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118B1 - 가상 경로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경로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118B1
KR100378118B1 KR10-2000-0059525A KR20000059525A KR100378118B1 KR 100378118 B1 KR100378118 B1 KR 100378118B1 KR 20000059525 A KR20000059525 A KR 20000059525A KR 100378118 B1 KR100378118 B1 KR 100378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mobile terminal
mobile
lo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967A (ko
Inventor
이종민
맹승렬
윤현수
조민희
권보섭
김진수
김명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1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118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위치를 셀간 움직임 횟수에 기반하여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셀들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셀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장치의 셀 이동 판단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접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하는 셀을 판단하고,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이동 경로를 구한다. 가상경로 생성부는 상기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보다 단축된 상기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가상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메시지 송신부는 상기 가상 경로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셀을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에 인접한 셀로 이동하는 제1 경우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로부터 2번 이동한 셀로 이동하는 제2 경우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인접한 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상기 현재의 셀로 이동하는 제3 경우중의 어느 하나 혹은 모두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경로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ATING THE LOCATION OF MOBILE TERMINAL USING VIRTUAL PATH}
본 발명은 이동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간 움직임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이동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이하 "이동 단말기"라 칭함)가 다른 이동 단말기와 호를 개시할 때,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들간의 호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수신 이동 단말기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알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유휴 상태(idle state)에 있는 이동 단말기가 임의의 한 지역으로부터 다른 한 지역으로 이동할 때, 위치 추적(location tracking)을 위한 필요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적하도록 한다. 위치 추적 방식들은 위치 갱신(location updates)과 페이징(paging)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기는 위치 갱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동안에 현재 셀의 위치를 상기 시스템에게 알려준다. 이동 단말기로의 호가 발생할 때, 상기 시스템은 페이징 지역내의 모든 셀들로 폴링 시그널(polling signals)을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수신 이동 단말기의 정확한 셀의 위치가 얻어지도록 한다. 위치 추적 방식들의 목적은 위치 갱신 및 페이징의 전체적인 위치 추적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위치 갱신과 페이징의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있다. 개인 통신 네트워크가 도래함에 따라 위치 추적 방식들의 역할은 매우 증가하고 있다. 왜냐하면, 셀 지역이 작아짐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위치는 더 빈번하게 변화되기 때문이다.
상기 위치 추적 방식들은 자발적인(autonomous) 방식들과 비자발적인(non-autonomous) 방식들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자발적인 위치 추적 방식들은 이동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서 이동하는 도중에 미리 정의된 조건들에 따른 주기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시스템에 제공함에 의해 적은 양의 추가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을 가지고도 보다 빠르게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상기 시스템이 찾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움직임 기반 위치 추적 방식(movement-based strategy), 거리 기반 위치 추적 방식(distance-based strategy) 및 시간 기반 위치 추적 방식(time-based strategy)은 상기 자발적인 위치 추적 방식들의 전형적인 예들이다. 상기 움직임 기반 위치 추적 방식은 제1문헌 A. Bar-Noy, I. Kessler, and M. Sidi. Mobile Users: To Update or not to Update? Wireless Networks, 1(2): 175-185, 1995.과, 제2문헌 I. Akyildiz, J. Ho, and Y.-B. Lin. Movement-Based Location Update and Selective Paging for PCN Networks.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4(4): 629-638, Aug. 1996.과, 제3문헌 J. S. Ho and J. Xu. History-based Location Tracking for Personal Communications Networks. In Proc.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pages 244-248, 1998.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거리 기반위치 추적 방식은 상기 제1문헌과, 제4문헌 J. Ho and I. Akyildiz. Mobile user location update and paging under delay considerations. Wireless Networks, 1(4): 413-425, 1995.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시간 기반 위치 추적 방식은 상기 제1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 추적 방식들은 각 사용자들의 이동 단말기 특성들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거리 기반 방식은 전체적인 위치 추적 비용의 관점에서 다른 방식들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거리 기반 방식은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사실이 상기 제1문헌 내지 제4문헌에 나타나 있다. 왜냐하면, 각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상기 제2문헌 및 제3문헌에 개시된 움직임 기반 방식들은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알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현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기본적인 움직임 기반 방식은 상기 제1문헌 및 제2문헌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지 셀을 이동하는 수를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만이 요구되기 때문에 구현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이 움직임 기반 방식은 최근의 위치 갱신된 셀 주위를 이동 단말기가 이동할 때 불필요하게 많은 수의 위치 갱신을 초래하며, 이는 전체적인 위치 추적 비용의 급격한 증가를 야기시킨다. 상기 기본적인 움직임 기반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기록 기반 방식(history-based strategy)이 상기 제3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록 기반 방식은 이동 기록을 사용하여 이동 경로로부터 루프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간 움직임(이동) 횟수에 기반한 위치 등록 방식의 불필요한 위치 등록 횟수를 줄여서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리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거리에 기반한 위치 등록 방식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셀들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셀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장치의 셀 이동 판단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접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하는 셀을 판단하고,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이동 경로를 구한다. 가상경로 생성부는 상기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보다 단축된 상기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가상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메시지 송신부는 상기 가상 경로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셀을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에 인접한 셀로 이동하는 제1 경우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로부터 2번 이동한 셀로 이동하는 제2 경우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인접한 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상기 현재의 셀로 이동하는 제3 경우중의 어느 하나 혹은 모두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등록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장치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장치에 의한 위치 등록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에 갱신되는 가상경로(VP) 및 인접 셀 리스트(NL)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경로 생성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문턱값의 변화에 따라 각 방식에 의한 평균 위치 추적 비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CMR의 변화에 따라 각 방식에 의한 평균 위치 추적 비용간의 관계를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셀간 움직임(이동) 횟수에 기반한 위치 등록 방식에서의 불필요한 위치 등록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공간적 국부성(spatial locality)'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거리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하기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등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표기법과,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개념인 '공간적 국부성'이 정의되고, 그에 따른 원리가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및 가상 경로 생성의 동작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에 의한 성능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다.
A. 정의 및 원리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등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기들에 대한 정의를 나타낸다.
* Ci: 가장 최근에 위치 등록한 셀 CO로부터 i번째 방문한 셀.* ti: 이동 단말기의 방문 순서를 구분하기 위한 사용되는 i번째 시간 스탬프.* fN(Ci) : 셀 Ci의 인접 셀 집합.* A : 가장 최근에 위치 등록한 셀 C0으로부터의 실제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Ci,ti)쌍의 집합. 여기서 ti = i 이다.* V :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치 등록 방식에 의해 생성된 이동 단말기의 가상 경로.
상기 <표 1>에서 셀 Ci의 인접 셀 집합인 fN(Ci)는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방송)(broadcasting)하는 인접 셀 리스트 메시지(Neighbor List Message; NLM)로부터 얻어지는 인접 셀 정보이다. 상기 인접 셀 정보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정보이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집합 A를 '실제 경로(actual path)'라고 칭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실제 경로는 순서 정보(ordering information)를 사용하여 상기 집합 A로부터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하기에서는 집합 V를 '가상 경로(virtual path)'라고 칭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등록 방식에서 사용하는 '공간적 국부성(spatial locality)'을 정의한다.
실제 경로 A의 n번째 경우 An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A0ii0
An= An-1∪ { (cn,tn) | tn= n } for n ≥1
상기 공간적 국부성은 '루프(loop)', '1-셀 국부성(1-cell locality)', '2-셀 국부성(2-cell locality)'로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위치 등록한 셀 co로부터 n번째 이동하여 방문한 셀 cn과 그 이전에 방문한 셀들의 집합 An-1과의 관계에 의하여 각각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의가 성립한다.
* cn= ck인 (ck,tk) ∈ An-1이 존재하면 루프가 존재한다.* ck∈ fN(cn)인 (ck,tk) ∈ An-2가 존재하면 1-셀 국부성이 존재한다.* fN(cn) ∩ fN(ck) ≠ Ø인 (ck,tk) ∈ An-3이 존재하면 2-셀 국부성이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등록의 원리, 즉 공간적 국부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실제 경로가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 -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경로에 루프, 1-셀 국부성, 2-셀 국부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공간적 국부성이 제거된 실제 경로인 가상 경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실제 경로는 이동 단말기가 실제로 이동한 경로로서 단선으로 나타내었으며, 가상 경로는 상기 실제 경로와 동등한 의미를 지니는 이동 경로로서 점선으로 나타내었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도 1의 (a1)은 이동 단말기의 실제 경로에 루프가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a2)는 상기 (a1)에 도시된 실제 경로에서 루프가 제거된 가상 경로를 나타낸다. 즉 루프가 존재하는 실제 경로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 위치 "A"에서 인접한 셀 "B"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셀 "A"로 돌아오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a1) 및 (a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실제로는 2번 셀 이동을 하였으나, 이는 이동하지 않은 것과 결과가 같다.
상기 도 1의 (b1)은 이동 단말기의 실제 경로에 1-셀 국부성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b2)는 상기 (b1)에 도시된 실제 경로에서 1-셀 국부성이 제거된 가상 경로를 나타낸다. 즉 1-셀 국부성이 존재하는 실제 경로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특정 셀 "A"로부터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셀 "A"의 인접 셀로 이동한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b1) 및 (b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실제로 3번 셀 이동을 하였으나, 이는 1번 이동한 것과 결과가 같다.
상기 도 1의 (c1)은 이동 단말기의 실제 경로에 2-셀 국부성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c2)는 상기 (c1)에 도시된 실제 경로에서 2-셀 국부성이 제거된 가상 경로를 나타낸다. 즉 2-셀 국부성이 존재하는 실제 경로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특정 셀 "A"로부터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셀 "A"로부터 2번 이동하여 갈 수 있는 인접 셀로 이동한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c1) 및 (c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몇 번의 셀간 이동을 하였더라도, 이는 상기 셀 "A"로부터 2번 이동한 것과 결과가 같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실제 경로에는 공간적 국부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간적 국부성이 존재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종래 기술에 따른 셀간 움직임 횟수에 기반한 위치 등록 방식의 경우에는 모든 셀 이동 횟수를 고려하여 위치 등록하기 때문에 그만큼 위치 등록의 횟수가 불필요하게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실제 경로에 존재하는 상기 공간적 국부성이 제거된 실제 경로인 가상 경로를 고려하여 위치 등록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위치 등록의 횟수를 제거하여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동작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상 경로 구축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하기의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의 동작을 위한 가상 경로 구축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상기 <표 3>은 주어진 실제 경로를 가상 경로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전술한 정의 An과 같이, 가상 경로 V의 n번째를 Vn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에 따르면, 실제 경로에 공간적 국부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공간적 국부성이 제거되고 가상 경로가 생성된다. 루프 및 1-셀 국부성은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의들에 의해 찾아질 수 있으며, 그 공간적 국부성들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2-셀 국부성은 이동 단말기가 방문한 셀의 인접 셀인 '현재 셀(temporary cell) ct'의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공간적 국부성들은인 경우에 찾아질 수 있다. 왜냐하면, 공간적 국부성들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가지 요소들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만약,< 3인 경우에, Vi= Ai라는 것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가상 경로 Vn은 대응하는 실제 경로An과 동등하고,이다. 그러므로, 이동 단말기가 새로운 셀 cn+1로 들어같을 때 다음번에 사용할 목적으로 실제 경로 An을 가상 경로 Vn으로 대체한다. 존재하는 공간적 국부성들은 이미 제거되고 이때 이동 단말기는 새로이 들어간 셀의 공간적 국부성들만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간단한 계산을 통해 가상 경로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고리즘은 상대적으로 적은 메모리 공간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최근의 가상 경로를 얻기 위해서 실제 경로 An과 가상 경로 Vn모두를 유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상 경로 Vn만을 유지시키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제 경로 An상이 아닌 가상 경로 Vn상에서 셀 이동 횟수를 카운트함에 의해 이동 단말기는 불필요한 위치 등록의 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장치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장치는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알고리즘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가상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갱신(location updates)하고,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pag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하는 장치는 메시지 수신부 210과, 셀 이동 판단부 220과, 이동(움직임) 카운터(Movement Counter) 230과, 가상 경로(Virtual Path)부 240,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List) 250과, 메시지 송신부 260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수신부 210은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메시지인 인접 셀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셀 정보는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들어간) 셀에 인접한 셀들의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상기 인접 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접 셀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셀들중에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셀을 판단한다. 상기 인접 셀 정보로부터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현재 이동한 셀간의 이동 실제 경로를 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상기 이동 실제 경로가 미리 설정된 공간적 국부성(루프, 1-셀 국부성, 2-셀 국부성)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실제 경로를 그대로 가상 경로로 생성할 수도 있고, 상기 이동 실제 경로를 대신하는 가상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상기 이동 실제 경로가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실제 경로를 대신하는 가상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실제 경로가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가상 경로는 상기 이동 실제 경로와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되나,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가상 경로는 상기 이동 실제 경로와 동일하게 결정된다.
상기 생성된 가상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들이 상기 이동 카운터 230과, 가상 경로부 240과, 인접 셀 리스트 250에 저장된다. 상기 이동 카운터 230은 상기 가상 경로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의 셀간 움직임 횟수를 카운트한다. 상기 가상 경로부 240은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에 의해 생성된 가상 경로를 저장한다. 인접 셀 리스트 250은 상기 가상 경로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각 셀의 인접 셀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는, 상기 이동 카운터 230과, 상기 가상 경로부 240과, 상기 인접 셀 리스트 250이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어레이(array) 형태의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s)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생성된 가상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정리하면 하기의 <표 4>와 같다.
* MC ; 이동 카운터* VP[0:M] ; 가상 경로, 셀 식별자(ID)들의 어레이* NL[0:M][0:N] ; 각 VP[0:M]에 대한 인접 리스트
상기 <표 4>에서, M은 상기 설정된 문턱값을 나타낸다. VP[0] 및 VP[i]는 각각 최근의 위치 등록 이후에 최근에 위치 등록한 셀의 식별자(identifier)와, 가상 경로상의 i번째 셀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최근에 위치 등록한 이후에 가상 경로상의 셀들은 VP[0], VP[1], ‥‥, VP[MC]로 구성된다. NL[i][j]는 셀 VP[i]의 j번째 인접 셀의 셀 식별자를 나타낸다.
메시지 송신부 260은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에 의해 연동하며, 상기 가상 경로가 이동 단말기가 상기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미리 설정된 문턱값(수)(예: 5)만큼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이동 단말기의 셀 이동 판단 및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경로의 생성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의 생성을 위한 전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이동 단말기가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n번째 셀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위치 등록 장치는 가상 경로상에서의 셀간 이동의 횟수가 상기 설정 문턱값이 될 때마다 위치 등록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한 실제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셀들을 이동하는 경우에 갱신되는 가상경로(VP) 및 인접 셀 리스트(NL)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가장 최근에 위치 등록한 셀 "V"로부터 셀 U →셀 T →셀 Z →셀 a →셀 U →셀 O →셀 I →셀 J →셀 K →셀 Q →셀 W의 순서로 이동하였다. 즉, 이동 단말기는 상기 순서와 같은 실제 이동 경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경우에 상기 위치 등록 장치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가상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가 셀 V로부터 셀 Z로 이동한 경우에는 어떠한 공간적 국부성도 찾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4의 (a)는 이동 단말기가 셀 V에서 위치 등록이 이루어졌을 때의 이동 카운터 값 MC, 가상 경로 VP, 인접 셀 리스트 NL을 나타낸다. 이때 MC는 0이고, VP는 V이고, NL은 (P,U,W,b)이다. 상기 도 4의 (b)는 이동 단말기가 셀 V로부터 셀 U로 이동한 경우에 대응하는 이동 카운터 값 MC, 가상 경로 VP, 인접 셀 리스트 NL을 나타낸다. 이때 MC는 1이고, VP에는 U가 추가되고, NL에는 셀 U의 인접 셀들인 (O,T,V,a)가 추가된다. 상기 도 4의 (c)는 이동 단말기가 셀 V로부터 셀 T로 이동한 경우에 대응하는 이동 카운터값 MC, 가상 경로 VP, 인접 셀 리스트 NL을 나타낸다. 이때 MC는 2이고, VP에는 T가 추가되고, NL에는 셀 T의 인접 셀들인 (N,S,U,Z)가 추가된다. 상기 도 4의 (d)는 이동 단말기가 셀 V로부터 셀 Z로 이동한 경우에 대응하는 이동 카운터 값 MC, 가상 경로 VP, 인접 셀 리스트 NL을 나타낸다. 이때 MC는 3이고, VP에는 Z가 추가되고, NL에는 셀 Z의 인접 셀들인 (T,Y,a,f)가 추가된다. 즉, 이동 단말기가 셀 V에서부터 셀 Z까지 이동한 경우에는 아무런 공간적 국부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도 4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 값은 계속 증가되고, VP[]와 NL[][]에는 해당하는 값들이 추가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셀 a로 들어간 경우에 셀 U와 셀 a간에는 1-셀 국부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도 2의 실제 이동 경로상의 공간적 국부성을 제거하고, 이에 대응하는 가상 경로를 생성한다. 이때 실제 이동 경로상에서 셀 T와 셀 Z가 제거되고, 또한 상기 셀들 T,Z에 대응하는 인접 셀들에 대한 정보가 또한 제거되고,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 경로가 생성된다. 이때 이동 카운터 값 MC는 2로 갱신되고, 가상 경로 VP는 Y →U →a로서 갱신되고, 상기 가상 경로상의 셀들에 각각 대응하는 인접 셀 리스트 NL로서 갱신된다.
다음에, 이동 단말기가 셀 U로 이동한 경우에 이동 경로는 루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이동 경로상에서 셀 a가 제거되고, 또한 상기 셀 a에 대응하는 인접 셀들에 대한 정보가 또한 제거되고,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 경로가 생성된다. 이때 이동 카운터 값 MC는 1로 갱신되고, 가상 경로 VP는 Y →U로서 갱신되고, 상기 가상 경로상의 셀들에 각각 대응하는 인접 셀 리스트 NL로서 갱신된다.
다른 1-셀 국부성은 이동 단말기가 셀 W로 이동한 경우에 발생함을 알 수 있고, 2-셀 국부성은 이동 단말기가 셀 J로 이동한 경우에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간적 국부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실제 이동 경로상에서 그 발생한 공간적 국부성에 해당하는 셀들을 제거하고, 상기 제거되는 셀들에 대응하는 인접 셀들에 대한 정보도 제거하고, 이동 카운터 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실제 이동 경로가 갱신된 새로운 가상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도 4의 (i),(j),(k)를 참조해보면 다른 도면들과 달리 "-1"이 NL상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1"은 인접한 셀 정보를 알 수 없을 경우에 사용하는 가상의 셀 정보이다. 이동 단말기가 셀 J로 이동한 경우에 2-셀 국부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V →P →J로 이루어지는 가상 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가 셀 P로 실제 이동하였다면, 이 셀 P의 인접 셀 리스트는 (V,O,J,Q)로 될 것이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가 셀 P로 이동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이 셀 P의 인접 셀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없고 이에 따라 인접 셀 리스트는 (V,O,J,-1)로 된다. 그리고 (k)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셀 Q로 이동한 경우에는 1-셀 국부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비록 가상 경로 VP는 V → P →J →K →Q로 이루어지지만, 실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경로는 V →U →O →I →J →K →Q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방식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가 셀 V에서부터 셀 W로 11번 셀 이동을 하였다. 이때 문턱값이 "5"라면 위치 등록의 동작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종래 기술에 의한 셀간 움직임 횟수 기반 위치 등록 방식에 따르면, 셀간 이동 횟수가 11이므로 2회에 걸친 위치 등록의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방식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위치 등록 방식에서 야기되는 불필요한 위치 등록의 횟수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가상 경로 기반 위치 등록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동 단말기가 가상 경로에 기반한 위치 등록 모드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502단계에서 도 2의 셀 이동 판단부 220은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접 셀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새로운 셀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새로운 셀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503단계에서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실제 경로를 갱신하고, 가상 경로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504단계에서는 이동 카운터값 MC가 설정된 문턱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 카운터값 MC가 상기 문턱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505단계에서 도 2의 메시지 송신부 260은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위치 등록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이동 카운터값 MC, 가상 경로 VP, 인접 셀 리스트 NL을 초기화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경로 생성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처리 흐름은 도 5에 도시된 503단계의 동작에 대응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를 검색하고, 특정 공간적 국부성을 찾는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601단계의 수행 결과, 602단계에서 상기 실제 이동 경로가 루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603단계에서 도 2의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상기 실제 이동 경로상의 루프를 제거하고 VP/NL 어레이를 갱신하여 해당하는 가상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601단계의 수행 결과, 604단계에서 상기 실제 이동 경로가 1-셀 국부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605단계에서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상기 실제 이동 경로상의 1-셀 국부성을 제거하고 VP/NL 어레이를 갱신하여 해당하는 가상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601단계의 수행 결과, 606단계에서 상기 실제 이동 경로가 2-셀 국부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607단계에서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상기 실제 이동 경로상의 2-셀 국부성을 제거하고 VP/NL 어레이를 갱신하여 해당하는 가상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601단계의 수행 결과 어떠한 공간적 국부성도 찾아지지 않은 경우에는, 608단계에서 상기 셀 이동 판단부 220은 현재 셀 및 그의 인접 셀들을 VP/NL 어레이에 각각 추가한다.
C. 성능 평가(Performance Evalua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방식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가정들(assumptions)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위치 등록 방식의 성능 평가에는 메쉬형 셀룰라 구조(mesh cellular configuration) 혹은 2차원 그리드 셀룰라 구조(two-dimensional grid cellular architecture)가 고려되었다.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랜덤하게 걸어가고, 각 셀에서 평균 셀 이동율(mean cell crossing rate)(cells/hour)의 지수적인 분산 시간동안 체재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속도가 v(km/hour)라고 가정한다. 평균 호 도착율(mean call arrival rate)(calls/hour)의 지수적인 분포에 따라 호들이 이동 단말기에 도착하고, 호 대 이동율(CMR: call-to-mobility ratio)은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셀의 길이가 2백미터라고 가정하고, 이동 단말기의 이동 속도가 2km/hour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평균 호 이동율은 10 cells/hour이 된다. 이때 상기 CMR의 정의에 의해, CMR이 각각 0.01, 0.1, 1.0인 경우에 평균 호 도착율는 각각 0.1, 1, 10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방식의 시뮬레이션 결과(simulation resuls)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BASIC"과 "DIST"는 각각 전술한 기본적인 움직임 기반 방식과 거리 기반 방식을 나타낸다. "L"과 "LO"와 "LOT"는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L"은 루프를 제거한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LO"는 루프와 1-셀 국부성을 제거한 경우를나타내고, 상기 "LOT"는 모든 공간적 국부성(루프, 1-셀 국부성, 2-셀 국부성)을 제거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문턱값(M: threshold)의 변화에 따라 각 방식에 의한 평균 위치 추적 비용(average location tracking cost)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의 (a)는 CMR = 0.01인 경우에 문턱값의 변화에 따른 평균 위치 추적 비용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CMR = 0.1인 경우인 경우에 문턱값의 변화에 따른 평균 위치 추적 비용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평균 위치 추적 비용은 M이 6보다 작은 경우에는 BASIC →LOT →DIST의 순서로 비싸고, 상기 M이 7보다 큰 경우에는 LOT가 가장 저렴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도 8은 CMR의 변화에 따라 각 방식에 의한 평균 위치 추적 비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공간적 국부성을 제거할수록 그에 의해 평균 위치 추적 비용이 저렴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적 국부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셀간 움직임 횟수에 기반한 위치 등록 방식에서의 불필요한 위치 등록 횟수를 줄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리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거리에 기반한 위치 등록 방식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0)

  1. 복수의 셀들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셀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접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하는 셀을 판단하고,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이동 경로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보다 단축된 상기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가상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경로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셀을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에 인접한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로부터 2번 이동한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인접한 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상기 현재의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 후 상기 이동 경로를 초기화하고,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이동 경로를 구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6. 복수의 셀들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셀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접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하는 셀을 판단하고,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이동 경로를 구하는 셀 이동 판단부와,
    상기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보다 단축된 상기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가상 경로를 생성하는 가상경로 생성부와,
    상기 가상 경로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셀을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에 인접한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로부터 2번 이동한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인접한 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상기 현재의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이동하는 셀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상기 설정된 수만큼의 셀을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11. 복수의 셀들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셀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접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하는 셀을 판단하고,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이동 셀에 인접한 셀들간의 어레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제거하고 상기 어레이를 갱신하여 상기 이동 경로보다 단축된 상기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가상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경로 혹은 상기 가상 경로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셀을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에 인접한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로부터 2번 이동한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인접한 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상기 현재의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 후 상기 이동 경로 및 상기 어레이를 초기화하고,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이동 셀에 인접한 셀들간의 어레이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방법.
  16. 복수의 셀들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셀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접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셀들중에서 이동하는 셀을 판단하고, 최근에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이동 셀에 인접한 셀들간의 어레이를 구성하는 셀 이동 판단부와,
    상기 이동 셀에 인접한 셀들의 리스트를 구성하는 인접 셀 리스트부와,
    상기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된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제거하고 상기 어레이를 갱신하여 상기 이동 경로보다 단축된 상기 위치 등록된 셀과 상기 이동 셀간의 가상 경로를 생성하는 가상 경로 생성부와,
    상기 이동 경로 혹은 상기 가상 경로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셀을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에 인접한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현재의 셀로부터 2번 이동한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공간적 국부성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셀에서 인접한 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상기 현재의 셀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이동하는 셀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된 셀로부터 상기 설정된 수만큼의 셀을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위치 등록 장치.
KR10-2000-0059525A 2000-10-10 2000-10-10 가상 경로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0378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25A KR100378118B1 (ko) 2000-10-10 2000-10-10 가상 경로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25A KR100378118B1 (ko) 2000-10-10 2000-10-10 가상 경로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967A KR20020038967A (ko) 2002-05-25
KR100378118B1 true KR100378118B1 (ko) 2003-03-29

Family

ID=1969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525A KR100378118B1 (ko) 2000-10-10 2000-10-10 가상 경로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1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19B1 (ko) * 2000-11-21 2003-07-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퍼지 논리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
JP6463640B2 (ja) 2015-01-27 2019-02-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排気タービ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048A (ja) * 1993-05-18 1994-11-25 Oki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10256962A (ja) * 1997-03-11 199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US5943621A (en) * 1997-07-24 1999-08-24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5950134A (en) * 1997-09-08 1999-09-07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redundancy in cellular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048A (ja) * 1993-05-18 1994-11-25 Oki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10256962A (ja) * 1997-03-11 199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US5943621A (en) * 1997-07-24 1999-08-24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5950134A (en) * 1997-09-08 1999-09-07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redundancy in cellular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967A (ko) 200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Mobility prediction: A survey on state-of-the-art schemes and future applications
Stojmenovic et al. Voronoi diagram and convex hull based geocasting and routing in wireless networks
Kuklinski et al. Density based clustering algorithm for vehicular ad-hoc networks
CN100440839C (zh) 网络系统、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
KR101217058B1 (ko) 루트 업데이트 메시지들을 제공하고 액세스 단말기들에 메시지들을 제공하는 방법
Zhu et al. Smart: A social-and mobile-aware routing strategy for disruption-tolerant networks
Song et al. Link stability estimation based on link connectivity changes in mobile ad-hoc networks
US6236861B1 (en) Method for tracking mobile users in a cellular network
JP2009534925A (ja) 経路更新メッセージを与えてアクセス端末をページングする方法
CN101095317A (zh) 对路由信息的获取
CN105812254A (zh) 一种机会网络数据传输方法
CN106658539B (zh) 无线传感器网络中移动数据收集器的移动路径规划方法
Tran et al. A game theory based clustering protocol to support multicast routing in cognitive radio mobile ad hoc networks
Wu et al. Efficient data dissemination by crowdsensing in vehicular networks
Wang et al. A novel energy-efficient neighbor discovery procedure in a wireless self-organization network
KR100378118B1 (ko) 가상 경로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1615609B1 (ko) 호핑 패턴을 활용한 클러스터 기반의 통신 방법
KR101243244B1 (ko)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Naor Tracking mobile users with uncertain parameters
Viana et al. Decoupling data dissemination from mobile sink's trajector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13225260B (zh) 一种基于机器学习的混合聚类机会路由实现方法
CN110121199B (zh) 基于节点角色关联度的机会网络数据转发方法
Lee et al. Call arrival history-based strategy: Adaptive location tracking in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s
Chen et al. Support vector machine based mobility prediction scheme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CN102158872B (zh) 一种进行ta重规划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