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036B1 - 유도식발신기신호의처리회로장치 - Google Patents

유도식발신기신호의처리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036B1
KR100377036B1 KR1019970700623A KR19970700623A KR100377036B1 KR 100377036 B1 KR100377036 B1 KR 100377036B1 KR 1019970700623 A KR1019970700623 A KR 1019970700623A KR 19970700623 A KR19970700623 A KR 19970700623A KR 100377036 B1 KR100377036 B1 KR 10037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mparator
input side
inductive transmitter
transmit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칼 오트
롤프 크뢰머
베아테 글뢰크너
카롤리-하인쯔 네메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8Shaping pulses by limiting; by thresholding; by slicing, i.e. combined limiting and thresholding
    • H03K5/082Shaping pulses by limiting; by thresholding; by slicing, i.e. combined limiting and thresholding with an adaptive threshold
    • H03K5/084Shaping pulses by limiting; by thresholding; by slicing, i.e. combined limiting and thresholding with an adaptive threshold modified by switching, e.g. by a periodic signal or by a signal in synchronism with the transitions of the output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에 관한다. 장치에 대한 신뢰성, 작은 신호 진폭의 평가 및 신호 포착의 시간적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준 전위로서 어스가 채용되고 있으며, 일정의 기본 트리거 역치가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제로점 통과에 설정되고 있고 또한 추종 제어 장치에 의해 스위치백 트리거 역치가 한쪽의 반파의 영역에서만 추종 제어된다.

Description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이 형식의 회로장치는 본 출원인의 기업 내에선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같은 회로 장치의 경우, 유도식 발신기 신호는 브리지 회로에 의해 평가된다. 이경우, 브리지의 한쪽 절반을 거쳐서 유도식 발신기는 급전 전압의 절반의 전압까지 높여져서 비교기의 한쪽의 입력측으로 공급되는 것에 대해, 비교기의 다른쪽의 입력측엔 브리지의 다른쪽 절반을 거쳐서 역시 급전 전압의 절반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때, 유도식 발신기 분기 중의 각 저항은 일반적으로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 기준 분기 중의 각 저항은 적합하게는 집적되어 있다. 그결과, 비교기의 입력 전류 및 입력 오프셋 전압, 집적된 각 저항의 분압 허용 오차, 집적전 각 저항의 온도 특성,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저항의 분압 허용 오차,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저항의 온도 특성, 유도식 발신기의 허용 오차 및 유도식 발신기의 온도 특성과 같은 일련의 허용 오차가 누적된다. 이것에 의해 작은 신호 진폭은 신뢰성을 수반하여 평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트리거점의 시간적인 변동도 생기고 그것으로써 출력 펄스는 유도식 발신기에 의해 검출된 회전체의 회전수 내지 각도 위치를 반드시 정확하게 재현할 수 없게 된다. 이같은 시간적인 변동은 예컨대 발신기 휠의 불안정한 동작에 의해 공극이 변화하거나 진폭 변조가 발생하므로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즉, 추종 제어 장치의 시정수는 엔진의 다이내믹 특성에 정합되고 있으며, 따라서 트리거 역치는 충분하게는 추종 제어되지 않는다. 또, 추종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구성 소자의 비대칭성 및 허용 오차에 의해 또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에 있어서 단속 분해능을 형성하는 측연의 움직임이 반드시 정확하지 않다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시간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고 제 32 26 073 C2 호에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를 처리하는 또한 다른 회로 장치가 나타나 있다. 이경우, 2 개의 상이한 회로부분이 설치되고 있으며 한쪽의 회로 부분은 유도식 발신기 신호가 비교적 작은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 다른쪽의 회로부분은 비교적 큰 유도식 발신기 신호 및 스위치온 트리거 역치의 추종 제어를 위해서 사용된다. 이 회로 장치를 위해선 그에 상응하는 비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유도식 발신기 신호가 입력 저항을 거쳐서 트리거 역치에 대한 진폭 의존형의 추종 제어 장치와 접속된 비교기의 한쪽의 입력측으로 인도되고 그 비교기의 다른쪽의 입력측은 기준 전위에 놓여 있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에 관련된다.
도 1 은 회로 장치의 기본 원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 는 도 1 에 의한 회로 장치를 트리거 역치에 대한 추종 제어 장치와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 는 출력 신호의 스위칭 측연에 대한 트리거 역치의 영향을 도시하는 도면.
도 4 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를 트리거 시점 및 그것에 속하는 출력 신호와 함께 도시하는 도면.
따라서 이 발명의 과제는 서두에서 말한 형식의 회로 장치에 있어서 두드러지게 근소한 비용으로 두드러지게 작은 진폭을 가지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도 확실하게 평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시간 오차가 충분히 회피되게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상위 개념에 기재의 회로장치에 있어서 기준 전위로서 접지가 어스가 설정되고 있으며, 일정의 기본 트리거 역치가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제로점 통과에 설정되고 있으며, 추종 제어 장치에 의해 한쪽의 반파의 영역에서만 스위치백 트리거 역치가 추종 제어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이같이 해서 내부 및 외부의 분압기가 어스에 관련되어 생략되고, 일관해서 같은 전위가 유지되며 그결과, 비교기의 기본 히스테리시스는 어스와 결합되어 유지되며, 전제로서 채용되는 회로 장치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허용오차 및 부가적인 온도 드리프트에 기인해서 생기는 경우 같이는 변동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두드러지게 작은 진폭도 평가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두드러지게 큰 기본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는 비교기를 채용할 수도 있고, 그결과 SN 비를 크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일정의 기본 트리거 역치를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제로점 통과에 설정한 것으로써 예컨대 발신기 휠에서 꺼내어지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에 관한 시간 오차가 예컨대 발신기 휠의 동작이 불안정하며 그것에 부수해서 진폭 변조가 생긴 경우에도 최소로 된다.
또, 이제까지의 회로장치에선 시간 오차를 제한하기 위해 최대의 추종 제어를 비교적 작은 값에 클램프하는 수가 많은 것에 대해서 스위치 백 트리거 역치의 추종 제어를 자유로 행할 수 있게 한 것에 의해서도 큰 SN 비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회로 장치의 또다른 이점은 집적시의 소요 칩 면적이 작아지는 점 및 결선의 복잡성이 감소된다는 데 있다.
한층더 확실하게 동작하면서도 회로 장치는 간단하게 구성되고 있으며, 이는 후술한다. 즉, 추종 제어 장치는 피크값 정류 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 피크값 정류 회로에 의해 1 개의 반파의 전압 피크값을 축적 가능하며 이 추종 제어 장치는 축적된 전압 피크값에서 변환 저항을 거쳐 계수가 부여되는 가중 처리 전류가 도출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중처리 전류는 제어량으로서 비교기의 입력측에 접속 가능한 전류원으로 공급되고 이 전류원은 한쪽의 방향에서의 제로점 통과를 검출하면 스위치에 의해 비교기의 입력측으로 접속되며 제어량에 의해서 유도식 발신기 신호 진폭에 관해서 시프트된 스위치 백 트리거 역치를 다른 방향에서 통과한 것이 검출되면 스위치에 의해 입력측에서 분리된다. 이경우, 스위치의 조작 입력측이 비교기의 출력측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크값 정류 회로는 유도식 발신기와 입력 저항 사이에 접속된 회로 저항과 이 회로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정류 다이오드와 이 다이오드의 음극과 접속되고 또한 어스와 접속된 콘덴서를 갖고 있다. 또한, 정류 다이오드와 콘덴서 사이에 변환 저항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추종 제어를 신호 진폭의 변동에 적절하게 또한 용이하게 정합시킬 수 있다.
2 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한 클램프 회로를 두고 제 1 다이오드의 음극을 급전 전압원에 양극을 비교기의 입력측과 접속하고, 제 2 다이오드의 양극을 어스에 음극을 비교기의 입력측과 접속함으로써 급전 전압의 수배의 크기로 될 수 있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과도하게 큰 신호 진폭이 용이하게 취급하는 값으로 제한된다.
또한,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류원이 비교기의 입력측과 반대측의 단자에 급전 전압원과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장치의 유리한 용도로서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크랭크축의 회전수 또는 각도 위치의 포착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피크값 정류 회로의 시정수를 엔진의 다이내믹 특성에 정합하므로서 일시적인 장해를 억압할 수 있다.
도 1 에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 UG를 처리하는 회로 장치의 기본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유도식 발신기 IG 는 그 한쪽의 단자 + 가 어스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다른쪽의 단자 - 는 입력 저항 RE 을 거쳐서 소정의 기본 히스데리시스를 갖는 비교기 KO 의 비반전 입력측과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 KO 의 반전 입력측은 기준 전위 UR로서 어스와 접속되어 있다. 이것으로 트리거 점은 OV+ 히스테리시스/2 내지 OV- 히스테리시스/2 의 두 곳으로 된다.
도 2 에는 도 1 에 의한 회로 장치에 부가해서 트리거 역치에 대한 진폭 의존형의 추중 제어 장치가 설치된 회로 장치를 도시하였다. 유도식 발신기 IG 와 입력 저항 RE 사이에 회로 저항 RS 과 이것에 대해서 양극으로 접속되어 있는 정류 다이오드(D3)와 콘덴서 C 로 이루는 직렬 접속 회로가 접속되고 있으며 이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는 어스와 접속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D3)의 음극과 콘덴서 C 사이에 저항 Rx 이 접속되고 있으며 이 저항의 다른쪽의 단자는 계수 k 에 의한 승산을 위한 회로 소자를 거쳐서 전류원 SQ 로 인도되어 있다. 전류원 SQ 은 한쪽에서 급전 전압원 VCC 과 접속되고 있으며, 다른쪽에서는 스위치 SCH 를 거쳐서 비교기 KO 의 입력측 + 과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SCH 의 조작 입력측은 비교기 KO 의 출력측과 접속되어 있다.
회로 저항 RS, 정류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에 의해 피크값 정류 회로가 형성되며 이것은 유도식 발신기 신호 UG의 정의 반파의 피크값을 축적한다. 회로 저항 RS 에 의해 콘덴서 C 를 충전하기 위한 전류가 제한된다. 회로 저항 RS 을 크게 설정하면 할수록 전류 신호의 정의 진폭에 대해서 가일층 근소하게 밖엔 작용 하지 않는다. 축적된 전압은 변환 저항 Rx 을 거쳐서 가중 전류 iB로 변환된다. 진폭에 의존하는 이 가중전류 iB는 비교기 KO 의 입력측 + 에 가하는 전류원 SQ 에 대한 제어량으로서 쓰인다. 전류원 SQ 은 유도식 발신기 신호에서의 정의 신호 진폭에서 부의 신호 진폭으로의 제로점 통과의 검출에 따라서 스위치 온된다. 입력 저항 RE 을 거쳐서 비교기 KO 의 입력측 + 에 있어서의 전압이 값 iB×k×RE 만큼 높여지며, 그 결과 스위치 백 점도 같은 크기만큼 시프트된다.
상기 과정의 스위칭 점이 도 4 에 도시되며 이경우, 신호 진폭의 제로점 통과시, 즉 기본 트리거 역치 GSCHW 에 있어서의 스위칭 점과 스위치 백점, 즉 추종 제어되는 스위치백 트리거 역치 SCHW 에 있어서의 스위치 점이 그것에 의해서 생기는 비교기 KO 의 출력 신호 UA와 더불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 의하면 2 개의 다이오드(D1과 D2)를 갖는 클램프 회로가 설치 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 1 다이오드(D1)의 음극은 급전 전압원에 양극은 비교기 KO 의 입력측 + 과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쪽, 제 2 다이오드의 양극은 어스에 그 음극은 비교기 KO 의 입력측 + 과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급전 전압 VCC 보다 몇배나 높은 값을 취할 수 있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가 개략 급전 전압 VCC 의 값에 제한된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듯이 어스 전위와의 관련지워서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제로점 통과시에 항상 시간적으로 정확하게 트리거가 행해지며 그결과, 출력 신호 UA는 실질적으로 시간 오차없이 상응하는 측연에서 스위칭되게 된다. 스위치백트리거 역치 NSCHW 의 추종 제어에 의해서 비교적 큰 신호 진폭이 이용되며 이것에 의해 SN 비가 개선된다. 유도식 발신기 IG 의 극성을 반대로 함으로서, 예컨대 기본 트리거를 위해서 유도식 수신기 신호 KG 에 있어서 부의 신호 진폭에서 정의 신호 진폭으로의 제로점 통과를 이용하고 스위치백 트리거를 위해서 하강쪽의 신호 측연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a 와 도 3b 에는, 예컨대, 진폭의 반분의 값에 대해서 추종 제어되는 트리거 역치(도 3a)에 의해서 일정의 트리거 역치 FSCHW 보다 시간 오차 t 가 두드러지게 억압되는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그래도 또한, 트리거 역치의 이같은 추종 제어에 있어서 비이상적인 신호 측연 또는 추종 제어 장치의 허용오차에 기인해서 얼마간 시간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시간 오차의 다른 이유는 예컨대, 내연 기관의 크랭크축의 회전수 검출 또는 위치 검출의 경우에 추종 제어 장치가 엔진의 다이내믹 특성에 대해서 정합되어 있고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진폭 변화에 대해서 직접적으로는 다르지 않는 것이다. 제로점 통과시의 상술한 트리거 동작에 의하면 이것들의 시간 오차가 최소로 된다.

Claims (8)

  1. 유도식 발신기 신호가 입력 저항을 거쳐서 트리거 역치에 대한 진폭 의존형의 추종 제어 장치와 접속된 비교기의 한 쪽 입력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비교기의 다른 쪽의 입력측은 기준 전위에 놓여 있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에 있어서,
    기준 전위(UR)로서 어스가 선택되고,
    일정한 기본 트리거 역치(GSCHW)가 유도식 발신기 신호(UG)의 제로점 통과에 설정되며,
    추종 제어 장치(RS, D3, C, Rx, k, SQ, SCH)에 의해 한 쪽의 반파 영역에서만 스위치 백 트리거 역치(NSCHW)가 추종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종 제어 장치는 피크값 정류 회로(RS, D3, C)를 가지며, 상기 피크값 정류 회로에 의해 1 개의 반파의 전압 피크값이 저장되며,
    상기 추종 제어 장치는 저장된 상기 전압 피크값에서 변환 저항(Rx)을 거쳐 계수(k)가 부여된 가중 전류(iB)가 도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가중 전류는 상기 비교기(KO)의 입력측(+)과 접속 가능한 전류원(SQ)으로 제어량으로서 인도되며,
    상기 전류원(SQ)은 한쪽 방향에서의 제로점 통과가 검출되면 스위치(SCH)에 의해서 상기 비교기(KO)의 입력측(+)과 접속되며, 상기 제어량에 의해 유도식 발신기 신호 진폭에 관해서 시프트된 스위치백 트리거 역치의 다른쪽 방향에서의 통과기 검출되면 스위치(SCH)에 의해 입력측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CH)의 조작 입력측은 비교기(KO)의 출력측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값 정류 회로는 유도식 발신기(IG)와 입력 저항(RE)과의 사이에 접속된 회로 저항(RS)과, 상기 회로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정류 다이오드(D3)와,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과 접속되고 또한 어스와 접속된 콘덴서(C)를 갖고 있으며,
    상기 변환 저항(Rx)은 정류 다이오드(D3)와 콘덴서(C)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 개의 다이오드(D1, D2)를 구비한 클램프 회로가 설치되며, 제 1 다이오드(D1)의 음극은 급전 전압원(VCC)과, 양극은 상기 비교기(KO)의 입력측(+)과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다이오드(D2)의 양극은 어스와,음극은 상기 비교기(KO)의 입력측(+)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된(SQ)은 비교기(KO)의 입력측(+)과, 반대측의 단자에서 급전 전압원(VCC)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연 기관에 있어서의 크랭크축의 회전수 또는 각도 위치를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값 정류 회로(RS, D3, C)의 시정수는 엔진의 다이내믹 특성에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발신기 신호의 처리 회로 장치.
KR1019970700623A 1995-06-07 1996-06-05 유도식발신기신호의처리회로장치 KR100377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120690 DE19520690A1 (de) 1995-06-07 1995-06-07 Schaltungsanordnung zur Aufbereitung eines Induktivgebersignals
DE19520690.8 1995-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7036B1 true KR100377036B1 (ko) 2003-06-09

Family

ID=776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0623A KR100377036B1 (ko) 1995-06-07 1996-06-05 유도식발신기신호의처리회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774177A1 (ko)
JP (1) JPH10504160A (ko)
KR (1) KR100377036B1 (ko)
DE (1) DE19520690A1 (ko)
WO (1) WO1996041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6763A1 (de) * 1999-08-09 2001-02-15 Mannesmann Vdo Ag Selbstadaptiver Sensor
DE102010021186A1 (de) * 2010-05-21 2011-11-24 Michael Sauer Verfahren zur Drehzahlerfassung und ein Drehzahlerfassungssystem
CN111623958B (zh) * 2020-05-18 2021-11-12 长春欧意光电技术有限公司 干涉信号中的小波峰峰值提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9116A (ja) * 1985-04-16 1986-10-24 Fanuc Ltd 磁気検出回路の出力パルス自動整形回路
US4682049A (en) * 1984-09-14 1987-07-21 Robert Bosch Gmbh Pulse shaper for inductive transmitters
US4866298A (en) * 1987-03-13 1989-09-12 Robert Bosch Gmbh Circuit arrangement for evaluating the signals of an inductive sensor
JPH06300584A (ja) * 1993-04-15 1994-10-28 Nippondenso Co Ltd センサ信号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6073C2 (de) * 1981-07-10 1993-01-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drehzahlabhängigen Signalfolge
DE3208262A1 (de) * 1982-03-08 1983-09-1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drehzahlabhaengigen signalfolge
JP2724006B2 (ja) * 1989-11-16 1998-03-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2値化回路
US5493219A (en) * 1993-04-15 1996-02-20 Nippondenso Co., Ltd. MRE sensor signal det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049A (en) * 1984-09-14 1987-07-21 Robert Bosch Gmbh Pulse shaper for inductive transmitters
JPS61239116A (ja) * 1985-04-16 1986-10-24 Fanuc Ltd 磁気検出回路の出力パルス自動整形回路
US4866298A (en) * 1987-03-13 1989-09-12 Robert Bosch Gmbh Circuit arrangement for evaluating the signals of an inductive sensor
JPH06300584A (ja) * 1993-04-15 1994-10-28 Nippondenso Co Ltd センサ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04160A (ja) 1998-04-14
WO1996041414A1 (de) 1996-12-19
EP0774177A1 (de) 1997-05-21
DE19520690A1 (de) 199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7258A (en) Device for evaluating periodic signals from inductive pick-ups having a pulse former stage influenced as a function of the pick-up signal amplitude
JP2568242B2 (ja) 誘導性測定センサの信号を処理する回路装置
US4213103A (en) Circuit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simultaneous conduction of two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US5192906A (en) Switching regulator with current limiting shutdown
US5245522A (en) Power supply controlled to supply load current formed as sine wave
CN1222907C (zh) 无触点接收调幅信号的数据载体
US4414512A (en) Broadband peak detector
JPS637859Y2 (ko)
US5008531A (en) Pulsed light identifying system
US5986441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capturing the load current of a power semiconductor component with a load on the source side
US4475526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ignal train dependent on rotary speed
KR100377036B1 (ko) 유도식발신기신호의처리회로장치
JPH0425481B2 (ko)
US4039931A (en) System to sense a marker on a rotating body
US3970870A (en) Signal rectifying circuit
US4868909A (en) Signal shaping circuit utilizing a magneto-resistor in a voltage divider circuit
US5796232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the evaluation of sensor signals of inductive sensors in motor vehicles
US5579214A (en) Half-wave rectifier circuit
US6777827B1 (en) Switching arrangement for galvanically insulated control of a load-controlled power switch
US4956566A (en) Circuit configuration with a generator system for path- or angle-dependent signals
US4310794A (en) Capacitive probe detection systems
US10218299B2 (en) Phase voltage detection circuit and power generation control device
US4819600A (en) Signal integrating circuit
US4487059A (en) Circuit for producing pulses indicative of speed from a rotary generator without timing shift
JPH05223000A (ja) 内燃機関のノッキン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