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243B1 - 선형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선형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243B1
KR100379243B1 KR10-2000-0020834A KR20000020834A KR100379243B1 KR 100379243 B1 KR100379243 B1 KR 100379243B1 KR 20000020834 A KR20000020834 A KR 20000020834A KR 100379243 B1 KR100379243 B1 KR 10037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optical waveguide
waveguide memb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762A (ko
Inventor
가와시마신고
Original Assignee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8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non-coherent light sources and/or radiation detectors, e.g. lamps, incandescent bulbs, scintillation cha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선형조명장치는 선형적으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가늘고 긴 직각 평행육면체로 된 광학적 도파부재를 포함하고 광학적 도파부재의 광입사면상에 설치된 적색광원으로서의 적색광 방출 LED 및 청색광원으로서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유기EL소자를 사용하는 기본 구성을 갖는다. LED 또는 유기EL소자는 녹색광원으로서 사용된다. 유기EL소자 또는 소자들은 LED로부터 방출되어 광학적 도파부재로 안내된 광을 뒤에서 반사하도록 배열된다. 유기EL소자의 후방전극의 면적은 후방전극이 광학적 도파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덮도록 결정된다.

Description

선형조명장치{Linear 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선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형 칼라영상센서의 광원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선형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56577호는 칼라영상센서를 위한 기존의 긴 길이를 갖는 선형조명장치의 구조를 개시하며 이 장치의 구조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보여진다. 도 1에 있어서, 원본(9)의 영상에 상응하는 색신호를 얻기 위해, 원본의 각 동일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발광타이밍으로 스위치회로(60)에 의해 R, G 및 B 발광다이오드들(LED들)을 스위칭하는 동안, 이러한 LED들로부터의 R, G 및 B 광으로 조사된다.
즉, R, G 및 B 색광에 대응하는 LED들(21, 22 및 23)은 각각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단면상에 배치되고, R, G 및 B 색광을 포함하는 조명광(45)들을 광학적 도파부재(11)를 통해 안내하여 이 광들이 적절하게 산란시키면서 아래쪽으로 방출한다. 광학적 도파부재(11) 아래에 배치된 원본(9)은 조명광(45)으로 조사되고 원본(9)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47)은 미도시된 광학계 등을 통해 센서 배열로 이루어진 영상센서(50)에 입사된다. 영상센서(50)는 도 2 하부에 도시된 광전 변환타이밍에 맞춰 각 색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원본의 모든 주사선에 대한 전기적 색정보가 얻어진다.
그러나, 세 개의 LED들이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단면(끝단)에 배치되는 개시된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다른 파장들을 갖는 광으로 원본를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는 광학계를 설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광의 이용효율이 저하된다.
더욱이, 현재 청색광 방출형 LED의 신뢰성이 충분하지 않고 그 공급량도 충분하지 않아 청색 LED의 가격이 매우 비싸다. 결과적으로, 선형조명장치 자체의 가격이 비싸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형광원의 길이방향으로 조명광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저렴한 선형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점광원으로서 삼원색 LED들을 갖는 기존의 선형조명장치를 채용한 칼라영상센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ED들로부터의 삼원색들의 발광 타이밍 및 수광부에서의 광전변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접촉형센서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조명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접촉형센서를 위한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접촉형센서용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접촉형센서용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선형 조명장치와 일체화된 접촉형영상센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금속후방전극 9 : 원본
11, 81 : 광학적 도파부재 21 : 적색광 방출 LED
22 : 녹색광 방출 LED 32, 33 : 유기EL소자
42, 43, 44 : 화살표 60 : 스위치회로
70 : 투명기판 71 : TFT영상센서
80 : 광부재 306 : 개구
320 : 유기박막광방출층 321, 331 : 투명양전극
322, 332 : 유기박막 323, 333 : 유기박층
330 : 청색광방출층
본 발명에 따른, 선형조명장치는 광 입사면상에 입사되는 삼원색광들을 안내하고 직사각형 선형광방출면으로부터 이 광들을 방출하는 광학적 도파부재, 광학적 도파부재의 광 입사면을 통해 광을 광학적 도파부재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광학적 도파부재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 함) 등을 포함하는 점광원, 및 점광원으로부터 광학적 도파부재의 내부에서 광방출면 쪽으로 ㅂ로 방출된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발광면과 다른 면인 광학적 도파부재의 표면부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전계발광(이하 EL 이라함)소자와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면광원을 포함한다.
EL소자의 후측면전극, 즉, 음전극은 투명전극, 즉, 양전극과 반대이며, 알루미늄과 같은 광반사층으로 구성된다. LED는 적색광원으로 채용되고 EL소자는 청색광원으로 채용된다. 녹색광원으로서는 LED 또는 EL소자가 채용된다.
적색광을 위해 하나의 LED가 그리고 청색광과 녹색광을 위해 두개 EL소자가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선형조명장치는 광학적 도파부재의 한 단면상에 적색 LED를 그리고 광학적 도파부재의 상부면상에 두개의 EL소자를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선택적으로, 광학적 도파부재의 상부면상에 복수개의 적색 LED들을 그리고 광학적 도파부재의 각 반대측면상에 두개의 EL소자를 제공하여 선형조명장치를 얻을 수 있다. 청색광을 위해 단일 EL소자가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선형조명장치는 광학적 도파부재의 단면상에 적색 LED 및 녹색 LED를 그리고 광학적 도파부재의 상부면상에 청색 EL소자를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선택적으로, 광학적 도파부재의 상부면상에 제공된 청색 EL소자에 복수개의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에 적색 LED 및 녹색 LED를 교번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선형조명장치를 얻을 수 있다. EL소자는 광학적 도파부재의 측면상에 양전극으로서의 투명전방전극,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광반사기능을 갖는 음전극으로서의 금속후방전극 그리고 투명전방전극과 금속후방전극간에 설치된 유기박막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박막EL소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선형조명장치는 점광원 및 표면방출광원(면발광광원)이 삼원색광들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EL소자의 금속후방전극은 광학적 도파부재의 상부면 및 측면을 도포하도록 형성되어 광을 광학적 도파부재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고 이 광이 광방출면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조명장치는 청색광을 발광하기 위해 EL소자 뿐만아니라 LED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색광원으로서 LED가 사용되면 선형조명장치의 비용감소가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LED 또는 LED들 및 EL소자 또는 EL소자들을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렴한 선형조명장치의 구성이 가능한다. 더욱이, EL소자가 면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매우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평면을 조사할 수 있다.
더욱이, 점광원인 적색 LED의 광방출면적이 단일점으로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선형광으로 광을 균일하게 발산하기 위한 광학적 도파부재의 설계는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균일하게 발산시키기 위한 기존의 설계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용이하고 조사의 균일성이 기존의 경우와 비교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청색광 및 녹색광은 EL소자에 의해 방출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직각 평행육면체의 광학적 도파부재에 의해 청색광량 및 녹색광량의 비균등이 발생되지 않고 조사될 원본에 대해 균일한 조사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사광량이 균일하게 되어, 선형조명장치에 의해 조사된 원본에 반사된 반사광을 영상센서를 이용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얻어진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을 참조하면, 직각 평행육면체 형태인 광학적 도파부재(11)는 투명유리같은 투명물질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화살표(45)방향으로 삼원색광들을 방출하기 위한 하부 광방출면(114)을 갖는다. 적색광 방출LED(21)는 광방출면(114)의 단변에 인접한 광학적 도파부재(11)의 한 단면(111)상에 마련된다. 녹색광 방출을 위한 직사각형 녹색 EL소자(32) 및 청색광 방출을 위한 직사각형 청색 EL소자(33)는 직사각형 표면방출광원들로서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상에서 상부면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다. LED(21)는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단면(111)안에 끼워질 것이다.
녹색 EL소자(32)는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주석도핑된 산화인듐(이하 ITO라 함)과 같은 투명양전극(321), 투명양전극(321)상에 형성된 녹색광방출층(320) 및 음전극으로서 녹색광방출층(320)상에 형성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후방전극(3)으로 구성된다. 금속후방전극(3)은 또한 광 반사막으로서의 기능도 한다. 유사하게, 청색 EL소자(33)는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ITO와 같은 투명양극전극(331), 투명양극전극(331)상에 형성된 청색광방출층(330) 및 청색광방출층(330)상에 형성되며 또한 광반사막으로서도 기능을 하는 금속후방전극(3)으로 구성된다.
투명전극들(321 및 331)은 각각의 광방출층에 대해 동일평면상에 구성된다.
보여진 실시예에 있어서, 광반사막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는 금속후방전극(3)은 녹색 및 청색 EL소자들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된다. 광반사전극(3)은 발광층 및 투명전극들보다 평면상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내부에 입사된 광이 반사되어 광방출면(114)로부터 삼원색광들이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 및 광방출면(114)의 장축면으로 연장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구성된 접촉형센서용 선형조명장치에 있어서, LED(21) 및 EL소자(32, 33)에 인가되는 전압은 도 2에 도시된 발광타이밍에 따라 스위치회로(60)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삼원색(R, G, B)광들을 순차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광원전환형 칼라영상센서가 실현된다.
무기EL소자 또는 유기EL소자는 EL소자(32, 33)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낮은 DC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는 유기 EL소자가 구동회로설계의 간소화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현재 다양한 유기EL소자의 구성이 있지만, 본 발명은 유기EL소자들의 어느 특정 구성에 제한받지 않는다. 이후에 설명에서, 본 발명은 유기EL소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각각이 삼층구조를 포함하는 발광층을 갖는, 알려진 유기박막EL소자들이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선형조명장치에 채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녹색광을 방출하는 유기EL소자(32)는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상에 투명전방전극(321)을 형성하며, 투명전방전극(321)상에 홀운송유기박막(322)을 형성하며, 홀운송유기박막(322)상에 녹색광방출유기박층(320)을 형성하며, 녹색광방출유기박층(320)상에 전자운송유기박막(323)을 형성하고, 청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유기EL소자(33)에 의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반사막으로서 기능을 하는 금속후방전극(3)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유사하게, 청색광을 방출하는 유기EL소자(33)는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상에 투명 전극(331)을 형성하며, 투명전극(331)상에 홀운송유기박막(332)을 형성하며, 홀운송유기박막(332)상에 청색광방출유기박층(330)을 형성하고, 청색광방출유기박층(330)상에 전자운송유기박막(333)을 형성하고, 유기EL소자(33)의 금속후방전극(3)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유기EL소자(32, 33)에 공통되는 금속후방전극(3)은 투명전극(321, 33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도 4에서, 유기EL소자들(32, 33)간에 그리고 유기EL소자들의 측면들 및 금속후방전극(3)간에 각각 공간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들은 적절한 절연물질로 채워질 것이다.
도 4에 보인 구성에서, 알루미늄으로 된 반사전극(3)은 접지전위가 인가된 음전극으로서 사용된다. 양극전압이 유기EL소자들(32, 33)의 투명양전극들(321, 331) 및 적색LED(21)에 도 2에 보여진 각각의 발광타이밍에 맞춰 인가될 때, 유기박막발광층들(320 및 330) 및 적색LED(21)는 각각 녹색, 청색 및 적색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한다.
유기EL소자들(32, 33)이 도 3 및 도 4에 보여진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촉형 칼라영상센서를 위한 선형조명장치에서, LED(21)로부터 방출된 적색광은 유기EL소자들의 후면상에 제공된 음극인 알루미늄 금속후방전극(3)에 의해 반사된다. 즉, 유기EL소자들은 LED(21)가 적색광을 방출할 때 반사판으로서 기능을 한다. 더욱이, 각 유기EL소자들은 면방출광원이기 때문에, 매우 균일한 휘도로 원본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광을 선형으로 확산하기 위한 직각 평행육면체로 된 광학적 도파부재(11)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광학적 도파부재(11)상에 제공된 적색LED(21) 및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상에 제공된 유기EL소자들(32, 33)은 서로 평행하고 각각 녹색 및 청색광을 방출하며, 그리고 유기EL소자들은 광학적 도파부재(11)내 LED(21)로부터의 적색광이 이 유기EL소자들에 의해 뒤에서 반사되도록 배열되어, 선형조명장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기EL소자들로부터의 광들로 원본을 매우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으며, 그리고 종래와 비교하여 광학적 도파부재(11)를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어, 취해진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촉형 칼라영상센서용 선형조명장치를 나타낸다. 도 5에 보여진 선형조명장치는 적색 및 녹색광 방출기로서 두 개의 LED 그리고 청색광 방출기로서 하나의 유기EL소자를 채용한다. 도 5에서, 적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LED(21) 및 녹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LED(22)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서,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단면들중의 하나에 병치된다. 청색광을 발광할 수 있는 유기EL소자(33)는 실질적으로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전체 상부면상에 형성된다. 출사광은 화살표(45)에 의해 보여진 방향으로 광학적 도파부재(11)의 하부면으로부터 방출된다.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유기EL소자(33)는 도 4에 보여진 유기EL소자(33)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 2실시예의 유기EL소자(33)는 투명전극(331), 유기박막광방출층(330) 및 음극으로서의 금속후방전극(3)을 포함한다. 부연하면, 이러한 LED들 및 유기EL소자용 광원변환 및 구동장치는 도 3에 보여진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나타내지 않는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접촉형 칼라영상센서용 조명장치에서, 현재 구동되는 LED들중 어느 하나로부터 방출된 광은 유기EL소자(33)의 후면상에 설치된 음극인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후방전극(3)에 의해서도 반사된다. 즉, LED들중 어느 하나가 광을 방출할 때 유기EL소자(33)는 반사면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더욱이, 유기EL소자(33)는 표면광방출소자이기 때문에, 매우 균일한 휘도로 원본를 조사할 수 있다. 삼원색광들 중 녹색광은 LED 대신 유기EL소자에 의해 얻어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직각 평행육면체로 된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단면상에 배치된 녹색광 방출을 위한 LED(2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선형조명장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기EL소자(33)로부터의 광으로 원본를 매우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기존의 설계에 비해 광학적 도파부재의 설계를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취해진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유기EL소자(33)의 알루미늄 금속후방음전극(23)은 반사면으로서의 기능을 하여,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접촉형 칼라영상센서를 위한 선형조명장치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선형조명장치는 직각 평행육면체인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상에 제공된 청색광 방출을 위한 유기EL소자(33)를 포함한다. 유기EL소자(33)는 도 5에 보여진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복수개의 개구들(306)이 음전극(3)의 후측부분에 형성되어, 이를 통해 광학적 도파부재(11)가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복수개의 적색광 방출 LED들(21) 및 복수개의 녹색광 방출 LED들(22)이 개구들(306)에 교번적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6개의 개구들(306)은 광학적 도파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등거리로 제공되고 3개의 적색LED들 및 3개의 녹색LED들은 개구들(306)에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LED들과 EL소자를 위한 광원변환 및 구동장치는 도 3에 보여진 것과 유사하므로 나타내지 않는다.
도 5에 보여진 상술한 실시예의 선형조명장치와 유사하게, 도 6에 보여진 조명장치는 적색광과 녹색광을 각각 방출하는 LED들(21, 22) 및 청색광을 방출하는 유기EL소자(33)로부터 방출된 삼원색인(R, G 및 B)광들을 광학적 도파부재(11)를 통하여 하부면으로 안내하고 EL소자(33) 및 광학적 도파부재(11)로부터의 R, G 및 B 색광을 화살표(45)방향으로 방출한다. 적색광과 녹색광을 각각 방출하는 LED들(21, 22) 및 청색광을 발광하는 유기EL소자(33)로부터의 광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와 같이, 조명장치의 광방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것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접촉형 칼라영상센서용 선형조명장치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에서, 녹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유기EL소자(32) 및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유기EL소자(33)는 직각 평행육면체 형태를 갖는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대향면상에 각각 배치된다. 적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의 LED들(21)은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상에 등거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6개의 개구들(307)은 광학적 도파부재(11)의 상부면과 접하며 유기EL소자(32, 33)에 대해 공통된 음전극(3) 부분에, 광학적 도파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거리로 형성되고, LED들(21)이 개구들(307)에 각각 고정된다. 유기EL소자(32, 33) 및 LED들(21)로부터 방출된 삼원색광들은 광학적 도파부재(11)에 의해 안내되고 도시된 화살표(45)방향으로 광학적 도파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방출된다. 유기EL소자들(32, 33)은 이미 언급된 EL소자들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녹색광 방출을 위한 유기EL소자(32)는 광학적 도파부재(11)의 한 측면상에 직사각형 투명양전극(321)을 형성하고 그 위에 유기박막광방출층(320)을 형성하여 형성된다. 유사하게, 청색광 방출을 위한 유기EL소자(33)는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다른 측면상에 투명양전극(331)을 형성하고 그 위에 유기박막광방출층(330)을 형성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유기EL소자(32, 33)에 대해 공통되고 반사막으로서의 기능도 하는 알루미늄인 음전극(3)이 광방출층(320, 330)상에 형성된다.
제 4실시예에 따른 접촉형 칼라영상센서를 위한 선형조명장치에서, LED들(21) 및 쌍으로된 유기EL소자(32, 33)으로부터 방출된 삼원색광들은 광학적 도파부재(11)에 의해 안내되고 광학적 도파부재(11)의 하부면으로부터 도시된 화살표(45)방향으로 방출되어 원본를 균일하게 조사한다. 적색광을 방출하는 LED들(21)과 청색 및 녹색광들을 각각 방출하는 유기EL소자들(32, 33)이 사용되고, 이러한 유기EL소자들이 내부적으로 실제 전체적으로 광을 반사하는 반사막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대향되게 배치됨으로써, 광방출효율의 향상과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LED들(21)로부터의 적색광들은 유기EL소자(32, 33)에 의해 또한 전체적으로 내부적으로 반사되고 도시된 화살표(45)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LED들 및 EL소자용 광원변환 및 구동장치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므로 도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같이, 필요한 양의 광을 얻기 위해 직각 평행육면체로 된 광학적 도파부재(11)의 반대측면상에 배치된 유기EL소자들(32, 33)인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선형조명장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기EL소자(33)로부터의 광으로 매우 균일하게 원본를 조사할 수 있고, 그리고 종래의 디자인과 비교하여 광학적 도파부재의 설계를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제 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취해진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유기EL소자(32, 33)에 대해 공통된 알루미늄 음전극(3)은 이러한 EL소자들이 구동되지 않을 때 반사면의 기능을 갖으며, 제 1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실시예가 주로 광학적 도파부재(11) 및 광원물질로 설명되었지만, 선형조명장치는 영상스캐너에서 정보를 읽거나 팩시밀시장치에서 영상을 읽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선형조명장치는 라인영상센서와 조합되어 높은 휘도조건하에서 높은 분석으로 원본를 읽을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선형조명장치가 접촉형영상센서와 일체화된 집적접촉형영상센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광학적 도파부재(11)의 하부면으로부터 방출된 출사광은 박막트랜지스터(이하 TFT라 함)영상센서(71) 및 유리섬유와 같은 광학적 부재(80)의 광학적 도파부재(81)를 갖는 투명기판(70)을 통해 광학적 부재(80) 아래에 있는 원본(9)를 조사한다. 원본(9)로부터의 반사광이 TFT영상센서(71)에 의해 광학적 도파부재(81)를 통해 입사되어 원본의 영상을 읽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접촉형영상센서와 일체화가 용이해져, 콤팩트하고 정밀한 칼라영상센서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조명장치와 라인영상센서간의 구성관계는 도 8에 보여진 일체화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더욱이, 촛점렌즈에 의해 원본로부터 반사된 광을 모을 수 있고 라인센서와 같은 광다이오드로 그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청색광을 얻기 위해 유기EL소자가 사용된 본 발명의 선형조명장치에 따르면, 매우 비싼 청색LED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선형조명장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청색광을 방출하는 유기EL소자가 상대적으로 이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광원으로서 LED 또는 LED들 그리고 유기EL소자 또는 소자들을 조합하여 저렴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더욱이, 유기EL소자가 표면광방출원이기 때문에, 유기EL소자 또는 소자들로부터 매우 균일한 광으로 대상을 조사할 수 있다. 적색LED가 점광원이긴 하지만, 광방출영역을 점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형광에 광을 균일하게 확산하기 위한 광학적 도파부재의 설계가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하기 위한 기존의 설계에 비해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될 수 있고 휘도의 균일성이 기존의 경우와 비교하여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청색광 및 녹색광은 표면방출광원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선형 광학적 도파부재에 의한 광량의 비균질이 발생하지 않고 조사된 원본에 대한 균일한 휘도가 얻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사광량이일정해지고 영상센서로 선형조명장치에 의해 조사된 원본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변환함으로써 취해진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박막EL소자 또는 소자들이 채용될 때, 박막형성기술의 도움으로 전체 선형조명장치를 매우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유기EL소자들을 사용해 삼원색광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불행히 현재 효율적인 적색을 위한 유기EL물질이 발견되지 못했고 현재 이용가능한 유기EL물질에 의해 얻어진 유기색광의 순도도 낮다. 그러므로, 선형조명장치의 전체효율 및 유기EL소자가 적색광을 위해 사용될 때 취해지는 영상의 질은 적색광을 위한 LED를 채용하는 선형조명장치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저하되는 것이 명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선형조명장치는 취해지는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고 선형조명장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을 갖는것이 명백하다.

Claims (17)

  1. 광학적 도파부재의 광입사면상에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광학적 도파부재의 가늘고 긴 광방출면으로부터 광을 방출하기 위한 광학적 도파부재;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상에 제공된 점광원; 및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상기 점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내부에서 광방출면 쪽으로 반사하기 위해 상기 광방출면 이외의 광학적 도파부재의 면부분에 마련된 면발광광원을 포함하는 선형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는 직각 평행육면체구성을 가지며, 상기 점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면발광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선형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광방출면과 대향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의 일측부분이 광반사층을 포함하는 선형조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적색광원을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청색광원과 녹색광원으로서 한 쌍의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제공되는 선형조명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상기 광방출면의 단변에 인접하는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일 단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광방출면에 대향되는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일면상에 한 쌍의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제공되는 선형조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적색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녹색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면발광광원은 청색광을 방출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선형조명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상기 광방출면에 대향되는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일면상에 제공되고 한 쌍의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은 상기 광방출면의 장변에 인접하는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측면들상에 각각 제공되는 선형조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적색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계발광소자는 청색광 발광원 및 녹색광 발광원으로서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반대측면들상에 각각 설치되는 선형조명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 및 상기 면발광광원은 상기 광방출면에 대향되는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일면상에 제공되는 선형조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적색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 및 녹색광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색발광다이오드들 및 상기 녹색발광다이오드들은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선형조명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광원은 복수개의 개구들로 형성되며 상기 점광원은 상기 개구들에 각각 제공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선형조명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는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일측상의 투명전극, 그것의 반대측상의 금속전극 및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금속전극간의 유기박막광방출층을 구비하는 유기박막전계발광소자인 선형조명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 및 상기 면발광광원은 삼원색광들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며, 적색광은 상기 점광원에 의해 방출되고, 청색광은 상기 면발광광원에 의해 방출되며 그리고 녹색광은 상기 점광원 및 상기 면발광광원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방출되는 선형조명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적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면발광광원은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녹색광을 방출하는 벨트형태의 전계발광소자 및 상기 광학적 도파소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청색광을 방출하는 벨트형태의 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계발광소자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계발광소자의 후방전극들은 상기 광방출면에 대향된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표면상 및 상기 광방출면의 장변에 인접한 측면상에 공통전극으로 광반사물질로 형성되는 선형조명장치.
  15. 제 6항에 있어서, 면발광광원의 후방전극은 상기 광방출면에 대향된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표면상에 그리고 상기 광방출면의 장변에 인접한 측면들상에 광반사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점광원을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구들로 형성되는 선형조명장치.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광원 및 상기 청색광원의 후방전극은 상기 광방출면에 대향되는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표면상에 그리고 상기 광방출면의 장변에 인접한 측면들상에 광반사물질로 형성되는 선형조명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광광원의 후방전극은 상기 광방출면에 대향되는 상기 광학적 도파부재의 표면상에 그리고 상기 광방출면의 장변에 인접하는 측면들상에 광반사물질로 형성되는 선형조명장치.
KR10-2000-0020834A 1999-04-19 2000-04-19 선형조명장치 KR100379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98099 1999-04-19
JP11-110980 1999-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762A KR20010020762A (ko) 2001-03-15
KR100379243B1 true KR100379243B1 (ko) 2003-04-08

Family

ID=1454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834A KR100379243B1 (ko) 1999-04-19 2000-04-19 선형조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57904B1 (ko)
KR (1) KR100379243B1 (ko)
TW (1) TW4986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25A (ko) * 2002-02-07 2003-08-14 주식회사 반디부리 Led와 광확산시트를 이용한 면발광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823B2 (ja) * 1999-05-11 2003-10-2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面発光装置
JP2005524989A (ja) 2002-05-08 2005-08-18 フォーセ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ク 高効率固体光源及びその使用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US6851816B2 (en) * 2002-05-09 2005-02-08 Pixon Technologies Corp. Linear light source device for image reading
US6786626B2 (en) * 2002-05-09 2004-09-07 Pixon Technologies Corp. Linear light source device for image reading
US6851832B2 (en) 2002-05-21 2005-02-08 Dwayne A. Tieszen Led tube light housings
JP3923867B2 (ja) * 2002-07-26 2007-06-06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面状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7038720B2 (en) * 2002-10-16 2006-05-02 Exar Corporation Pixel-by-pixel digital control of gain and offset correction for video imaging
US7441913B2 (en) * 2002-12-23 2008-10-28 Lisa Dräxlmaier GmbH Lighting system for displays in vehicles
DE10260831B3 (de) * 2002-12-23 2004-04-15 Lisa Dräxlmaier GmbH Beleuchtungssystem für Anzeigen in Fahrzeugen
US6869812B1 (en) * 2003-05-13 2005-03-22 Heng Liu High power AllnGaN based multi-chip light emitting diode
US7018086B2 (en) * 2003-06-13 2006-03-28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TW200501734A (en) * 2003-06-24 2005-01-01 Creative Sensor Inc Light module structure of scanner
TWI312583B (en) 2004-03-18 2009-07-21 Phoseon Technology Inc Micro-reflectors on a substrate for high-density led array
US20060255349A1 (en) * 2004-05-11 2006-11-16 Heng Liu High power AllnGaN based multi-chip light emitting diode
US7857482B2 (en) * 2004-12-30 2010-12-2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near lighting apparatus with increased light-transmission efficiency
US20060146531A1 (en) * 2004-12-30 2006-07-06 Ann Reo Linear lighting apparatus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US7159997B2 (en) * 2004-12-30 2007-01-09 Lo Lighting Linear lighting apparatus with increased light-transmission efficiency
JP4800324B2 (ja) * 2004-12-30 2011-10-26 フォーセ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ク 露光装置
FR2895084B1 (fr) * 2005-12-16 2008-02-08 Vai Clecim Soc Par Actions Sim Rampe et procede d'eclairage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de puissance pour un systeme de detection automatique de defauts
JP2007223720A (ja) * 2006-02-23 2007-09-06 Nippon Otis Elevator Co エスカレータの表示装置
KR101407301B1 (ko) * 2007-12-03 2014-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장치
DE102008019926B4 (de) * 2008-04-21 2011-07-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686 Beleucht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flächigen Lichtausgabe
US20100128483A1 (en) * 2008-11-25 2010-05-2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ed luminaire
US8827480B2 (en) * 2009-09-16 2014-09-09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308320B2 (en) 2009-11-12 2012-11-1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with male/female features for end-to-end coupling
US9752932B2 (en) 2010-03-10 2017-09-05 Drexel University Tunable electro-optic filter stack
US8616720B2 (en) 2010-04-27 2013-12-3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nkable linear light emitting diode system
WO2011139768A2 (en) 2010-04-28 2011-11-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near led light module
US9576694B2 (en) 2010-09-17 2017-02-21 Drexel University Applications for alliform carbon
US10197254B2 (en) 2017-02-09 2019-02-05 Walthill Opportunities, L.L.C. Strut light system with integrated light sour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6577A (ja) * 1996-06-06 1998-02-24 Canon Inc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読取システム及び光源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KR0161468B1 (ko) * 1995-11-29 1999-03-20 김광호 밀착형 이미지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6406A (en) * 1993-02-01 1995-03-07 Display Technology Industries Thin high efficiency illumination system for display devices
US5709453A (en) * 1994-08-16 1998-01-20 Krent; Edward D. Vehicle lighting having remote light source
US5810463A (en) * 1994-11-28 1998-09-22 Nikon Corporation Illumination device
US6139174A (en) * 1998-08-25 2000-10-31 Hewlett-Packard Company Light source assembly for scanning devices utilizing light emitting dio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468B1 (ko) * 1995-11-29 1999-03-20 김광호 밀착형 이미지 센서
JPH1056577A (ja) * 1996-06-06 1998-02-24 Canon Inc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読取システム及び光源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25A (ko) * 2002-02-07 2003-08-14 주식회사 반디부리 Led와 광확산시트를 이용한 면발광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762A (ko) 2001-03-15
US6357904B1 (en) 2002-03-19
TW498676B (en) 200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243B1 (ko) 선형조명장치
KR10089066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788382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JP4049267B2 (ja) コンパクトな照明システムと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US8240902B2 (en) LED linear light source and devices using such source
JP2001135479A (ja) 発光素子、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40077A (ko)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US20090034296A1 (en) Light Emitting Unit, Illumination Device Using Such Light Emitting Unit, and Image Scanner
JPH06225081A (ja) 原稿読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JP2004342472A (ja) 面状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5713902B2 (ja) Ledプロジェクタ
JPH1039300A (ja) カラー表示装置
US7609421B2 (en) Scanning apparatus
JP4091712B2 (ja) 画像読取装置
RU25092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щ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JP3575394B2 (ja) 線状照明装置
JP4629426B2 (ja) 導光体および平面照明装置
US20120069266A1 (en) Light emitting assemblies having optical conductors with a tapered cross sectional shape
JP2905390B2 (ja) 発光表示装置
JPH05328025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4040027B2 (ja) 背面光源装置
JP2007115716A (ja) 面状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11146142A (ja) 線状光源ユニット
JP2004227929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997124B2 (ja) 画像読取装置の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