡되는 상부 절곡홈(17b)은 개구된 상태에서 폐구된 상태가 되므로서 앞서 주입된 액상접착제(64)는 절곡작용에 의해 폐구상태로 변형된 상부 절곡홈(17b) 속에 갇힌 상태에서 고체화되므로서 상단부분(17a)은 직각 또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접착제 분사노즐(6)에서 분사되는 액상접착제(64)는 고온에서는 액상으로 용융된 상태이지만 상온에서는 고체로 변화는 특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특수 접착제이므로 가열탱크(61)에서 가열된 채 접착제 분사노즐(6)로 분사되어 상부 절곡홈(17b)에 주입된 후 절곡레일(7)을 통과하는 동안 바람공급구(9)에서 공급되는바람에 의하여 액상접착제(64)가 상온으로 냉각되어 고체화되므로서 굽도리 원단(17)의 상단부분(17a)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 캐터필러(4)의 이송체인(43)에 의하여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17)의 하단부분(17c)은 제2 원형톱(8)에 의하여 하부 절삭홈(17d)이 절삭가공되는 것이며, 이때 제2 원형톱(8)의 주위에도 커버체(8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절삭가공시 발생되는 절삭톱밥은 흡입팬(55)의 흡인력에 의해 흡인되어 집진탱크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 캐터필러(4)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상,하부 절곡홈(17b)(17d)이 절삭가공되고, 또 상부 절곡홈(17b)에 액상접착제가 주입되면서 절곡레일(7)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직각으로 절곡됨과 동시 바람에 의해 상온으로 냉각되어 고체화되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고정된 상단부분(17a)은 굽도리 원단(17)의 이면 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가공되는 굽도리 원단(17)은 기대(2)의 타단측에 회전작동되는 권취보빈(22)에 권취된 후 차기 공정 즉, 양면테이프 부착공정으로 보내진다.
한편, 상기에서 절곡된 상단부분(17a)이 굽도리 원단(17)의 이면에서 약간 돌출되게 한 이유는, 차기 공정으로서 양면테이프 부착공정에서 부착되는 양면테이프(18)의 두께를 고려하거나 또는 굽도리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이면에 도포하게 되는 접착제의 두께를 고려하여 벽면과 굽도리 상단부분(17a)의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상기 굽도리 원단(17)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무늬(13)가 상단부분(17a)의 표면에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굽도리를 일체감이 있게 시공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카렌다 가공공정에 의해 장폭으로 제조되는 시트원단의 표면 전체를 인쇄비용이 저렴하고 품질에 우수성을 줄 수 있는 그라비야 인쇄공정으로 인쇄할 수 있으므로 인쇄무늬가 인쇄된 장폭의 시트원단의 단위시간당 제조량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시트원단을 스리팅 가공으로 여러 등분으로 세절하여 다수의 굽도리 원단을 얻은 다음 세절된 각각의 굽도리 원단을 굽도리 제조장치에서 상단부분을 절곡 및 접착시키는 가공수단을 연속적으로 진행하여 굽도리를 제조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공정의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보다 굽도리의 제조량을 수배 내지 수십배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굽도리의 생산량과 동일한 량이 소요되는 고가의 전사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양질의 인쇄무늬를 굽도리의 표면은 물론이고 상단부분에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합성수지 바닥재 자체를 원단으로하여 굽도리를 생산할 수 있으며 굽도리의 품질향상에도 이바지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특징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 레진원료를 길이가 길고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연접하여 설치된 수개의 로울러를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는 장폭의 시트원단을 제조하는 카렌다 가공공정과;
    상기 카렌다 가공공정에서 제조된 장폭의 시트원단의 표면 전체에 인쇄무늬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그라비야 인쇄공정과;
    상기 그라비야 인쇄공정을 거친 장폭의 시트원단을 굽도리의 규격에 맞추어 세절하여 인쇄무늬가 형성된 다수의 굽도리 원단을 제조하는 스리팅 가공공정과;
    상기 스리팅 가공공정에 의하여 세절된 각각의 굽도리 원단의 이면부 상,하 단부위에 상,하부 절곡홈을 절삭해내는 절곡홈 가공공정과;
    상기 절곡홈 가공공정을 거친 굽도리 원단의 이면부 상단부위에 형성된 상부 절곡홈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액상접착제 주입공정과; 및
    상기 접착제 주입공정에서 액상접착제가 주입된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위를 이면측으로 절곡시켜 상부 절곡홈이 액상접착제를 감싸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접착되게 함과 동시 상기 액상접착제를 냉각시켜 고체화시키는 상단부위 절곡공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굽도리원단은 기존의 합성수지 바닥재 원단을 스리팅 가공공정으로 세절한 다음 상단부분(171)은 좁은 폭의 상지부분(171a)만 남아있게 하지부분(171b)을 제거하며, 하단부분(172)은 넓은 폭으로 상지부분(172a)만 남아있게 하지부분(172b)을 제거하여 합성수지 바닥재로 된 굽도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3. 기대의 일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롤상으로 감겨있는 굽도리 원단을 기개의 진입단쪽으로 공급하는 공급보빈과;
    상기 기대의 고정레일 상,하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보빈에서 공급되는 굽도리 원단을 이송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와;
    상기 기대의 진입단측 이송 콘베이어상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분을 상기 고정레일의 일측에 돌출된 가이드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보조 캐터필러와;
    상기 기대의 고정레일 위에서 회전이송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의 상부측 상면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된 채 굽도리 원단의 이면을 압착하여 이송 콘베이어벨트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굽도리 원단을 이송시키는 메인 캐터필러와;
    상기 메인 캐터필러의 연동 체인기어측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분에 상부 절곡홈을 절삭가공하는 제1 원형톱과;
    상기 제1 원형톱에 의하여 절삭가공된 상부 절곡홈에 액상접착제를 주입시키는 접착제 분사노즐과;
    상기 제1 원형톱과는 반대편에 설치되어 굽도리 원단의 하단부분에 하부 절곡홈을 절삭가공하는 제2 원형톱과;
    상기 고정레일의 중간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접착제 분사노즐에 의하여 액상접착제가 주입된 굽도리 원단의 상단부분을 상방을 향해 절곡시키기 위하여 경사진 안내면과 수직상으로 된 절곡마감면이 마련되어 있는 절곡레일과;
    상기 절곡레일의 상방에 설치되며, 상부 절곡홈에 주입된 액상접착제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바람을 송풍시키는 바람공급구와; 및
    상기 기대의 진출단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캐터필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굽도리 원단을 롤상으로 감아주는 권취보빈;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장치.
KR10-1998-0039583A 1998-09-24 1998-09-24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38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583A KR100382958B1 (ko) 1998-09-24 1998-09-24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583A KR100382958B1 (ko) 1998-09-24 1998-09-24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03A KR20000020803A (ko) 2000-04-15
KR100382958B1 true KR100382958B1 (ko) 2004-08-27

Family

ID=1955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583A KR100382958B1 (ko) 1998-09-24 1998-09-24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9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03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6058B (zh) 将片材切成适当型片的设备
US5183672A (en) Apparatus for forming at least one fold line pattern in a rigid plastic material
CN113047025B (zh) 一种无纺布面膜纸的生产设备及工艺
US576273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rpet pads
CN113996948A (zh) 一种板材激光切割设备
AU7691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plastic edge strip to a plate-like workpiece and such a workpiece
CA2402691C (en) Cutting system for cutting profiles in air-permeable and resilient materials and method
US5268138A (en) Method for forming at least one fold line pattern in a rigid plastic material
KR100382958B1 (ko)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P3441221B1 (en) Plant and method to apply a reinforcement materia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aments, preferably a reinforcement fabric made of glass fibre, to a ceramic product
KR101707082B1 (ko) 목재판넬용 필름 공급 자동화장치
KR101957732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KR20130114373A (ko) 연속무늬를 갖는 합성목재판의 제조장치
CN116551772A (zh) 抗撕裂聚乙烯塑料薄膜生产装置及生产工艺
KR100249079B1 (ko) 래디얼타이어의 벨트보강재 공급장치
KR102348850B1 (ko) 부직포 원단 절단장치
JPH11226981A (ja) カレンダ用原料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CN213056212U (zh) 一种塑料卷筒翻舌装置
CN219486573U (zh) 一种pe板生产用的自动覆膜机
KR102461475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원기둥의 제조장치
CN217201155U (zh) 一种涂布薄膜牵引切边机
CN115923013B (zh) 一种输送带生产用压延设备
KR20180109165A (ko) 폐섬유를 이용한 슬레이트 제조장치
JPS6236839B2 (ko)
KR200202591Y1 (ko) 엣지 밴딩기의 트리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