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668B1 - 축열식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축열식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668B1
KR100380668B1 KR10-2000-0059000A KR20000059000A KR100380668B1 KR 100380668 B1 KR100380668 B1 KR 100380668B1 KR 20000059000 A KR20000059000 A KR 20000059000A KR 100380668 B1 KR100380668 B1 KR 10038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torage
vinyl house
house
stora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092A (ko
Inventor
당광유
Original Assignee
공번아
당광유
우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번아, 당광유, 우가정 filed Critical 공번아
Priority to KR10-2000-0059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6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로 흡수된 태양열을 주성분인 황토에 소금과 볏짚, 물로 만들어진 축열벽이 흡수하면서 상기 태양열과 황토와 소금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열이 일몰시 내부온도가 저하된 비닐하우스로 열전도 되면서 시설재배로 사용되는 비닐하우스의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축열식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비닐하우스는 북쪽에 가로방향으로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두변이 직각인 사다리꼴형으로 황토가 주성분에 볏짚과 소금, 물을 혼합하여 축열벽을 만들고 바닥에 직각으로 세워지는 비닐하우스 내부 벽체는 시멘트 블록을 쌓아 그 표면을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고, 외부와 상부 표면은 스티로폴 보온재에 시멘트 벽돌로 덮는 구조의 축열벽을 형성하며, 상기 축열벽 남쪽에 반 아치형의 비닐하우스가 설치되어, 태양복사열을 비닐하우스가 채광하면 상기 채광열을 축열벽이 흡수하면서 상기 채광열과 황토와 소금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열이 계속적으로 발생되고, 일몰시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가 저하되면 상기 발생된 열이 내부온도가 저하된 비닐하우스로 전도되면서 상기 내부온도가 상승·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별도의 난방장치가 필요없는 축열식 비닐하우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무공해에 의한 식물 성장조건과 황토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의 영향으로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2.5배 이상 증산할 수 있으며, 별도의 난방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난방비가 소용되지 않는 재배시설로서, 생산제품의 원가를 낮추어저렴하게 공급하고 유류가 소비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절약 시설로, 기존 비닐하우스를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열식 비닐하우스{Regenerative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에 장작이나 유류를 연소하는 보일러나 인위적인 난방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비닐하우스 내로 흡수된 태양열을 주성분인 황토에 소금과 볏짚, 물로 만들어진 축열벽이 흡수하면서 상기 태양열과 황토와 소금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열이 일몰시 내부온도가 저하된 비닐하우스로 열전도 되면서 시설재배로 사용되는 비닐하우스의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축열식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내부에 연탄 난로나 장작, 유류보일러를 설치하여 난방을 하므로 난방비가 과다하게 투입되고 난방에 따른 관리자가 상주하여 인위적으로 내부 온도를 조절하게 되어 이에 따른 인건비가 과다하게 투입되고, 난방장치에 의한 내부공기의 오염으로 식물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대두되어 왔기 때문에 자연적인 식물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확량이 감소하는 문제점과 함께, 난방비 및 인건비가 과다하게 투입되는 문제로 인하여 시설재배 농가의 채산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난방비의 제로화 및 인건비를 절감하면서도, 비닐하우스 내부 공기가 오염되지 않고 자연조건에 맞는 식물재배의 성장분위기를 조성하므로서, 수확량을 2.5배 이상 증산되게 하여 시설재배의 수익률을 향상되게 하면서도, 농산물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낮 동안 태양채광을 받기 위해 사방이 확 트인 위치에 황토를 주성분으로 볏짚과 소금, 물 등을 혼합하여 축열벽을 만들어 북쪽방향에 설치하고, 남쪽으로 반 아치형의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여 태양채광에 의하여 흡수된 상기 채광열을 축열벽이 흡수하면서 상기 채광열과 황토와 소금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열이 계속적으로 발생되고, 일몰시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가 저하되면 상기 비닐하우스 외부 전체를 부직포나 볏짚으로 엮은 이엉으로 보온하고, 상기 축열벽에서 발생된 열이 내부온도가 저하된 비닐하우스 내부로 전도되면서 비닐하우스의 식물성장 온도로 상승 유지되고, 축열벽에 비닐하우스 내부와 관통하여 설치되는 환기구 내·외부에 각각 창문을 설치하여 비닐하우스 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토록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상기 소금은 황토내의 수분량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황토의 균열을 방지하 나아가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소금의 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황토에 열이 축열되고, 그 열이 외부온도의 저하시 방출되어 비닐하우스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축열벽이 북쪽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에 위치하고 남쪽방향으로 반아치형의 비닐하우스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의 우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열벽 2 : 비닐하우스 3 : 환기구
5 : 보온장치 6 : 출입구 101 : 황토
102 : 내부벽 103 : 외부벽 104 : 상부벽
201 : 지지대 202 : 가로연결대 203 : 비닐
204 : 보강줄 301 : 환기창문 402 : 스프링클러
501 : 보온재 502 : 파이프 503 : 연결줄
도 1 은 축열벽이 북쪽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에 위치하고 남쪽방향으로 반 아치형의 비닐하우스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비닐하우스는 북쪽 방향에 설치되는 축열벽(1)의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바닥에 대하여 두변이 직각인 사다리형이며, 상기 축열벽(1)의 외부벽(103)은 콘크리트 블록과 보온재로 마감하고, 내부벽(102)는 시멘트 블록으로 바닥에 직각으로 쌓고 그 표면을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여 그 내·외부벽체 사이에 황토(101)가 주성분으로 볏짚과 소금, 물 등을 혼합하여 채우고, 상부벽(104)은 내부에 보온재를 덮고 그 위에 콘크리트 블록으로 덮는 구조이며, 내부벽(102)과 외부벽(103)에 장방향의 환기구(3)를 관통하여 환기창문(301)을 설치하고, 상부벽(104)에 철골이나 대나무 등의 소재로 반 아치로 남쪽방향으로 지지대(201)를 3m 간격으로 세우고, 상기 지지대(201)를 잡아주는 가로연결대(202)를 다수개 연결하여, 풍압이나 적설하중에 충분히 견디는 구조로 비닐하우스(2)의 지지대(201)를 설치하여 비닐(203)로 전체를 씌워 비닐하우스(2)를 만들고, 상부에 비닐(203) 표면을 덮는 재질인 부직포나 볏짚을 엮어 보온재(501)로 사용하고, 그 보온재(501)를 덮거나 벗길 때 용이하도록 보온재(501) 끝단에 파이프(502)를 달고 그 양단에 줄(503)을 연결하여, 상부에서 줄(503)을 풀면 보온재 (501)가 경사진 비닐하우스(2) 표면에 덮이고, 줄(503)을 당기면 보온재(501)가 말리면서 겉히는 구조의 보온장치(5)이다.
비닐하우스(2)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관개설비가 요구되므로 비닐하우스(2)내 지지대(201)에 파이프망을 설치하여 망 중간에 스프링클러(402)를 살포 면적에 비례하여 스프링클러(402)를 설치하여,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개시설을 수도망이나 자체 공급시설에 연결하여 비닐하우스(2)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비닐하우스(2) 내부로 열전도시키는 축열벽(1)의 조성물을 살펴보면, 주성분의 황토와, 볏짚과, 소금과, 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혼합조성비를 중량비로 나타내면 황토 77 - 85 W%, 볏짚 1 - 3 W%, 소금 7 - 10 W%, 물 7 - 10 W% 등으로 혼합조성된 것이다. 소금은 황토내의 수분량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황토의 균열을 방지하고 나아가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축열벽(1)을 갖는 비닐하우스(2)의 작용을 살펴보면, 태양복사열을 비닐하우스(2)가 채광하면 상기 채광된 열을 주성분인 황토(101), 볏짚, 소금, 물 등이 혼합된 축열벽(1)이 흡수하면서 상기 채광열과 황토(101)와 소금 등의 화학반응에 의해 열이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상태에서 일몰시 비닐하우스 (2)의 내부온도가 저하되면, 상기 비닐하우스(2) 외부 전체를 부직포나 볏짚으로 엮은 이엉으로 보온하고, 상기 축열벽(1)에서 발생된 열이 내부온도가 저하된 비닐하우스(2) 내부로 전도되면서 비닐하우스(2)의 식물성장 온도로 상승·유지되게 된다.
또한, 축열벽(1)에 비닐하우스(2) 내부와 관통하여 설치된 환기구(3) 내·외부 창문(301)을 필요시에 따라 개방하여 비닐하우스(2) 내의 오염된 공기를 비닐하우스(2) 외부로 배출하므로서, 상기 비닐하우스(2)의 내부가 환기되어 자연조건에 맞는 식물재배의 성장분위기로 조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난방이 필요치 않으므로 난방비가 제로화 되며, 난방공급을 위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에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으므로 인해 이에 따른 인건비가 절감된다.
또한, 식물성장에 요구하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와 내부상태를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고, 황토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의 영향으로 식물성장이 촉진되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2.5배 이상으로 증산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생산품의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더욱이 고유가 시대에 매우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축열벽 비닐하우스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열벽을 갖는 본 발명의 축열식 비닐하우스는 난방이 필요하지 않아 동절기간 난방비가 전혀 들지 않으면서, 상기 비닐하우스에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와 공기상태가 청정상태로 유지되어 최적의 자연적인 식물성장 조건과 황토(101)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의 영향으로 단위면적당 2.5배 이상의 수확량이 증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유가 시대의 유류 절감에도 획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공해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황토(101)를 주성분으로 볏짚과 소금, 물 등을 혼합하여 축열벽(1)을 만들고, 축열벽(1)을 기준으로 반 아치형 비닐하우스(2)를 설치하여 태양복사열을 축열벽(1)이 흡수하여 흡수된 열과 황토와 소금과의 화학작용으로 비닐하우스(2) 내부로 열을 발산하여 비닐하우스(2)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유지되게 하면서 일몰시에는 보온재(501)로 비닐하우스(2)의 외표면을 덮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비닐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축열벽(1)은 단면이 직사각형이거나 또는 바닥에 대하여 두변이 직각인 사다리꼴형의 견고한 구조이고, 보온재(501)는 보온장치(5)에 설치된 줄(503)을 풀거나 당기므로서, 비닐하우스(2)의 표면을 덮거나 비닐하우스(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비닐하우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축열벽(1)은 77 - 85 W%의 황토, 1 - 3 W%의 볏짚, 7 - 10 W%의 소금, 7 - 10 W%의 물 등으로 혼합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비닐하우스.
KR10-2000-0059000A 2000-10-06 2000-10-06 축열식 비닐하우스 KR10038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000A KR100380668B1 (ko) 2000-10-06 2000-10-06 축열식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000A KR100380668B1 (ko) 2000-10-06 2000-10-06 축열식 비닐하우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005U Division KR200217098Y1 (ko) 2000-10-07 2000-10-07 축열식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092A KR20020028092A (ko) 2002-04-16
KR100380668B1 true KR100380668B1 (ko) 2003-04-26

Family

ID=1969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000A KR100380668B1 (ko) 2000-10-06 2000-10-06 축열식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16B1 (ko) 2010-12-22 2013-04-09 에스지티(주) 온실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황토 전원주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2536B (zh) * 2013-08-16 2015-07-15 李世明 一种日光温室大棚增温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16B1 (ko) 2010-12-22 2013-04-09 에스지티(주) 온실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황토 전원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092A (ko) 200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586A (en) Box for cultivating plant
KR101377218B1 (ko) 터널형 온실
CN106962067A (zh) 一种用于长江流域地区周年生产的连栋日光能温室
CN205017906U (zh) 一种栽培食用菌专用生态菇房的自然光照系统
KR100380668B1 (ko) 축열식 비닐하우스
KR101499021B1 (ko) 온실
CN206024654U (zh) 一种玻璃温室大棚
KR200217098Y1 (ko) 축열식 비닐하우스
KR101889419B1 (ko) 반지하형 온실
JP2009293201A (ja) 断熱ユニットの支持構造
CN201557428U (zh) 北方寒冷地区双连栋日光温室
CN201323800Y (zh) 一种冬季不用烧煤取暖节能日光温室
CN107355025A (zh) 一种保温植物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70868B1 (ko) 에너지절약형 버섯 재배사의 바닥 지하수 순환 구조
KR100880016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이용한 지붕 녹화 시스템
CN102696491A (zh) 生态型节能减排猪舍设计和建造技术
JP3837377B2 (ja) 緑化可能な傾斜屋根
KR100430790B1 (ko) 축열식 비닐하우스
CN108064611B (zh) 可调温区地源热泵农业大棚系统
CN104956955A (zh) 温室种植棚
CN204047652U (zh) 一组蝎子繁殖专用蝎房
CN204742016U (zh) 温室种植棚
KR20060098493A (ko)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KR101251616B1 (ko) 온실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황토 전원주택
CN206866187U (zh) 一种寒地多功能日光温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