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493A -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493A
KR20060098493A KR1020050017610A KR20050017610A KR20060098493A KR 20060098493 A KR20060098493 A KR 20060098493A KR 1020050017610 A KR1020050017610 A KR 1020050017610A KR 20050017610 A KR20050017610 A KR 20050017610A KR 20060098493 A KR20060098493 A KR 20060098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vinyl house
vinyl
crop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춘수
함춘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테라올가닉(주)
함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테라올가닉(주), 함춘수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테라올가닉(주)
Priority to KR102005001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8493A/ko
Publication of KR20060098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는 내부 측면의 4 면 중 적어도 1 면 이상이 소정 높이의 자연 흙벽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비닐하우스의 자연 흙벽의 높이, 하우스의 설치위치 및 설치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봄 가을과 같이 작물의 생육에 알맞은 계절에만 가능하던 작물의 재배를 여름의 혹서기나 겨울의 혹한기에도 고가의 유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하우스 내부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바, 여름의 혹서기에도 내부의 온도를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겨울철에는 하우스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시 내부 측면의 일부가 흙벽으로 되어있어 태양에너지의 토양 내 흡수 및 저장을 최대화할 수 있고 방열을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방비를 적게 들이고도 효율적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Vinyl House Of Excellent Thermal Efficiency}
도 1의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모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을 이용한 반토굴형 비닐하우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을 이용한 반토굴형 비닐하우스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를 외부온도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사계절 내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스 내의 사계절에 걸친 농작물의 정상발육을 돕고 이로 인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비닐하우스 내부 측면의 4 면 중 적어도 1 면 이상의 측면이 소정 높이의 자연 흙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동일한 길이를 갖고 일정한 곡선으로 형성된 골조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골조 양 끝단을 지면에 고정한 다음 그 외면에 비닐지를 덮어, 그 내부에서 여러가지 농작물이 재배되도록 하는 시설이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설치가 비교적 쉽고, 이용목적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며 지역에 따라 여러가지의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유리온실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고 옮기거나 취급하기에는 편리한 장점을 갖고 있지만, 태풍이나 적설 등의 외력에 약하고,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 한여름의 혹서기나 한겨울의 혹한기에는 작물을 재배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보편적으로 단층의 골조 외면에 비닐지를 덮어둔 상태의 구조로서, 이러한 얇은 피복재로 하우스의 내/외부가 차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겨울철에 하우스 외부의 기온이 낮아지면 한겹의 비닐지에 의해 하우스내의 열이 쉽게 손실되어 이에 따라 하우스 내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다량의 연료 사용이 불가피해지고, 이로 인한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여, 급기야는 농업인들이 겨울 영농을 포기하게 되고, 고가의 시설(하우스)들이 동절기에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러한 하우스의 시각적 환경 오염도나 경제적 이용가치의 축소는 농가의 소득에 지대한 영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기반 산업인 농업에 있어서 농업연령의 고령화와 농업인구의 감소를 앞당기는 원인 이 되기도 한다.
상기한 종래의 하우스 구조는 겨울철 뿐만 아니라 여름철 영농에 있어서도 일정한 한계를 가지는데, 여름철의 강렬한 직사광선과 이로 인한 대기의 고온화로 인하여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작물의 생육에 부적당한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고온 다습한 기후로 인하여 병해충의 전염과 번식이 활발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농가에 손실을 초래하여 왔다. 종래에는 여름철에 하우스 내부의 열을 실외로 빼내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양측면의 비닐을 말아올려 공기를 소통시킴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미비하나마 낮추고 병해충에 대하여는 다량의 살충제를 살포함으로써 농작물의 피해를 막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상기한 혹한기와 혹서기의 내부온도 변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은 하우스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에 의해 급변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겨울철의 연료의 사용을 줄이는 방안이 고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여름철에는 이중으로 설치된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욱 높아져서 수시로 비닐지를 개폐시켜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환기시켜 내부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적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높아지는 온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고온에 의해 재배되는 작물이 타버리거나 정상적인 생장이 불가능하여 목적한 만큼의 수확량을 거두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49823호에서는 이중으로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두 겹의 비닐지 사이로 물을 분사시켜 하우스 내의 온도를 낮추는 고안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이 또한 다층의 비닐막을 요하고 펌프 등과 같이 물을 분사하기 위한 제반장치를 별도로 필요하며, 특히 겨울철의 혹한기에는 종래의 비닐막을 이중으로 설치한 하우스의 내부온도와 다를 바가 없으므로, 연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로서 겨울철에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아 한랭건조해지는 우리나라에서는 비닐을 이중으로 하더라도 내부의 온도를 다양한 작물의 생육에 알맞도록 조절하기 어려워 결국 고가의 난방을 필수적으로 요하게 된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74697호에서는 비닐하우스의 천정부위를 필요에 따라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내부온도를 조절하고 분무튜브를 설치하여 혹서시에 내부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안은 별도의 개폐구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내부의 온도 변화가 더욱 민감하게 변화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별도 장치의 설치에 따른 제반 비용으로 인해 농가에 부담을 초래하며, 우리나라 겨울철의 혹한기에도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온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2-28092호에는 비닐하우스 내에 황토, 소금, 물을 배합하여 축열벽을 만들고, 이들 축열벽 성분들 간의 화학반응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비닐하우스의 난방을 이루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인위적으로 배합 토양을 이용한 벽을 만들어 설치함으로써 겨울철의 난방비를 절감하는 효과는 있으나, 인위적 흙벽의 이용으로 인해 배합토양의 성분을 정기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여름철 혹서기의 작물재배에는 응용할 수 없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큰 대륙성 기후의 우리나라에서 봄, 가을 뿐만 아니라 여름의 혹서기와 겨울의 혹한기에도 채소, 야채, 화초 등의 다양한 작물을 계속 재배할 수 있는 농법의 연구는, 농가의 실제적인 소득증대를 위하여 별도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함에도 이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심도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온도조절을 위한 장치 없이, 비닐하우스 내부 측면의 4 면 중 적어도 1 면 이상의 측면을 소정 높이의 자연 흙벽으로 구성함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사계절 내내 일정한 수준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완성되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를 농가단위에서 시도한 사례는 없었으며, 이에 따른 대중의 인식도 부족했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농법에의 연구를 통해 사계절 내내 농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농업인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양질의 농산물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히고, 더 나아가서는 수입의 의존도가 높아지는 먹거리의 자립화에 의해 국민건강의 향상과 국가산업의 발달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내부 측면의 4 면 중 적어도 1 면 이상의 측면이 소정의 높이를 가진 자연 흙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는 자연 흙벽의 높이, 하우스의 설치위치 및 설치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봄 가을과 같이 작물의 생육에 알맞은 계절에만 가능하던 작물의 재배를 여름의 혹서기나 겨울의 혹한기에도 고가의 유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하우스 내부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바, 여름의 혹서기에도 내부의 온도를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겨울철에는 하우스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시 측벽의 일부가 자연 흙벽으로 되어있어 태양에너지의 토양 내 흡수 및 저장을 최대화할 수 있고 방열을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방비를 적게 들이고도 효율적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작물이 재배되는 하면, 돔의 형태를 이루도록 비닐지가 도포되어 있는 상면, 및 상면과 하면이 연결되는 4 곳의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면은 자연상의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면을 통해 작물의 재배를 위한 채광이 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비닐지의 도포를 위한 지지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그 중 4 곳의 내부 측면 중 1 곳 또는 2 곳 이상의 측면이 자연 흙벽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높이”라 함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 물의 생육을 위한 채광, 환풍, 보온, 방열 등의 조건 등을 조절하기에 적합한 정도의 높이로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m이다. 소정의 높이는 내부 측면의 1 면에 대해 균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내부 측면의 1 면 전체의 높이와 동일할 수도 있고, 그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일반적인 채소류, 화훼류, 과실류 등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0 내지 25℃이며, 자연 흙벽의 높이가 지하 1 m 이상일 때 더욱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높이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면으로부터의 깊이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지하 1 내지 3 m, 특히 바람직하게는 지하 1.5 내지 2 m일 수 있다.
상기 “자연 흙벽”이라 함은 자연상에 존재하는 토양으로 이루어져 비닐하우스의 적어도 일부 측면을 구성하는 벽을 의미하며, 이러한 토양에는 보온이나 방열 등을 위한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토양이 사용된다. 상기 자연 흙벽으로는, 다음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i) 산비탈 또는 밭의 수직 경사면이 그대로 활용될 수도 있고, (ii) 산비탈 또는 밭의 경사면을 일정한 깊이로 깎아 내었을 때 지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측벽이 활용될 수도 있으며, (iii) 평지를 일정한 깊이로 파내었을 때 지면(지하 표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측벽이 활용될 수 있으며, 또는 (iv) 평지에 자연상의 토양을 일정한 높이로 쌓아 올렸을 때 형성되는 측벽이 활용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그 중 자연상의 경사면을 이용하는 (i)과 (ii)의 방법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 중 (ii)의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연상의 경사면이나 평지를 일정한 깊이로 파내거나 평지 위에 일정한 높이로 토양을 쌓아서 설치하는 비닐하우스를 본 명세서에는 “반토굴형 비닐하우스”로 칭한다. 구체적으로, 반토굴형 비닐하우스는 지면의 일정한 면적을 일정한 깊이로 파거나 토양을 쌓아서 비닐하우스 측면의 1 면 이상이 자연 흙벽으로 둘러싸이도록 하여 설치된 비닐하우스를 말하며, 상기 지면은 산비탈의 경사면, 경사진 밭 뿐만 아니라 평평한 대지와 같이 종래의 하우스를 설치할 수 있는 곳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경사면의 바람직한 각도는 30 내지 90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도이다.
상기의 깊이로 땅을 파고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여 작물을 재배하면, 여름철에 외부온도가 30℃를 훨씬 웃도는 혹서기에도 자연 환풍 만으로도 내부의 온도는 20 내지 25℃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 외부온도가 영하 20℃를 밑도는 혹한기에도 내부의 온도는 4 내지 10℃로 유지할 수 있어 영하의 내부온도에서 경작을 위한 난방에 소요되던 경비에 비하면 극히 일부분의 난방비용 만으로 20 내지 25℃로의 승온이 가능하여 사계절 연속적인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는 그 설치방향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바, 겨울철의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영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보온기작의 요점은 온실 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가능한 많게 하고 햇빛의 유입에 의해 더워진 내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포획하여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가장 중요한 것이 하우스 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이고, 이러한 양은 하우스의 설치방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온 또는 무가온의 어떠한 재배방법을 선택하더라도 열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하우스 내로 많은 햇빛이 유입되는 것이 필요한데, 하우스의 설치 방향에 따라 광투과율에는 큰 차이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연동형의 경우를 살펴보면 남북동이나 동서동 모두 여름철의 투광량이 많기 때문에 햇빛 투과율 면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남북동으로 설치하는 것이 시설환경이 더욱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왜냐하면 남북동은 동서동에 비하여 아침과 저녁에 경사면과 측면에서 투광량이 많아져 실내의 온도상승이 빨라지기 때문에 오전중의 광합성 촉진에 유리하고, 반면 낮동안에는 측면의 입사광이 적어 온도상승이 완만하여 여름철 고온에 대처하기가 쉽다. 또한 동서동에 비해 그림자가 적게 생기며 광분포가 비교적 균일하여 작물의 생육에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와 도 1b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토굴형 비닐하우스의 모형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에는 산비탈의 경사면 또는 경사진 밭의 경사면(300)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지면에 수직인 자연 흙벽을 비닐하우스의 일부 측면으로 활용하는 반토굴형 비닐하우스(1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평지(310)를 일정한 깊이로 파서 형성된 자연 흙벽을 비닐하우스의 모든 측면으로 활용하며 지하로부터 지상에 이르는 공간에 걸쳐서 설치된 반토굴형 비닐하우스(200)가 도시되어 있다.
비닐하우스(100, 200)는 그것의 형태에 있어서 지지대(도시하지 않음)의 특성에 따라 지붕형과 아치형 등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가 목재나 철골로 된 앵글류 소재라면 각진 지붕형으로, 죽재나 파이프류로 된 소재라면 둥근 아치형의 지붕형 등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붕형태도 특정한 형태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외쪽 지붕형, 양쪽 지붕형, 3/4 지붕형 등의 다양한 지붕형이 적용 가능하다.
도 1a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를 산비탈의 경사면이나 경사진 밭 등의 경사면을 이용한 반토굴형 비닐하우스로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지붕의 형태를 상기의 지붕형태 중 도 3에 나타나 있는 3/4 지붕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산비탈 등의 경사면에 설치된 반토굴형 비닐하우스(100)는 그것의 내부 측면의 4 면 중, 배면은 완전히 자연 흙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측면은 경사면(300)을 따라 비스듬하게 자연 흙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측면은 채광량을 늘리기 위해 자연상의 경사면을 더욱 가파른 각도로 절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반면에, 평지 등에 설치되는 반토굴형 비닐하우스(200)는 그것의 일부가 지하로 일정 깊이만큼 들어가 있으므로, 내부 측면의 4 면 모두가 자연 흙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 흙벽의 높이는 도면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200)의 전반적인 측면 높이보다 낮지만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면에 설치된 반토굴형 비닐하우스(100)에서 바람직하게는 주변부 중 경사면을 제외한 3 면에 오목한 배수로(110)를 설치하고 이들 배수로(110)에까지 비닐을 덮음으로써 종래의 경사진 경작지의 비료나 토사 등이 빗물에 의해 하부 토양 이나 강으로 흘러 들어가 이들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흙벽면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경사지 토양의 유실과 이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들 경사지에 안정적 시설을 구축하고 계획성 있는 농작물의 재배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다소 경감할 수 있다.
도 1a의 반토굴형 비닐하우스의 더욱 구체적인 예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는 반토굴형 비닐하우스(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그것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도 1a에서와 같은 외형의 비닐하우스(100)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지지대들이 3차원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콘크리트 기반(120) 상에 다수의 수직 지지대(130)를 설치하고 그것에 연결하여 다수의 수평 지지대(140)와 상단 보(150)를 설치한다. 수평 지지대(130)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직 지지대(130)와의 사이에 보조 지지대(14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단 보(150)는 그것의 외면에 비닐지(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므로 비닐하우스(100)의 외면 형상에 대략 일치한다.
토굴형 비닐하우스(100)의 내부 측면 4 면 중, 배면(160)과 양측면(162)은 적어도 일부가 자연 흙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안정성을 위해 경사지 흙다짐을 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얇은 두께로 콘크리트 양생을 행하거나 부직포, 망상 구조물 등을 추가로 도포할 수도 있다. 도3에서 비닐하우스(100)의 정면에는 출입구(170)가 설치되어 있지만, 출입구(170)의 설치 위치와 형상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토굴형 비닐하우스(100)의 외면 중 배면과 양측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로(1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흙다짐을 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4 지붕형 구조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3/4 지붕형 온실은 양쪽 지붕면의 길이를 달리한 부등변 지붕형의 일종으로 전체 지붕의 길이를 4로 볼 때 남측 지붕의 길이를 3으로, 북측 지붕의 길이를 1로 설치한 온실을 의미하며, 이는 양쪽 지붕형과 외쪽 지붕형의 장점을 살려 설치한 구조로 외쪽 지붕형의 높은 광투과성과 양쪽 지붕형의 구조 안정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겨울철 작물재배에 보다 유리하다. 이들 3/4 지붕형 온실은 태양고도가 낮은 겨울철에 열 집적이 빨라 오전 중 온도 상승이 빠르고, 온실 폭이 넓은 경우에는 방열비도 낮아 보온상 유리한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3/4 지붕형의 비닐하우스에서 햇빛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우스를 동서동으로 설치하고, 지붕의 긴 면이 남쪽으로 짧은 면이 북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는 내부 측면의 4 면 중 적어도 1 면 이상의 측면이 소정 높이의 자연 흙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연 흙벽의 높이, 하우스의 설치위치 및 설치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봄 가을과 같이 작물의 생육에 알맞은 계절에만 가능하던 작물의 재배를 여름의 혹서기나 겨울의 혹한기에도 고가의 유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하우스 내부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바, 여름의 혹서기에도 내부의 온도를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겨울철에는 하우스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시 내부 측면의 일부가 흙벽으로 되어있어 태양에너지의 토양 내 흡수 및 저장을 최대화할 수 있고 방열을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방비를 적게 들이고도 효율적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비닐하우스의 내부 측면의 4 면 중 적어도 1 면 이상의 측면이 소정의 높이를 가진 자연 흙벽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는 1 내지 5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흙벽은, (i) 산비탈 또는 밭의 수직 경사면, (ii) 산비탈 또는 밭의 경사면을 일정한 깊이로 깎아 내었을 때 지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측벽, (iii) 평지를 일정한 깊이로 파내었을 때 지면(지하 표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측벽, 또는 (iv) 평지에 자연상의 토양을 일정한 높이로 쌓아 올렸을 때 형성되는 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흙벽은 (i) 산비탈 또는 밭의 수직 경사면, 또는 (ii) 산비탈 또는 밭의 경사면을 일정한 깊이로 깎아 내었을 때 지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의 깊이로서 지하 1 내지 3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지붕의 형태가 3/4 지붕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7. 제 4 항에 있어서, 비닐하우스는 장방향이 동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긴 지붕면이 남쪽으로 짧은 지붕면이 북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8. 제 4 항에 있어서, 비닐하우스는 주변에 만입형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배수로에 까지 비닐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는 장방향이 남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KR1020050017610A 2005-03-03 2005-03-03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KR20060098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10A KR20060098493A (ko) 2005-03-03 2005-03-03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10A KR20060098493A (ko) 2005-03-03 2005-03-03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676U Division KR200384281Y1 (ko) 2005-03-03 2005-03-03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493A true KR20060098493A (ko) 2006-09-19

Family

ID=3762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610A KR20060098493A (ko) 2005-03-03 2005-03-03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84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689A1 (ko) * 2011-06-10 2012-12-13 주식회사 홀인원 가변형 온실구조물
CN107667881A (zh) * 2017-11-17 2018-02-09 福建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窑洞效应羊舍
KR20190033668A (ko) 2017-09-21 2019-04-01 강원도 집열성과 환기성 및 내재해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689A1 (ko) * 2011-06-10 2012-12-13 주식회사 홀인원 가변형 온실구조물
KR20190033668A (ko) 2017-09-21 2019-04-01 강원도 집열성과 환기성 및 내재해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및 그 시공방법
CN107667881A (zh) * 2017-11-17 2018-02-09 福建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窑洞效应羊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3733B2 (ja) 農場兼太陽光発電システム
Jensen et al. Protected agriculture: a global review
KR100553005B1 (ko)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77218B1 (ko) 터널형 온실
KR101138018B1 (ko)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CN1167321C (zh) 一种日光温室
WO2021090665A1 (ja) 農業用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60098493A (ko)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KR102114528B1 (ko) 조림수에서 공기정화용 에너지 포집장치
KR200384281Y1 (ko) 우수한 열효율성의 비닐하우스
Gorjian et al. Solar Powered Greenhouses
CN106577021A (zh) 一种高效聚能型生态日光温室大棚
JP6047594B2 (ja) 農業用ハウス
Ashok et al. Greenhouse structures, construction and design
CN206575924U (zh) 一种高效聚能型生态日光温室大棚
Martzopoulou et al. Application of urban passive cooling systems and design techniques in livestock buildings
JP3370021B2 (ja) 温 室
CN202503962U (zh) 一种分层立体温室
KR20220063957A (ko) 반지하 비닐하우스
KR100430790B1 (ko) 축열식 비닐하우스
CN209914594U (zh) 一种用于高寒地区的冬暖式日光温室
CN211509991U (zh) 一种节能日光温室
JP5834351B2 (ja) 農業用傾斜地構造
JP5834352B2 (ja) 農業用ハウス
Castilla et al. New greenhouse structures for the south of Sp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