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464B1 -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464B1
KR100382464B1 KR10-2001-0002609A KR20010002609A KR100382464B1 KR 100382464 B1 KR100382464 B1 KR 100382464B1 KR 20010002609 A KR20010002609 A KR 20010002609A KR 100382464 B1 KR100382464 B1 KR 10038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maximum power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693A (ko
Inventor
이재경
박규현
최해술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919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824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파워
Priority to KR10-2001-000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4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06F11/3062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where the monitored property is the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TCP/이더넷 통신방식에 의해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원거리에서 부하관리 및 감시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전력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에서 전력량 계측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량펄스에 기초하여 전력상황을 감시하고 각종 전력데이터를 랜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과 더불어, 랜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리제어를 받아서 전력상황에 따른 각종 부하의 전력투입을 관리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랜망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로부터 소정 전력사용 구역에서의 전력데이터를 수신받음과 더불어, 해당 전력사용 구역의 각종 부하에 대한 감시 및 전력투입 관리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전력감시용 컴퓨터단말 및, 랜망과 인터넷 통신망을 연계하여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전력감시용 컴퓨터단말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신프로토콜 규격에 맞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System for power supervision using demand controller having TCP/Ethernet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티시피/이더넷(TCP/Ethernet)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최대전력 관리장치(Demand Controller; DC)에 대한 전력감시 제어를 원거리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대전력 관리장치(DC)는 일정한 전력사용 구역내의 사용 전력량을 상시 감시하여 한국전력 등과 같은 전력공급 회사와의 거래용 계량기에 일정한 목표전력 이상의 최대 수요전력이 기록되지 않도록 전력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로서, 예컨대 각종 공장 등과 같은 대용량의 전력이 소요되는 생산시설 등에서 사용되는 전력이 미리 설정된 목표전력을 상회하지 않도록 생산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에어컨이나, 전기로, 펌프, 냉동기 등과 같은 부하를 자동적으로 차단시켜서 소비전력을 다른 시간대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는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제공되는 전력량펄스의 수를 계수하여 최대수요전력(Demand값)의 수요시한 시작부터 현재까지 사용된 전력량에 해당되는 현재전력(pt)를 구하고, 현재전력(pt)와 기준전력(pr)(즉, 현재까지의 이상적인 사용전력량)을 비교하여 그 현재전력이 기준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1단계로 경보를 발생시키는 한편, 현재전력(pt)와 기준전력(pr), 남은 수요시한을 이용하여 예측전력을 구한 다음에, 그 예측전력과 목표전력, 남은 수요시한을 이용하여조정전력을 구하고, 그 조정전력이 "0"보다 큰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시키고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부하를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상태로부터 상기 조정전력이 "0"보다 적은 경우에는 해당 부하에 전력을 투입시키게 된다.
이 때, 최대전력 관리장치에서는 전력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관리자의 컴퓨터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각종 데이터의 출력, 감시 및 수동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바, 이러한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전력관리장치에 대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1은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전력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전력관리장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2)와, 전자식 전력량계(4), 관리용 컴퓨터단말(6), 다수의 16채널용 부하제어 단말장치(FU) 및 2채널용 부하제어 단말장치(LC1∼LCn)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2)는 상기 16채널용 부하제어 단말장치(FU)와 다수의 2채널용 부하제어 단말장치(LC1∼LCn)가 설치되어 있는 예컨대 공장 등과 같은 생산시설이나, 예컨대 군부대나 광고서 등과 같은 목적시설 등과 같은 일정한 전력사용 구역에 비치되고서, 그 전력사용 구역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자식 전력량계(4)로부터 전력량 펄스를 인가받아 최대수요전력과, 현재전력, 기준전력, 목표전력, 예측전력 등을 구하고, 그에 대한 비교에 의해서 경보발생 및 부하차단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2)는 RS-232C 규격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관리용 컴퓨터단말(6)과 연결되고서, 전력 제어를 위해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해당 관리용 컴퓨터단말(6)에 전송하고, 그 관리용 컴퓨터단말(6)과의 통신에 의해 전력감시 및 수동제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16채널의 부하제어 단말장치(FU) 및 다수의 2채널 부하제어 단말장치(LC1∼LCn)는 해당 전력사용 구역 내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각종의 모터를 내장한 냉/온방기기나, 냉동기와, 각종의 전기로, 전열기구 등의 전력사용 기기에 대한 원격제어 및 감시를 위한 단말장치로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2)와 RS-485규격의 통신방식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그 최대전력 관리장치(2)와의 원격 통신에 의해 3상전류, 모터 부하율, 부하의 운전상태, 전류 및 부하율의 실시간 제공, 이벤트 데이터의 제공과 같은 감시기능을 수행하고, 운전/정지, 트립(Trip) 기능과 같은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전력관리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전력사용구역 내에 설치되는 다양한 부하에 대해 최대전력 관리장치(2)에서 변화하는 최대수요 전력량을 연속으로 감시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수요 전력량의 초과가 예상되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16채널용 부하제어 단말장치(FU) 및 다수의 2채널용 부하제어 단말장치(LC1∼LCn)를 제어하여 부하를 차단시키거나, 별도의 비상발전기 회로를 가동하여 최대수요 전력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대전력 관리장치(2)에서는 각 부하의 가동시간 및 전력량을 연산하여 저장하였다가 RS-232C 규격의 통신방식에 따라 관리용 컴퓨터단말(6)에 저장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전력의 공급 및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전력관리 센터 측으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관리용 컴퓨터단말(6)의 제어를 받아서 부하를 상시적으로 감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전력관리장치에 따르면, 최대전력 관리장치(2)와 관리용 컴퓨터단말(6) 간의 통신방식이 15미터(M) 정도의 통신유효거리를 갖는 RS-232C 규격의 근거리 통신방식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최대전력 관리장치(2)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15미터(M) 이상인 곳에서는 관리용 컴퓨터단말(6)을 이용한 부하의 감시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러한 RS-232C 규격의 통신방식이 갖는 통신거리의 제약성을 타파하기 위해, 최대전력 관리장치(2)와 관리용 컴퓨터단말(6) 간에 공중전화망(PSTN)을 이용한 일반 전화선 모뎀의 통신을 사용하거나, 상기 RS-232C 규격의 통신방식보다 비교적 장거리로 통신할 수 있는 RS-422 규격의 통신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반 전화선 모뎀을 이용하는 방안의 경우에는 부하관리 제어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초기 투자비용과 통신 사용요금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RS-422 규격의 통신방식의 경우에는 1.2킬로미터(KM) 이상으로 연장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본사와 지사 간의 부하 감시 및 관리 등과 같이 지역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전력사용 구역 간의 전력관리를 위한 통신기능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한 TCP/이더넷 통신방식에 의해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원거리에서 부하관리 및 감시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한 전력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의 통신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최대전력 관리장치, 12:전자식 전력량계,
14:근거리 감시용 컴퓨터단말, 16:게이트웨이,
18:사내 감시용 컴퓨터단말, 20:원격 감시용 컴퓨터단말,
FU:부하제어 단말장치(16채널), LC1∼LCn:부하제어 단말장치(2채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전력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에서 전력량 계측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량펄스에 기초하여 전력상황을 감시하고 각종 전력데이터를 랜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과 더불어, 랜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감시제어를 받아서 전력상황에 따른 각종 부하의 전력투입을 관리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랜망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로부터 소정 전력사용 구역에서의 전력데이터를 수신받음과 더불어, 해당 전력사용 구역의 각종 부하에 대한 감시 및 전력투입 관리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전력감시용 컴퓨터단말 및, 랜망과 인터넷 통신망을 연계하여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전력감시용 컴퓨터단말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신프로토콜 규격에 맞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 내에 설치된 각종 부하의 전력상황을 감시하고 전력투입을 제어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가 TCP/IP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자체 프로토콜이 내장되고서, 각종의 전력데이터를 랜망과 인터넷 통신망을 연계하여 원거리의 감시용 컴퓨터단말에 전송하고, 그 원거리의 감시용 컴퓨터단말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종 부하의 전력감시 및 전력투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단말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전력사용 구역의 전력상황 감시 및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에 설치된 최대전력 관리장치(10)가 TCP/이더넷(Transmission Control Protocol/Ethernet) 통신방식의 랜(LAN)망을 통해서 게이트웨이(16)와 연결됨과 더불어, 이더넷/TCP 통신방식에 의해 랜망을 통해서 감시용 컴퓨터단말(20)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16)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원거리의 감시용 컴퓨터단말과 연결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는 외부의 통신수단과 랜망을 통해 연결되는 랜기반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에 자체 프로토콜(PT1)이 내장되어 있어서 해당 최대전력 관리장치(10)의 원 데이터에 대한 프레임 구성이 자체 프로토콜(PT1)로 이루어지고, 그러한 자체 프로토콜(PT1)은 TCP/IP 프로토콜(PT2)과 호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원 데이터를 TCP/IP 프로토콜(PT2)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는 부하의 관리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프로세서와 RTOS(Real Time Operating System)가 내장되어 있고, 자체 프로토콜(PT1)에 의해 외부 통신수단으로부터 보안 유지 및 해킹의 위험성을 감소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16)는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와 인터넷 통신망 사이에 송/수신되는 관련 데이터를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맞도록 데이터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감시용 컴퓨터단말(20)에서는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와 원거리에 위치하고서 랜망을 통해서 해당 최대전력 관리장치(10)와 부하감시 및 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에서는 최대전력 관리장치(10)와, 그 최대전력 관리장치(10)에 전력량 펄스를 공급하는 전자식 전력량계(12), 근거리에서 RS-232C 규격의 통신방식으로 최대전력 관리장치(10)와 부하감시 및 관리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감시용 컴퓨터단말(14), 랜망을 통해서 원격으로 최대전력 관리장치(10)와 부하감시 및 관리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사내 감시용 컴퓨터단말(18) 및, 게이트웨이(16)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에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와 부하감시 및 관리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감시용 컴퓨터단말(2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는 다수의 부하제어 단말장치를 통하여 다수의 부하와 연결되고서, 그러한 다수의 부하제어 단말장치에 의해 각 부하를 감시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는 랜망을 통하여 사내 감시용 컴퓨터단말(18)과 연결되어 TCP/이더넷 통신방식에 따라서 각종 전력데이터를 전송함과 더불어, 그 사내 감시용 컴퓨터단말(18)의 관리자 조작에 의한 제어명령에 따라서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부하의 감시 및 관리 제어를 수행한다.
또,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는 게이트웨이(16)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지리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원거리 감시용 컴퓨터단말(20)과 연결되고서,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그 원거리 감시용 컴퓨터단말(20)의 관리자 조작에 의한 제어명령에 따라서 해당 최대전력 관리장치(10)가 구비된 전력사용 구역 내의 각종 부하에 대한 감시 및 관리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의 통신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리 시스템의 통신 인터페이스 구성에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는 메인 프로세서(30)에서 RS-232C 규격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근거리 감시용 컴퓨터단말(14)(도 3 참조)과 근거리의 부하감시 및 관리제어를 수행하고, RS-232C 규격의 통신방식에 따라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32)와 시리얼 인터페이스(34)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을 통해서 FTP, HTTP, SMTP, POP3,Customer Port, TELNET으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갖춘 어플리케이션층(Application Layer)과 연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층은 TCP(48) 및 IP(50)로 이루어진 트랜스포트층(Transport Layer)과 연계되어 이더넷(52)의 물리층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30)와 랜망 및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감시용 컴퓨터단말과는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의해서 패킷 단위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바, 그 메인프로세서(30)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각종의 전력데이터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감시용 컴퓨터단말에 전송하고, 그 인터넷을 통해 감시용 컴퓨터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수신받아 각 부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최대전력 관리장치(10)의 상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는 해당 최대전력 관리장치(10)의 IP 및 포트(TCP)를 지정하고(단계 S10), IP 소켓을 여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단계 S11).
그 상태에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의 상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는 IP 소켓이 열렸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소켓이 열렸다고 판단되면(단계 S12에서 YES), 인터넷 통신망과 게이트웨이(16)를 통한 원거리 감시용 컴퓨터단말(20)이나 사내 감시용 컴퓨터단말(18)로부터의 부하제어명령 또는 전력데이터 전송명령을해당 최대전력 관리장치(10)의 메인 프로세서(30)에 전송하게 된다(단계 S13).
그에 따라,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에서는 상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각종 명령데이터를 수신받고(단계 S14), 그 수신받은 명령데이터에 대한 에러를 체크하게 된다(단계 S1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에서는 상기 수신받은 명령데이터에 대한 에러체크가 이루어지면, 다수의 부하에 대한 최대수요전력과, 현재전력, 기준전력, 목표전력, 예측전력 등의 전력데이터와 각 전력데이터에 대한 비교 결과로 산출되는 결과데이터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거나, 상기 감시용 컴퓨터단말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따라 부하의 차단 제어 등을 수행하게 되고(단계 S16), 그에 따른 전력데이터 또는 결과데이터를 전력관리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랜망 및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원거리 감시용 컴퓨터단말 또는 사내 감시용 컴퓨터단말(18)에 전송하게 된다(단계 S17).
그 과정에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의 전력관리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는 각 감시용 컴퓨터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에러체크가 이루어졌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에러체크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단계 S18에서 YES), 각 데이터를 수신받게 되고(단계 S19), 그 수신받은 데이터를 TCP/이더넷 통신방식에 따른 TCP/IP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처리를 수행하여 랜망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단계 S20).
그 다음에,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의 상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는 미리 할당된 버퍼를 클리어시킨 다음에(단계 S21), TCP/IP 소켓을 닫게 된다(단계S22).
한편,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10)의 경우에도 상기 단계 S17의 과정에 따라 소망하는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내부의 버퍼를 클리어시키고(단계 S23), 상기 상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한 또 다른 명령을 대기하는 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그 실시양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 요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원거리 감시용 컴퓨터단말과 유선으로 원격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러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무선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기기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하여 부하의 감시 및 관리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에서 전력을 사용하는 각종 부하를 감시 및 제어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랜망을 활용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원거리에서도 원격으로 전력데이터의 입수/조회와 부하의 감시 및 관리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리자가 해당 전력사용 구역에 대해 원거리에 위치하더라도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단말을 활용하여 부하의 전력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하의 전력투입 관리를 원격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시 및 관리하는 전력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전력사용 구역에서 전력량 계측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량펄스에 기초하여 전력상황을 감시하고 각종 전력데이터를 랜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과 더불어, 랜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리제어를 받아서 전력상황에 따른 각종 부하의 전력투입을 관리하는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랜망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로부터 소정 전력사용 구역에서의 전력데이터를 수신받음과 더불어, 해당 전력사용 구역의 각종 부하에 대한 감시 및 전력투입 관리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전력감시용 컴퓨터단말 및,
    랜망과 인터넷 통신망을 연계하여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전력감시용 컴퓨터단말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신프로토콜 규격에 맞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는 원 데이터에 대한 프레임 구성이 자체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그 자체 프로토콜의 원 데이터를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원거리에서 랜망을 통해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와 직접 연결된 전력감시용 컴퓨터단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는 랜망을 통하여 이더넷 통신방식으로 상기 전력감시용 컴퓨터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전력 관리장치는 전력관리용 데이터 단말과 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무선으로 전력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KR10-2001-0002609A 2001-01-17 2001-01-17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KR10038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609A KR100382464B1 (ko) 2001-01-17 2001-01-17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609A KR100382464B1 (ko) 2001-01-17 2001-01-17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608U Division KR200242475Y1 (ko) 2001-05-26 2001-05-26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기를이용한 전력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693A KR20020061693A (ko) 2002-07-25
KR100382464B1 true KR100382464B1 (ko) 2003-05-09

Family

ID=2769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609A KR100382464B1 (ko) 2001-01-17 2001-01-17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17B1 (ko) * 2008-06-20 2010-11-15 삼인제어시스템(주) 최대전력 통합 제어시스템
KR101066818B1 (ko) 2010-12-22 2011-09-23 (주)아이디정보시스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166A (ko) * 2002-09-13 2004-03-20 권태한 최대 수요 전력 감시 및 제어 방법과 시스템
KR100665268B1 (ko) * 2004-10-29 2007-01-04 한국전력공사 지능형 에이전트를 탑재한 전자식 전력량계
US20060156041A1 (en) * 2005-01-07 2006-07-13 Lee Zaretsky System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plural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KR100951773B1 (ko) * 2008-05-26 2010-04-08 한국전력공사 구스 메시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4113779A (zh) * 2021-11-25 2022-03-01 国网河南淅川县供电公司 一种可视化的家庭电能信息监控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17B1 (ko) * 2008-06-20 2010-11-15 삼인제어시스템(주) 최대전력 통합 제어시스템
KR101066818B1 (ko) 2010-12-22 2011-09-23 (주)아이디정보시스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693A (ko)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159B1 (ko) Evse-기반 에너지 자동화, 관리, 및 보호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7721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mmunication system downtime when configuring a cryptographic system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U2010256278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232276B1 (ko)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US20100030391A1 (en) Method and System of Real Time Management and Modulation of Electricity Consumption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AU2012100197B4 (en) Power sensor
IES20050580A2 (en) A control apparatus
KR100382464B1 (ko)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장치를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JP2011254697A (ja) 電力システム内の負荷を監視し選択的に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CN102252398A (zh) 远程控制空调器及空调器的远程控制方法
JP6983237B2 (ja) 可変周波数ドライブのパケットベースのネットワーキング
KR20130103102A (ko) 건물 에너지 설비 원격 자동제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42475Y1 (ko) 티시피/이더넷 통신수단을 내장한 최대전력 관리기를이용한 전력관리장치
KR10061527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다수의 전력사용처에 대한 하절기피크전력 적응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77841B1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방법
KR200300129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및 제어방법
CN202208948U (zh) 一种供水系统的水位控制系统
WO2007037609A1 (en) Centrally controlled automatic power saving apparatus
JP6299326B2 (ja)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機器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管理システム
TWI801592B (zh) 遠端監控電量計費控制裝置
AU2011101388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KR100399548B1 (ko)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42476Y1 (ko)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력관리장치
KR20060000304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16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235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727

Effective date: 201903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008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425

Effective date: 2020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