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144B1 -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 - Google Patents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144B1
KR100380144B1 KR10-2001-0009661A KR20010009661A KR100380144B1 KR 100380144 B1 KR100380144 B1 KR 100380144B1 KR 20010009661 A KR20010009661 A KR 20010009661A KR 100380144 B1 KR100380144 B1 KR 100380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feed
liquor
pork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0077A (ko
Inventor
김광현
국길
고홍범
Original Assignee
(주)성하바이오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하바이오축산 filed Critical (주)성하바이오축산
Priority to KR10-2001-000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144B1/ko
Publication of KR2001011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077A/ko
Priority to CNB028004353A priority patent/CN1235506C/zh
Priority to PCT/KR2002/000317 priority patent/WO200206770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hydrolysates of wood or stra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에 관한 것으로 돼지에 죽초액을 첨가한 사료를 급여함으로써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이 증가하고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이 감소하여 돼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일반 돈육에 비하여 고단백질, 저콜레스테롤, 저지방인 고품질 돈육을 생산하고, 이유자돈의 대장균증을 예방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High quality meat by fed bamboo liquor in pigs}
본 발명은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죽초액이 첨가된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하여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이 증가하고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이 감소하여 돼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상기 죽초액을 급여한 돼지를 도축하여 획득한 돈육은 일반돈육에 비해 고단백질, 저콜레스테롤, 저지방인 돈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돼지고기는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우리에게 가장 대중적인 호응을 받고 있는 축산식품으로서 국민 소득수준 향상으로 소비자는 양보다 질을 중요시하고 있는 가운데 모든 축산물이 수입자유화 됨에 따라 수입 물결은 더 거세지고 세계는 단일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다. 우리의 당면과제는 축산물 생산비 절감과 품질의 고급화로 수입 돼지고기와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저렴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안전·위생적인 브랜드 돼지고의 생산이 필요하다. 또한 돼지의 소화기 감염증은 농장의 고질적인 생산성 저해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소화기 감염증중 대장균증은 포유자돈과 이유자돈에서 주로 발생하며 폐사와 함께 위축돈의 발생으로 양돈산업의 생산성 저하 요인이 되고 있다
대나무에서는 예로부터 우리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대나무의 줄기나 껍질, 조릿대의 잎에는 살균작용과 항균 및 항산화작용이 탁월한 폴리페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천연물질로써 잠재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이러한 대나무와 죽제품을 제조하고 남은 부산물을 탄화과정을 걸쳐 추출·정제한 후 죽초액이라는 수용성 액체을 생산할 수 있다. 죽초액의 성분은 죽초액 전체의 80∼90 중량%를 수분이 차지하고 있는데 이를 제외한 죽초액의 구성성분을 살펴보면 생체조직 내에서 여러 가지 물질을 녹여내는 작용을 하는 유기산류로 초산, 개미산, 프로피온산, 젖산, 이소젖산, 발레인산, 크로톤산, 치그린산 등의 수많은 종이 포함되었고, 동·식물의 조직내 침투성 및 흡수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페놀류로는 페놀, 크레졸, 구아이아콜의 수종이 포함되었으며 그 밖에도 카드보닐 화합물과 알콜류, 중성성분, 염기성성분 등의 2백여종의 미량성분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어 천연물질로서 그 이용 가능성이 있다. 또한 죽초액을 이용한 돼지의 육생산과 육질 그리고 질병치료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죽초액을 급여하여 양돈의 생산성 향상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과 이유자돈에서 대장균증의 예방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고품질 브랜드 돈육의 개발과 이유자돈의 대장균증의 예방 효과를 극대화시켜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착안하여 죽초액이 첨가된 사료를 돼지에 급여하여 사양한 다음 도축하여 육의 일반성분 및 콜레스테롤 함량, 육색, 지방산의 조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죽초액이 첨가된 사료를 급여함으로써 맛과 육질이 향상된 돈육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판배합사료에 죽초액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상기 죽초액 혼합사료를 비육돈과 이유자돈에게 섭취시켜 2개월간 사육한 다음 죽초액 급여에 의한 돼지의 일당증체량 및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도체성적, 콜레스테롤함량변화, 지방산 조성, 돈육의 육색등을 분석하고 저장기간중의 pH변화, 산패도 변화, 육색변화, 호기성 미생물 수의 변화를 조사하며 이유자돈의 대장균증 예방효과를 검토하므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비육돈 33두를 죽초액 무첨가구, 사료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2 중량%, 4 중량% 첨가구 3개 시험구와 이유자돈 20두를 죽초액 무첨가구, 1 중량%, 2 중량%, 4 중량% 첨가구의 4개 시험구로 나누어 죽초액을 급여하는 단계; 상기 비육돈 시험구 돼지의 시험개시전과 종료시에 체중을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돼지를 도살한 다음 방혈 및 탈모 후 일정부위의 두부와 족을 절단하고 내장을 제거한 다음 도체중을 조사하는 단계; 죽초액 첨가 사료의 급여에 따른 돈육의 이화학적 성분 및 물리적 특성분석을 위해 AOAC방법에 준하여 육의 일반성분 및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하는 단계; 육질을 공기중에 30분정도 노출한 다음 육색측정기로 육색을 분석하는 단계; 폴칠(Folch, 1957)의 방법으로 지질을 추출한 다음 모리슨과 스미스(Morrison, Smith, 1964)방법에 준하여 메탈화하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으로 지방산의 조성을 조사하는 단계; 돈육 등심부위를 9점법에 의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저장기간 동안의 육질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pH를 측정하고 TBA 테스트하여 산패도를 측정하는 단계; 돈육의 저장기간 동안의 육색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돈육 등심을 공기중에 30분정도 노출한 다음 육색측정기로 육색변화를 조사하는 단계; 저장중의 호기성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저장기간이 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저장기간을 1일, 3일, 6일, 9일로 나누어 9점법에 의해 관능평가 하는 단계 및 죽초액 첨가 사료를 2주 동안 급여한 다음 병원성 대장균을 1×109CFU/ml 이 되게 조절하여 경구투여한 다음 소화장기의 병변 평가와 장간막 임파절에서의 대장균 분리를 통해 대장균증에 대한 예방효과를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죽초액 전체의 80∼90 중량%를 수분이 차지하고 죽초성분이 죽초액 전체의 10∼20 중량%를 차지하고 있는 죽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죽초성분이 죽초액 전체의 10∼20 중량%를 차지하고 있는 죽초액을 사료 전체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4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죽초성분이 죽초액 전체의 10∼20 중량%를 차지하고 있는 죽초액을 사료 전체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4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하여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되고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고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증가된 돈육의 생산방법으로 구성된다.이하에서 죽초액의 %는 모두 중량%이다.
본 발명의 시험장소는 전남 담양군 수북면 고성리에 위치한 양돈장(농장주:채천기)에서 2000년 7월 11일부터 9월 12일까지 2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고 이유자돈의 대장균 예방효과 시험은 2000년 12월에 1개월간 전남대 수의과대학에서 실시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공시동물은 평균체중 59.06±5kg의 육성돈 33두와 이유자돈 20두를 공시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자료 분석은 SAS 패키지 프로그램(1988)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처리구의 평균간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던칸의 다중검정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pH를 측정을 위해 사용한 pH 미터는 오리온제품(Skin pH meter 모델명 520A, USA)을 사용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육색측정을 위해 육색측정기(미놀타(주), CR-301)로 측정하였으며 이때 표준판은 Y=92.40, x=0.3136, y=0.3196의 백색타일을 사용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콜레스테롤 측정하기 위해 Boehringer Mannheim사의 Choleterol Assay Kit용액을 이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시험동물의 선정 및 죽초액의 급여
죽초액의 급여에 따른 돼지의 육생산성과 육질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육돈 33두를 대조구와 사료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2 중량%, 4 중량% 죽초액 급여구의 3개 시험구에 각각 11두씩를 두었으며, 이유자돈 20두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구와 1 중량%, 2 중량%, 4 중량% 죽초액 급여구의 4개 시험구로 각각 5마리씩 두었으며 시험구는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비육돈의 시험설계
시험구 대조구 2중량% 죽초액 4중량% 죽초액
시험마리 11 11 11
처리내용 죽초액 무첨가구 죽초액 2중량% 첨가구 죽초액 4중량% 첨가구
이유자돈의 시험설계
시험구 대조구 1% 죽초액 2% 죽초액 4% 죽초액
시험마리 5 5 5 5
처리내용 죽초액 무급여구 죽초액 1% 급여구 죽초액 2% 급여구 죽초액 4% 급여구
시험사료는 시판배합사료(비육돈 사료)에 죽초액을 2 중량%와 4 중량%를 혼합하여 급여하였으며, 시험사료의 분석은 AOAC(1996)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화학적 성분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사양시험 동안 사료 및 물은 자유섭취토록 하였다.
시험사료의 화학적 성분
성 분 명 비육돈 젖뗀돼지
조단백질 18.00 % 22.3
조지방 4.50 % 7.5
조섬유 6.00 % 3.1
조회분 8.00 % 7.9
칼슘 0.75 % 0.81
0.40 % 0.61
메치오닌+시스틴 0.72 % -
대사에너지 3.05 Mcal 18.0
가소화에너지 - 3.80 M cal
실험예 1: 죽초액의 급여에 따른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체중은 시험 개시시와 종료시 측정하였으며, 사료섭취량은 시험종료후 사료잔량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사료요구율은 전체 사료섭취량을 전체 증체량으로 나누어서 계산하였다.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돼지의 일당증체량 및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에 미치는 영향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죽초액을 급여함으써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죽초액 2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써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죽초액 2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죽초액의 급여는 돼지의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죽초액 급여에 의한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시험구항목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시험 배치수 11 11 11
개시체중(kg) 59.3±0.98 58.8±1.13 60.1±1.08
종료체중 (kg) 102.2±1.32a 105.6±1.64b 105.2±1.59b
증체량 (kg) 42.9±1.06b 46.8±1.09a 45.1±1.12ab
일당증체량 (g) 622.4±10.15b 678.26±9.58a 653.62±12.24ab
사료섭취량 (g) 1,772±27.74a 1,755±28.44b 1,775±26.14a
사료요구율 2.85±0.03a 2.59±0.03b 2.72±0.03ab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실험예 2: 죽초액 급여에 따른 돼지의 도체성적
시험종료후 생체중을 측정하였으며, 방혈 및 탈모후 일정한 부위의 두부와족을 절단하였고, 내장을 완전히 제거하여 도체중을 측정하였다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돼지의 도체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체중은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써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등지방 두께에서도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도체등급을 숫자화한 최종등급은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죽초액을 급여한 돼지의 도체평가
시험구항목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도체중 (kg) 75.18±1.63b 74.36±1.65b 82.50±1.73a
등지방두께(mm) 22.27±0.70 21.45±0.63 23.00±0.62
최 종 등 급 3.27±0.05 3.19±0.04 3.20±0.05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최종등급의 A = 4, B = 3, C = 2, D = 1로 숫자화함
실험예 3 : 죽초액 첨가 사료의 급여에 따른 돈육의 이화학적 성분 및 물리적 특성 분석
죽초액 첨가 사료의 급여에 따른 돈육의 이화학적 성분 및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돈육의 일반성분, 콜레스테롤 함량, 돈육의 육색, 지방산 조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제 1단계: 육의 일반성분 및 콜레스테롤 함량 조사
일반성분인 수분 및 단백질, 지방, 회분 함량은 AOAC(1996)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등심 부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Boehringer Mannheim Choleterol Assay Kit용액을 이용하여 Boehringer Mannheim Procedure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일반성분과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표 6에 나타냈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단백질 함량은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지방 함량은 죽초액 2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죽초액의 급여한 돈육의 일반성분 및 콜레스테롤 함량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수분, % 74.38±0.10 74.96±4.95 74.25±0.06
단백질, % 22.99±0.12 22.34±0.23 23.24±0.26
지방, % 1.64±0.03a 1.50±0.02b 1.61±0.03a
회분, % 1.01±0.00 1.20±0.20 0.90±0.10
콜레스테롤,mg/100g 등심 15.20±5.07a 13.37±1.66ab 11.45±3.15b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제 2단계: 돈육의 육색 조사
육색은 측정부위를 공기중에 노출하여 30분 정도 방치시킨후 육색측정기(미놀타(주), CR-301)로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판은 Y=92.40, x=0.3136, y=0.3196의 백색타일을 사용하였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육색에 미치는 영향은 표 7에 나타냈다. 등심의 육색에 있어 명도는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죽초액 2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적색도는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서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황색도는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죽초액의 급여한 돈육 등심 육색의 변화
시험구항목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명도 50.0±0.66c 56.4±0.32a 52.5±0.71b
적색도 11.1±0.69a 7.3±0.94b 6.0±0.59b
황색도 1.9±0.17c 2.3±0.23a 1.4±0.19b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제 3단계: 돈육의 지방산 조성 분석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등심 부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폴칠(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 지질을 추출하였으며, 모리슨(Morrison과 스미스(Smith)(1964)의 방법에 준하여 메틸화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80℃에 보관하였으며 자동시료주입기가 장착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베리안 3400, 미국)를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기기의 조건은 표 8와 같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지방산의 분석 조건
항목 분석조건
분석기기명 베리안 스타 3400. 미국
컬럼 Supelcowax 10 - 길이 30m, 내경 0.53mm, 필름두께 1.0㎛
검출기 수소불꽃 이온화 검출기
운반기체 초고순도 질소(99.99%)
주입구 온도 210 ℃
컬럼온도 165 ℃에서 2분간 유지, 분당 3℃씩 승온 240 ℃
검출기 온도 240 ℃
주입량 1.0 ㎕
분배율 100:1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표 9에 나타냈다. 콜레스테롤의 전구믈질이며 포화지방산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팔미트산은 죽초을 급여함으로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맛과 향미에 영향을 주며 불포화지방산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올레산은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에서도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따라서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사의 비율에서도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지방산 조성
지방산 (%)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미리스트산(C14:0) 1.29±0.02 1.79±0.13 1.32±0.08
미리스톨레산(C14:1) - - -
팔미트산(C16:0) 22.14±0.43 21.80±0.38 20.19±0.96
팔미톨레산(C16:1) 3.76±0.34 3.69±0.05 3.37±0.21
스테아르산(C18:0) 9.82±0.81 10.78±0.39 8.98±0.28
올레산(C18:1) 43.06±0.95b 42.83±0.47b 45.00±0.82a
리놀레산(C18:2) 17.39±0.86b 16.57±0.20b 18.33±0.31a
리놀렌산(C18:3) 1.04±0.06 1.05±0.02 1.08±0.01
기타 1.49±0.11 1.48±0.05 1.72±0.01
포화지방산(SFA) 33.25±1.25a 34.37±0.76a 30.51±1.22b
불포화지방산(USFA) 65.25±1.32b 64.15±0.72b 67.78±1.23a
USFA/SFA(불포롸지방산/포화지방산) 1.97b 1.87b 2.23a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제 4단계: 돈육 등심의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5명중 1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맛과 냄새, 외관 등의 기호도를 9점 등급제(9=가장 좋다; 8=대단히 좋다; 7=보통으로 좋다; 6=약간 좋다; 5=좋지도 싫지도 않다 4=약간 싫다; 3=보통으로 싫다; 2=대단히 싫다; 1=가장 싫다)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관능검사 결과는 표 10에 나타냈다. 죽초액을 급여함으로 돼지 특유의 냄새를 개선하는 효과는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이는 없었지만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약간의 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외관에 있어서는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육색의 선호도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정한 온도로 가열 조리한 후 풍미에 있어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관능검사
시험구항목 대조구 2 중량% 죽초액 4중량% 죽초액
냄새 5.13±0.30 5.13±0.13 5.38±0.26
외관 4.75±0.16c 5.75±0.16b 6.63±0.32a
풍미 5.88±0.23b 6.63±0.38ab 7.13±0.40a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실험예 4 : 저장기간 동안 육질특성 분석
저장기간 동안 육질특성 분석하기 위하여 저장기간 중의 pH 변화, 산패도 변화, 육색의 변화, 호기성 미생물 수의 변화, 관능검사을 실시하였다.
제 1단계: 저장기간 중 pH의 변화 조사
등심을 지퍼백에 넣어 4±1.5℃에서 1, 3, 6, 9일 동안 저장하여 pH 및 육색, 산패도, 미생물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저장기간 중 pH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구의 pH는 점진적으로 증가한 반면에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는 저장 3일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장 1일에는 죽초액 2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3일부터는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저장기간 중 pH의 변화
시험구항목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1일 5.54±0.01b 5.76±0.01a 5.54±0.02b
3일 5.92±0.05a 5.60±0.02b 5.42±0.03c
6일 5.94±0.04a 5.61±0.02ab 5.49±0.01c
9일 6.15±0.07a 5.82±0.05b 5.52±0.02c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제 2단계: 저장기간중의 산패도의 변화 조사
산패도: 산패도는 TBA(thiobarbituric acid) test(Witte 등, 1970)로 측정하였으며, TBA 수치는 malonaldehyde mg/1,000g 시료의 값으로 표시하였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저장기간 중 산패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산패도의 변화는 저장 6일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장6일과 9일에는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저장기간 중 산패도의 변화
시험구항목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1일 0.30±0.013 0.31±0.004 0.30±0.012
3일 0.31±0.014 0.32±0.006 0.31±0.014
6일 0.36±0.004a 0.30±0.003b 0.30±0.005b
9일 0.38±0.021a 0.32±0.004b 0.32±0.004b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제 3단계: 저장기간 중 육색의 변화 조사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저장기간 중 육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저장기간 중의 명도는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적색도는 저장 1일에 죽초액 2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 9일에는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황색도는 죽초액의 급여함으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저장 6일과 9일에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저장기간 중 육색의 변화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명도(L) 1일 52.0±0.26b 55.8±0.49a 55.3±0.92a
3일 48.7±0.94b 57.0±0.84a 54.3±1.18a
6일 47.3±0.87b 53.6±1.16a 53.3±1.04a
9일 47.7±0.92b 54.9±0.93a 56.1±0.30a
적색도(a) 1일 4.8±0.26a 3.5±0.27b 4.7±0.26a
3일 6.0±0.68 4.7±0.46 5.6±0.40
6일 4.7±0.20 5.3±0.37 5.6±0.40
9일 3.8±0.24b 4.3±0.45ab 4.9±0.18a
황색도(b) 1일 4.5±0.35 4.8±0.37 4.38±0.36
3일 4.1±0.44 4.6±0.32 4.6±0.53
6일 2.8±0.33b 4.5±0.25a 4.8±0.34a
9일 4.2±0.39b 5.3±0.52ab 6.3±0.27a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제 4단계: 저장기간 중 호기성 미생물 수의 변화 조사
숙성중 총미생물 수는 연속희석시킨 시료를 표준평판수 배지에 접종하여 32℃에서 48시간 배양한후 Log10CFU(colony forming units)/1g 시료로 측정하였다(Kotula 등, 1980).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저장기간 중 호기성 미생물 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돈육 등심 표면의 호기성 미생물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써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저장기간 중 호기성 미생물 수의 변화
시험구항목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1일 4.58±0.04a 4.17±0.02b 4.22±0.13b
3일 4.73±0.07a 4.35±0.05b 4.29±0.09b
6일 5.18±0.03a 4.74±0.08b 4.56±0.03b
9일 7.17±0.09a 6.21±0.03b 6.16±0.05b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제 5단계: 저장기간 중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5명중 10명을 무작위로 추 출하여 맛과 냄새, 외관 등의 기호도를 9점 등급제(9=가장 좋다; 8=대단히 좋다; 7=보통으로 좋다; 6=약간 좋다; 5=좋지도 싫지도 않다 4=약간 싫다; 3=보통으로 싫다; 2=대단히 싫다; 1=가장 싫다)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저장기간 중 등심의 관능검사 결과는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저장기간 중 등심의 냄새는 죽초액 2 중량%와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돼지 특유의 이취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외관에 있어서도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저장 1일에 죽초액 4 중량% 급여수준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저장기간 중 관능검사의 변화
시험구항목 대조구 2% 죽초액 4% 죽초액
냄새
1일 5.00±0.16b 5.25±0.27ab 5.35±0.31a
3일 4.63±0.13b 4.80±0.18ab 4.88±0.23a
6일 3.25±0.31 3.63±0.42 3.50±0.33
9일 2.63±0.42 3.13±0.30 3.38±0.38
외관
1일 4.50±0.13b 4.38±0.18b 5.13±0.27a
3일 4.63±0.16 4.88±0.13 4.75±0.18
6일 3.50±0.19 3.50±0.18 3.75±0.31
9일 2.13±0.27 2.25±0.41 3.00±0.75
[주] 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 열내의 유의차 (p<0.05)
실험예 5: 이유자돈의 대장균증
죽초액 첨가 사료를 2주 동안 급여 한 후 병원성 대장균을 배양시킨 후 세균의 농도가 1x109CFU/ml이 되게 조절하여 이유자돈에 각각 경구투여 한 후 매일 임상증상을 관찰 하였다. 대장균성 설사증의 증상을 나타낸 이유자돈은 부검하여 소화장기의 병변 평가와 장간막 임파절에서의 대장균 분리를 통해 대장균증에 대한 예방효과를 평가하였다
죽초액을 이유자돈 사료에 대조구, 1, 2, 4 중량% 비율로 섞어 조성한 후 이유돼지를 각 군별로 5마리씩 편성한 후 급여하여 표 16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구에서는 전형적인 대장균증의 증상이 확인되었으며 죽초액을 2 중량%와 4 중량% 첨가한 군에서는 설사증상이 확인 되지 않았다. 또한 공격접종 7일 후 자돈의 장간막 임파절에서의 대장균 재분리와 장관의 병변을 평가한 결과 죽초액을 2 중량%, 4 중량%를 첨가한 군에서는 대장균이 재분리 되지 않았으며 병변도 관찰 되지 않았다.
죽초액사료급여후이유자돈의병변과장간막림파절에서의대장균재분리검사
시험구 대조구 1% 죽초액 2% 죽초액 4% 죽초액
장관의 병변지수 100%(5/5) 80%(4/5) 0%(5/5) 0%(5/5)
장간막림파절의E. coli.분리율 100%(5/5) 80%(4/5) 0%(5/5) 0%(5/5)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죽초액을 첨가한 사료를 돼지에 급여함으로써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이 증가하고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감소하므로 돼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지방함량과 콜레스테롤함량이 감소하고 맛과 향미에 영향을 주는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여 관능미가 뛰어나며, 죽초액을 급여한 돈육의 저장기간 중 호기성 미생물수가 일반 돈육에 비하여 낮고 이유자돈의 대장균증의 예방 효과가 있으므로 식육산업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죽초성분이 죽초액 전체의 10∼20 중량%를 차지하고 있는 죽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죽초액은 사료 전체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조성물.
  3. 죽초성분이 죽초액 전체의 10∼20 중량%를 차지하고 있는 죽초액을 사료 전체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4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되고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고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증가된 돈육의 생산방법.
KR10-2001-0009661A 2001-02-26 2001-02-26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 KR100380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661A KR100380144B1 (ko) 2001-02-26 2001-02-26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
CNB028004353A CN1235506C (zh) 2001-02-26 2002-02-26 通过用竹汁饲养猪获得高质量猪肉
PCT/KR2002/000317 WO2002067701A1 (en) 2001-02-26 2002-02-26 High quality meat by fed bamboo liquor in pi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661A KR100380144B1 (ko) 2001-02-26 2001-02-26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077A KR20010110077A (ko) 2001-12-12
KR100380144B1 true KR100380144B1 (ko) 2003-04-11

Family

ID=1970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661A KR100380144B1 (ko) 2001-02-26 2001-02-26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80144B1 (ko)
CN (1) CN1235506C (ko)
WO (1) WO20020677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817A (ko) * 2002-03-06 2003-09-19 채민지 죽염, 죽초액, 대나무 숯가루, 유황의 급여에 의한고품질의 한우고기및 돼지고기 생산을 위한사료제조방법및 사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519B1 (ko) * 2004-11-20 2006-04-26 유영옥 대나무액죽초액 배양 미생물제,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사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4049A (en) * 1980-10-24 1982-05-10 Wataru Sakai Hearthful feed containing bamboo extract
JPS60153763A (ja) * 1984-01-25 1985-08-13 Shuzo Nakazono タケノコの皮から飼料を製造する方法
JPS6225939A (ja) * 1985-07-29 1987-02-03 Syst Nogyo Center:Kk 家畜健康飼料の製造方法
JPH05308845A (ja) * 1992-03-31 1993-11-22 Sogo Boukin Kenkyusho:Kk 笹の葉および稈から、茸用培地等に利用される 有効物質を製造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817A (ko) * 2002-03-06 2003-09-19 채민지 죽염, 죽초액, 대나무 숯가루, 유황의 급여에 의한고품질의 한우고기및 돼지고기 생산을 위한사료제조방법및 사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5506C (zh) 2006-01-11
CN1457235A (zh) 2003-11-19
KR20010110077A (ko) 2001-12-12
WO2002067701A1 (en) 200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immino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olyphenols on meat quality in Saanen goat kids
Su et al. Dietary alfalfa powder supplementation improves growth and development, body health, and meat quality of Tibetan sheep
Castro et al. Animal performance and meat characteristics in steers reared in intensive conditions fed with different vegetable oils
Kasapidou et al. Effect of grape pomace supplementation on broiler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El Otmani et al.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male goat kids supplemented by alternative feed resources: Olive cake and cactus cladodes
Rotondi et al.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oregano and linseed in Garganica suckling kids: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s and meat quality
Dokou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hytobiotic encapsulated plant extracts on broilers’ performance parameters, welfare traits and meat characteristics
Muramoto et al. Effect of pasture finishing on beef quality of Japanese shorthorn steers
Ragni et al. Effect of dietary safflower cake (Carthamus tinctorius L.) on growth performances, carcass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traits in Garganica breed kids.
Hou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 of mulberry leaf (Morus alba)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rabbits
KR100380144B1 (ko)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돈육
Solhjoo et al. The effect of rumen protected L-carnitine on feedlot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metabolites in Iranian fat-tailed Ghezel lambs.
Duskaev et al. Assessment of lipid metabolism in broilers against plant extract and probiotic substance or their combined use
Tag El-Din et al. Effect of using grape seeds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nutrients utilization for broiler chicks during fattening period
KR100525681B1 (ko) 육계증체를 저해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 억제용 옻나무 추출액 조성물, 상기 옻나무 추출액 조성물을 함유한 사료 및 육계급여방법
US20220095649A1 (en) Use of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laughtering and/or meat quality parameters
KR100436389B1 (ko) 죽초액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오리육 및 그의 생산방법
KR100812897B1 (ko) 왕초액 첨가사료, 이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오리고기 및그의 생산방법
KR100436388B1 (ko) 죽초액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닭고기 및 그 생산방법
KR100835532B1 (ko) 왕초액 첨가사료, 이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돼지고기 및그 생산방법
KR100812896B1 (ko) 왕초액 첨가사료, 이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닭고기 및그의 생산방법
Sultana et al. Study of meat quality of goats fed rice straw supplemented with moringa (Moringa oleifera Lam.) foliage
Khatun et al. Effects of feeding phyt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breast meat quality, blood biochemical indices, and liver enzymes of broiler chickens.
Arjomandi et al. The use of sweet almond meal as a protein source in Japanese quails diets.
Ivanović et al. Changes in the quality of goat meat in the production of smoked h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