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986B1 -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 Google Patents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986B1
KR100380986B1 KR10-2000-0058589A KR20000058589A KR100380986B1 KR 100380986 B1 KR100380986 B1 KR 100380986B1 KR 20000058589 A KR20000058589 A KR 20000058589A KR 100380986 B1 KR100380986 B1 KR 10038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synthetic fiber
cross
fi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860A (ko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정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영 filed Critical 정성영
Priority to KR10-2000-005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9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03Producing profiled members, e.g. be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섬유를 원자재로 한 방수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수 지주는, 내층이 발포성 수지에 가까운 비치밀 조직 결합의 저밀도 단면층을 가지는 연성의 합성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섬유층의 외표면 피막은 치밀조직 결합의 고밀도 고탄성 단면층을 이루며, 그 형태는 합성섬유층의 외부를 둘러쌓아 외층 방수막을 만드는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인삼재배 밭에 사용되는 시설재인 지주로 사용할 경우 기능성과 작업성을 향상 시키며, 자원재활용에도 효과가 크다.

Description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A support Water-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폐섬유를 원자재로 한 방수 지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식성과 경량화 그리고 작업성을 고려하면서도 자원 재활용을 통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계열의 폐자재를 활용하여 건축용 합판이나 내외장재 패널로 제작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합성수지를 활용하여 패널을 제조하는 장치는 본인의 선등록 국내특허 등록제 078127호의 '폐합성수지를 원자재로 한 방수합판의 제조장치'로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열융해 온도가 높고 낮은 폐합성수지 제품을 분리공급하여 파쇄기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콜렉터에서 분진과 분리공급되는 수지편을 타면하는 분쇄부와, 분쇄부에서 타면된 수지분을 수지성질별로 공급받는 사이클론에서 이송벨트상에서 적층, 공급하여 가압로울러로 적층된 타면분층을 가압 공급하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서 공급되는 가압 타면층을 망상의 히팅콘베이어로 이송시키면서 열교환기에서 환풍되는 환풍열로 불완전용해 접촉시키는 가열부와, 가열부에서 환풍열로 불완전용해 접착된 가압타면층을 가열 가압로울러에 의해 방수판이 소결층과 불완전소결층으로 적층되게 압착하고 절단하는 가열압착성형부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폐 합성수지를 활용하는 합판 제조가 가능하도록 제시되었다.
상기 장치를 활용하여 제조된 합판은 폐원자재를 활용하여 자원 재활용 이득을 가져오면서도 구조적으로는 내식성과 내수성 그리고 유연성이나 시공성 등에서 기존의 목재 및 금속/비금속 합판보다 우수한 구조를 얻을 수 있었고, 폐원자재가 아닌 정품의 합성수지재를 원자재로한 합판보다 절단성이나 시공성 그리고 유연성에서 보다 우수한 합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한정된 자원을 재활용 하는 기술은 원자재의 취급이나 처리가 매우 까다로운데 비해 합판 제조는 로울러를 통해 분쇄된 입자를 콘베이어를 통해 보내면서 압착하는 공정만으로 비교적 쉽게 제조될 수 있었다.
이같이 폐합성수지를 원자재로 하는 평면구조물(방수합판)의 제조는 상기와 같은 제조장치로 제조될 수 있으나 지주 등과 같은 수직구조물은 제조될 수 없었다.
현재, 지주는 건축용 고강도 수직 구조물, 산업현장에서 보조용 수직구조물, 시설재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농업분야의 특용작물에 해당하는 인삼 재배에 있어서는 이러한 수직구조물(지주)의 소요가 매우 크다. 그러나, 인삼 재배에 사용되는 지주의 경우 그 재질이 목재이거나 금속재의 지주가 사용되고 있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인삼밭에 시설되는 지주가 목재인 경우는, 외부환경에 의해 수축팽창하여 변형이 생기고 수분에 의해 잘 부패되어 수명이 짧고, 그물을 걸어주기 위해 작업자가 못을 밖거나 빼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적당한 크기로 절단할 경우 절단성도 떨어져 인삼밭에 적합한 구조용재료로서는 부적당하다.
인삼밭에 시설되는 지주가 금속재인 경우는, 방청처리가 없으면 부식이 촉진되고, 임의로 절단되지 못해 가공성이 떨어지며, 산화물에 의한 토양오염을 가져올 수 있는 등 인삼밭에 적합한 구조용 재료로서는 목재보다 더 부적당하다.
또한, 단순한 합성수지재를 인삼밭 시설재로 사용하는 경우도 절단성이나 설치 작업성 등이 떨어져 구조적 단점이 있고 경제성도 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삼재배용 지주로서 목재와 금속/비금속 재료에 비해 구조적으로 안정된 방수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는, 내층이 발포성 수지에 가까운 비치밀 조직 결합의 고밀도 단면층으로 가지는 연성의 합성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섬유층의 외표면 피막은 치밀조직 결합의 고탄성 단면층을 이루며, 그 형태는 합성섬유층의 외부를 둘러쌓아 외층 방수막을 만드는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지주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지주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지주의 제조방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지주의 압축성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지주의 일부 절취 사시도.
도 6의 (a)~(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방수 지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벨트컨베이어 11:커터
12.15:사이클론 13:보조탱크
14.16:벨트컨베이어 17:메쉬컨베이어
18:타면기 19:대차
20:프레스금형 21:냉각프레스금형
22:대차 23:프레스롤러
24:쿨러 25:커터
26:벨트컨베이어 30:합성섬유층(내층)
40:방수막(외층) 50:방수 지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수 지주를 제조하는 장치는 1 및 도 2와 같이 집하된 원자재를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10), 원자재를 절단하는 커터(11), 원자재를 분류하는 사이클론(12) 및 보조탱크(13), 분류된 원자재를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14), 이송 대상 원자재를 수집하는 복수개의 사이클론(15, 사이클론(15)으로부터 나오는 원자재를 받아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16) 및 메쉬컨베이어(17), 원자재를 타면하는 타면기(18), 원자재를 싣는 대차(19), 대차(19)에 적재된 원자재를 압축성형하는 프레스금형(20) 및 냉각프레스금형(21), 원자재를 싣는 대차(22), 압축성형된 제품을 프레스 롤링하는 하는 프레스롤러(23), 플레스롤러(23)를 통과한 제품을 냉각시키는 쿨러(24), 쿨러(24)의 종단에 설치된 커터(25) 및 제품을 목적지로 적재하는 벨트컨베이어(2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지주 제조장치는 라인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프레스금형(20)과 냉각프레스금형(21)은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장치를 가동시켜 방수 지주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3과 같이 먼저 원자재창고에 집하된 원자재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각각 이송용 콘베이어에 적당량으로 투입하여 이송한다(S101).
이송콘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원자재를 5~25㎠정도로 잘게 절단한 다음 공압으로 이송하여 싸이클론에서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때 비중이 무거운 원자재는 저장탱크로 떨어지고 이때 발생된 미세한 먼지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는 배기덕트를 통하여 집진기로 보내지며, 사용가능한 원자재는 저장한다(S102).
잘게 절단된 일정량의 원자재를 저장탱크로부터 이송용 콘베이어에 방출시키고 타면기로 원자재를 공급한다(S103).
정량공급 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원자재를 타면기에 의하여 얇은 실상태로 미세하게 파쇄하며 공압장치에 의하여 보조탱크로 이송하고, 정량의 원자재를 일정한 상태로 정면한다(S104).
이렇게 정면된 두께가 일정한 반제품을 1차 압축성형한다. 이때 온도는 160℃~180℃를 유지한다(S105).
1차 압축성형이 완료되면 배출되는 반제품들을 금형에 적층하여 프레스기로 이송시킨 다음 프레스금형에서 300℃~400℃약 3분간 2차압축성형을 실시한다(S106).
그리고 2차 압축성형 제품을 급냉 프레스에서 급냉하여 제품으로부터 떼어내기 쉽게 한다(S107).
이와 같이 각 공정과 순서를 거치는 동안에 제품은 많은 열을 가진 상태로 롤러와 롤러 사이를 통과하기 때문에 표면에는 룰곡이 생기게 되며 잠열을 가진 제품을 자연 상태의 긴 시간동안에 냉각시키게 되면 수축현상을 가져오게 되므로 제품 가치가 상실된다. 따라서 냉각롤러안으로 통과시켜 고속 급랭을 실시함으로서 제품 굴곡이나 수축이 없는 제품을 만들기에 적합한 분위기도 조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공정이 제품 안정화 공정에 포함된다.
안정화 공정을 거쳐 냉각된 제품을 필요한 길이와 두께로 절단하여 목적지로 이송함으로서 모든 작업이 종료된다(S108).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방수 지주의 유형이다. 여기서 방수 지주의 단면은 사각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내층과 외층으로 그 단면이 구분되도록 방수 지주를 성형하게 된다. 즉, 1/2차 압축성형과정에서 원자재는 프레스금형에 의해 고열을 받으면서 A~D각 방향으로부터 고열을 받아 그 외피 표면층은 밀도가 높은 성질로 변형되고 그 내부는 상대적으로 적은 열을 받아 외층 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로 인해 외층은 방수성능을 갖게되는 동시에 고강성/고탄성의 재료적 특성을 나타내고 내층은 상대적으로 강성이나 탄성이 떨어지지만 낮은 밀도로 물성적으로 연성을 가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수 지주로서, 표면은 고강성/고탄성으로 처리된 고밀도 합성수지물로 처리되었고, 내층은 발포성에 가까운 저밀도 수지물로 충진된 형상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도 6의 (a)~(e)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 가능한 다양한 방수 지주(50)의 형상과 모양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 지주(50)는, 내층이 발포성 수지에 가까운 비치밀 조직 결합의 단면층으로 가지는 연성의 합성섬유층(30)으로 이루어지고, 합성섬유층(30)의 외표면 피막은 치밀조직 결합의 고강성/고탄성 단면층을 이루며, 그 형태는 합성섬유층(30)의 외부를 둘러쌓아 외층 방수막(40)을 만드는 형태이다.
인삼 재배밭의 지주로 사용하는 경우 작업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과 구조적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어떤 재료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다. 즉, 외층은 고밀도 폐합성섬유 조직으로 처리되지만 내층은 저밀도 폐합성섬유 조직으로 연성이 부여되며 적은 재료로 무게가 경감된다. 둘째, 외층이 방수막(40)을 형성 함으로서 수분 침투에 따른 부식의 우려가 전혀 없다.
셋째, 외층은 고강성/고탄성으로 처리되지만 내층은 연성과 유연성이 부여되므로 절단성이 우수하여 현장 작업에 따른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넷째, 현장작업에서 못질과 같은 구조물 설치의 경우 못이 외층을 통과 하면 곧바로 내층에 밖히므로 못을 밖는 작업이나 빼는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며, 못에 의해 지주가 부식되지 않는다.
다섯째, 폐자원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여섯째, 토양오염의 중요요인인 산화물에 의한 토양오염이 전혀 없고, 단층의 합성수지구조물에 비해 가벼우며 저가로 제조되고 가공성과 절단성 그리고 경량화에 따른 운반과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삼밭에 사용되는 지주를 폐합성섬유자원을 재활용하여 방수 지주로 사용함으로서 자원재활용으로 인한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기여할 뿐만아니라 다른 어떤 재료들에 비해 저가 제조가 가능하고 기능적으로는내식성,내구성,경량화,절단성 등이 우수하면서도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인삼밭에 시설재로 사용되는 지주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내층이 발포성 수지에 가까운 비치밀 조직 결합의 저밀도 단면층을 가지는 연성의 합성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섬유층의 외표면 피막은 치밀조직 결합의 고밀도 고탄성 단면층을 이루며, 그 형태는 합성섬유층의 외부를 둘러쌓아 외층 방수막을 만드는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KR10-2000-0058589A 2000-10-05 2000-10-05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KR10038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589A KR100380986B1 (ko) 2000-10-05 2000-10-05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589A KR100380986B1 (ko) 2000-10-05 2000-10-05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796U Division KR200221023Y1 (ko) 2000-10-05 2000-10-05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KR10-2002-0072917A Division KR100386163B1 (ko) 2002-11-22 2002-11-22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860A KR20020027860A (ko) 2002-04-15
KR100380986B1 true KR100380986B1 (ko) 2003-05-01

Family

ID=1969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589A KR100380986B1 (ko) 2000-10-05 2000-10-05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72A (ko) * 2000-10-28 2002-05-04 주식회사 청림리싸이클링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건축용 지주목 제조방법 및그 건축용 지주목
KR20020032967A (ko) * 2000-10-28 2002-05-04 주식회사 청림리싸이클링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해태 지주목 제조방법 및 그해태지주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860A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5640A (en) Method of reclaiming thermoplastic materials from municipal waste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Shang et al. Comparative environmental evaluation of straw resources by LCA in China
US11692082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solid waste material
CN109808204A (zh) 热塑性连续-非连续纤维复合板的制造方法
CN106079163B (zh) 一种汽车内饰件边角料模压制品的制备方法
KR100380986B1 (ko)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KR20190097431A (ko)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인조목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KR100386163B1 (ko)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의 제조방법
KR200221023Y1 (ko)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방수 지주
WO2019195939A1 (en) Composite material pallet assembly formed from recycled material
CN100371549C (zh) 再生复合料多功能建筑墙板的生产方法
DE69627293T2 (de) Befeuchtetes Gummipulver hergestellt durch Recycling von Abfällen
KR101891139B1 (ko) 재활용 합성수지를 이용한 복합 합성수지 인조판재 제조방법
KR102272182B1 (ko)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KR20070027212A (ko)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CN106005678A (zh) Pcb非金属材料钢塑复合板托盘、制备生产线及制备方法
KR101432206B1 (ko) 폐의류를 이용한 인조목재와 그 제조방법
Havukainen et al. Planning for re-materialization: Developing composite fibre products and processing machinery for municipal, industrial and C&D waste fractions Circwaste-Sub-action A. 6
JPH0671648A (ja) 再生成形物の製造方法
KR19990065113A (ko) 목재와 타이어 분말을 혼합한 판상제품의 제조방법
KR20020032972A (ko)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건축용 지주목 제조방법 및그 건축용 지주목
KR20020032967A (ko)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해태 지주목 제조방법 및 그해태지주목
Soares et al. Finding synergies between agri-food and construction industries
US20200269525A1 (en) Hybrid bamboo carbon fiber material and associated methods
KR20020032962A (ko) 폐합성섬유를 원자재로 하는 철도 침목 제조방법 및 그철도 침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