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144B1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144B1
KR100378144B1 KR10-2000-0037093A KR20000037093A KR100378144B1 KR 100378144 B1 KR100378144 B1 KR 100378144B1 KR 20000037093 A KR20000037093 A KR 20000037093A KR 100378144 B1 KR100378144 B1 KR 10037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partition plate
bin
inpu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789A (ko
Inventor
안광재
Original Assignee
안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재 filed Critical 안광재
Priority to KR10-2000-003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1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0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은, 상부가 열린 하나의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으로 분할하는 한개 이상의 분할판; 그리고 상기 분할판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투입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판은 평면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판과 수집통의 상부에는 쓰레기 수집용 봉투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돌기가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가장 효율적인 분리수거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쓰레기통{Wastebin}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장 간단한 구조로 분리수거가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쓰레기통은 하나의 수집공간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쓰레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하나의 수집공간에 전부 혼합되는 상태로 쓰레기를 버릴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재활용이 가능한 캔종류, 병종류 또는 재활용 가능한 종이 등은 별도로 수집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 사실이나, 이러한 것을 재활용이 불가능한 쓰레기와 혼합한 경우에는 재활용 자체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에는 분리수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쓰레기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통은, 하나의 외부케이싱(1)의 내부에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내부케이싱(2)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내부케이싱(2)은 분리수거되는 각각의 쓰레기를 별도로 수집하기 위한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1)의 상측에는 커버(3)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커버에는 상기 내부케이싱(2)으로 쓰레기를 별도로 투입할 수 있는 한쌍의 투입부(4)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지적된다.먼저, 전체적인 쓰레기통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 즉, 외부케이싱(1)과 복수개의 내부케이싱(2)이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쓰레기통을 구성하는 부품이 증가하게 되어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내부케이싱(2)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기통 내부의 청소과정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즉, 외부케이싱(1)의 내부에 들어있는 복수개의 내부케이싱(2)을 들어내야 함은 물론이고, 복수개의 내부케이싱(2) 자체를 청소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청소를 포함하는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청소 및 관리가 번거롭다는 것은 청결하게 유지하기 어렵다는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내부케이싱(2)이 외부케이싱(1)의 형상에 따라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에, 변형에 대하여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즉, 복수개의 내부케이싱(2)이 전체적으로 합쳐지면, 하나의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꼭맞는 형상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디자인의 측면에서 많은 제한이 뒤따르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수거가 용이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의 청소가 매우 간편하여, 관리 및 유지가 편리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거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의 투입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의 부분 투시도.
도 5a는 도 5의 쓰레기통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의 부분 투시도.
도 6a는 도 6의 쓰레기통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7a는 도 7의 쓰테기통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210 ..... 수집통 12,14,112,114 ..... 결합돌기
20,22,24,122,124 ..... 분할판 30,130 ..... 커버
31,32,33,34,131,131',132,132' ..... 투입커버
41,42 ..... 걸림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은, 상부가 열린 하나의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으로 분할하는 한개 이상의 분할판; 그리고 상기 분할판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투입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판은 평면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통의 내측벽에는, 분할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결합돌기가 복수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할판은, 상부 및 하부 분할판에 수직방향의 조립용홈이 성형된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용홈이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십자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분할판은, 조립용홈이 성형된 타측 상단에 걸림돌기가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가장 효율적인 분리수거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탈가능한 분할판을 이용하여 수집통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에 의하여, 수집통 내부와, 분할판에 대한 청소의 편의성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은, 쓰레기를 전체적으로 수집할 수있는 수집통(10)과, 상기 수집통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판(20)과, 그리고 상기 수집통(10)을 덮기 위한 커버(30)로 구성된다.
수집통(10)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되어 수집되는 쓰레기를 전체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수집통(10)은 실질적으로 쓰레기통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고,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쓰레기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이면 외관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상시 수집통(10)은, 분할판(20)에 의하여 분리수거가 가능하도록 그 내부가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
또한, 커버(30)가 덮혀지는 수집통(10)의 상부에 테두리(11)가 성형된다. 상기 테두리(11)의 하측은 개방되어 있고, 내측에는 걸림돌기(42)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성형된다. 그리고, 분할판(20) 중에서 상부 분할판(22)은 조립용홈(22a)이 성형된 타측 상단에 걸림돌기(41)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41,42)는, 분할판(20)에 의하여 나누어지는 다수개의 투입구에 쓰레기 수집용 봉투의 상단을 고정하여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결합돌기(41,42)에 쓰레기 수집용 봉투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투입구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유입된 쓰레기의 무게에 의하여 쓰레기 수집용 봉투의 상단이 아래로 내려앉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투입구로 각각 분리되어 유입되는 쓰레기가 수집용 봉투에 정확하게 담기게 되어 수집통(10)의 청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집된 쓰레기를 수집통(10)에서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할판(20)은, 서로 십자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한쌍의 분할판(22,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분할판(22,24)의 하부 및 상부에서 서로 끼워질 수 있는 조립용홈(22a,24a)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분할판(22,24)의 조립용홈(22a,24a)이 서로 결합되도록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경우에 십자형상으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분할판(22,24)를 상기 조립용홈(22a,24a)을 이용하여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매우 편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쓰레기통의 세척을 위하여, 양자를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분할판을 매우 깨끗한 상태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한쌍의 분할판을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인 쓰레기통을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부품의 취급 및 생산이 용이한 장점도 기대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분할판(22,24)이, 수집통(10)의 내부에 넣어질 때, 각각의 분할판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상기 수집통(10)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12,14)가 복수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결합돌기(12,14)는,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분할판(22,24)을 그 사이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할판(22,24)을 상기 수집통(10)의 내부에 조립시에는, 각각의 분할판을, 수집통의 내측면에 성형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2,14) 사이에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수집통(10)의 내부에서 분할판(22,24)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의 투입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통(10)을 덮기 위한 커버(30)에는 복수개의 투입부(31a,32a,33a,34a) 및 투입커버(31,32,33,34)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커버(31,32,33,34)는, 실질적으로 투입부(31a,32a,33a,34a)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어떠한 기구적 구성을 가지고 투입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복수개의 투입커버(31,32,33,34)중 쓰레기를 투입하고자 하는 투입부를 덮고 있는 투입커버를 누르면, 원하는 투입부(31a,32a,33a,34a)가 개방된다. 이때, 즉, 투입커버(31,32,33,34)가 어떠한 구성을 가지고 투입부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는가에 대해서는, 기존에 널리 알려진 어떠한 기술적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하고자 하는 실시예와 같이 분할판의 조립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통의 부분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수집통(110)의 내부에 분할판(122)을 수집통의 전면(111)과 수평되게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수집통(110)의 내부에 분할판(122)을 수집통의 전면(111)과 수직되게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와 도 5a에 도시한 것을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5a는 도5에 도시한 쓰레기통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수집통(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12)에 분할판(122)을 결합할 수 있도록 성형하였다. 상기 분할판(122)에 의하여 수집통(110)은 쓰레기를 분리수거할 수 있는 투입부(131a,132a)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부(131a,132a)의 상부에는 커버(130)가 덮여지게 된다. 상기 커버(130)에는 투입부(131a,132a)에 각각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커버(131,132)가 성형되어 있다.
도 6 도 6a에 도시한 것을 기초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6a는 도6에 도시한 쓰레기통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수집통(110)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14)에 분할판(124)을 결합할 수 있도록 성형하였다. 상기 분할판(124)에 의하여 수집통(110)은 쓰레기를 분리수거할 수 있는 투입부(131a,132a)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부(131a,132a)의 상부에는 커버(130)가 덮여지게 된다. 상기 커버(130)에는 투입부(131a,132a)에 각각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커버(131,132)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투입커버(131,132)의 후방에 대응되게 투입커버(131',132')를 성형하여, 쓰레기통의 후방에서도 투입부(131a,132a)로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원통형의 수집통으로 구성된 쓰레기통을 나타낸 것이고, 도 7a는 도 7에 도시한 원통형의 수집통으로 구성된 쓰레기통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수집통(210)은 복수개의 분할판(122,124)에 의하여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투입부(231,232,233,234)가 구성된다. 상기 분할판(122,124)의 조립 및 체결은 도 2와 도 3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조립되므로 중복설명은 피하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판(122,124)은 평면상의 부재이고, 분할판(122)의 하부 및분할판(124)의 상부에는 각각 수직방향의 조립용홈이 성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쓰레기통은, 수집통(210)의 내부와 분할판(122,124)의 측면 가장자리가 동일한 높이(h)를 가지도록 구성시킨다. 또한, 분할판(122,124)의 상단은 곡선으로 성형함으로써, 분할판이 조립되는 중심(C)이 수집통의 테두리(211)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수집통의 테두리(211)는 바깥방향으로 상향되게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분할판(122,124)과 테두리(211)는 쓰레기가 각각의 투입부(231,232,233,234)로 원할하게 버려질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조는 자판기의 일회용 종이컵을 수집함에 있어서, 종이컵(P)은 투입부의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테두리(211)의 가이드에 의하여 쉽게 투입된다. 그리고, 분할판(122,124)의 중심(C)이 높아 종이컵이 투입구로 던져질 때에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케이스인 수집통(10)의 내부를 분할판에 의하여 분할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 용도가 상이한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통은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집통은,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인 것 뿐만 아니라 다른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변형이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분할판의 조립을 위한 구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쌍의 분할판이 서로 조립되어 십자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하나의 분할판으로 구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면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분할판을 어떠한 형상으로 조립하거나, 직접 수집통의 내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하나의 기본적인 수집통의 내부를 분할판에 의하여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분리수거를 위한 복수개의 공간으로 나눌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의 청소시에는 상기 분할판을 제거한 다음 내부를 청소하는 것에 의하여, 충분하게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은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가지는 수집통의 내부를 청소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비교적 좁은 내부케이싱을 청소하는 것에 비하여 청소가 수월하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쓰레기 수집용 봉투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집된 쓰레기를 수집통에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잇점도 기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분리수거가 가능한 분리수거 공간을 하나의 수집통 내부에 형성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청소를 포함하는 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상부가 열린 하나의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으로 분할하는 한개 이상의 분할판; 그리고
    상기 분할판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투입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판은, 평면상의 부재에 상부 및 하부에는 수직방향의 조립용홈이 성형된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용홈이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십자형상을 가지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의 내측벽에는, 분할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결합돌기가 복수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중앙에서 양쪽 끝단이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성형되어 대칭을 이루는 한쌍 이상의 투입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수집통의 전면과 수평 또는 수직되게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의 상부는, 하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측에는 걸림돌기가 복수개 성형되어 있는 테두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6.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의 상단 중앙부에 걸림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7. 바깥방향으로 상향되게 경사진 테두리가 성형되고, 상부가 열린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룬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으로 분할하는 복수개의 분할판; 그리고
    상기 분할판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개의 분리수거용 공간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투입부와;
    상기 분할판은, 평면상의 부재에 상부 및 하부에는 수직방향의 조립용홈이 성형되며 상단은 곡선으로 성형된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용홈이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십자형상을 가지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측면 가장자리의 높이가 수집통의 높이와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2000-0037093A 2000-06-30 2000-06-30 쓰레기통 KR10037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093A KR100378144B1 (ko) 2000-06-30 2000-06-30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093A KR100378144B1 (ko) 2000-06-30 2000-06-30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789A KR20020002789A (ko) 2002-01-10
KR100378144B1 true KR100378144B1 (ko) 2003-03-29

Family

ID=1967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093A KR100378144B1 (ko) 2000-06-30 2000-06-30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14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8978U (ko) * 1975-12-10 1977-06-13
JPS55176203U (ko) * 1979-06-01 1980-12-17
JPS5643804U (ko) * 1979-09-13 1981-04-21
JPH05306001A (ja) * 1992-04-30 1993-11-19 Sanyo Shiki Kk ごみ箱
KR940009970U (ko) * 1992-10-24 1994-05-21 박찬덕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JPH0721602U (ja) * 1992-05-06 1995-04-21 隆 照喜名 リバーシブル分別ゴミ箱
JPH08113301A (ja) * 1994-10-17 1996-05-07 Shiro Miyazaki 分別ゴミ収納体
KR970009619U (ko) * 1995-08-30 1997-03-27 분리형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8978U (ko) * 1975-12-10 1977-06-13
JPS55176203U (ko) * 1979-06-01 1980-12-17
JPS5643804U (ko) * 1979-09-13 1981-04-21
JPH05306001A (ja) * 1992-04-30 1993-11-19 Sanyo Shiki Kk ごみ箱
JPH0721602U (ja) * 1992-05-06 1995-04-21 隆 照喜名 リバーシブル分別ゴミ箱
KR940009970U (ko) * 1992-10-24 1994-05-21 박찬덕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JPH08113301A (ja) * 1994-10-17 1996-05-07 Shiro Miyazaki 分別ゴミ収納体
KR970009619U (ko) * 1995-08-30 1997-03-27 분리형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789A (ko)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012A (en) Combined waste paper and trash basket
KR101260580B1 (ko) 조합형 분리수거 쓰레기통
US5143246A (en) Recycling garbage separator
JP5258032B2 (ja) 分別用ごみ容器
KR100378144B1 (ko) 쓰레기통
JP2006327751A (ja) 分別式ごみ箱
KR200203555Y1 (ko) 쓰레기통
KR200334332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0187710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N210504147U (zh) 一种分类垃圾桶
KR200195680Y1 (ko) 분리수거 쓰레기통
KR102063312B1 (ko)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KR200159739Y1 (ko) 폐 일회용컵 수거용기
KR200295741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0309802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950006524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N210365343U (zh) 垃圾桶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JP3083171U (ja) 分別式ゴミ容器
CN211618850U (zh) 一种使用便捷的垃圾桶
US20240059481A1 (en) Waste receptacles
KR0129524Y1 (ko) 물티슈 수납용기
KR200492276Y1 (ko) 위생용품 수거함
CN214932769U (zh) 易清洗的家用垃圾分类环保垃圾桶
RU2739164C1 (ru) Система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раздельного сбора отх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