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601B1 -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처리법 - Google Patents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처리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601B1
KR100382601B1 KR10-2000-0058142A KR20000058142A KR100382601B1 KR 100382601 B1 KR100382601 B1 KR 100382601B1 KR 20000058142 A KR20000058142 A KR 20000058142A KR 100382601 B1 KR100382601 B1 KR 10038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eet
moisture
waterproo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005A (ko
Inventor
최희천
김덕호
최희춘
Original Assignee
김덕호
최희천
최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호, 최희천, 최희춘 filed Critical 김덕호
Priority to KR10-2000-005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6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에 관한 것으로, 기재인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라미네이션되어 있고, 이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가 접합되어 있는 투습방지시트와, 피방수층인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표면에 방수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습방지시트를 상기 방수층이 형성된 피방수층의 표면에 압착하여 방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의 표면에 단열페인트를 도포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Sheet for preventing moisture-permea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dew-formation of a concrete structure by using the sheet}
본 발명은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습성이 강화된 투습방지시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부 결로를 방지함으로써 미관 및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을 보면 하절기의 고온다습한 날씨, 동절기의 난방 등으로 인하여 물과 습기가 많이 발생되는 내부와 외부 사이의 벽, 천정 및 바닥 등에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건축물의 부식 및 파손이 발생하며, 악취 및 곰팡이 등 세균의 번식으로 인체에도 해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내벽, 옥상 구조물의 내벽, 지하구조물의 내벽 및 천정 등을 외부와 단열이 되도록 보호벽을 쌓거나, 구조물에 미리 방수시공을 한 후 단열재를 시공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보호벽을 사용하는 경우는 실내 면적이 줄어들고,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경제성이 좋지 않으며,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단열재 사이에서 결론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결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습 기능이 우수한 투습방지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하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투습방지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으로 시공한 건축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결로방지 처리법으로 시공한 건축물의 단면을 부분확대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투습방지시트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수프라이머 2: 투습방지시트
2A: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2B: 폴리에틸렌 필름
2C: 장섬유 부직포 3: 단열페인트
10: 벽체 20: 도배지
상기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재인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라미네이션되어 있고, 이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가 접합되어 있는 투습방지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두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방수층인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표면에 방수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습방지시트를 상기 방수층이 형성된 피방수층의 표면에 압착하여 방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의 표면에 단열페인트를 도포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방수프라이머는 에멀젼 폴리머 100중량부와 무기 팽창제 1.5 ~ 8.0 중량부 및 분산무기물 10 ~ 6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단열페인트는 마이크로에멀젼 폴리머 100중량부와 중공체 5 ~ 25 중량부 및 무기팽창제 2.0 ~ 6.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로 방지 처리법은 3단계의 공정을 거치게 되며, 방수프라이머(1)가 도포된 1단계의 방수층은 접착기능을 포함하여 누수 및 투수 차단 기능을 갖게 되며, 투습방지시트(2)가 접착된 2단계의 방습층은 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게 되고, 단열페인트(3)가 도포된 단열층은 표면온도를 높여서 이슬점 온도를 상승시켜 결로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방수층에 사용되는 방수프라이머(1)는 에멀젼 폴리머 단독으로, 또는 에멀젼 폴리머에 무기팽창제 또는 분산무기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에멀젼 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 400중량부와 유화제 10 ~ 60중량부, 반응개시제 0.5 ~ 3.0중량부를 통상의 기능성 모노머와 함께 적당량의 물과 혼합한 후 60 ~ 90℃의 온도에서 1 ~ 24시간 동안 중합반응시켜 제조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로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옥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소듐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설포네이트, 노닐페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함량은 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 400중량부에 대하여 10 ~ 6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입자가 응집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60중량부를 초과하면 입자크기가 작아져서 에멀젼이 아니라 용액 상태가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반응개시제로서는 포타슘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과산화수소 등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함량은 모노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 400중량부에 대하여 0.5 ~ 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분자량이 겔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자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무기팽창제는 수팽창성 및 점도유지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그 예로는 벤토나이트, 알루미네이트 산화물, 석면 화합물 또는 무수 석고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함량은 에멀젼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 8.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1.5중량부 미만이면 팽창 증점성의 부족 및 처짐의 문제가 있고, 8.0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동성의 저하 및 퍼짐성의 불량이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 분산무기물은 충진성, 접착력과 같은 기능을 가지며, 그 예로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또는 칼슘 카보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함량은 에멀젼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 6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도포성의 불량, 충진성의 부족의 문제가 있고, 60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력의 불량, 퍼짐성의 불량이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방습층에 사용되는 투습방지시트(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A)을 기재로 그 양면에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염화비닐, 염소화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2B)으로 최대 50㎛의 두께로 라미네이션한 후, 이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계면의 극성활성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두께 0.2 ~ 0.6mm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C)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필름(2A)의 예로서는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중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층에 사용되는 단열페인트(3)는 마이크로에멀젼 폴리머 단독으로, 또는 마이크로에멀젼 폴리머를 중공체 또는 무기팽창제와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에멀젼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 400중량부와 유화제 10 ~ 60중량부, 반응개시제 0.5 ~ 3.0중량부를 통상의 기능성 모노머와 함께 적당량의 물과 혼합한 후 50 ~ 90℃의 온도에서 1 ~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로서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헥실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스티렌 모노머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소듐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설포네이트, 노닐페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함량은 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 400중량부에 대하여 10 ~ 6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입자가 응집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60중량부를 초과하면 입자크기가 작아져서 에멀젼이 아니라 용액 상태가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반응개시제로서는 포타슘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과산화수소 등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함량은 모노아크릴레이트류 모노머 400중량부에 대하여 0.5 ~ 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분자량이 겔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자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중공체는 열전도율을 낮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그 예로는 무수석고화합물, 퍼라이트, 브롬옥사이드 또는 세라믹 등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함량은 마이크로에멀젼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 ~ 2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단열성의 저하 및 도막 두께의 부족에 문제가 있고, 25를 초과하면 퍼짐성의 불량, 도막작업성의 저하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무기팽창제는 도포를 용이하게 하고, 항균효과를 갖고 있으며, 그 예로는 세라믹계, 벤토나이트계, 석면계 또는 알루미늄계 등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함량은 마이크로에멀젼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 6.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면 팽창성의 부족, 점성유지의 저하라는 문제가 있고, 6.0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료의 유동성 불량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로방지 처리법의 시공은 다음과 같다.
우선 피방수층인 건축 구조물의 내벽에 붓 또는 롤러 등을 사용하여 방수프라이머(1)를 도포하고, 상온에서 10분 내지 1시간 내에 방수프라이머(1)가 건조되지 않은 습윤상태에서 투습방지시트(2)를 평활하게 상부에서 하부로 압착시킨다. 방수프라이머(1)가 완전히 접합되도록 상온에서 6시간 내지 12시간이 경과한 후, 단열페인트를 붓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상온에서 3~6시간 동안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완성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은 그 상태로서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시 도배지(20)를 사용하여 마감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방수프라이머(1)의 제조
교반기, 온도조절장치, 촉매주입장치, 적하 용기 및 냉각기가 부착된 1000 ml의 반응조에 질소가스를 서서히 통과시키면서, 이온교환수 204중량부를 반응용매로 하고 포타슘 퍼설페이트 1.5중량부를 용해시켰다. 적하 용기에 이온교환수 130중량부, 소듐도데실 벤젠설포네이트 21.6중량부와 노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40몰) 16.4중량부, 그리고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3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180중량부를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계속하여 아크릴산 모노머 5중량부,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6중량부를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반응조의 온도를 75℃까지 상승시키면서 포타슘 퍼설페이트를 투입하여 5시간 중합시키고, 2시간 숙성반응시켜 아크릴에멀젼폴리머를 얻었다.
얻어진 에멀젼 폴리머에 무기팽창제인 벤토나이트 화합물 5.6중량부 및 분산무기물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25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수프라이머(1)를 얻었다.
실시예 2: 투습방지시트(2)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2A)을 기재로 양면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2B)으로 25㎛의 두께로 라미네이션한 후, 이어서 양면에 두께 0.4mm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C)를 접합하여 투습방지시트(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단열페인트(3)의 제조
유화중합장치로서 교반기, 온도조절기, 촉매주입장치, 모노머 주입장치 및 냉각기가 부착된 1000ml의 반응조에 질소가스를 통과시키면서, 이온교환수 230중량부를 반응용매로 하고, 암모늄 퍼설페이트 1.8중량부를 아크릴산 모노머 25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포네이트 9.0중량부를 첨가한 후 50℃까지 상승시켰다. 모노머 주입장치에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10중량부, 메틸메타크릴 모노머 110중량부, 스타이렌 모노머 90중량부를 혼합하고 4시간 동안 분할 주입하여 반응을 완료한 후 60℃에서 2시간 숙성 반응시킨 후, 암모니아수 6~7 중량부를 투입하여 검화시킴으로써 마이크로에멀젼 폴리머를 얻었다.
얻어진 마이크로에멀젼 폴리머에 중공체인 세라믹 12.5중량부 및 무기팽창제인 알루미늄 화합물 4.5중량부를 혼합하여 단열페인트(3)를 얻었다.
실시예 4
건축 구조물의 내벽에 붓 또는 롤러 등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방수프라이머(1)를 도포하고, 30분간 방치한 후 습윤상태에서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투습방지시트(2)를 평활하게 상부에서 하부로 압착시켰다. 8시간을 방치한 후,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단열페인트(3)를 붓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실험예 1: 투수 여부 확인 실험
콘크리트 표면의 한쪽 면을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것을 물속에 24시간 침지시킨 후 물의 침투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결로방지 처리법에 따라 처리된 부분은 물이 스며들지 않았다.
실험예 2: 투습방지시트(2)의 물성 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투습방지시트(2)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기본 물성을 측정한 결과 인장강도 280kgf/cm2, 신율 18.5%, 투수성 2kgf/cm2×1h을 나타내었다.
- 인장강도: KSF-4911에 따라 측정하였다.
- 신율: KSF-4911에 따라 측정하였다.
- 투수성: KSF-2451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예 3: 단열페인트(3)의 물성 실험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단열페인트(3)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본 물성을 측정한 결과, 인장강도 3.7kgf/cm2, 신율 14.8%, 열전도율 0.045Kcal/mh℃를 나타내었다.
- 인장강도: KSM 6518의 4 아령형 2호에 따라 측정하였다.
- 신율: KSM 6518의 4 아령형 2호에 따라 측정하였다.
- 열전도율: KSL 9016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투습방지시트(2)는 투수성이 상당히 낮으므로 우수한 방수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단열페인트(3)는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므로 단열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습방지시트 및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 처리법은 건축 구조물에 대하여 투수를 차단하며, 방습성이 우수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도 간편하여 신축 및 보수시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기재인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이 라미네이션되어 있고, 이어서 상기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지시트.
  2. 피방수층인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표면에 방수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항에 따른 투습 방지시트를 상기 방수층이 형성된 피방수층의 표면에 접합하여 방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의 표면에 단열페인트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페인트가 마이크로에멀젼 폴리머 100중량부와 중공체 5 내지 25중량부 및 무기팽창제 2.0 내지 6.0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 방지 처리법.
  3. 제2항에 있어서, 방수프라이머가 에멀젼 폴리머 100중량부와 무기 팽창제 1.5 ~ 8.0 중량부 및 분산무기물 10 ~ 60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법.
  4. 삭제
KR10-2000-0058142A 2000-10-04 2000-10-04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처리법 KR10038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142A KR100382601B1 (ko) 2000-10-04 2000-10-04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처리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142A KR100382601B1 (ko) 2000-10-04 2000-10-04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처리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005A KR20020027005A (ko) 2002-04-13
KR100382601B1 true KR100382601B1 (ko) 2003-05-01

Family

ID=1969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142A KR100382601B1 (ko) 2000-10-04 2000-10-04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처리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25B1 (ko) 2022-06-29 2023-01-11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교체 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단열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626B1 (ko) * 2002-03-06 2005-05-16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합성수지계 도막 방수재와 절연 필름을 이용한 방수층구조
KR100548189B1 (ko) * 2003-04-01 2006-02-02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옥상 슬라브의 단열 방수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630A (ko) * 1993-03-05 1994-10-19 김동수 투습방지용 폴리에틸렌 필름
KR960007486U (ko) * 1994-08-24 1996-03-13 차량용 수동변속장치의 연결구조
KR20000032034A (ko) * 1998-11-12 2000-06-05 정치영 결로 방지용 도료
KR20000053545A (ko) * 1999-01-22 2000-08-25 나까니시 히로유끼 부직포 적층체
KR200195343Y1 (ko) * 2000-02-09 2000-09-01 한본인더스트리주식회사 콘크리트구조물의 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630A (ko) * 1993-03-05 1994-10-19 김동수 투습방지용 폴리에틸렌 필름
KR960007486U (ko) * 1994-08-24 1996-03-13 차량용 수동변속장치의 연결구조
KR20000032034A (ko) * 1998-11-12 2000-06-05 정치영 결로 방지용 도료
KR20000053545A (ko) * 1999-01-22 2000-08-25 나까니시 히로유끼 부직포 적층체
KR200195343Y1 (ko) * 2000-02-09 2000-09-01 한본인더스트리주식회사 콘크리트구조물의 방수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25B1 (ko) 2022-06-29 2023-01-11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교체 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단열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005A (ko) 200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95150501B1 (ar) غشاء لمنع تسرب الماء
EP3392322B1 (en) Efficient aqueous nano-silicon rubber sealing and waterproofing agent
JP2017501322A (ja) 断熱パネル
CN101634169A (zh) 挤塑聚苯板薄抹灰外墙外保温系统
RU2377269C2 (ru) Уплотняющая лента для кле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ароизоляционных пленок и парозадерживающих пленок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70094595A (ko) 흙집 구축용 철판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흙집 구축방법
KR100382601B1 (ko) 투습방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결로방지처리법
KR102241950B1 (ko) 방수·방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시공 방법
EP0036885A1 (en) Composite structures, new adhesive, and cement compositions
KR100418411B1 (ko) 폴리머 단열미장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방수, 단열 및 미생물 생성 방지 시공법
KR100347169B1 (ko) 복합 방수구조를 갖는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2532742B1 (ko) 친환경 무기질계 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CN211341232U (zh) 一种高强度真金板保温系统
SE502751C2 (sv) Värmeisolator och konstruktion utnyttjande denna
JP2001064881A (ja) 屋根用下葺材
KR101992215B1 (ko) 자착식 비노출 복합방수구조
RU117468U1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утепления "теплолинк" дл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RU215735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межпанельных швов и теплоизоляции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JP2922894B1 (ja) 屋根用下葺材
JPS61246473A (ja) 冷凍倉庫等の外壁の補修方法
JP3028853U (ja) 勾配付き軽量断熱防水パネル
JP3027656U (ja) 軽量断熱防水パネル
KR101438759B1 (ko) 기능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기능성 패널
CN102345329B (zh) 层叠体
KR20220073178A (ko) 내구성 및 시공편의성이 우수한 이지워터프루프 시트복합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