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32B1 -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32B1
KR101957732B1 KR1020170068871A KR20170068871A KR101957732B1 KR 101957732 B1 KR101957732 B1 KR 101957732B1 KR 1020170068871 A KR1020170068871 A KR 1020170068871A KR 20170068871 A KR20170068871 A KR 20170068871A KR 101957732 B1 KR101957732 B1 KR 10195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head
moving
axis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247A (ko
Inventor
이형수
이성규
유진오
조익철
이영광
Original Assignee
(사)캠틱종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캠틱종합기술원 filed Critical (사)캠틱종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6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11/16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comprising fillers or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8Automated lay-up, e.g. using robots, laying fila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patterns
    • B29C70/386Automated tape laying [AT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botic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편평한 상면(121)을 구비하는 테이블(120); 상기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테이블 구동 모듈(130); 상기 상면으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헤드(150); 및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구동 수단(180)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 구동 모듈은 상기 테이블을 상기 상면과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32)와, 상기 테이블을 상기 회전축선과 직각을 이루고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이동축선(B)을 따라서 직선이동시키는 제1 직선운동 구동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구동 수단은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를 상기 상면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직선이동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제2 직선이동축선(C)을 따라서 직선이동시키는 제2 직선운동 구동부(181)와,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를 상기 회전축선(A)과 평행인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FORM USING FRP TAPE}
본 발명은 프리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이용한 프리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성형품의 제조시 시트 형상의 프리프레그(prepreg)를 이용하여 최종 성형품의 형상에 가깝게 성형한 프리폼(preform)을 이용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63503호에는 복수매로 적층되어서 제조된 프리프레그를 프리폼 형으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 프리프레그는 복수매가 적층되어서 준비되는데, 이 과정은 프리폼 제조시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하여 프리폼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편평한 상면(121)을 구비하는 테이블(120); 상기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테이블 구동 모듈(130); 상기 상면으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헤드(150); 및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구동 수단(180)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 구동 모듈은 상기 테이블을 상기 상면과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32)와, 상기 테이블을 상기 회전축선과 직각을 이루고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이동축선(B)을 따라서 직선이동시키는 제1 직선운동 구동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구동 수단은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를 상기 상면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직선이동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제2 직선이동축선(C)을 따라서 직선이동시키는 제2 직선운동 구동부(181)와,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를 상기 회전축선(A)과 평행인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가 권취된 권취롤이 장착되는 권취롤 장착부(151)와, 상기 권취롤로부터 상기 테이블로 공급되는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부(15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는 상기 상면에 적층된 테이프를 가열하는 가열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는 상기 권취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를 이동시키는 제1 테이프 피딩부(156)와, 상기 제1 테이프 피딩부(156)를 지난 테이프를 이동시키는 제2 테이프 피딩부(157)를 더 구비하며, 상기 테이프 절단부는 상기 제1 테이프 피딩부와 상기 제2 테이프 피딩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는 상기 권취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하고 직선이동하는 테이블에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헤드를 구비하고, 테이프 공급 헤드를 직선이동시키고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므로,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테이블에 적층하여 프리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폼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리폼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리폼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프리폼 제조장치의 테이프 공급 헤드의 양측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테이프 공급 헤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프리폼 제조장치에 의한 프리폼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장치가 사시도,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장치(100)는 지지 구조물(110)과, 테이블(120)과, 지지 구조물(110)에 의해 지지되고 테이블(120)을 이동시키는 테이블 구동 모듈(130)과, 테이블(120)로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헤드(150)와, 지지 구조물(110)에 의해 지지되고 테이프 공급 헤드(150)를 이동시키는 헤드 구동 수단(180)을 포함한다. 프리폼 제조장치(100)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테이블(120) 위에 적층하여 프리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는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인 것으로 설명한다.
지지 구조물(110)은 프리폼 제조장치(10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테이블 구동 모듈(130)이 설치되는 테이블 지지대(111)와, 지지대(111)로부터 위로 세워져서 헤드 구동 수단(180)이 설치되는 헤드 지지대(115)를 구비한다.
테이블(120)은 연직방향과 직각인 편평한 상면(121)을 구비한다. 테이블(120)의 상면에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가 적층되어서 프리폼이 제조된다. 테이블(120)은 테이블 구동 모듈(130)에 의해 상면(121)과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축선(A)과 직각을 이루고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이동축선(B)을 따라서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테이블 구동 모듈(130)은 지지 구조물(110)의 테이블 지지대(111)의 상면에 설치되어서 테이블(120)을 이동시킨다. 테이블 구동 모듈(130)은 테이블(120)을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32)와, 회전 구동부(132)를 제1 직선이동축선(B)을 따라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제1 직선운동 구동부(135)를 구비한다. 제1 직선이동축선(B)은 테이블(120)에 적층되는 테이프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테이프 공급 헤드(150)는 테이블(120)의 상면(121)에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가 적층될 수 있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공급한다. 테이프 공급 헤드(150)는 헤드부 구동 수단(180)에 의해 수평면 상에서 제1 직선이동축선(B)과 직각을 이루는 제2 직선이동축선(C)을 따라서 직선왕복운동하고, 높이 방향인 연직방향(회전축선(A)과 평행인 방향)을 따라서 상하이동을 한다. 테이프 공급 헤드(150)가 확대되어서 도시된 도 5 및 도 6과, 테이프 공급 헤드(150)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테이프 공급 헤드(150)는 테이프(T)가 권취된 테이프 권취롤(R)이 장착되는 테이프 권취롤 장착부(151)와, 테이프 권취롤(R)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모터(152)와, 테이프 권취롤(R)을 가압하는 권취롤 가압부(153)과, 테이프 권취롤(R)로부터 풀려서 진행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54)와, 장력 조절부(154)를 통과한 테이프(T)의 휘어짐과 처짐을 방지하는 테이프 가이드(155)와, 테이프 가이드(155)를 통과한 테이프(T)를 이동시키는 제1 테이프 피딩부(156)와, 제1 테이프 피딩부(156)를 지난 테이프(T)를 이동시키는 제2 테이프 피딩부(157)와, 제1 테이프 피딩부(156)와 제2 테이프 피딩부(157)의 사이에서 테이프(T)를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부(158)와, 테이블(120) 상에서 적층되는 테이프(T)를 가압하는 적층 테이프 가압부(159)와, 테이블(120)에 적층된 테이프(T')를 가열하는 가열부(160)를 구비한다.
권취롤 장착부(151)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T)가 지관에 권취되어서 형성된 테이프 권취롤(R)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T)의 폭이 10mm 내지 160mm인 것으로 설명한다. 권취롤 장착부(151)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 권취롤(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조절 모터(152)가 결합된다.
속도 조절 모터(152)는 권취롤 장착부(151)에 결합되어서, 권취롤 장착부(151)에 장착되어서 회전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 권취롤(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권취롤 장착부(151)에 장착된 테이프 권취롤(R)은 회전함에 따라 권취롤(R)의 직경이 줄고 회전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테이프(T)의 공급 속도가 변하게 된다. 속도 조절 모터(152)는 테이프 권취롤(R)의 직경 변화에 따라 테이프 권취롤(R)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테이프(T)의 공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권취롤 가압부(153)는 권취롤 장착부(151)에 장착된 테이프 권취롤(R)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회전하는 권취롤(R)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권취롤 가압부(153)는 테이프 권취롤(R)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가압 롤러(1531)와, 가압 롤러(1531)를 테이프 권취롤(R)을 향해 미는 가압 수단(1532)을 구비한다. 가압 롤러(1531)의 양 측단에는 플랜지(1533)가 형성되어서 테이프 권취롤(R)이 테이프 권취롤(R)의 회전축선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장력 조절부(154)는 테이프 권취롤(R)로부터 풀려서 진행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한다. 장력 조절부(154)는 테이프 권취롤(R)로부터 풀려서 진행되는 테이프(T)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서 안내하는 제1 안내 롤러(1541)와, 제1 안내 롤러(1541)를 거쳐서 진행하는 테이프(T)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서 안내하는 제2 안내 롤러(1542)와, 제1 안내 롤러(1541)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롤러 위치 조절 수단(1543)을 구비한다. 장력 조절부(154)는 제1 안내 롤러(1541)의 위치가 롤러 위치 조절 수단(1543)에 의해 변하면서, 진행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위치 조절 수단(1543)이 공압 실린더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테이프 가이드(155)는 제2 안내 롤러(1542)와 제1 테이프 피딩부(156)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안내 롤러(1542)를 지나 진행하는 테이프(T)가 제1 테이프 피딩부(156)에 진입하기 전에 휘어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테이프 가이드(155)는 테이프(T)가 통과하는 가이드 홈(1551)을 구비한다.
제1 테이프 피딩부(156)는 테이프 가이드(155)를 통과한 테이프(T)를 제2 테이프 피딩부(157) 쪽으로 이동시킨다. 제1 테이프 피딩부(156)는 제1A 피딩 롤러(1561), 제1B 피딩 롤러(1562) 및 피딩 구동 모터(1563)를 구비한다. 피딩 구동 모터(1563)에 의해 두 피딩 롤러(1561, 1562)가 회전하며, 회전하는 두 피딩 롤러(1561, 1562)의 사이로 테이프(T)가 이동하게 된다.
제2 테이프 피딩부(157)는 제1 테이프 피딩부(156)를 지난 테이프(T)를 적층 테이프 가압부(159) 쪽으로 이동시킨다. 제2 테이프 피딩부(157)는 제2A 피딩 롤러(1571)와 제2B 피딩 롤러(1572)를 구비한다. 두 피딩 롤러(1571, 1572)는 피딩 구동 모터(153)와 타이밍 벨트와 같은 동력 연결 수단(1573)으로 연결되어서 회전하며, 회전하는 두 피딩 롤러(1571, 1572)의 사이로 테이프(T)가 이동하게 된다.
테이프 절단부(158)는 제1 테이프 피딩부(156)와 제2 테이프 피딩부(157)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1 테이프 피딩부(156)와 제2 테이프 피딩부(157)의 사이를 통과하는 테이프(T)를 적절한 시점에 절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 절단부(158)는 SKD11 재질의 커터를 이용하며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 테이프 가압부(159)는 제2 테이프 피딩부(157)를 통과한 후 테이블(120) 상에서 적층되는 테이프(T)를 위에서 가압한다. 적층 테이프 가압부(159)는 적층 가압 롤러(1591)와, 적층 가압 롤러(1591)를 테이블(120) 쪽으로 미는 가압 수단(1592)를 구비한다. 적층 테이프 가압부(15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적층 가압 롤러(159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고, 그에 따른 폐루프제어(closed loop control) 적용을 통해 균일한 압력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테이프의 급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 가압 롤러(1591)에 히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가열부(160)는 테이블(120)에 적층된 테이프를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부(160)가 적외선 히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가열부(160)는 테이블(120)로 공급되는 테이프의 위치에 대해 테이블(120)의 이동방향 상류에 위치하여, 테이블(120)에 적층된 테이프(T')를 가열함으로써, 그 위에 적층되는 테이프(T)와 결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부(160)가 테이블(120)로 공급되는 테이프의 위치에 대해 테이블(120)의 이동방향 상류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이동방향 하류에 위치하여 테이블(120)에 적층된 테이프(T')와 그 위에 적층되는 테이프(T)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밤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가열부(160)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비접촉 온도센서가 구비되어서 폐루프 제어가 적용될 수 있다.
헤드 구동 수단(180)은 지지 구조물(110)에 의해 지지되어서 테이프 공급 헤드(150)를 이동시킨다. 헤드 구동 수단(180)은 테이프 공급 헤드(150)를 제2 이동축선(C)을 따라서 직선왕복시키는 제2 직선운동 구동부(181)와, 제2 직선운동 구동(181)를 높이 방향인 연직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테이프 공급 헤드(150)를 상하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182)를 구비한다. 제2 이동축선(C)은 테이블(120)에 적층되는 테이프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헤드 구동 수단(180)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축 로봇과 같은 구송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다축 로봇을 이용하는 경우 자유곡면 형상의 프리폼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에는 테이블(120) 상에 테이프가 놓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테이프(T)는 테이블(120)이 제1 직선이동축선(도 1의 A)을 따라서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테이블(120) 위에 놓이고 테이프 절단부(158)가 테이프(T)를 절단하여 테이프(T)는 정해진 길이만큼 테이블(120) 위에 놓이게 된다. 다음, 테이프 공급 헤드(150)가 제2 직선이동축선(도 4의 C)을 따라서 파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테이프(T) 폭만큼 이동하고, 테이블(120)은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1 직선이동축선을 따라서 이동한다. 다음, 테이프(T)는 다시 공급되고 테이블(120)이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블(120)에는 테이프가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테이프(T)가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놓이며 하나의 층을 이루게 된다. 다음, 테이블(120)은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가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테이프 층 위에 적층된다. 이 과정에서 아래에 위치하는 테이프(T)는 가열부(160)에 의해 가열되어서 적층되는 두 테이프 층이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프리폼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120)이 90도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하되지 않으며, 다양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층된 테이프의 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프리폼 제조장치 110 : 지지 구조물
120 : 테이블 130 : 테이블 구동 모듈
132 : 회전 구동부 135 : 제1 직선운동 구동부
150 : 테이프 공급 헤드 151 : 테이프 권취롤 장착부
152 : 속도 조절 모터 153 : 권취롤 가압부
154 : 장력 조절부 155 : 테이프 가이드
156 : 제1 테이프 피딩부 157 : 제2 테이프 피딩부
158 : 테이프 절단부 159 : 적층 테이프 가압부
160 : 가열부 180 : 헤드 구동 수단

Claims (5)

  1. 연직(鉛直) 방향과 직각인 편평한 상면(121)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121)에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소재 테이프(T)가 적층되는 테이블(120);
    상기 상면(121)과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상기 테이블(120)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32)와, 상기 회전축선(A)과 직각을 이루고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이동축선(B)을 따라서 상기 테이블(120)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제1 직선운동 구동부(135)로 이루어진 테이블 구동 모듈(130);
    상기 상면(121)으로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소재 테이프(T)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헤드(150);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150)를 이동시키는 헤드 구동 수단(180); 및
    상기 테이블 구동 모듈(130)이 설치되는 테이블 지지대(111)와, 상기 테이블 지지대(111)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 구동 수단(180)이 설치되는 헤드 지지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물(110);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150)는, 테이프(T)가 권취된 테이프 권취롤(R)이 장착되는 테이프 권취롤 장착부(151)와, 테이프 권취롤(R)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모터(152)와, 테이프 권취롤(R)을 가압하는 권취롤 가압부(153)과, 테이프 권취롤(R)로부터 풀려서 진행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54)와, 장력 조절부(154)를 통과한 테이프(T)의 휘어짐과 처짐을 방지하는 테이프 가이드(155)와, 테이프 가이드(155)를 통과한 테이프(T)를 이동시키는 제1 테이프 피딩부(156)와, 제1 테이프 피딩부(156)를 지난 테이프(T)를 이동시키는 제2 테이프 피딩부(157)와, 제1 테이프 피딩부(156)와 제2 테이프 피딩부(157)의 사이에서 테이프(T)를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부(158)와, 테이블(120) 상에서 적층되는 테이프(T)를 가압하는 적층 테이프 가압부(159)와, 테이블(120)에 적층된 테이프(T')를 가열하는 가열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테이프 가압부(159)는 적층 가압 롤러(1591) 및 상기 적층 가압 롤러(1591)를 상기 테이블(120) 쪽으로 미는 가압 수단(1592)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 테이프 가압부(159)는 상기 적층 가압 롤러(159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한 상태에서 폐루프 제어 적용을 통해 균일한 압력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가열부(160)는 상기 테이블(120)로 공급되는 테이프의 위치에 대해서 이동방향의 하류에 위치하여 상기 테이블(120)에 적층된 테이프(T')와 상기 테이블(120)의 상부 상에 적층되는 테이프(T)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열부(160)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비접촉 온도센서가 구비되어서 폐루프 제어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 구동 수단(180)은,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150)를 상기 상면(121)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직선이동축선(B)과 직각을 이루는 제2 직선이동축선(C)을 따라서 직선이동시키는 제2 직선운동 구동부(181)와,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150)를 상기 회전축선(A)과 평행인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테이프 공급 헤드(15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68871A 2017-06-02 2017-06-02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KR10195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871A KR101957732B1 (ko) 2017-06-02 2017-06-02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871A KR101957732B1 (ko) 2017-06-02 2017-06-02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47A KR20180132247A (ko) 2018-12-12
KR101957732B1 true KR101957732B1 (ko) 2019-03-14

Family

ID=6466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871A KR101957732B1 (ko) 2017-06-02 2017-06-02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0118A (en) * 2020-10-21 2022-04-27 Mclaren Automotive Ltd Tape deposition system
KR102344168B1 (ko) * 2021-03-16 2022-01-07 재단법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열가소성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7540A (ja) * 2014-05-14 2015-12-0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自動積層装置における積層位置の補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89B1 (ko) * 2008-05-16 2010-05-25 주식회사티비카본 다축 프리프레그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5972702B2 (ja) * 2012-07-31 2016-08-17 東芝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7540A (ja) * 2014-05-14 2015-12-0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自動積層装置における積層位置の補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47A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0851B2 (ja) 大型バレル部構成部品の製作のためのマルチヘッド自動化複合材料積層機
US84147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apid, automated creation of advanced composite tailored blanks
US10406795B2 (en) Feed device for reinforcing fiber material and method for cutting reinforcing fiber material by using the feed device
RU263229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локнистых заготовок
US101245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roduct from plural components
JP2020516507A (ja) 物品の付加製造用プリントヘッド
US20010007684A1 (en) Continuous forming device of H-shaped FRP member
JP2008521656A (ja) 航空宇宙応用分野のテープ材料を敷設するための装置
US1083611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ing fiber base material, and reinforcing fiber base material
KR101957732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 테이프를 이용한 프리폼 제조 장치
KR20160126679A (ko) 균일한 프리프레그의 제조 시스템
JP6195932B2 (ja) 強化繊維束を制御して堆積させる堆積装置
US9321221B2 (en) Continuous preform device for composite stringer
KR102050156B1 (ko) 대형 프리폼의 제조 시스템
US20240140054A1 (en) Fiber width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of molding composite material
KR101788508B1 (ko) 다축섬유시트 제작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226781A1 (en) Fiber arranging device, method of arranging fibers and method of molding composite material
US20240100787A1 (en) Method of producing preform and method of molding composite material
US20240100785A1 (en) Roller unit for feeding tapes, fiber plac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olding composite material
EP1543943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forming FRP square pipe
JP2021529116A (ja) 繊維複合材料を含むワークピース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382958B1 (ko) 합성수지 굽도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230054942A (ko) 프리폼 제조용 섬유 자동 배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